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통상적으로 쓰이는 용어인 마약왕}}}에 대한 내용은 [[마약 카르텔]]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마약 카르텔#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마약 카르텔#|]]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통상적으로 쓰이는 용어인 마약왕: }}}[[마약 카르텔]]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마약 카르텔#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마약 카르텔#|]]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우민호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메이드 인 코리아 | }}}}}}}}} |
<colbgcolor=#684700><colcolor=#d2b48c> 마약왕 (2018) 痲薬王 THE DRUG KING[1] | |
| |
장르 | 범죄, 드라마, 스릴러, 느와르, 하드보일드, 액션, 피카레스크, 시대극 |
감독 | 우민호 |
각본 | 우민호, 이지민[2] |
제작 | 김원국 |
주연 | 송강호, 조정석, 배두나 |
촬영 | 고락선 |
편집 | 김상범, 김재범 |
음악 | 조영욱 |
조명 | 이승빈 |
미술 | 조화성 |
의상 | 조상경 |
촬영 기간 | 2017년 5월 5일 ~ 2017년 10월 10일 |
제작사 | |
배급사 | |
개봉일 | |
화면비 | 2.35 : 1 |
상영 타입 | 2D |
상영 시간 | 139분 (2시간 18분) |
제작비 | 165억 원 |
대한민국 총 관객수 | 1,864,079명 (최종) |
월드 박스오피스 | $14,446,477 (최종) |
스트리밍 | [[넷플릭스| NETFLIX ]]
|
상영 등급 |
1. 개요
1970년대 대한민국, 마약으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이두삼’과 그를 돕고 쫓고 함께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 《내부자들》의 우민호 감독의 네 번째 장편 영화이다.2. 예고편
▲ 티저 예고편 |
▲ 메인 예고편 |
3. 시놉시스
국가는 범죄자, 세상은 왕이라 불렀다
"애국이 별 게 아니다! 일본에 뽕 팔믄 그게 바로 애국인기라!"
마약도 수출하면 애국이 되던 1970년대 대한민국, 하급 밀수업자였던 이두삼(송강호)은 우연히 마약 밀수에 가담했다가 마약 제조와 유통 사업에 본능적으로 눈을 뜨게 되면서 사업에 뛰어든다.
"이 나라는 내가 먹여 살렸다 아이가"
뛰어난 눈썰미, 빠른 위기 대처 능력, 신이 내린 손재주로 단숨에 마약업을 장악한 이두삼. 사업적인 수완이 뛰어난 로비스트 김정아(배두나)가 합류하면서 그가 만든 마약은 '메이드 인 코리아'라는 브랜드를 달게 된다. 마침내 이두삼은 대한민국을 넘어 아시아까지 세력을 확장하며 백색 황금의 시대를 열게 된다.
한편, 마약으로 인해 세상은 점점 불안해지기 시작하고 승승장구하는 이두삼을 주시하는 한 사람 김인구(조정석)가 움직이기 시작하는데…
"애국이 별 게 아니다! 일본에 뽕 팔믄 그게 바로 애국인기라!"
마약도 수출하면 애국이 되던 1970년대 대한민국, 하급 밀수업자였던 이두삼(송강호)은 우연히 마약 밀수에 가담했다가 마약 제조와 유통 사업에 본능적으로 눈을 뜨게 되면서 사업에 뛰어든다.
"이 나라는 내가 먹여 살렸다 아이가"
뛰어난 눈썰미, 빠른 위기 대처 능력, 신이 내린 손재주로 단숨에 마약업을 장악한 이두삼. 사업적인 수완이 뛰어난 로비스트 김정아(배두나)가 합류하면서 그가 만든 마약은 '메이드 인 코리아'라는 브랜드를 달게 된다. 마침내 이두삼은 대한민국을 넘어 아시아까지 세력을 확장하며 백색 황금의 시대를 열게 된다.
한편, 마약으로 인해 세상은 점점 불안해지기 시작하고 승승장구하는 이두삼을 주시하는 한 사람 김인구(조정석)가 움직이기 시작하는데…
4. 마약왕/등장인물
5. 마약왕/줄거리
5.1. 고증 오류
- 김인구가 부산에 내려와 이두삼을 쫓는 동안 시간이 꽤 흐르는데, 검사는 2년마다 인사 발령이 난다. 그것도 전국 단위로.
- 이두삼의 수첩에 기록된 뇌물수수자 명단에 서울중앙지검장, 서울 남부지검장이 있다. 서울지검 관할 내 동서남북 지청과 의정부 지청이 지검으로 승격돼 기존 서울지검이 서울 중앙지검으로 개편된 날은 2004년 2월 1일이다.
- 이두삼의 수첩에 기록된 뇌물수수자 명단에 수영구의원의 이름이 나오는데, 수영구는 1995년에 남구에서 분리되었다.
- 이두삼 사건 이후 대검에 마약과가 신설되었다고 언급되지만, 실제 대검찰청에 마약과는 1989년에 생겼다. 물론 그때부터 준비해서 몇 년이 걸렸다고 볼 수도 있다.
- 이두삼이 대한 반공협회 1977년 정기 총회에서 태극기를 흔드는 장면이 나오는데, 뒤의 나열된 여러 나라의 국기들 중 태반이 당시 이미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나 정권이 교체된 나라들이다. 당장 라오스는 수년 간의 내전에서 파테트 라오가 승리하면서 라오스 왕국이 무너지고 1975년 인민민주주의 정부가 수립되었다. 역시 캄보디아의 경우도 1975년에 론 놀 장군의 군부 독재 정권 크메르 공화국이 무너지고 폴 포트의 친중국 공산주의 정권 민주 캄푸치아가 수립되어 한국과는 단교하였다. 더군다나 나열된 깃발 역시 오늘날의 캄보디아 왕국 깃발이다... 역시 미얀마도 버마식 불교 사회주의를 채택한 무조건적인 반공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국가 버마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었으며 국기 역시 1970년대 당시의 국기가 아니다. 가장 큰 문제는 1976년 남베트남 공화국 과도 혁명 정부를 흡수하며 성립된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깃발이 이두삼 뒤에 떡하니 나열되어 있다. 월남 패망 이후 한국은 베트남과 당연히 단교했다. 대한민국이 베트남과 재수교한 것은 1992년의 일이다. 맨 왼쪽에는 역시 그 당시만 해도 자유중국으로 불렸던 대만이 아니라 중국공산당이 통치하는 중국의 오성홍기까지 등장한다. 이쯤되면 반공협회가 아니라 공산 협회수준이다...
- 1980년 배경에서 나오는 포니 승용차가 1973년 이전에 달린 자동차 번호판을 달고 등장한다.
- 감사패에 적혀있는 1973년 3월 15일 법무부 장관은 배영호가 아닌 신직수. 일부러 실명을 사용 안 한 것이다.
6.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IMDb=tt6914542, IMDb_user=6.2, ##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the_drug_king, 로튼토마토_tomato=75, 로튼토마토_popcorn=34, ##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the-drug-king, 레터박스_user=3.1,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왓챠=mOgBKEa, 왓챠_user=2.6,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241, 키노라이츠_light=33.98, 키노라이츠_star=2.4,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네이버영화=마약왕, 네이버영화_audience=7.16, ## 네이버영화_highlight=display,
CGV=81403, CGV_egg=73, CGV_highlight=display,
도우반=26945122, 도우반_user=6.0,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시사회 평은 좋지 않다. 지루할 정도로 러닝타임이 길다(2시간 19분)는 평.
정식 개봉 후에는 평론가들도 전반적으로 혹평하는 분위기다. 관객 평도 그다지 좋지 않은 편. "배우만 믿고 보는 초특급 깡통영화", "송강호도 못 살린 영화"라는 평가. 안진용 기자는 섹션TV 연예통신의 영화를 누리자의 코너에서 시간 도둑이란 뜻으로 도둑왕이라는 표현까지 내뱉을 정도였다.
관객과 평론가 모두 배우들의 연기에 대해서는 호평. 특히 송강호의 경우 마약으로 미쳐가는 주인공의 역할을 정말 완벽하게 해냈다. 광기가 절절 느껴지는 모습은 송강호 배우가 왜 "현 시대, 충무로 최고의 위상을 가진 국민배우"라는 수식어가 붙는지 정말 잘 이해된다고 극찬하는 사람도 있다. 그 외 배두나, 조정석, 김소진, 조우진, 윤제문, 이성민, 이희준, 김대명 등등 어디가서 남주여주 최소 신스틸러 소리 듣는 배우들이 제 역할을 충분히 다해준다.
그러나 이 배우들로 이런 영화가 나왔다는 게 갑갑할 정도로 서사가 빈약하다는 것이 공통된 평이다. 이유는 이두삼 외의 모든 캐릭터를 도구적으로 쓰고 버린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영화는 이두삼 아닌 인물들의 생각이나 이야기를 거의 보여주지 않는다. 김인구가 이두삼을 수 년간 쫒는 동기는 겨우 "대한민국 검사를~"로 처리되며 이두삼에게 의심받으면서도 김정아가 끝까지 헌신하는 이유가 마치 스포츠 카, 그것도 자기가 싫어하는 색깔의 스포츠카 한 번 태워줬기 때문으로 묘사된다. 그 중 최악은 김순평의 상황인데, 죽어도 같이 죽자고 의형제 맺어놓고 전화 한 통으로 퇴장 당한다. 사촌 동생인 이두환의 배신과 퇴장은 그야말로 뜬금없는 느낌을 피할 수 없으며, 남편을 감옥에서도 내조했던 조강지처 성숙경이 갑작스럽게 인연을 끊고 마지막에 배신에 가까운 묘사까지 하는 장면은 공감이 하기 힘들 정도.
국내 정치와 시대상을 배경으로 한 마약상의 배경과 국산 영화에서 잘 묘사되지 않은 마약 제조 과정 등 특유의 개성은 볼만하지만 그것조차 자세히 묘사되지 않아 아쉬운 점이 많다. 이두삼 처로 나온 김소진의 연기가 좋았다는 칭찬이 나오는 이유가 관객이 이 영화의 빈약한 정보 중에서 그나마 이 캐릭터의 감정을 이해하기가 제일 쉽기 때문이다. 이 영화 후반부는 다 이런 식으로 전반부에 설명해놓은 캐릭을 그냥 버리며, 특출난 연기가 눈은 즐겁게 해주지만 머리에 새겨지는 것은 오로지 송강호의 이두삼뿐이다.
감독 인터뷰에 따르면 송강호의 리어왕을 보고 싶었다는 모양이지만 앞의 블랙 코미디는 간데없고 전반부와 후반부는 그냥 다른 영화다. 2시간이 넘는 러닝타임의 결론이 결국 검찰에 마약 전담부서 생긴 유래로 마무리되는 부분에서는 허망함마저 느껴질 정도이다. 전반부의 전개는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후반부 전개는 '스카페이스'[3], 마약 제조와 관련된 씬의 연출 면에선 같은 메스암페타민 마약에 관련된 드라마인 '브레이킹 배드', 마약왕에 의한 마약 유통, 그로 인한 마약왕의 성공과, 그에 대비되는 마약의 폐해를 교차하여 보여주는 연출은 '아메리칸 갱스터'의 연출을 많이 배낀 느낌이다. 이두삼의 거대한 책상, 마약과 성공에 취해 주변 사람들을 모두 쳐내는 주인공, 마지막에 홀로 남아 적들 (스카페이스는 관계가 틀어진 동업자가 보낸 암살단, 마약왕은 경찰)을 총으로 상대하는 주인공 등 후반부엔 스카페이스와 지나치게 유사하다.
6.1. 평론가 평
박은영 평점 6.0/10
뽕 맞은 듯한 연기와 일당백 대사로 서사의 빈틈을 메운다.
뽕 맞은 듯한 연기와 일당백 대사로 서사의 빈틈을 메운다.
서정환 평점 5.0/10
내부자들 이후 우민호 감독의 야심은 더욱 커졌지만 이를 봉합할 능력은 그 야심에 미치지 못했다. 대한민국에서 마약왕으로 군림한 인물의 일대기라는 거대 서사부터 설계의 문제점을 드러내는데, 과감하게 잔가지들을 쳐내기보다 굵은 가지를 도려내는 선택을 한 건 가장 큰 패착이다. 한 인물의 흥망성쇠의 과정이 흥미롭기보다 산만하게 느껴지는 이유다. 조금 과장해서 대한민국 배우들은 모두 출연한 듯한 수많은 캐릭터들 또한 부지기수가 퇴장조차 언급되지 못할 정도로 과하다. 여기에 장르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가 스타일이라는 미명하에 화려하게 전시된다. 명불허전 송강호는 《변호인》을 넘어서는 역대급 연기를 선보이지만 모든 것이 과하고 넘치는 영화를 수습하고 구원하지는 못한다.
내부자들 이후 우민호 감독의 야심은 더욱 커졌지만 이를 봉합할 능력은 그 야심에 미치지 못했다. 대한민국에서 마약왕으로 군림한 인물의 일대기라는 거대 서사부터 설계의 문제점을 드러내는데, 과감하게 잔가지들을 쳐내기보다 굵은 가지를 도려내는 선택을 한 건 가장 큰 패착이다. 한 인물의 흥망성쇠의 과정이 흥미롭기보다 산만하게 느껴지는 이유다. 조금 과장해서 대한민국 배우들은 모두 출연한 듯한 수많은 캐릭터들 또한 부지기수가 퇴장조차 언급되지 못할 정도로 과하다. 여기에 장르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가 스타일이라는 미명하에 화려하게 전시된다. 명불허전 송강호는 《변호인》을 넘어서는 역대급 연기를 선보이지만 모든 것이 과하고 넘치는 영화를 수습하고 구원하지는 못한다.
★★
이 정도의 편집이라면 촬영 단계의 문제로 추정됨.
송형국
이 정도의 편집이라면 촬영 단계의 문제로 추정됨.
송형국
★★☆
이 배우, 이 스탭들이 모였는데 왜…
임수연
이 배우, 이 스탭들이 모였는데 왜…
임수연
7. 흥행
출처 : 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단위 :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세계 | 2018년 12월 19일 | $9,481,709 | 2018년 12월 23일 | |||
개별 국가 | ||||||
대한민국 | 2018년 12월 19일 | $9,481,709 | 2018년 12월 23일 |
제작비가 165억 원으로, 손익분기점이 400만 명이다. 월드 박스오피스는 1444만 6,477달러(약 158억 원)를 기록했으며 총 관객 수는 186만 4000여 명이며 흥행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7.1. 대한민국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개봉 전 | 18,959명 | 18,959명 | 미집계 | 148,090,000원 | 148,090,000원 | |
1주차 | 2018-12-19. 1일차(수) | 250,107명 | -명 | 1위 | 2,045,384,700원 | -원 |
2018-12-20. 2일차(목) | 185,575명 | 1위 | 1,517,082,150원 | |||
2018-12-21. 3일차(금) | 182,938명 | 1위 | 1,657,829,969원 | |||
2018-12-22. 4일차(토) | 301,170명 | 2위 | 2,769,901,483원 | |||
2018-12-23. 5일차(일) | 271,589명 | 2위 | 2,500,188,650원 | |||
2018-12-24. 6일차(월) | 191,134명 | 2위 | 1,576,247,600원 | |||
2018-12-25. 7일차(화) | 209,242명 | 3위 | 1,924,438,950원 | |||
2주차 | 2018-12-26. 8일차(수) | 51,991명 | -명 | 6위 | 332,252,550원 | -원 |
2018-12-27. 9일차(목) | 31,836명 | 6위 | 256,167,950원 | |||
2018-12-28. 10일차(금) | 27,569명 | 6위 | 245,446,950원 | |||
2018-12-29. 11일차(토) | 32,904명 | 8위 | 301,772,600원 | |||
2018-12-30. 12일차(일) | 32,974명 | 7위 | 301,726,900원 | |||
2018-12-31. 13일차(월) | 25,769명 | 8위 | 209,406,100원 | |||
2019-01-01. 14일차(화) | 19,250명 | 10위 | 173,536,150원 | |||
3주차 | 2019-01-02. 15일차(수) | 6,796명 | -명 | 10위 | 54,263,000원 | -원 |
2019-01-03. 16일차(목) | 4,109명 | 11위 | 32,651,300원 | |||
2019-01-04. 17일차(금) | 3,904명 | 11위 | 34,668,600원 | |||
2019-01-05. 18일차(토) | 5,654명 | 12위 | 51,088,200원 | |||
2019-01-06. 19일차(일) | 4,253명 | 12위 | 38,035,050원 | |||
2019-01-07. 20일차(월) | 2,373명 | 14위 | 19,188,150원 | |||
2019-01-08. 21일차(화) | 2,254명 | 15위 | 18,379,250원 | |||
4주차 | 2019-01-09. 22일차(수) | 160명 | -명 | 36위 | 1,320,700원 | -원 |
2019-01-10. 23일차(목) | 168명 | 37위 | 1,316,100원 | |||
2019-01-11. 24일차(금) | 123명 | 36위 | 1,105,200원 | |||
2019-01-12. 25일차(토) | 443명 | 25위 | 3,984,780원 | |||
2019-01-13. 26일차(일) | 206명 | 28위 | 1,814,280원 | |||
2019-01-14. 27일차(월) | 80명 | 44위 | 598,500원 | |||
2019-01-15. 28일차(화) | 108명 | 45위 | 777,630원 | |||
합계 | 누적관객수 1,863,484명, 누적매출액 16,217,546,442원[4] |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남의 아내, 드래곤 블레이드: 천장웅사, 무지개빛 데이즈, 시니스터 스쿼드, 크리미널 섹터 211, 하이재킹: 비상착륙(이상 2018년 12월 18일), 7:20 원나잇 포에버, 그린치,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아뵤! 쿵후 보이즈 ~라면 대란~, 극장판 포켓몬스터 모두의 이야기, 스윙키즈, 아쿠아맨(이상 2018년 12월 19일), 더 파티, 마션 인베이션, 마지막 8월: 어느 기념비의 이야기, 메리 셸리: 프랑켄슈타인의 탄생, 배틀 스쿨, 버블 패밀리, 부다페스트 로큰롤, 이차크의 행복한 바이올린, 파이널 스코어(이상 2018년 12월 20일)까지 총 22편이다.
원래 2018년 여름 개봉 예정이었다. 그러나 제작사의 공식 입장에 따르면 《마약왕》은 여름보다 겨울에 더 잘 어울리는 영화라는 이유로 2018년 겨울로 개봉을 미뤘다. 하지만 담철곤 오리온그룹 회장의 검찰 수사 및 재판으로 인한 쇼박스의 내부 사정과 《공작》, 《신과 함께: 인과 연》 등 대작들이 포진한 치열한 여름 대진표가 개봉 연기의 가장 큰 이유라는 것이 정설이다.
혹평을 받으면서 아쿠아맨과 범블비에 밀려 저조한 흥행을 거두고 있다. 간신히 150만 관객은 돌파했지만 벌써 상영관이 대부분 내려가고 있는 상황이라 흥행 실패는 확정적이다.
2019년 1월 10일 IPTV로 나왔다.
8. 여담
- 실존 인물들을 모티브로 만든 영화다. 다만 이런저런 영화적 상상력을 더하고 범죄자 이야기인 만큼 불필요한 논란을 피하기 위해 이름을 바꿨다. 이두삼이라는 인물은 가명이고, 실제는 70년대에 있었던 마약 사건의 연루자들을 모티브로 만들었다고 전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모티브를 많이 가져온 실존인물은 바로 부산의 마약왕이었던 이황순. 특히 극중에서 이두삼이 관서 쪽 야쿠자들과 협업하는 것은 이황순이 모티브인 것이 확실해 보이며 모티브1 - 日(일)오사까 폭력단의 자금·원료지원 받는 히로뽕 한국밀조단 적발 - 1973.06.28. 모티브2 - 14명 구속·셋 수배 중국인낀 마약밀조단 타진 - 1972.06.02., 예고편에서 잠깐 나온 클라이막스 장면처럼 실제 이황순 역시 체포되기 전 엽총을 난사하며 무장한 경찰들에게 저항 했다고 한다. 즉 이두삼이 산탄총을 들고 마지막 저항을 벌이는 장면은 순수 창작이 아니라 실화를 바탕으로 한 것. 모티브3 - 부산 히로뽕 밀매단 무장 대치 3시간 - 1980.03.20. 모티브4 - 국내최대 「히로뽕」밀조두목 이황순의 집 비밀투성이 「바닷가의 철옹성」 - 1980.03.21. 이황순 아지트에서는 그 시대엔 보기 힘들었던 cctv가 설치되어 있었다고 한다. 또 셰퍼드 다섯 마리까지 사들여서 아지트를 지켰다고 한다. 하지만 결국 몰락하고 경찰들에게 포위되면서 엽총으로 자살하려고 했을 때 형의 만류로 어깨 관통상만 당하고 경찰에 체포되었다. 3억 4천여 만 원의 추징금을 물고 징역 15년형을 선고받았다. 당시 이황순이 마지막에 저항하며 은둔했던 집은 부산시 동래구 남면 민락동 산1번지에 위치해있었다. 현재는 부산시 수영구 민락동 민락역 근처로 행정구역 조정과 재개발로 주소와 집 모두 사라졌다. 그 자리에는 센텀비스타 동원 1차 아파트단지가 들어서 있다. - 2018년 초에 진행한 씨네21 인터뷰에 따라 5~6월쯤 개봉 예정이라고 알려져 왔으나, 영화 분위기가 여름보다 겨울과 더 어울린다는 이유로 개봉이 겨울로 늦춰졌다. 기사
- 마약을 다루는 사람의 일대기를 그리지만, 너무 어둡게 풀진 않고 리얼한 느낌을 주려고 노력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 영화의 제목이기도 한 '마약왕'이라는 단어는, 실제 그 당시 신문 제목에도 나왔던 단어다. 여기서 지칭하는 마약 역시 이황순이 직접 제조해서 팔았던 히로뽕.
- 관련 스틸컷이 공개 되기도 했다. 송강호가 기존 영화 속에서 보여준 소시민적인 인물이나 정의로운 모습과는 사뭇 달라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 스틸컷을 보면 알겠지만, 다른 세트보다 이두삼의 집에 포커스를 두고 공들여서 꾸몄다고 한다.
- 부산 청사포와 동의대학교 공학관에서 촬영을 했다고 한다.
- 11월 7일 공개된 포스터의 '마약왕' 한글 글자를 자세히 보면 소용돌이 모양으로 돌아가는 듯한 패턴을 볼 수 있다. 아마 마약에 취해 빙빙 도는 이미지를 형상화한 듯.
- 개봉 전 평이라던가 반응이 좋지 않자 이를 같은 날 개봉한 스윙키즈의 EXO 팬들이 벌이는 조직적 평점 테러라고 생각한 송강호의 아들 송준평이 SNS에서 엑소 팬들을 비난했다가 사과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
-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의 주인공인 최익현과 본작의 이두삼이 많은 점에서 닮았다. 두 인물 모두 부산을 거점으로 활동했으며, 본래는 같잖은 범죄나 저지르던 별 볼일 없는 평범한 소시민이었다가 마약을 통해 범죄세계에 발을 들인다. 이후 야쿠자와 손을 잡으며, 승승장구하여 거물급 범죄자가 되고, 이후 정의로운 검사의 수사표적이 되어 체포되지만 자신의 연줄을 통해 풀려났으며, 이후 권력자들과 관련한 사건(영화 범죄와의 전쟁에서는 노태우 정권의 범죄와의 전쟁, 본작에서는 10.26 사건)에 의해서 다시 체포된다. 이외에도 최익현이 중앙 권력과 결탁하여 빠칭코 사업을 해나가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두삼도 중앙 권력과 결탁하여 자신의 지위를 공고히 한다. 하지만 최익현의 경우 검사 연줄로 이후의 생애도 너무 잘 나가는 거에 반해, 이두삼은 정말 갈데까지 가다가 자멸해간다는 게 차이점이다. 물론 캐릭터의 완성도나 영화 완성도는 마약왕 쪽이 열화판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 리뷰어들의 평이다.
- 영화 중반부에서 이두삼, 김정아가 오픈카를 타고 야간 드라이브 하는 장면은 펄프픽션에서 존 트라볼타, 우마셔먼이 같이 드라이브를 하던 장면과 묘하게 닮아있다.
- 본작 마지막에 이두삼이 검사에게 뇌물을 먹인 내용이 적힌 장부를 검사에게 건내고, 이후 책임자들이 줄줄히 체포되었던 장면은, 아메리칸 갱스터(2008)에서 신종 마약으로 뉴욕 할렘가를 제패하고 마약왕이 된 프랭크 루카스가 수사관에게 체포되어 결국 자신이 돈을 먹인 경찰들의 이름을 전부 넘겨 뉴욕경찰 스캔들을 만들던 연출과 유사하다.
- 스카페이스와의 유사점도 상당 부분 발견된다. 잘 나가는 쿨한 미녀를 취하는 모습, 주인공이 시간이 흐르며 마약 중독에 점점 정신이 피폐해져가는 묘사, 거처에 CCTV를 잔뜩 설치해놓고 그 CCTV 화면이 집안에 여러 개의 스크린으로 보여지는 연출, 마지막에 총을 들고 격렬하게 저항하는 장면은 스카페이스의 그 유명한 Say hello to my little friend와 상당히 유사한 연출이다.
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의 서사 구조와도 상당히 비슷하다.
8.1. 인물 관련
- 전작 내부자들을 성공적으로 연출한 우민호 감독과 최근 밀정과 택시운전사를 흥행시킨 송강호의 만남이 화제가 되었다.
- 원래 이두삼 역에 이병헌이 물망에 올랐지만 불발되어 대신 송강호가 캐스팅 되었다. 이병헌은 이후 우민호 감독의 차기작 남산의 부장들에 출연했다.
- 송강호와 조정석은 2013년 영화 《관상》 이후 5년만에 재회했다.
- 또한 송강호와 배두나는 2002년 영화 《복수는 나의 것》과 2006년 영화 《괴물》에 이어서 세 번째로 작품 속에서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