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8 08:39:16

흑풍괴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잠 · 거치녀 · 거치봉발 · 견상여야록 · 경강적룡 · 경어목야유광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공주산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꺼먹살이 · 나군파 · 나티 ·노구화위남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녹족부인 · 능원사 · 단피몽두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영차 · 대인 · 대구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마귀굴 · 망태기 할아버지 · 매구 · 맹용 · 머리 아홉 달린 괴물 · 모선 · 몽달귀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마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비하대어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삼족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성성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양수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의가작수 · 이매망량 · 이목룡 · 이무기(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점청화 · 일촌법사 · 자유로 귀신 · 자이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축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처녀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색구인 · 청양 · 청우 · 취생 · 칠우부인 · 콩콩콩 귀신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해중조 · 해추 · 허주 · 호문조 · 홍난삼녀 · 홍콩할매귀신
사령(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개명수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 길조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목어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셔글룬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예렌 · 예티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유성신 · 인면수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 황요 · 황포괴 · 해태 · · 흑풍괴
가고제 · 가난뱅이신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멘레이키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케조리 · 바케쿠지라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뵤부노조키 · 분부쿠챠가마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슈노본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시사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마메하기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와로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마히메 · 야만바 · 야토노카미 · 여우불 · 오가마 · 오뉴도 · 오니 · 오니구모 · 오니바바 · 오니쿠마 · 오무카데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와뉴도 · 와이라 · 요모츠시코메 · 요스즈메 · 우라 · 우미보즈 · 우부 · 우부메 · 운가이쿄 · 유키온나 · 유킨코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게온나 · 카라스텐구 · 카라카사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칸칸다라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케조로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쿄코츠 · 쿠다키츠네 · 쿠로보즈 · 쿠네쿠네 · 쿠단 · 쿠시 · 쿠비카지리 · 쿠즈노하 · 큐소 · 키도마루 · 키요히메 · 키이치 호겐 · 키지무나 · 타카온나 · 터보 할머니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테아라이오니 · 테케테케 · 텐구 · 텐조 쿠다리 · 텐조나메 · 텐조사가리 · 팔척귀신 · 하마구리뇨보 · 하시히메 · 하하키가미 · 한자키 · 호야우카무이 · 화차 · 효스베 ·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몽골
모쇼보 · 몽골리안 데쓰웜 · · 알마스
기타
사신(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 교인 · 구미호 · 천호 · 독각귀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비어 · 백두산 천지 괴물 · 옥토끼 · · 용생구자(비희 · 이문 · 포뢰 · 폐안 · 도철 · 공복 · 애자 · 금예 · 초도)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천호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1. 개요2. 설명3. 여담4. 창작물에서

1. 개요

黑風怪. 서유기에 등장하는 요괴.

2. 설명

삼장법사 일행이 서천을 향해 떠난 초반부 쯤 만난 요괴. 흑 요괴로, 흑풍산 흑풍동에 살고 있었다. 커다란 창을 무기로 쓰며, 손오공도 창 쓰는 솜씨가 제법이라고 칭찬할 정도의 실력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손오공과 두 어 번이나 치고박고 싸웠지만 승부가 나지 않았고 손오공이나 관세음보살 모두 손오공과 대등한 실력이라고 평가했다.

삼장법사가 아직 저팔계, 사오정을 만나기 전이라 손오공만 데리고 여행을 하던 중 관음선원이라는 절에 머물렀다. 이름대로 관음보살님을 섬기는 절이었는데, 굉장히 늙은 주지스님이 있었다. 그런데 이 스님이 그다지 훌륭한 스님은 아니라 온갖 화려한 가사[1]를 모으는 등 재물욕이 있어서, 손오공이 자랑한답시고 꺼낸 삼장법사의 금란가사[2]에 그만 넋을 잃고, 부디 하룻밤만 빌려주면 잘 보고 다음 날 아침 돌려주겠다고 간청한다. 그러나 보면 볼수록 욕망이 커져서, 결국 삼장법사와 손오공을 태워죽이고 빼앗으려는 계획을 세운다.

손오공은 그걸 눈치채지만 불을 못 지르게 하던가 하는 것도 아니고 불을 막을 수 있는 피화조라는 보물을 빌려서 삼장법사의 거처만 덮은 뒤, 불길은 더 커지게 해서 아예 절 전체를 태워버리게[3] 한다. 그런데 여기서 일이 꼬인 게, 평소 이 스님과 친하게 지내던 흑풍괴가 불이 난 걸 보고 놀라서 달려와 꺼줄려다가 손오공이 안전한 곳에 꺼내놓은 금란가사를 발견하곤, 보배를 얻었다며 홀랑 가져가버린다. 결국 절이 홀라당 타버리고 그동안 모은 가사까지 죄다 잃자 주지스님은 절망감에 벽에 머리를 박아 죽어버린다. 손오공은 당연히 삼장법사한테 긴고주로 한 바탕 혼쭐이 나고[4][5] 가사를 찾으러 떠난다.

흑풍동으로 찾아가던 손오공은 흑풍괴를 포함한 요괴 세 마리가 대화를 나누는 걸 엿듣는데, 흑풍괴가 자신이 최근에 귀한 가사를 얻었으니 그걸로 잔치를 벌이겠다고 하는 걸 듣고는 괘씸해서 습격, 둘은 도망갔지만 도망치지 못한 뱀 요괴 한 마리는 때려잡는다. 그러곤 흑풍동으로 가서 한 판 싸워보지만 오랫동안 겨뤄도 승부가 나지 않고, 흑풍괴가 밥 먹겠다고 돌아가 문을 걸어잠그니 별 수 없이 돌아온다. 다음 날 흑풍괴가 와서 지꺼라고 우기면 어쩔려고 관음사 주지스님에게 '보배를 구하게 돼서 잔치를 벌인다'며 초청장을 보냈는데, 다시 온 손오공이 그 초청장을 가진 졸개 도사가 흑풍괴와 같이 어울리던 요괴인 것을 알아보고 즉각 때려잡는다.[6] 그리고 관세음보살님이 도와주러 오자, 흑풍괴와 같이 있던 걸 봤던 도사가 잔치에 가는 걸 보곤 때려잡은 뒤 관세음보살님께 그 도사의 모습으로 변신해 달라 하고 자신은 영단으로 변해서 쟁반 위에 얹혀진 채 흑풍동으로 간다.

평소 도술에 관심이 많았고 영단을 좋아하던 흑풍괴는 멋도 모르고 선물을 받아 집어먹어버리고, 손오공은 그대로 뱃속에서 깽판을 친다. 결국 고통을 못이긴 흑풍괴는 가사를 얌전히 꺼내두고 살려만 달라고 빌지만, 거짓인 걸 눈치챈 관세음보살님이 흑풍괴에게 손오공의 긴고아와 같은 물건인 금고아를 씌운다. 결국 손오공이 나오자마자 공격하려던 흑풍괴는 관세음보살님의 금고주에[7] 땅바닥을 데굴데굴 구르다가 그제서야 진심으로 불가에 귀의하겠다고 빌고, 손오공은 지도 당해본 거라 옆에서 낄낄대고 관세음보살님은 그를 거둬서 자신이 상주하는 산인 낙가산(落伽山)을 지키는 수산대신(守山大神)으로[8] 쓰겠다며 데려간다.

어찌보면 운이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한게, 관음선원에 불난 것을 못 봤다면 가는 길도 틀린 삼장법사 일행과 만나지도 않았을 테니 무사할 수 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론 불가에 귀의한 덕에 좋은 길에 들어선 셈. 나중에 손오공이 관세음보살님께 도움을 청하러 왔을 때 잠깐 등장하는데, 손오공 덕분에 요괴 나부랭이에서 수산대신이 되었다고 손오공에게 감사를 표한다.

3. 여담

여담으로 손오공이 쓴 긴고아, 이 녀석이 쓰게 된 금고아, 이 에피소드 이후에 홍해아가 쓰게 되는 금고아(두 금고아는 金, 禁으로 한자가 다르다.)는 한 세트인데, 이 머리테로 곤혹을 치른 녀석들 중 흑풍괴만이 머리테 맛을 한 번 보고는 그 이후 반항했다는 묘사가 없다.[9] 의외로 저 둘보다는 고분고분했던 모양. 사실 이 세 개의 머리테는 석가여래가 관세음보살에게 이걸로 굴복시켜 삼장법사의 제자를 만들라고 준 것인데, 직접적으로 '삼장법사의 제자'를 만드는 데 쓰인 건 긴고아 하나뿐이라 관세음보살이 횡령했다는 드립도 나온다. 어쨌든 셋 다 삼장 일행의 서천행을 돕기 위해 사용했고 결과적으로 쓰게 된 요괴들도 모두 불문에 들었으니 석가여래도 딱히 문제삼지 않은 듯하다.

4. 창작물에서

채지충의 만화 서유기에서는 삼장법사 일행이 흑풍산을 지날 당시가 겨울이라 곰들의 특성상 겨울잠을 자야 해서 채지충이 눈이 많이 내리는지라 흑풍산 촬영은 취소하고 생략한다. 이후 자고 있는 곰이 이런 날씨에 연기를 할 순 없다 하며 마무리.

검은 신화: 오공에서는 1장의 최종보스로 등장. 1페이즈에 덩치있는 노지심스러운 승려 모습이었다가 2페이즈에 거대한 흑곰의 모습으로 이름 그대로 검은 바람이 되어 주인공을 공격하는 모습으로 호평을 받았다. 여기서는 불타 없어진 관음선원을 나름 더 크게 복구하고 요괴지만 수행승도 모으고 훼손된 불경도 복구하였다고 나름 자랑질을 하지만 막상 복구했다는 절간은 해골과 잔해가 사방에 굴러다니는 엉망진창 상태이고 동네 토지신에게조차 미움받는 실정인데, 알고보니 다른 요괴대왕들과 함께 오공이 쓰러트리는데 가담하여 흩뿌려진 육근 중 하나를 받게 되자 이걸로 힘을 키워보려고 했으나 도대체 어떻게 이를 쓸 수 있는지 알 수가 없어 그냥 불탑 꼭대기에 올려두고 이걸 가지고 관람료를 받아 장사질을 해 돈을 벌었다는 게 밝혀진다. 최후도 천명자에게 거대 흑곰 모습으로도 쳐발리고 이것만 있으면 절간따위 다른데 지어도 된다며 탑 위의 육근을 무작정 들고 도망치려 하지만 그마저도 못하고 날아가다 땅에 나가떨어져 목숨을 구걸하는 꼴사나온 모습을 보인다. 하는 꼴이 그모양인지라 토지신이 동해도 다녀온 놈이 하는 꼴이 이모양이라고 이딴놈이 흑막일리 없고 분명 뒷배가 따로 있다고 하며 멍청이 취급하는 수준이라 간신히 목숨만은 부지했다. 이후 등장하는 요괴 왕들이 어떤 최후를 맞이했는지 생각하면 그나마 운이 좋았다.

흑곰 요괴와 관련이 있는 스님인 금지 장로도 요괴로 등장한다.

[1] 스님들이 입는 옷.[2] 온갖 보석으로 장식되어있고 그냥 둬도 노을같은 빛이 사방으로 뻗치는 진귀한 보배라, 평소엔 잘 감싸서 짐보따리에 숨겨놓는다.[3] 이 부분에서 손오공이 피화조를 빌릴 때 피화조를 빌려주던 신들도 '불이 나면 물을 빌려 꺼야지 심보 참 고약히 쓴다'고 혀를 차기도 하며 관음보살도 '역량 작은 범태육골의 인간에게 보물을 보여줘서 욕심을 부른 것도 모자라 내가 자주 쉬어가는 절마저 태웠다'며 꾸중도 듣는다. 소설 속 세계관에서는 범태육골의 인간은 불살주의의 적용이 최우선의 가치라 불은 진압하여 끄고 타이르는게 이 경우에 제일 바른 대응에 해당된다.[4] 쓸데없이 보물을 남한테 자랑해서 화를 부름 + 불이 날 걸 알고도 그걸 막은 게 아니라 오히려 더 큰 불이 나게 만듦 + 그런 짓을 해놓고 정작 보물인 금란가사도 잃어버림.[5] 사실 관음보살님이 자주 쉬어가는 사찰임을 삼장법사가 몰라서 손오공이 혼이 덜 났을뿐 이 사실까지 삼장법사가 알았으면 더 혼이 났을 수 있었다.[6] 처음에는 이 도사가 범태육골의 인간인줄 알던 관음보살에게 손오공은 또 혼이 난다.[7] 손오공은 처음엔 긴고주를 외우려는 줄 알고 화들짝 놀랐으나, 세 개의 머리테는 저마다 주문이 달라서 손오공은 아무렇지도 않다.[8] 쉽게 말해서 산지기다. 물론 관세음보살이 상주하는 산의 산지기이니 상당히 높은 직책이긴 하다.[9] 손오공과 홍해아는 처음 머리테로 혼쭐났을 때는 잘못했으니 살려달라고 싹싹 빌지만, 삼장법사와 관세음보살이 주문을 멈추자마자 시치미 뚝 떼고 반항했다가 또 혼이 난다. 손오공의 경우는 그 이후로 저팔계의 충동질 때문에 억울하게 긴고아에 당하는 경우가 대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