최근 수정 시각 : 2024-05-15 16:56:57

아즈키아라이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잠 · 거치녀 · 거치봉발 · 견상여야록 · 경강적룡 · 경어목야유광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공주산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꺼먹살이 · 나군파 · 나티 ·노구화위남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녹족부인 · 능원사 · 단피몽두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영차 · 대인 · 대구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마귀굴 · 망태기 할아버지 · 매구 · 맹용 · 머리 아홉 달린 괴물 · 모선 · 몽달귀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마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비하대어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삼족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성성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양수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의가작수 · 이매망량 · 이목룡 · 이무기(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점청화 · 일촌법사 · 자유로 귀신 · 자이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축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처녀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색구인 · 청양 · 청우 · 취생 · 칠우부인 · 콩콩콩 귀신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해중조 · 해추 · 허주 · 호문조 · 홍난삼녀 · 홍콩할매귀신
사령(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개명수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 길조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목어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셔글룬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예렌 · 예티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유성신 · 인면수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 황요 · 황포괴 · 해태 · · 흑풍괴
가고제 · 가난뱅이신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멘레이키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케조리 · 바케쿠지라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뵤부노조키 · 분부쿠챠가마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슈노본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시사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마메하기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와로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마히메 · 야만바 · 야토노카미 · 여우불 · 오가마 · 오뉴도 · 오니 · 오니구모 · 오니바바 · 오니쿠마 · 오무카데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와뉴도 · 와이라 · 요모츠시코메 · 요스즈메 · 우라 · 우미보즈 · 우부 · 우부메 · 운가이쿄 · 유키온나 · 유킨코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게온나 · 카라스텐구 · 카라카사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칸칸다라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케조로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쿄코츠 · 쿠다키츠네 · 쿠로보즈 · 쿠네쿠네 · 쿠단 · 쿠시 · 쿠비카지리 · 쿠즈노하 · 큐소 · 키도마루 · 키요히메 · 키이치 호겐 · 키지무나 · 타카온나 · 터보 할머니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테아라이오니 · 테케테케 · 텐구 · 텐조 쿠다리 · 텐조나메 · 텐조사가리 · 팔척귀신 · 하마구리뇨보 · 하시히메 · 하하키가미 · 한자키 · 호야우카무이 · 화차 · 효스베 ·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몽골
모쇼보 · 몽골리안 데쓰웜 · · 알마스
기타
사신(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 교인 · 구미호 · 천호 · 독각귀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비어 · 백두산 천지 괴물 · 옥토끼 · · 용생구자(비희 · 이문 · 포뢰 · 폐안 · 도철 · 공복 · 애자 · 금예 · 초도)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천호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小豆洗い (あずきあらい)
파일:아즈키아라이.jpg

1. 개요2. 대중문화 속 아즈키아라이
2.1. 게게게의 키타로의 등장인물

1. 개요

을 씻는 일본요괴. 팥을 소쿠리에 담아 씻으며 쏴-아 쏴-아 하는 파도소리를 내거나 팥을 맷돌에 가는 소리를 낸다고. 보통은 옆머리만 남은 대머리 노인이 헤이하치허름한 넝마옷을 걸치고 허리를 구부려 붉은 팥을 담은 둥근 체나 소쿠리에 손을 담그고 팥을 씻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 민담은 일본의 전국에 퍼져있어서 여러 지방에 동상 등 기념물이 있다. 주로 강가나 다리 부근에서 등장한다고도 하고 산속의 숯가마 부근에 등장한다고 하기도 하고 진짜 정체는 족제비너구리라는 설도 있다. 팥을 씻으며 노래를 부르는데 "팥을 먼저 갈까 아니면 사람을 잡아먹으러 갈까, 쇼키쇼키" 하며 노래하는데 그 노래를 듣고 사람들이 강가에 접근하면 정신이 홀려서 강물에 빠진다고.여담으로이놈보고놀라서집에가보면팬티가없어져있다고(...)한다 매우 유명한 장기연재 요괴만화인 게게게의 키타로에도 등장해서 일본에서는 전국적으로 잘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비슷하게 팥을 씻는 노파나 쌀을 씻는 노파, 또는 세탁하는 여우 등 비슷한 요괴 이야기가 있다.

게임 홍신락의 아즈키아라이도 이 요괴가 모티브이다.

아동 드라마 < 구루구루 메다만 >에서는 모에선 맞고 로리소녀가 되어 등장한다.

파일:azukiarai2.jpg

2. 대중문화 속 아즈키아라이

2.1. 게게게의 키타로의 등장인물

파일:20191008-122312.jpg
더빙판 명칭은 팥 씻는 옹.
카사바케, 오하구로벳타리와 같은 단역 요괴. 요괴 골목에서 과자 가게를 운영하는 가게 주인으로 나온다. 한 에피소드에서 생쥐인간이 인간과 협력해 요괴골목에 크레이프 트럭을 들여놓는 바람에 자신의 과자들은 찬밥 신세가 된다. 이후 키타로 관련 상품을 팔며 자신과 마찬가지로 키타로 관련 상품을 파는 츠루베오토시(대두요괴)와 경쟁한다. 그 과정에서 자신과 츠루베오토시의 상품들을 훔쳐 달아난 생쥐인간을 쫒다가 츠루베오토시와 대판 싸우고 도중에 서로 자신의 요력을 써서 키타로를 말려들게 하는 민폐를 벌인다. 그러나 츠루베오토시와 함께 생쥐인간을 사주한 사카바사라를 물리치고 키타로가 자신과 츠루베오토시의 상품을 맛있게 먹자 감동하며 츠루베오토시와의 앙금을 씻어낸다. 이후 그와 마찬가지로 팥 요괴인 아즈키하카리, 아즈키바바가 등장하는 에피소드[1]에서 주역으로 나온다.

극장판에서는 요괴 47 수호신 중 한명으로 등장.

이후 6기에선 7화 유령열차 에피소드 때 잠깐 등장했고 아즈키하카리(팥세기)[2], 아즈키바바(팥할멈)[3]와 함께 31화의 주역으로 등장했다. 성우는 미야자와 타다시 / 김종엽.

세월이 흐르면서 사람들에게 잊혀진 채 지내다가 생쥐인간의 계략으로 유튜버가 됐는데 유명세를 타서 즐거운 아즈키아라이와 아즈키바바와 달리 아즈키하카리는 인기 유투브 스타 생활에 회의감을 느끼고 자신은 역시 팥을 씼을 때가 제일 행복한 거 같다고 하면서 팥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선 뭐든지 하는게 낫다고 말하면서 아즈키하카리의 말을 이해할 수 없다는 아즈키아라이와 그런 그를 말리는 듯한 아즈키바바를 뒤로 하고 원래 자신들이 살던 곳으로 돌아간다. 생쥐인간은 아즈키하카리가 떠난게 오히려 잘됐다는 듯 말하고 아즈키아라이는 팥 인지도를 올리겠다는 자신의 신념을 굳힌다. 한편 팥을 씼던 아즈키하카리는 자신 혼자만 남게 됐다는 현실에 슬퍼하고 아즈키아라이, 아즈키바바와 함께 팥을 씼던 시절을 떠올리며 아즈키아라이를 데려오기로 결심한다. 그 동안 아니에스를 비롯해서 인간계의 모두가 팥 앙금 대신 서양 간식을 찾는 걸 본 아즈키아라이는 분노하면서 억지로라도 팥에 대한 인지도를 높히겠다며 디저트가게의 직원은 물론이고 거리에 있던 사람들의 얼굴에서 팥이 떨어지는 주술을 걸면서 난동을 부리고 그런 그를 저지하기 위해 온 키타로가 아즈키아라이한테 머리카락 침을 날리자 아즈키아라이를 막은 아즈키하카리가 키타로의 공격을 받으면서 놀란 아즈키아라이에게 정신차리라고 다그칠 때 아즈키바바가 등장해서 사람들에게 팥 앙금이 들어간 간식을 나눠 주다가 아즈키아라이를 보고 그에게 다가가서 그를 위로해준다.[4] 아즈키아라이는 자신의 동료들의 마음에 감동하며 눈물을 흘리면서 잘못을 뉘우치고 그 후 동료들과 타이야키[5]가게의 직원으로 들어가서 팥에 대해 생각이 바뀌었다며 미소 지으며 팥을 씼는 걸로 마무리가 된다.[6]

마지막화에선 키타로에 힘을 보태주는 수 많은 이들 중 하나로 등장했다.

엔딩에 종종 모습을 비췄다.

[1] 아즈키하카리와 아즈키바바가 자신들의 팥을 팔아 부자가 되려는 야심을 품었다가 키타로에게 저지당하자 앙심을 품고 키타로를 팥나무의 숙주로 만들고 키타로의 동료 요괴들도 비슷한 꼴로 만들자 분노해 "너희들은 팥을 사랑하지 않아!"라며 요괴 47 수호신으로 각성, 아즈키하카리와 아즈키바바를 쌍으로 털어버린다.[2] 성우는 시오야 코조 / 박준형[3] 성우는 사이토 키미코 / 권다예[4] 평소 말이 없던 아즈키바바가 말하자 놀란 아즈키하카리와 아즈키아라이가 압권.[5] 국내판에선 붕어빵으로 로컬라이징.[6] 해당 에피소드는 4기의 아즈키아라이 에피소드를 오마주 한 것으로 보이는데 4기에서도 아즈키아라이와 아즈키하카리를 생쥐인간이 꼬드겨 사람들에게 구경거리로 만들고 큰 돈을 벌었는데 그걸 본 아즈키바바가 분노해 "우린 요괴야! 인간의 구경거리가 아니라고!"라며 생쥐인간과 네코무스메, 키타로를 잡아다가 팥 찥는 방아로 끔살시키려다가 키타로에게 역관광당하고 원통해하자 아즈키아라이와 아즈키하카리가 키타로에게 대신 사과하며 자신들은 사람들에게 구경거리가 되는게 아무도 오지 않는 외로운 현실보다 낫다며 사정하고 이를 불쌍히 여긴 키타로가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는 시골 마을을 소개해 조화롭게 살도록 하는 해피 엔딩으로 끝났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