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dcdc {{{#!folding [ 전 멤버 ]
- [ 한국 음반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000000,#dddddd><width=25%>||<width=25%>||<width=25%>||<width=25%>||정규 1집
Sg Wanna Be+
2004.01.20정규 2집
살다가
2005.03.23스페셜
Classic Odyssey
2005.09.12참여 앨범
Big4 Of Voices In My Dream
2005.12.01정규 3집
The 3rd Masterpiece
2006.04.08참여 앨범
S.101
2006.11.15스페셜
The Precious History
2006.11.15참여 앨범
Must Have Love
2006.11.15정규 4집
The Sentimental Chord
2007.04.06스페셜
Story In New York
2007.11.23정규 5집
My Friend
2008.04.24정규 6집
Gift From SG WANNA BE
2009.04.22정규 7집
SG WANNA BE by SG WANNA BE 7 Part. 1
2010.10.19정규 7집
SG WANNA BE by SG WANNA BE 7 Part. 2
2011.03.14싱글
사랑법
2011.09.15EP
THE VOICE
2015.08.19EP
Our Days
2016.11.19싱글
만나자
2018.09.06싱글
넌 좋은 사람
2021.07.16
- [ 일본 음반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000000,#dddddd><width=20%>||<width=20%>||<width=20%>||<width=20%>||||싱글
あいたい
2008.01.25싱글 1집
Get Along Together
2008.08.20싱글 2집
In The Rain
2008.11.05정규 1집
Rainbow
2009.03.11싱글 3집
Precious ~君だけが僕の帰る場所
2010.07.05
- [ 음악 목록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000000,#dddddd><width=1000> [[Timeless(SG워너비)|Timeless]] ||<width=33%> [[죄와 벌(SG워너비)|죄와 벌(罪와 罰)]] ||<width=33%> [[광(狂)|광(狂)]] ||
[[살다가(노래)| 살다가]][[내 사람 : Partner For Life| 내 사람 : Partner For Life]][[아리랑(SG워너비)| 아리랑]][[라라라(SG워너비)| 라라라]]
<colbgcolor=#0D3EA3> 2021 Single 〈넌 좋은 사람〉 Concept Photo |
|
<colbgcolor=#0D3EA3><colcolor=#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D3EA3> | SG워너비 SG Wannabe | }}} | |
장르 | R&B, 발라드, 컨트리 뮤직[1] | |||
리더 | 채동하(2004~2008), 김용준(2008~현재) | |||
데뷔 | 2004년 1월 19일 (데뷔일로부터 [dday(2004-01-19)]일, [age(2004-01-19)]주년) | |||
데뷔 음반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c1d1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28222E" | |||
소속사 | CJ ENM (2015 ~ 2019) | |||
{{{#!folding [ 이전 소속사 펼치기 · 접기 ] | ||||
공식 색 | 펄 골드 | |||
팬덤명 | 사랑방 | |||
사이트 | ||||
링크 |
1. 개요
파일:불후의 명곡 SG워너비.gif |
2004년 1월 19일에 GM기획 소속으로 데뷔한 3인조 남성 보컬 그룹.
소몰이창법으로 2000년대 중후반 가요계를 휩쓴 발라드 그룹이다. 데뷔부터 2007년까지 채동하(리더), 김용준, 김진호 3명의 멤버로 활동하다가 2008년 채동하의 탈퇴와 함께 새 멤버 이석훈의 영입으로 현재 김용준(리더), 이석훈, 김진호 체제로 유지 중이다.[6]
이름인 SG워너비(SG Wannabe)는 레전드 포크 락 그룹인 '사이먼 앤 가펑클(Simon & Garfunkel)'처럼 영향력 있는 가수가 되고 싶다는 뜻이 담겨 있다.[7]
김광수가 2002년 연예계 비리 사건으로 구속 수감되었다가 풀려나[8] 경영에 복귀한 뒤 제작한 그룹이기도 하다. 사면초가에 몰렸던 그는 SG워너비의 성공으로 제작자로서 재기에 성공하게 된다.
현재까지 8장의 정규 앨범과 3장의 스페셜 앨범, 그리고 2장의 미니 앨범을 발표했다. 일본에서도 정규 1집을 비롯해 여러 싱글 앨범을 발매했으며, 마니아층을 만들어냈다.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음반 시장이 이미 기울어가는 상황에서도 발매하는 앨범마다 수십만 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골든디스크 대상을 3년 연속으로 수상했지만 이를 마지막으로 음악 시장은 음원 위주의 시장으로, 가요계는 아이돌 위주의 시장으로 완전히 넘어가버렸다. SG워너비의 통산 음반 판매량은 총 290만 장이 넘는데, 이 수치는 특히 음반 시장이 급속도로 쇠퇴되기 시작한 2004년에 데뷔한 이후에 기록한 수치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사실상 음반 위주의 음악 시장의 문을 닫은 마지막 가수이다.
SG워너비의 미디엄 템포곡의 히트 이후 수많은 아류 그룹들이 생겨나 가요계를 가득 채웠다.[9] 이는 곧 가요계의 획일화를 뜻하고, 현재 아이돌 그룹으로 점철된 가요계에 대한 비난이 많은 것처럼 이 때는 일명 소몰이로 획일화된 가요계에 대한 비난이 거셌다. 그 중에서도 SG워너비는 소몰이 유행의 선두주자이자 대명사에 가까웠기에 많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현재는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10] 모두에게서 인기를 누리고 있는 그룹이다.
또한 방송보다는 콘서트에 집중하는 가수이다 보니 20대 시절까지 가수로서는 유일하게 라이브 공연 300회를 돌파한 그룹이기도 하다.[11][12]
2. 멤버
| |
<rowcolor=#fff> 2006년 3.5집 자켓 이미지 왼쪽부터 김용준, 채동하, 김진호 | 2008년 새 멤버 공개 이미지 왼쪽부터 김용준, 이석훈, 김진호[13]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D3EA3><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0D3EA3><rowcolor=#fff><width=25%> 이름 ||<width=25%> 생년월일 ||<width=25%> 활동 기간 ||<width=25%> 포지션 ||
現 멤버 | |||
이석훈 | 1984년 2월 21일 ([age(1984-02-21)]세) | 2008년 4월 24일 ~ 현재 | 보컬 |
김용준 | 1984년 9월 12일 ([age(1984-09-12)]세) | 2004년 1월 19일 ~ 현재 | 리더 보컬 래퍼 |
김진호 | 1986년 5월 21일 ([age(1986-05-21)]세) | 메인보컬 | |
前 멤버 | |||
채동하† | 1981년 6월 23일~2011년 5월 26일 (향년 29세) | 2004년 1월 19일 ~ 2008년 5월 8일 | 前 리더 보컬 |
3. 활동 역사
3.1. SG워너비 결성과 전성기 (2004~2007)
2002년 이미 솔로로 데뷔했으나 소속사의 부도로 활동이 중단되었고, 이후 김광수의 GM기획으로 이적했던 채동하(24)와 같은 소속사의 연습생이었던 김용준(21)은 당초 듀오로 데뷔할 예정이었다. 이미 재킷 사진까지 촬영을 마친 상태였으나[15], 음반 녹음을 앞두고 오디션을 통해 김진호(19)가 최종 합류하면서 세 명으로 구성된 SG워너비가 탄생하게 되었다.[16]처음 TV 광고를 통해 얼굴 없는 가수[17]로 등장하며, 신비주의 전략으로 일체의 모습을 공개하지 않은 채 2004년 1월 19일 정규 1집 《Sg Wanna Be+》가 발매되며 SG워너비는 가요계에 혜성처럼 나타났다.
정규 1집은 박근태, 윤일상, 조영수 등 당대 최고의 작곡가들이 참여한 앨범으로, 무엇보다도 개성이 뚜렷한 세 멤버의 목소리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하모니에 초점을 맞췄다. 막대한 제작비와 유명 배우들이 투입된 블록버스터급 뮤직비디오 역시 큰 화제를 모은 타이틀곡 〈Timeless〉는 2004년 당시 이제 막 형성되기 시작한 국내 디지털 음원 플랫폼 맥스MP3에서 총 600만 건 이상의 스트리밍을 기록하는 대성공을 거뒀다.[18]
후속곡 〈죽을 만큼 사랑했어요〉, 〈사랑하길 정말 잘했어요〉로 활동을 이어가며 데뷔 3개월만에 4월 19일 첫 쇼케이스[19]를 열었고, 6월 26일에는 첫 단독 콘서트를 개최했다. 당시 음반 시장이 침체되던 상황에서도 한국음반산업협회 기준 총 2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신인으로서는 이례적인 성과를 거뒀고, 그 해 SBS 가요대전, 서울가요대상, 골든디스크 시상식에서 신인상을 석권하며 주목받는 신예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성공에 대해 당시 채동하는 "SG워너비는 최고의 인기 그룹이 되는 것보다 꾸준히 보편적인 사랑을 받는 색깔 있는 그룹이 되기 위해 음악 본연의 요소에 철저하게 노력의 비중을 둔다. 거기에다 생존 경쟁률이 극심한 솔로 가수보다는 목소리 색깔이 각기 다른 멤버인 용준과 진호가 같은 팀을 이뤄 솔로 가수와 차별화를 둔 것이 대중의 귀를 사로잡았을 수 있었던 이유가 아닐까"라고 밝혔다.
'신인'이라는 타이틀이 무색할 정도로 정규 1집이 대중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았기에, 정규 2집을 준비하면서 소포모어 징크스에 걸릴 우려가 있었으나, 2005년 3월 23일, 기대 속에 발표한 정규 2집 《살다가》는 한 층 더 성숙해진 보컬과 폭넓은 음악으로 이런 우려를 떨치내었다. 바이브 멤버 류재현이 작곡한 타이틀곡 〈살다가〉는 드라마 '슬픈 연가'에 삽입되며 국민 발라드 반열에 올랐고, 김도훈 작곡의 〈죄와 벌〉은 밝은 멜로디와 슬픈 가사라는 반전을 통해 강한 인상을 남겼다. 이에 대한 성과는 모바일 시장에서 100억 달성 및 한국음반산업협회 기준 총 43만 장의 음반 판매고와 골든디스크 대상 수상으로 이어졌고, 그 외 쥬크온 뮤직 어워드 올해의 가수상, 뮤즈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멜론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2005 네이버 대중음악계 결산 올해의 가수상을 수상하여 당시 2005년에 개최했던 모든 시상식에서 총 5개의 대상을 수상하였다.[20]
<rowcolor=#FFF> ▲ 2005년 골든디스크 시상식 |
이후 2006년 4월 8일 발매된 정규 3집 《The 3rd Masterpiece》의 타이틀곡 〈내 사람 : Partner For Life〉은 유럽풍 악기 편성과 빠른 템포를 통해 기존의 스타일을 벗어나 신선한 느낌을 선사하며 SG워너비의 음악적 확장을 보여주었다. 1, 2집의 연이은 성공 이후 SG워너비만의 스타일을 정립한 앨범으로, 당시 존재했던 모든 음원 플랫폼에서 실시간, 일간, 주간 차트 1위를 모두 석권하는 현재의 PAK(Perfect All-Kill)을 달성해 SG워너비를 최고의 위치에 올려놓았고, 골든디스크 시상식 디지털 음원 대상 수상을 통해 SG워너비의 최전성기이자 최고의 해를 장식했다.
정규 3집의 음반 판매량은 한국음반산업협회 기준 총 31만 장으로, 2006년 단일 음반 판매량 1위를 기록하였다. 정규 2집 판매량인 43만 장에 비해 크게 줄었지만, 2006년 골든디스크 음반 대상을 받은 동방신기[21] 다음으로 연간 2위를 차지하면서 여전히 상당한 인기를 이어간 앨범이었고, 한터차트 기준으로는 2년 연속 1위라는 대기록을 세웠다.[22]
다만 곡들의 파트가 정규 1집과 정규 2집에 비해서 김진호에게 편중되어있는 탓에 2006년 당시 줄줄이 이어지는 전국투어와 연말의 Big4 콘서트에서 무리한 김진호는 이 때 성대결절에 걸려 가요대상에서 김진호 파트를 김용준과 채동하가 나눠 부르기도 했다.[23]
2007년 4월 6일에 발표된 정규 4집 《The Sentimental Chord》는 음악적 실험과 도전이 돋보인 작품으로, 타이틀곡 〈아리랑〉은 해금, 대금, 가야금, 태평소 등 국악기와 서양 오케스트라가 어우러지는 발라드로, 국악과 판소리를 미디엄 템포 R&B와 접목한 독창적인 시도를 선보였다.[24]
정규 4집의 음반 판매량은 한국음반산업협회 기준 총 19만 장, 한터차트 기준 15만 장으로 정규 3집에 비해 상당히 감소세를 보였으나, 이는 당시 가요계 전반의 디지털 음원의 호황기가 시작되던 시기였고, 반면 음반 시장은 지속적으로 불황기를 맞이하여 전체적으로 음반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흐름의 영향이 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터차트 기준 3년 연속 연간 음반 판매량 1위와 2007년 골든디스크 음반 대상 수상을 기록하며 SG워너비의 명성은 굳건히 이어졌다. 특히 이 수상은 이후 K-POP 아이돌 가수들의 해외 진출로 인한 음반 판매량 인플레이션 이전의 기록으로, 사실상 비(非)아이돌 가수로서는 마지막 음반 대상 수상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데뷔와 함께 4년 간 SG워너비는 정규 앨범 네 장을 연이어 성공시키며 미디엄템포 발라드의 유행을 이끈 주역으로서 대한민국 가요계를 대표하는 그룹이 되었다.
3.2. 채동하의 탈퇴와 이석훈의 합류 (2008)
SG워너비 데뷔 이전 솔로 활동으로 인해 계약 기간이 달랐던 채동하가 전속계약이 만료되었고, 2008년 1월 26일 일본 콘서트 'NEW YEAR Concert 2008'를 위해 포니캐년 본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탈퇴가 발표되었다. 이에 대해 엠넷미디어는 새 멤버를 영입해 3인 구도를 유지할 계획을 밝혔다.김용준과 김진호는 4년간 함께했던 팀의 리더이자 맏형이었던 채동하의 탈퇴에 대해 아쉬움을 표현했으나, 팀을 탈퇴하는 과정에서 감정적으로 사이가 틀어지거나 한 것은 전혀 아니었다고 한다. 이를 증명하듯 탈퇴 이후 6월 15일에 열린 SG워너비 울산콘서트에 채동하가 게스트로 참여하기도 했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채동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채동하#SG워너비 탈퇴|SG워너비 탈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이미 탈퇴가 가시화되고 있던 2007년 말, 새로운 멤버 영입을 위해 열린 오디션에서 이석훈이 발탁되었다. SG워너비가 워낙 인기 있는 그룹이였다보니 경쟁률이 500:1이였다고 전해진다.[25] 당시 오디션 곡으로 〈살다가〉를 녹음해서 들려줬으며, 집 가는 길에 바로 "준비해라"라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놀랍게도 기존 멤버였던 김진호, 김용준과는 타이틀곡 〈라라라〉의 첫 녹음 현장에서 처음 만났고, "오늘부터 같이 활동하게 된 석훈이라는 친구다."라는 소개 이후 바로 녹음에 돌입했다고 한다.[26]
그렇게 2008년 4월 24일, 정규 5집 《My Friend》가 발매되었다. 채동하의 탈퇴 선언이 얼마 지나지 않아 나온 앨범이라 채동하의 참여도가 높을 것이라고 추측되었으나 〈보고싶어〉와 〈あいたい〉 2곡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이석훈이 참여했다.[27]
이후 4월 27일 인기가요에서 채동하는 SG워너비란 이름으로 마지막 무대를 기존 김진호, 김용준과 함께 〈보고싶어〉를 불렀고, 새 멤버로 합류한 이석훈도 이어 SG워너비라는 이름으로 〈라라라〉의 첫 무대에 서게 되었다. 5월 8일 도쿄에서 열린 콘서트 'My Friend Forever'의 전반부에는 이석훈의 SG워너비가 5집 수록곡들을 불렀고, 후반부에는 채동하의 솔로 무대 이후에 채동하의 SG워너비가 콘서트를 마무리했다.
<rowcolor=#FFF> ▲ 2008년 SG워너비 4인 |
음반 판매량 5만장도 겨우 넘기던 당시 가요계에서 정규 5집은 선주문만 무려 8만 5천장에 달하여 "역시 SG워너비다"라는 평가를 받았고, 앨범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 컨트리 스타일의 타이틀곡 〈라라라〉는 소위 '소몰이 창법'으로 항상 똑같다는 지적을 받아오던 전과 확 달라진 모습이였는데, 기존의 보컬 스타일과 음악적 색깔은 남아 있으면서도 예전보다는 조금 더 밝고 흥겨운 컨셉으로 탈바꿈하였다.
이석훈의 합류 후 인터뷰에서 김용준은 "석훈이가 들어오면서 SG워너비의 색깔이 변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SG워너비의 색깔은 그대로이고 석훈이가 들어와서 또다른 SG워너비의 색깔이 나오는 것"이라고 밝혔으며, 김진호는 "처음에 굵은 목소리를 가졌다고 해서 저랑 부딪히는 것이 아닌가라는 걱정도 했지만 저와는 다른 느낌의 목소리를 내면서 도리어 더 잘 어울리는 맛을 준다"는 감상을 밝혔다.
정규 5집에선 변신을 갈망하는 SG워너비의 의욕과 열정이 돋보였으나, 당시 많은 팬들은 채동하와 새롭게 영입된 이석훈의 목소리와 가창력을 비교하며 채동하의 빈자리를 아쉬워했고, 때문에 "SG워너비에 어울리지 않는다"며 이석훈에 대한 안티 팬도 적지 않았다.[28] 이석훈 또한 "잘 만들어진 그룹에 아무런 노력없이 무임승차하는 것 같은 기분이 들어 부담스러운 점이 있었다"며 "다른 멤버들에게도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러한 비난과 심적 부담 속에서 이석훈은 실제로 'MC몽의 동고동락' 라디오 방송 중 눈물을 보이기도 했을 정도. 그럼에도 묵묵히 실력을 쌓아가며 그룹의 중심을 잡기 위해 노력했다.
3.3. 새로운 2막, 그리고 공백기 (2008~2011)
<rowcolor=#FFF> ▲ SG워너비의 2막이 시작되다 |
이석훈의 합류 이후 SG워너비는 팀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꾸준히 활동을 이어나가게 되며, 2009년 4월 23일 6집 《Gift From SG WANNA BE》가 발매되었다. 5집에 이어 밝은 분위기의 포크 스타일의 〈사랑해〉가 타이틀곡이 되었고 그간 어둡고 우울하다는 SG워너비의 인상을 어느 정도 바꾸어 놓는데에 성공했다. 이 시기의 음악은 보다 따뜻하고 안정적인 분위기로 변화하였으며, 이석훈 특유의 섬세하고 감미로운 음색이 팀의 새로운 균형을 만들어냈다.
다만 음반 판매량은 한터차트 기준 약 6만 장 수준에 그치면서 정규 5집보다 비교도 할 수 없이 떨어졌으며, 방송 출연은 5집보다 훨씬 줄어들었으나, 인기가 줄었다기보단 2세대 아이돌들의 전성기가 한창 이어지던 시기로 그 안에서 살아남기가 쉽진 않았던게 더 크다. 한편으론 전략적으로 방송출연을 줄이고 콘서트 위주로 활동한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그럼에도 정규 6집으로 골든디스크 시상식 본상을 수상하였다.
이후 2010년 10월 19일에는 7집 《SG Wannabe by SG Wannabe 7 Part.1》을, 2011년 3월 14일에는 《SG Wannabe by SG Wannabe 7 Part.2》를 발표했다.
이 시기 SG워너비는 방송 활동을 최소화하고 전국 투어 콘서트를 중심으로 활동을 이어가던 중, 연이어 충격적인 사건을 겪게 된다.
먼저, 2011년 1월 8일 김용준이 뺑소니 사고로 기소되었으며, 이에 대해 그는 소속사를 통해 “어떠한 변명의 여지도 없다”며 사과의 뜻을 밝혔다. 같은 해 5월 13일, 법원은 그에게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80시간을 선고했다. 이로 인해 KBS, EBS, MBC 등 주요 방송사에서 출연 금지 조치를 받았으며, 특히 KBS와 EBS에서는 방송법에 따라 SG워너비의 음악도 송출이 제한되었다.
그리고 불과 2주 뒤인 5월 27일, 전 멤버 채동하가 세상을 떠나는 비극적인 일이 발생하면서 팬들과 멤버들에게 큰 충격을 안겼다. 팀 탈퇴 이후 솔로 앨범과 뮤지컬 등으로 활동을 이어가던 그는, 건강 문제로 인해 본인이 공들여 준비한 앨범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향후 활동에 대한 심리적 압박감이 더해지면서 우울증이 악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SG워너비 멤버들은 비보를 접한 뒤 깊은 슬픔에 잠겼고, 빈소를 끝까지 지키며 그의 마지막 길을 함께했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채동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채동하#사망|사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11년 9월 15일, 채동하를 추모하는 의미로 SG워너비는 싱글 〈사랑법〉을 공개했고, 멤버들의 군 입대 전 마지막 전국 투어 콘서트인 ‘The Last’[29]를 통해 공식 활동을 마무리했다.
한편, 이 시기는 음반 중심에서 디지털 음원 중심으로 급격히 시장이 재편되던 과도기였다. SG워너비 역시 과거의 음반 판매 중심 성공을 그대로 이어가기에는 한계가 있었고, 여기에 전 멤버이자 리더였던 채동하의 갑작스러운 비보, 멤버들의 군 복무와 개별 활동, 그리고 소속사와의 계약 종료 문제 등이 겹치며 점차 활동이 축소되었다. 이로 인해 SG워너비는 공식 해체 없이 자연스럽게 공백기에 들어서게 되었고, 이후 멤버들은 뮤지컬, 방송, 솔로 앨범 등 개별적인 길을 걷기 시작했다.
3.4. 재결합 이후 (2014~)
2014년 12월 23일, CJ E&M으로 돌아와 4년만에 재결합 계획을 확정지었다는 기사가 나왔다. 2015년 7월 22일, 완전체 화보 촬영 기사가 뜨면서 컴백이 가시화되었다.오랜 공백기 끝에 SG워너비는 2015년 《THE VOICE》로 공식적인 재결합을 알렸다. 컴백에 앞서, 2014년부터 방송 예능 '무한도전 - 토토가'와 팬들의 꾸준한 요청 속에서 그룹의 음악에 대한 향수가 재조명되었고, 이는 미니앨범의 성공적인 복귀로 이어졌다. 타이틀곡 〈가슴 뛰도록〉을 비롯한 수록곡들은 이전처럼 폭발적인 히트는 아니었지만, 여전히 깊은 감동과 완성도 높은 음악을 보여주며 이들의 존재감을 재확인 시켰다. 컴백과 동시에, 한 시간 만에 멜론을 제외한 모든 차트에서 줄을 세웠고, 두 시간 만에 1위를 차지했고, 세 시간 뒤에는 〈좋은 기억〉까지 2위를 찍게 된다.
1년 3개월만인 2016년 11월 19일 《Our Days》를 발표했다. 앨범명 "Our Days"는 어느덧 데뷔 13년차가 된 가수 SG워너비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모두 담은 말이다. 오랜 시간 팬들의 곁에서 함께 노래해 온 Yesterday, 지금까지 함께 노래해왔던 팀으로서 이번 앨범 작업을 함께하며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 Today, 그리고 앞으로 함께할 그 모든 날들을 의미하는 Tomorrow를 표현했다. 연말까지 콘서트 일정이 꽉 차서 잡혀있었기 때문에 방송활동은 전무할 예정이었으나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1회 출연했고, 라디오에도 몇 번 출연하였다.
2016년 이후로는 멤버들이 각자의 활동을 이어나갔으나 드디어 2018년 9월 6일 싱글 〈만나자〉가 공개되었다. 이석훈의 솔로앨범 활동을 제외하면 무려 2년만의 컴백으로, 17년 가을, 18년 1월, 18년 3월로 점점 미뤄지던 컴백을 결국 18년 9월이 되어서야 하게 되었다. 정규나 최소 미니 앨범으로 예상되었지만 예상을 깨고 실물앨범도 없는 디지털 싱글로 발표되어 팬들의 아쉬움을 사기도 했다.
2021년 1월 20일 tvN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럭' 90회에는 신축년 '소' 특집을 맞아 소몰이창법으로 출연한 김진호가 SG워너비 해체설에 대해 "SG워너비는 해체한 게 아니라 형들과 언제든지 자주 만날 수 있고, 형들이랑 미래도 많이 얘기하고 있다. 내일도 만나서 밥 먹기로 했다"고 답했다.
<rowcolor=#FFF> ▲ 놀면 뭐하니? |
2021년 3월 28일 MBC 예능 '놀면 뭐하니?'에 완전체로 출연하며 SG워너비의 음악이 다시 대중 속에서 회자되며 관심이 급증했다. 이어 4월 17일에도 '놀면 뭐하니?'에 출연해 본인들의 대표곡인 〈Timeless〉, 〈살다가〉, 〈내 사람〉, 〈아리랑〉, 〈라라라〉를 라이브로 불렀는데 이는 2018년 싱글 발표 이후 3년만의 완전체 무대다. 4월 방송 직후 김진호의 인스타그램 라이브에서 근황을 전했는데 이석훈은 뮤지컬, 김용준은 골프, 김진호는 양평에서 곡 작업을 하고 있다고 한다.
방송의 여파로 차트 및 각종 매체에서 역주행이 이어졌으며[30], 2021년 4월 18일에 〈Timeless〉, 〈라라라〉, 〈내사람〉, 〈살다가〉가 차트인했다. 그 밖에도 〈죄와 벌〉, 〈아리랑〉, 〈가슴 뛰도록〉, 〈사랑하자〉, 〈가시리〉 등의 곡들이 점점 올라오고 있고, 여러 방송국 유튜브 채널에 SG워너비 노래 모음 영상이 올라오고 있다. 〈Timeless〉의 경우 2021년 5월 2일 SBS 인기가요에서는 무려 1위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31]
같은 해 7월 16일, 방송으로 인한 열풍에 힘입어 무려 3년만에 디지털 싱글 〈넌 좋은 사람〉이 공개되었다. 다만 아직 SG워너비만의 소속사는 없어서 멤버 개개인 소속사의 명의로 나왔다. 작곡은 조영수, 작사는 안영민, 조영수, 김진호인데 SG워너비와 함께 전성기를 함께 했던 콤비였던 조영수와 안영민이 작곡, 작사로 뭉친 것도 상당히 오랜만인 노래가 되겠다.
이후에도 SG워너비는 완전체 활동뿐 아니라 유닛 무대, 방송 출연, 라이브 콘서트를 통해 꾸준히 팬들과 소통하고 있으며, 2024년 20주년 기념 전국투어 콘서트 우리의 노래 2024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4. 대표곡
<rowcolor=#FFF> 2004~2015년 무대 모음 | 역대 히트곡 |
※ 멜론 연간차트 20위권,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32] 기준 100위권, 음악방송 1위, 또는 주요 수상을 한 경우 및 기타 대표곡 기재.
※ 음원차트 연간 1위, 대상 수상 기록과 음악 방송 1위 기록은 곡에 볼드체 처리.
- Timeless (1집 Sg Wanna Be+)
- 2004년 골든디스크 시상식 신인상
- 2004년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 2004년 SBS 가요대전 신인상
- 2021년 벅스 차트 2주 연속 1위
- 죄와 벌 (2집 살다가)
- 2005년 골든디스크 시상식 대상
- 쥬크온 뮤직 어워드 올해의 가수 부문 (대상)
- 뮤즈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앨범 부문 (대상)
- 2005 네이버 대중음악계 결산 올해의 가수 부문 (대상)
- 2005년 멜론 연간차트 1위
- 음악방송 1위 3회 (인기가요 2회, 엠카운트다운 1회)
- 2005년 3~4월 멜론 월간 차트 1위
- 멜론 차트 6주 연속 1위
- 2005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7위
- 2005년 SK Telecom 벨소리&컬러링 디지털 음원 다운로드 연간 차트 6위
- 2005년 KTF 벨소리&링투유 디지털 음원 다운로드 연간 차트 6위
- 2005년 LG Telecom 벨소리&필링 디지털 음원 다운로드 연간 차트 4위
- 맥스MP3 차트 5주 연속 1위
- 쥬크온 차트 7주 연속 1위
- 뮤즈 차트 4주 연속 1위
- 펀케익 차트 6주 연속 1위
- 뮤직온 차트 5주 연속 1위
- 살다가 (2집 살다가)
- 2005년 골든디스크 시상식 대상
- 뮤즈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앨범 부문 (대상)
- 2005년 멜론 연간차트 4위
- 2005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17위
- 맥스MP3 차트 2주 연속 1위
- 광(狂) (2집 살다가)
- 2005년 골든디스크 시상식 대상
- 뮤즈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앨범 부문 (대상)
- 2005년 멜론 연간차트 5위
- 2005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28위
- 도시락 차트 1주 1위
-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3집 The 3rd Masterpiece)
- 2006년 골든디스크 시상식 디지털 음원 대상
- 2006년 MKMF 올해의 최고 노래상
- 2006년 MKMF 올해의 최고 앨범상
- 2006년 멜론 연간차트 1위
- 2006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1위
- 2006년 KTF 벨소리&링투유 디지털 음원 다운로드 연간 차트 1위
- 음악방송 1위 7회 (인기가요 3회, 뮤직탱크 2회, 엠카운트다운 2회)
- 벅스 차트 9주 연속 1위
- 2006년 4~5월 멜론 월간차트 1위
- 멜론 차트 5주 연속 1위
- 맥스MP3 차트 7주 연속 1위
- 2006년 4~5월 공중파/케이블 가요종합 합산 방송 횟수 TV 및 라디오 집계 차트코리아 월간 1위
- 사랑했어요 (3집 The 3rd Masterpiece)
- 2006년 MKMF 올해의 최고 앨범상
- 음악방송 1위 5회 (인기가요 3회, 엠카운트다운 2회)
- 2006년 멜론 연간차트 12위
- 2006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41위
- 사랑가 (3.5집 The Precious History)
- 음악방송 1위 1회 (엠카운트다운 1회)
- 바람만바람만 (디지털 싱글 앨범 S.101)
- 2006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16위
- 2006년 멜론 연간 차트 28위
- 2006년 12월 멜론 월간 차트 1위
- 멜론 차트 4주 연속 1위
- 싸이월드 뮤직 차트 4주 연속 1위
- 벅스 차트 3주 연속 1위
- 벅스 TOP 100 총 23주 차트인
- 쥬크온 차트 3주 연속 1위
- 도시락 차트 4주 연속 1위
- 뮤즈 차트 5주 연속 1위
- 2006년 12월 공중파/케이블 가요종합 합산 방송 횟수 TV 및 라디오 집계 차트코리아 월간 1위
- 아리랑 (4집 The Sentimental Chord)
- 2007년 골든디스크 음반 대상
- 음악방송 1위 7회 (인기가요 3회, 뮤직탱크 3회, 엠카운트다운 1회)
- 2007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31위
- 벅스 차트 2주 연속 1위
- 한 여름날의 꿈 (4집 The Sentimental Chord)
- 2007년 골든디스크 음반 대상
- 음악 방송 1위 1회 (엠카운트다운 1회)
- 2007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21위
- 2007년 멜론 연간차트 18위
- 첫눈 (4.5집 Story In New York)
- 벅스 차트 1주 1위
- 라라라 (5집 My Friend)
- 음악방송 1위 1회 (인기가요 1회)
- 2008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40위
- 2008년 멜론 연간차트 17위
- 2008년 5월 공중파/케이블 가요종합 합산 방송 횟수 TV 및 라디오 집계 차트코리아 월간 1위
- 사랑해 (6집 Gift From SG WANNA BE)
- 음악방송 1위 3회 (엠카운트다운 2회, 인기가요 1회)
- 2009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87위
- 내 사랑 울보 (6집 Gift From SG WANNA BE)
- 2009년 싸이월드 뮤직 연간차트 50위
- 해바라기 (7집 SG WANNA BE by SG WANNA BE 7)
- SG워너비 7집 대표곡
- 사랑하자
- 태양의 후예 OST 대표곡
5. 활동
5.1. 방송 출연
5.1.1. 음악방송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음악 방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음악 방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1.2. 방송활동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방송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방송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1.3. 경연 프로그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경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경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1.4. 라디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라디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라디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2. 음반 및 DVD
{{{#dcdcdc {{{#!folding [ 전 멤버 ]
- [ 한국 음반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000000,#dddddd><width=25%>||<width=25%>||<width=25%>||<width=25%>||정규 1집
Sg Wanna Be+
2004.01.20정규 2집
살다가
2005.03.23스페셜
Classic Odyssey
2005.09.12참여 앨범
Big4 Of Voices In My Dream
2005.12.01정규 3집
The 3rd Masterpiece
2006.04.08참여 앨범
S.101
2006.11.15스페셜
The Precious History
2006.11.15참여 앨범
Must Have Love
2006.11.15정규 4집
The Sentimental Chord
2007.04.06스페셜
Story In New York
2007.11.23정규 5집
My Friend
2008.04.24정규 6집
Gift From SG WANNA BE
2009.04.22정규 7집
SG WANNA BE by SG WANNA BE 7 Part. 1
2010.10.19정규 7집
SG WANNA BE by SG WANNA BE 7 Part. 2
2011.03.14싱글
사랑법
2011.09.15EP
THE VOICE
2015.08.19EP
Our Days
2016.11.19싱글
만나자
2018.09.06싱글
넌 좋은 사람
2021.07.16
- [ 일본 음반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000000,#dddddd><width=20%>||<width=20%>||<width=20%>||<width=20%>||||싱글
あいたい
2008.01.25싱글 1집
Get Along Together
2008.08.20싱글 2집
In The Rain
2008.11.05정규 1집
Rainbow
2009.03.11싱글 3집
Precious ~君だけが僕の帰る場所
2010.07.05
- [ 음악 목록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table color=#000000,#dddddd><width=1000> [[Timeless(SG워너비)|Timeless]] ||<width=33%> [[죄와 벌(SG워너비)|죄와 벌(罪와 罰)]] ||<width=33%> [[광(狂)|광(狂)]] ||
[[살다가(노래)| 살다가]][[내 사람 : Partner For Life| 내 사람 : Partner For Life]][[아리랑(SG워너비)| 아리랑]][[라라라(SG워너비)| 라라라]]
SG워너비 솔로 & 기타 음반 목록
- [ 솔로 음반 ]
-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tablecolor=#000000,#FFFFFF><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채동하 / 1집
Na-Ture
2002. 11. 21.채동하 / 2집
Essay
2009. 11. 10.이석훈 / 미니 1집
인사
2010. 05. 24.채동하 / 미니 1집
D day
2010. 09. 16.이석훈 / 미니 2집
다른 안녕
2012. 10. 04.이석훈 / 스페셜 앨범
친구 아닌 남자로
2013. 01. 18.김진호 / 1집
오늘: 당신의 외로움과 함께이고 싶습니다
2013. 02. 14.김진호 / EP
한강愛
2013. 07. 18.김진호 / 2집
사람들
2014. 09. 17.이석훈 / 미니 3집
You&Yours
2017. 06. 15.김진호 / 3집
노래샘
2019. 10. 03.이석훈 / 정규 1집
같은 자리
2022. 03. 24.이석훈 / 미니 4집
무제(無題)
2023. 10. 16.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음반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음반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DVD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DVD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3. 콘서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콘서트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콘서트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수상 및 기록
===# 시상식 #===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상 | ||||
이수영 <휠릴리> (2004년) | → | <colbgcolor=#FFFFA1,#5D5E00> SG워너비 <죄와 벌> (2005년) | → | 동방신기 <"O"-正.反.合.> (2006년) | |
* 2006부터 음반 대상과 디지털 음원 대상으로 나뉨 |
음반 대상 | ||||
동방신기 <"O"-正.反.合.> (2006년) | → | SG워너비 <아리랑> (2007년) | → | 동방신기 <주문-MIROTIC> (2008년) |
디지털 음원 대상 | ||
SG워너비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2006년) | → | 아이비 <이럴거면> (2007년) |
올해의 앨범상 | ||
SG워너비 <The 3rd Masterpiece> (2006년) | → | 에픽하이 <Remapping The Human Soul> (2007년) |
올해의 노래상 | ||
SG워너비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2006년) | → | 빅뱅 <거짓말> (2007년)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5년 가요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5년 가요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시상식 수상 목록 | |||
<rowcolor=#fff> 날짜 | 시상식명 | 수상 부문 | 작품 |
2004년 | |||
12월 2일 | 제19회 골든디스크상 | yepp 신인상 | Timeless |
뮤직비디오 작품상 | |||
12월 10일 | 제15회 서울가요대상 | 신인상 | |
12월 29일 | SBS 가요대전 | ||
2005년 | |||
11월 1일 | 제12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 그룹 부문 가수상 | 죄와 벌 |
11월 27일 | 2005 MKMF | 남자 그룹상 | |
12월 5일 | 2005 네이버 대중음악계 결산[33] | 올해의 가수 부문 (대상) | |
2005 코리아 패션 월드 어워드 | 가수부문 베스트드레서상[34] | ||
12월 7일 | 제20회 골든디스크상 | 본상 | 죄와 벌 |
대상 | |||
12월 8일 | The SFCC Award for Raising Awareness of Korea Overseas | 가수부문상[35] | |
12월 9일 | 국회 대중문화 & 미디어 시상식 | 대한민국 국회대상(대중음악 부문) | |
12월 26일 | 쥬크온 뮤직 어워드[36] | 리메이크 부문상 | Classic Odyssey |
올해의 가수 부문상 (대상) | 살다가 | ||
12월 28일 | 뮤즈 뮤직 어워드[37] | 올해의 앨범 부문상 (대상) | |
올해의 리메이크 부문상 | Classic Odyssey | ||
12월 29일 | SBS 가요대전 | 본상 | 죄와 벌 |
프로듀서상 | |||
12월 30일 | KBS 가요대상 | 올해의 가수상 | |
뮤직비디오상[38] | |||
12월 31일 | | | |
2005 MelOn Best Choice | 올해의 앨범상 | 살다가 | |
인기곡 차트내 최다곡수 진입 가수 | |||
2006년 | |||
1월 3일 | 2005 중국 시나엔터테인먼트 선정 | 10대 아시아 레코드 | 살다가 |
1월 5일 | 2005 맥스MP3 어워즈[39] | Song Of The Streaming 부문 | 죄와 벌 |
10월 31일 | 제13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 남자 발라드부문 가수상 |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11월 27일 | 2006 MKMF | 올해의 최고 앨범상 | The 3rd Masterpiece |
올해의 최고 노래상 |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
디지털 인기상 | |||
12월 1일 | 제16회 서울가요대상 | 본상 | |
12월 14일 | 제21회 골든디스크상 | 본상 | |
디지털 부문 대상 | |||
12월 29일 | SBS 가요대전 | 본상 | |
프로듀서상 | |||
2007년 | |||
11월 17일 | 2007 MKMF | R&B 소울 음악상 | 아리랑 |
12월 14일 | 제22회 골든디스크상 | 본상 | |
대상[40] | |||
2008년 | |||
1월 31일 | 제18회 서울가요대상 | 본상 | 아리랑 |
11월 15일 | 2008 MKMF | KFC OST상 | 운명을 거슬러 |
Mnet PD 선정 특별상/판정단 선정 특별상 | 라라라 | ||
12월 10일 | 제23회 골든디스크상 | 본상 | |
2009년 | |||
2월 12일 | 제19회 서울가요대상 | 본상 | 라라라 |
9월 3일 | 한국방송대상 | 개인상 부문 가수상 | 사랑해 |
12월 10일 | 제24회 골든디스크상 | 본상 | |
2021년 | |||
8월 | 올해의 브랜드 | 보컬 그룹 부문 대상 |
===# 음악 방송 1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D3EA3> | SG워너비 음악 방송별 1위 수상 기록 | }}} | ||||
<rowcolor=#fff> 방송사 | 프로그램 | 1위 횟수 | 트리플 크라운 횟수 | ||||
| | 5회 | 1회 | ||||
| | 10회 | - | ||||
| [[뮤직뱅크| | - | |||||
| | ||||||
| | 13회 | 3회 | ||||
합계 | 28회 | 4회 |
- 비고의 빨간 글씨체는 SBS 인기가요, Mnet 엠 카운트다운의 3주 1위 트리플 크라운, 쇼! 뮤직탱크 5주 1위 최강자 등의 순위제 제도로 인해 명예졸업을 달성하여 다음 주차 순위에서 제외된 경우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D3EA3> | SG워너비 음악 방송 1위 수상 목록 | }}} | |||
<rowcolor=#fff> 날짜 | 프로그램 | 활동곡 | 비고 | |||
2005년[41] | ||||||
4월 28일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E4C2" 3관왕 | 데뷔 후 음악 방송 첫 1위 엠 카운트다운 첫 1위 케이블 음악 방송 첫 1위 | |||
5월 15일 | | 인기가요 첫 1위 지상파 음악 방송 첫 1위 | ||||
5월 22일 | 2주 연속 | |||||
2006년[42] | ||||||
4월 22일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B0304" 7관왕 | 쇼! 뮤직탱크 첫 1위 | |||
4월 30일 | | |||||
5월 7일 | 2주 연속 | |||||
5월 11일 | | |||||
5월 13일 | | 통산 2주 | ||||
5월 14일 | | 3주 연속 트리플 크라운 데뷔 후 첫 그랜드 슬램 | ||||
5월 18일 | | 2주 연속 | ||||
7월 23일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FF" 5관왕 | ||||
7월 30일 | 2주 연속 | |||||
8월 3일 | | |||||
8월 6일 | | {{{#FF0000 {{{-2 3주 연속 트리플 크라운}}}}}} | ||||
8월 17일 | | 2주 연속 | ||||
12월 21일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CACAC" 1관왕 | |||||
2007년[43] | ||||||
4월 26일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1B2B6" 7관왕 | ||||
4월 29일 | | |||||
5월 5일 | | |||||
5월 6일 | | 2주 연속 | ||||
5월 13일 | {{{#FF0000 {{{-2 3주 연속 트리플 크라운}}}}}} | |||||
5월 19일 | | 통산 2주 | ||||
5월 26일 | 통산 3주 트리플 크라운 | |||||
5월 24일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00" 1관왕 | ||||
2008년[44] | ||||||
6월 1일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C1616" 1관왕 | ||||
2009년[45] | ||||||
5월 31일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0B58E" 3관왕 | ||||
6월 4일 | | |||||
6월 11일 | 2주 연속 |
당시 소속사였던 GM기획/엠넷미디어가 MBC와 관계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2006년까지 MBC 음악캠프와 음악중심에 출연하지 않았다. 하지만 MBC 음악캠프는 출연을 하지 않아도 1위를 차지할 수 있었으며, 정규 2집 타이틀곡 살다가는 최대 2위까지 랭크됐다. 그러다가 2006년부턴 관계가 개선되어 MBC 연기대상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2007년 정규 4집 활동부터 본격적으로 쇼! 음악중심에 출연하기 시작했다.
===# 음반 판매량 #===
※ 2000년대 중반에는 한터차트보다는 한국음반산업협회 위주로 보는 것이 맞으며, 골든디스크 시상식에서도 한국음반산업협회 수치로 집계했었다.[46] 총 음반판매량 2,960,483장
한국음반산업협회 기준 음반판매량 및 순위 | |||||
<rowcolor=#fff> 발매 연도 | 앨범명 | CD | MC | DD | 해당 연도 총 판매량[47] |
<colbgcolor=#FFF> 2004년 | <colbgcolor=#FFF> Sg Wanna Be+ 정규 1집 | 120,438 | 59,951 | - | 180,389 (2004년 12위) |
130,236 | 60,871 | - | 206,918 (2004~2006년) | ||
2005년 | 살다가 정규 2집 | 307,954 | 106,901 | - | 414,855 (2005년 1위) |
14,869 | 5,010 | - | 19,879 (2006년 71위) | ||
322,823 | 111,911 | - | 434,734 (2005~2006년) | ||
Classic Odyssey 스페셜 앨범 | 107,047 | 40,000 | - | 147,047 (2005년 9위) | |
22,711 | 7,994 | 30,705 (2006년 42위) | |||
129,758 | 47,994 | - | 177,752 (2005~2006년) | ||
2006년 | The 3rd Masterpiece 정규 3집 | 230,989 | 80,653 | 5,285 | 316,927 (2006년 2위) |
The Precious History 스페셜 앨범 | 69,648 | 8,900 | - | 78,548 (2006년 15위) | |
50,644 | 17,132 | - | 67,776 (2007년 9위) | ||
- | 158,130 (2006~2008년) | ||||
2007년 | The Sentimental Chord 정규 4집 | 152,600 | 38,398 | - | 190,998 (2007년 1위) |
154,944 | 39,308 | 1250 | 195,502 (2007~2008년) | ||
1집 뮤직 2.0 스페셜 에디션 | 13,631 | - | - | 13,631 (2007년 66위) | |
Story In New York 스페셜 앨범 | 58,193 | 3,743 | - | 61,936 (2007년 10위) | |
65,050 | 4,442 | - | 69,492 (2007~2008년) | ||
2008년 | My Friend 정규 5집 | 91,767 | 17,206 | - | 108,973 (2008년) |
한터차트 기준 음반판매량 | ||||
<rowcolor=#fff> 발매 연도 | 앨범명 | 음반 종류 | 판매량[48] | |
2004년 | Sg Wanna Be+ 정규 1집 | CD, MC | 255,000 (2005년) | |
2005년 | 살다가 정규 2집 | CD, MC | 480,000 (2006년) | |
Classic Odyssey 스페셜 앨범 | CD, MC | 186,000 (2005년~2006년) | ||
2006년 | The 3rd Masterpiece 정규 3집 | CD, MC, D.D | 272,000 (2007년) | |
The Precious History 스페셜 앨범 | CD, MC | 98,900 (2006년~2007년) | ||
2007년 | The Sentimental Chord 정규 4집 | CD, MC, D.D | 146,800 (2007년) | |
2008년 | My Friend 정규 5집 | CD, MC | 99,400 (2008년) | |
2009년 | Gift From SG WANNA BE 정규 6집 | CD | 59,300 (2009년) | |
2010년 | SG WANNA BE by SG WANNA BE 7 Part 1 정규 7집 | CD | 23,199 (2010년~2011년) | |
SG WANNA BE by SG WANNA BE 7 Part 2 정규 7집 | CD | 11,948 (2011년) | ||
2012년 | The Essential SG Wannabe 스페셜 앨범 | CD | 9,245 (2012년~2015년) | |
2015년 | THE VOICE EP | CD | 10,463 (2015년) | |
2016년 | Our Days EP | CD | 3,553 (2016년) |
===# 음원 성적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음원 성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G워너비/음원 성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SG워너비가 활동했던 시기에는 주로 불법 다운로드를 활용하여 MP3 파일로 음악을 들었고, 이 불법 다운로드도 근절되지 않은 과도기적 상태였던데다가 2000년 중후반대까지의 대규모 플랫폼 음원 사이트는 최고의 플랫폼인 싸이월드 뮤직[49]과 벅스뮤직, 통신사 벨소리&통화 연결음 서비스[50]으로 음원 사이트의 대명사들이라고 불렸다.
특히 벅스가 음원 사이트에서 압도적으로 1위였던 공신력이 매우 좋았던 시기 2004년 ~ 2005년에는 음원 사이트들 중 무려 70%를 점유한 것은 물론, 사용자 수는 무려 530만 명 이상이었다. 22년 11월 기준 유튜브 뮤직 사용자 수는 460만 명, 멜론의 사용자 수는 450만 명인 것을 보면 훨씬 더 많은 수치였고, 점유율 수치는 현재 기준 최고 음원 사이트인 유튜브 뮤직과 멜론을 합친 수치였다. 통신사 벨소리&통화 연결음 서비스는 당시 디지털 음원 수입의 일등공신이었고, 음악 방송이나 시상식에서도 디지털 음원 집계 수치를 기여했다.
싸이월드 뮤직 곡 부문 연간 차트 1위 | ||
<rowcolor=#fff> 2005년 | 2006년 | 2007년 |
윤도현 사랑했나봐 | SG워너비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BIGBANG 거짓말 |
싸이월드 뮤직 앨범 부문 연간 차트 1위 | ||
<rowcolor=#fff> 2005년 | 2006년 | 2007년 |
김종국 This Is Me | SG워너비 The 3rd Masterpiece | BIGBANG ALWAYS |
KTF 벨소리+링투유 디지털 음원 연간 차트 1위 | ||
<rowcolor=#fff> 2005년 | 2006년 | 2007년 |
김종국 사랑스러워 | SG워너비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멜론 연간 차트 1위 | ||
<rowcolor=#fff> 2004년 | 2005년 | 2006년 |
알 수 없음 | SG워너비 죄와 벌 | SG워너비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멜론 연간 차트 1위 | ||
<rowcolor=#fff> 2005년 | 2006년 | 2007년 |
SG워너비 죄와 벌 | SG워너비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이기찬 미인 (美人) |
각종 음원 사이트 주간 1위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음원 서비스 | 1위 횟수 | 기간 | 곡명 | |||
| 9주 | 2006. 04. 07. ~ 2006. 06. 08. |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
2주 | 2007. 04. 20. ~ 2007. 05. 03. | 아리랑 | |||||
1주 | 2007. 12. 07. ~ 2007. 12. 13. | 첫눈 | |||||
| 3주 | 2005. 04. 01. ~ 2005. 04. 21. | 죄와 벌 | ||||
6주 | 2006. 04. 07. ~ 2006. 05. 18. |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
3주 | 2006. 01. 13. ~ 2006. 02. 02. | Untouchable | |||||
4주 | 2006. 11. 17. ~ 2006. 12. 14. | 바람만바람만 | |||||
| 6주 | 2005. 03. 28. ~ 2005. 05. 08. | 죄와 벌 | ||||
5주 | 2006. 04. 03. ~ 2006. 05. 07. |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
| 4주 | 2005. 03. 29. ~ 2005. 04. 25. | 죄와 벌 | ||||
| 2주 | 2005. 03. 25. ~ 2005. 04. 07. | 살다가 | ||||
5주 | 2005. 04. 08. ~ 2005. 05. 12. | 죄와 벌 | |||||
7주 | 2006. 03. 24. ~ 2006. 05. 11. |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
| 7주 | 2005. 04. 18. ~ 2005. 06. 05. | 죄와 벌 | ||||
| 6주 | 2005. 04. 03. ~ 2005. 05. 14. | 죄와 벌 | ||||
| 1주 | 2005. 05. 28. ~ 2005. 06. 03. | 광(狂) | ||||
| 5주 | 2005. 03. 26. ~ 2005. 04. 29. | 죄와 벌 | ||||
{{{#!wiki style="text-align: left" |
싸이월드 뮤직 연간 순위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05년 연간 차트 | |||
<rowcolor=#fff> 순위 | 아티스트명 | 곡명 | 다운로드건 수 | |
1위 | 윤도현 | 사랑했나봐 | 600,000건 | |
2위 | MC몽 | I Love U Oh Thank U (Feat. 김태우) | 550,000건 | |
3위 | 김종국 | 사랑스러워 | 500,000건 | |
4위 | 모세 | 사랑인 걸 | 400,000건 | |
5위 | 버즈 | 겁쟁이 | 380,000건 | |
6위 | 프리스타일 | Y (Please Tell Me Why) | 370,000건 | |
7위 | SG워너비 | 죄와 벌 | 360,000건 | |
8위 | 김종국 | 제자리 걸음 | 350,000건 | |
9위 | 에픽하이 | Fly (Feat. Amin. J of Soulciety) | 280,000건 | |
10위 | M To M | 세글자 (드라마 '루루공주' 김정은 메인 테마)[51] | 270,000건 | |
11위 | 김종국 | 별, 바람, 햇살 그리고 사랑 | 270,000건 | |
12위 | Sweetbox | Don't Wanna Kill You | -[52] | |
13위 | 리쌍 | 내가 웃는 게 아니야 | ||
14위 | KCM | 너에게 전하는 아홉가지 바램 | ||
15위 | 럼블피쉬 | 으라차차 | ||
16위 | 프리스타일 | 그리고 그 후 | ||
17위 | SG워너비 | 살다가 | ||
18위 | 별 | 안부 | ||
19위 | 나얼 | 귀로 | ||
20위 | 버즈 | 가시 |
2006년 연간 차트 | |||
<rowcolor=#fff> 순위 | 아티스트명 | 곡명 | 다운로드건 수 |
1위 | SG워너비 |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590,000건 |
2위 | 바이브 | 그 남자 그 여자 (Feat. 장혜진) | 560,000건 |
3위 | 백지영 | 사랑 안 해 | 400,000건 |
4위 | Sweet Sorrow | 아무리 생각해도 난 너를 | -[53] |
5위 | 조PD, 브라운 아이드 걸스 | Hold The Line | |
6위 | 하울, 제이 | Perhaps Love (사랑인가요) | |
7위 | 이루, Daylight | 까만안경 | |
8위 | 박선주, 김범수 | 남과 여 | |
9위 | 김종국 SG워너비 MTOM | Untouchable | 250,000건 |
10위 | 거북이 | 비행기 | -[54] |
싸이월드 음원 연간차트 종합 목록 | |||
<rowcolor=#fff> 연도 | 앨범명 | 곡명 | 연간 순위 |
2005 | 살다가 | 죄와 벌 | 7위 |
살다가 | 17위 | ||
광(狂) | 28위 | ||
2006 | The 3rd Masterpiece |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1위 |
Big4 Of Voices In My Dream | Untouchable[55] | 9위 | |
SG워너비 & 브라운 아이드 걸스 | Must Have Love (용준&가인) | 14위 | |
S.101 | 바람만바람만 (With. 김종국) | 16위 | |
The 3rd Masterpiece | 사랑했어요 (Feat. 데니안) | 41위 | |
2007 | The Sentimental Chord | 한 여름날의 꿈 (Feat. 옥주현) | 21위 |
아리랑 | 31위 | ||
2008 | My Friend | 라라라 | 40위 |
에덴의 동쪽 OST | 운명을 거슬러 (With. 김종욱) | 100위 | |
2009 | Gift From SG WANNA BE | 내 사랑 울보 | 50위 |
사랑해 (Feat. 유리상자 박승화) | 87위 | ||
{{{#!wiki style="text-align: left" |
싸이월드 명예의 전당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앨범 부문 | ||
<rowcolor=#fff> 앨범명 | 대표곡 | 등급 | |
|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PLATINUM | |
| 죄와 벌 | GOLD | |
| Timeless | SILVER | |
| 아리랑 | ||
| 라라라 | BRONZE | |
{{{#!wiki style="text-align: left" |
곡 부문 | |||
<rowcolor=#fff> 순위 | 앨범명 | 곡명 | 등급 |
1위 | The 3rd Masterpiece |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PLATINUM |
2위 | SG워너비&브라운 아이드 걸스 | Must Have Love | GOLD |
3위 | 살다가 | 죄와 벌 | |
4위 | Big4 Of Voices In My Dream | Untouchable | SILVER |
5위 | 살다가 | 살다가 | |
5위 | The Sentimental Chord | 한 여름날의 꿈 | |
6위 | Sg Wanna Be+ | Timeless | |
7위 | 살다가 | 광(狂) | BRONZE |
8위 | My Friend | 라라라 | |
9위 | Big4 Of Voices In My Dream | Gone With The Wind | |
10위 | The 3rd Masterpiece | 사랑했어요 | |
11위 | The Precious History | Ordinary People | |
12위 | Sg Wanna Be+ | 사랑하길 정말 잘했어요 | |
13위 | The Sentimental Chord | Stay | |
14위 | Story In New York | 첫눈 | |
{{{#!wiki style="text-align: left" |
이동 통신사 벨소리&통화 연결음 연간 차트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벨소리&통화 연결음 종합 연간차트 | |||||
<rowcolor=#fff> 연도 | 구분 | 통신사 | 순위 | 곡명 | 비고 | |
2005 | 벨소리 + 통화 연결음 부문 | | 6위 | 죄와 벌 | 다운로드 건수 874,045건 연간 6위 | |
| 6위 | 연간 6위 | ||||
| 4위 | 연간 4위 | ||||
벨소리 부문 | | 6위 | 연간 6위 | |||
| 6위 | 연간 6위 | ||||
| 순위 불명 | 순위 불명 | ||||
통화 연결음 부문 | | 7위 | 컬러링 연간 7위 | |||
| 7위 | 링투유 연간 7위 | ||||
| 순위 불명 | 필링 순위 불명 | ||||
2006 | 벨소리 + 통화 연결음 부문 | | 1위 |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연간 1위 | |
벨소리 부문 | 연간 1위 | |||||
통화 연결음 부문 | 링투유 연간 1위 | |||||
{{{#!wiki style="text-align: left" |
이동 통신사 벨소리&통화 연결음 총합 다운 순위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05년 SK텔레콤 다운로드건 총합 연간 차트 | |||
<rowcolor=#fff> 통신사 | 아티스트명 | 곡명 | 순위 | |
| ||||
김종국[57] | 제자리 걸음 사랑스러워 | 1위 | ||
윤도현 | 사랑했나봐 | 2위 | ||
이효리 | Anymotion | 3위 | ||
MC몽 | I Love U Oh Thank U | 4위 | ||
박효신 | 눈의 꽃 | 5위 | ||
SG워너비 | 죄와 벌 | 6위 | ||
프리스타일 | Y (Please Tell Me Why) | 7위 | ||
모세 | 사랑인 걸 | 8위 | ||
버즈 | 겁쟁이 | 9위 | ||
에픽하이 | Fly | 10위 |
2005년 KTF 다운로드건 총합 연간 차트 | |||
<rowcolor=#fff> 통신사 | 아티스트명 | 곡명 | 순위 |
| |||
김종국[59] | 제자리 걸음 사랑스러워 별, 바람, 햇살 그리고 사랑 | 1위 | |
윤도현 | 사랑했나봐 | 2위 | |
MC몽 | I Love U Oh Thank U | 3위 | |
버즈 | 겁쟁이 | 4위 | |
SG워너비 | 죄와 벌 | 5위 | |
이효리 | Anymotion | 6위 | |
KCM | Smile Again | 7위 | |
모세 | 사랑인 걸 | 8위 | |
프리스타일 | Y (Please Tell Me Why) | 9위 | |
박효신 | 눈의 꽃 | 10위 |
2005년 LG텔레콤 다운로드건 총합 연간 차트 | |||
<rowcolor=#fff> 통신사 | 아티스트명 | 곡명 | 순위 |
| |||
김종국[61] | 제자리 걸음 사랑스러워 별, 바람, 햇살 그리고 사랑 | 1위 | |
윤도현 | 사랑했나봐 | 2위 | |
MC몽 | I Love U Oh Thank U (Feat. 김태우) | 3위 | |
SG워너비 | 죄와 벌 | 4위 | |
프리스타일 | Y (Please Tell Me Why) | 5위 | |
버즈 | 겁쟁이 | 6위 | |
모세 | 사랑인 걸 | 7위 | |
박효신 | 눈의 꽃 | 8위 | |
이효리 | Anymotion | 9위 | |
채연 | 둘이서 | 10위 |
2006년 KTF 다운로드건 수 총합 연간 차트 | |||
<rowcolor=#fff> 통신사 | 아티스트명 | 곡명 | 순위 |
| |||
SG워너비 |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1위 | |
백지영 | 사랑 안 해 | 2위 | |
바이브 | 그 남자 그 여자 | 3위 | |
씨야 | 미친 사랑의 노래 | 4위 | |
거북이 | 비행기 | 5위 | |
스위트소로우 | 아무리 생각해도 난 너를 | 6위 | |
이루 Daylight | 까만 안경 | 7위 | |
김종국 | 편지 | 8위 | |
씨야 | 여인의 향기 | 9위 | |
버즈 | Reds Go Together | 10위 |
===# 기타 기록 #===
역대 국내 발라드 베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아이유 내 손을 잡아 | 에일리 저녁 하늘 | 성시경 희재(熙渽) | 다비치 안녕이라고 말하지마 | 토이 여전히 아름다운지 |
태연 I(feat. 버벌진트) | 정키 홀로(feat. 김나영) | 윤하 기다리다 | 성시경 거리에서 | 브라운 아이즈 가지마 가지마 | |
M.C The Max 잠시만 안녕 | CHEEZE Madeleine Love | 아이유 금요일에 만나요(feat. 장이정) | 박효신 사랑한 후에 | 성시경 너의 모든 순간 | |
다비치 거북이 | M.C The Max One Love | SG워너비 Timeless | 아이유 잔소리 (with 2AM 슬옹) | 비스트 비가 오는 날엔 | |
성시경 두 사람 | 테이 사랑은...향기를 남기고 | 서인국 & 정은지 All For You | 린 ...사랑했잖아… | 이석훈 그대를 사랑하는 10가지 이유 | |
아이유 너의 의미(feat. 김창완) | 2NE1 You and I | 규현 광화문에서 | 하동균 그녀를 사랑해줘요 | 성시경 & 박효신 & 이석훈 & 서인국 & VIXX 크리스마스니까 | |
SG워너비 죄와 벌 | 박효신 추억은 사랑을 닮아 | 씨야 사랑의 인사 | 이승철 그런 사람 또 없습니다 | 포맨 못해(feat. 美) | |
브라운 아이드 소울 정말 사랑했을까 | 허각 & 지아 I Need You | M.C The Max 그대가 분다 | 아이유 나의 옛날이야기 | SG워너비 살다가 | |
나윤권 나였으면 | 성시경 넌 감동이었어 | 다비치 두사랑(feat. Mad Clown) | 백아연 이럴거면 그러지말지 | HIGH4 & 아이유 봄 사랑 벚꽃 말고 | |
싸이 낙원 (feat. 이재훈) | 김동률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 | 어쿠스틱 콜라보 너무 보고싶어 | 빅마마 체념 | 김범수 슬픔활용법 | |
아이유 Rain Drop | 이소라 바람이 분다 | M.C The Max 행복하지 말아요 | 이적 걱정말아요 그대 | SG워너비 라라라 | |
로꼬 & 유주 우연히 봄 | 하동균 & 이정 기다릴게 | VIBE 그남자 그여자(feat. 장혜진) | 아이유 무릎 | 이선희 그 중에 그대를 만나 | |
임창정 소주 한 잔 | 케이윌 Love Blossom (러브블러썸) | 린 시간을 거슬러 | 백지영 사랑 안해 | 노을 전부 너였다 | |
한동근 이 소설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 다비치 미워도 사랑하니까 | 거미 날 그만 잊어요 | 윤하 오늘 헤어졌어요 | 어쿠스틱 콜라보 묘해, 너와 | |
노을 그리워 그리워 | 김범수 끝사랑 | 김연우 이별택시 | 지아 술 한잔 해요 | 김동률 감사 | |
임창정 또 다시 사랑 | 8eight 심장이 없어 | 오혁 소녀 | 아이유 푸르던 | M.C The Max 바라보기 | |
포스트맨 신촌을 못가 | 길구봉구 바람이 불었으면 좋겠어 | 더 네임 그녀를 찾아주세요 | 성시경 그대네요 (Duet With 아이유) | 김범수 보고 싶다 | |
박정현 꿈에 | 박효신 좋은사람 | 팀 사랑합니다... | 전람회 취중진담 | 아이유 나만 몰랐던 이야기 | |
쿨 아로하 | 정키 잊혀지다(feat. 양다일) | M.C The Max 그 남잔 말야 | 윤종신 오르막길(feat. 정인) | 임창정 날 닮은 너 | |
케이윌 끊었던 담배 | 백지영 잊지말아요 | 백지영 멜로디 (feat. 마이티마우스) | 이기찬 미인(美人) | 왁스 화장을 고치고 | |
같이 보기: 역대 국내 음악 베스트 | 역대 국내 댄스 베스트 | 역대 국내 발라드 베스트 | 역대 국내 록발라드 베스트 | 역대 국내 록/얼터너티브 베스트 | |||||
출처 : # |
- 음반 판매량 연간 1위 2회 (2005년 살다가, 2007년 The Sentimental Chord)
- 3년 연속 골든디스크 시상식 대상 수상 (2005년 음반 부문, 2006년 디지털 음원 부문, 2007년 음반 부문)
- 5년 연속 골든디스크 시상식 본상 수상 (2005년 ~ 2009년)
- 2년 연속 멜론 연간차트 1위 (2005년 ~ 2006년)
- 2004년 디지털 음원 플랫폼 맥스MP3 스트리밍 총 676만 661건 기록 (Timeless)
- 2006년 한국갤럽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요 100곡 부문 순위 96위 차지 (Timeless)
- 2006년 MKMF 앨범 • 노래 부문 총 2관왕 대상 수상 (The 3rd Masterpiece)
- 2006년 싸이월드 뮤직 • KTF 벨소리&통화 연결음 • 멜론 연간차트 1위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2006년 활동 첫 주에 순위제를 실시하는 모든 음악 방송에서 1위를 수상하여 그랜드 슬램 달성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 2007년 KBS 인간극장 출연분 평균시청률 8~10% 달성, 최고시청률 10.1% 기록 (7월 31일 방송)
- 2007년 한국갤럽 올해를 빛낸 가수 5위 등극
- 2008년 한국갤럽 올해를 빛낸 가수 8위 등극
- 2009년 20대 가수 최초 라이브 콘서트 300회 돌파
7. 여담
7.1. 로고
SG워너비 로고 | |
| |
2004 ~ 2008 [63] | 2007 ~ 2010년 일본에서 사용 |
| |
2015 ~ 2022[64] | |
| |
2023 ~ [65] |
7.2. 드라마타이즈 뮤직비디오
SG워너비는 2004년 "얼굴 없는 가수"로 데뷔했을 정도로 그룹 자체는 신비주의 컨셉을 내세웠던 반면, 뮤직비디오는 유명 연기자들을 캐스팅하고[66] 영화 뺨치는 제작비를 동원하며 화제를 모았다. 1집의 〈Timeless〉부터 4집의 〈아리랑〉까지 뮤직비디오에 가수 본인들이 등장조차 안하는(...) 드라마타이즈 형식을 고수했다.Timeless-죽을만큼 사랑했어요, 죄와벌-살다가, 내 사람-느림보 등 타이틀과 후속곡의 뮤직비디오 스토리라인이 이어지는 형식은 7집까지 계속되었다.
여담이지만 초창기 뮤직비디오의 대다수는 다 차은택 감독의 작품.
<rowcolor=#fff> 앨범명 | 곡명 | 러닝타임 | 출연 |
1집 《Sg Wanna Be+》 | Timeless | 10분 | 김윤진, 김남진, 설경구, 강혜정, 엄태웅 |
죽을만큼 사랑했어요 | 9분 | ||
2집 《살다가》 | 죄와 벌 | 7분 30초 | 하석진, 서준영, 한은정 |
살다가 | 8분 15초 | ||
2.5집 《Classic Odyssey》 | 내 마음의 보석상자 | 5분 50초 | 봉태규, 천정명, 황정음 |
꿈의 대화 | 6분 30초 | ||
《Big4 Of Voices In My Dream》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 6분 50초 | 김남진, 박시연 |
Untouchable | 5분 20초 | ||
3집 《The 3rd Masterpiece》 | 내 사람 | 7분 30초 | 김동완, 정소영, 김정욱 |
느림보 | 7분 30초 | ||
《S.101》 | 바람만바람만[67] | 8분 | 한가인, 데니스 오 |
3.5집 《The Precious History》 | 사랑가 | 7분 30초 | 이범수, 남규리 |
그저 바라볼 수만 있어도 | |||
Ordinary People | 5분 30초 | ||
참여앨범 | 가시리 | 8분 | |
4집 《The Sentimental Chord》 | 아리랑 | 22분[68] | 이범수, 이선균 |
한 여름날의 꿈 | 8분 | ||
4.5집 《Story In New York》 | 첫눈 | 5분 45초 | |
<All-Star> | 처음처럼 | 3분 30초 | |
5집 《My Friend》 | 라라라 (Ver.1)[69] | 6분 10초 | 서준영, 유인영, 조민아 |
<2008 연가> | 멋지게 이별 보고싶어 | 9분 10초 | 송승헌, 박용하, 이연희, 하석진 |
6집 《Gift From SG WANNA BE》 | 내 사랑 울보 | 5분 20초 | 지연 |
사랑해 | 3분 24초 |
7.3. 소몰이창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몰이창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몰이창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이들의 창법과 노래 스타일은 한국 가요계를 획일화시키는 데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보컬그룹 하나의 등장으로 가요계 전체가 거의 획일화되었다는 건 반대로 말하면 그들의 영향력과 대중 및 음악계의 지지가 어마어마했다는 의미이기도 하기 때문에 좋게 평가하는 부분들도 많지만 이미 이전에 유행을 했거나 인기 있던 가수들, 브라운 아이즈나 조성모 같은 가수들의 노래와 히트 방식을 답습하며 개성 없이 노래해왔다는 부분을 주로 비판받는다.[70] 조성모를 필두로 1990년대 후반부터 유행한 드라마식 M/V 구성과, 박효신, 환희, 휘성 등이 먼저 구사해온 흉성 위주의 두꺼운 목소리를 사용하는 소몰이창법, 투박하고 자극적으로 뽑아낸 듯한 현악 세션 구성 등 대형 기획사의 기획 아래 이전 발라드 가수들의 성공 방식을 그대로 모방하여 적용한 것이 정확히 들어맞았고, 그 뒤에 나온 많은 비슷한 장르의 가수들까지 덩달아 인기를 끌면서 2000년대 후반의 한국 가요계는 하나의 장르로 획일화되었다. 다만 2009년 이후 K-pop 아이돌 그룹이 대세로 기울어지고 소몰이창법과 미디엄템포 발라드 가수들의 유행이 잦아듦과 동시에 SG워너비도 스타일의 변화를 시도하여 컨트리를 포함한 가벼운 발라드 곡들이 SG워너비의 새로운 스타일로 자리잡게 되었다.
사실 앨범 수록곡들 중에는 감성적인 발라드 외에도 모던 록[71], 심지어는 댄스곡[72]과 일렉트로닉[73]까지 상당히 다양한 스타일의 곡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히트곡들이 대부분 미디엄템포 발라드와 컨트리 발라드여서 항상 똑같은 노래라는 평가를 받을 뿐.
일각에서는 소몰이창법이 소를 몰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체력을 요구하는 노래이기 때문에 불러진 명칭이라는 설도 있는데, 결국 이런 창법이 본인들의 발목을 잡고 수명을 단축시킨 원인이 되어버렸다. 소몰이창법 항목에서도 알 수 있듯 테크닉적인 발성이 아닌 피지컬적으로 쥐어짜고 몰아붙여서 내뱉는 창법이 소몰이창법인데, 정석적인 발성이 아닌 목을 몰아붙여 내는 이 창법이 가수에게 좋을 리가 없다. 거기다 SG워너비는 음악 방송 외에도 개인 콘서트를 비롯해 온갖 행사장을 다 누비고 다녔는데, 이러다 보니 목의 내구도가 금세 닳아버렸고 이는 결국 성대결절과 목소리 변화를 초래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만다.
김진호는 소몰이라는 말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별명으로 소몰이만 안 붙여주면 좋겠다고 인터뷰한 적이 있다. 심지어 시골에 내려가 소 앞에서 노래를 불러보거나 콘서트에 소를 타고 등장하는 것도 고려해봤다고.
7.4. 기타 이야깃거리
- 처음 얼굴 없는 가수로 활동할때, 멤버들이 와이미(김용준), 데이빗(채동하), 찰스(김진호)라는 이름을 썼던 역사가 있다. 이전에 솔로 가수로 활동했던 채동하 때문에 가명을 쓰려고 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곧바로 철회하긴 했지만 기억하고 있는 팬도 있는 듯. 김진호의 찰스는 데뷔 전에 철회된 이름이라, 아는 사람은 정말 극초기 팬들밖에 없는 듯하다. 김진호가 "이 외모에 찰스가 웬 말이냐"고 강력하게 어필해서 본명을 사수(?)할 수 있었다고 한다. 단, 요즘 아이돌처럼 성을 빼서 예명 아닌 예명으로. 여차저차해서 데뷔 후 처음으로 나온 방송에는 데이빗, 와이미, 진호로 나왔었다. 하지만 김진호와 함께 채동하도 자기 예명을 두고 영어 이름을 쓰기 싫다고 어필했고, 김용준은 와이미의 스펠링이 Whyme임을 지적하며 "왜 나야?"라는 예명이 말도 안 된다고 주장해서, 결국 접고 셋 다 이름으로 그냥 활동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김용준은 나중에 삼성카드 광고에서 'Why not?'이라는 광고를 볼 때마다 깜짝깜짝 놀랐다고 한다.
- 2005년 MBC 10대가수 가요제 본상 수상을 거부했다. 거부한 이유는 당시 기획사였던 GM기획과 MBC와의 관계가 좋지 않아서 2006년 연말 MBC 연기대상 축하공연 전까지 MBC에 단 한 번도 출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시 기사. MBC 10대가수 가요제가 제법 권위 있는 시상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또 SG워너비 측에서는 나름대로 명분이 있는 수상 거부였음에도 불구하고 양 쪽 모두 논란이 있었다. 결국 10대가수 가요제는 SG워너비를 시작으로 많은 가수들의 보이콧으로 인해 폐지되었고, 축제 형태의 MBC 가요대제전으로 개편되었다.
- 2004년 데뷔한 이래 GM기획, 엠넷미디어, IS엔터미디어그룹, CJ E&M 이라는 거대 기획사에 속해있으면서도 2016년까지 공식 팬클럽조차 없었다. 정확히는 CJ E&M에 이적 후 생겼다. 멤버 전원이 가입했고 팬들이 스스로 모여서 만들어진 다음 카페 SG워너비 사랑방과 각 멤버들의 개인 팬카페 별속에동하, 이치고이치에, 천상의목소리김진호, 스윗트피이석훈 등이 연합하여 팬클럽 단관 등의 일들을 소속사로부터 조금의 지원도 없이 자원해서 진행해왔다. 일본에서는 공식 팬클럽 '내사람(NAESARAM)'이 먼저 만들어져서 국내 팬들은 그저 어이가 없었다. 팬들을 공개되지 않은 스케줄을 알 방법이 당연히 없었고, 업계 관계자 팬들이 귀띔해주는 스케줄이나 직접 기사와 방송국 홈페이지를 뒤져 스케줄을 공유해왔다. 펄골드라는 공식 색깔도 소속사가 알려만 주고 후속 관리를 소홀히 하여 배틀과 인피니트가 공식 색깔을 금색으로 결정했을 때도 아무 대응을 하지 않았고, 팬들간 갈등만 커져갔다. 인피니트의 경우 인스피릿이 먼저 나서서 "팬덤에서 정한 색깔이 아니다. 소속사에서 일방적으로 정한 색깔."이라며 공식 사과를 하며 훈훈하게 마무리되었다. SG워너비가 활동이 뜸해지고 풍선색보다는 야광봉 디자인의 시대로 변화하면서 원만하게 해결되었다.
- 2013년 김진호의 공식 개인 팬클럽이 생겼으며 이름은 '목소리'. 이 '목소리'가 생기면서 기존 '천상의목소리김진호' 카페와 마찰이 생길 뻔 했지만 여차저차 넘어가게 되었다.
- 발라드로 유명한 그룹 이미지와 다르게 나름 개그로도 재능있는(?) 팀인다. 고음불가 기침나무 개그캐 김용준 이수영의 뮤직쇼에서 여러 모로 대박을 터뜨렸다. 참고로 녹화 날짜가 기침나무 다음 날이었다.
- 김광수 대표에 의하면 2010년에 당시 팀을 탈퇴하고 솔로로 전향했던 채동하에게 재합류를 제안했고, 채동하도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했었다는 언급이 있었다. 2012년 정도에 현 SG워너비와 채동하가 함께 한 스페셜 앨범을 기획, 발표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 국내에서 김진호의 긴 호흡끌기가 화제되면서 해외에도 약간이나마 SG워너비가 알려지기도 했다. 그래서 해외에서는 김진호가 멤버 중에서 인기 있는 편이다.[74]
- 2021년 5월 5일 역주행 돌풍을 일으킨 SG워너비가 전 기획사(포켓돌스튜디오) 측의 2006년 콘서트 실황 응원 발매에 대해 "사전 협의도 거치지 않은 발표"라면서 상업적 이용에 유감을 표현했다.
광수가 또...SG워너비 콘서트 음원 발매 관련 멤버들 공식입장 전문
안녕하세요.
더블에이치티엔이(김용준), 목소리엔터테인먼트(김진호), C9엔터테인먼트(이석훈)입니다.
금일 보도된 SG워너비 전국투어 콘서트 라이브 실황 음원 ‘Do you remember’ 발매에 관한 입장 드립니다.
SG워너비 전국투어 콘서트 라이브 실황 음원 ‘Do you remember’ 발매는 SG워너비(김용준, 김진호, 이석훈)를 비롯해 멤버들의 소속사와도 어떠한 사전 협의도 거치지 않은 사안입니다.
오늘(5일) 언론 보도를 통해 처음 접한 소식에 당혹감을 감추기 어렵습니다.
상업적 목적의 수단으로 SG워너비를 이용하는 비도덕적인 행위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는 바이며, 관련 음원 발매는 SG워너비와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또한 과거 음원 제작자가 SG워너비의 음원 수익금을 음원 유통사로부터 정산받지 못해 소송을 제기했다는 것 역시 멤버들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법정 다툼이라는 사실도 명백히 밝힙니다.
다시 한번 SG워너비를 아껴주시는 팬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7.5. 다른 아티스트와의 관계
- Gavy NJ: 2005년에 데뷔한 후배 그룹으로, 데뷔 당시 3인조 보컬 그룹이라는 공통점 때문에 '여자 SG워너비'라는 컨셉으로 화제가 됐었다. 가비엔제이가 윤도현의 러브레터에 출연하여 이에 대해 언급하며 〈죄와 벌〉을 훌륭하게 소화하기도 했다. 이후 씨야의 등장으로 '여자 SG워너비'라는 별칭을 넘겨주었다.
- 김종국: 2005년 가요계와 주요 시상식 대상을 함께 양분했던 최강의 라이벌이자 동료 관계.[75] 2005년 KBS 가요대상[76]과 2008년 KBS 가요대축제[77]에서 합동 공연도 가진 적도 있고, 2005년 12월 25일 Big4 콘서트를 함께 하며 〈Untouchable〉[78], 2006년 11월 〈바람만바람만〉까지 함께 하면서 김진호의 두꺼운 목소리와 김종국의 미성이 상당히 잘 어울리는 조합이라는 평가를 받았으나, 김종국이 소집해제 후 발매했던 정규 5집 이후부터는 접점이 없다.[79] 추후 김종국은 2011년 5월 28일 전 멤버 故 채동하의 빈소에 조문하기도 했다. #
- 다비치: 엠넷미디어 시절부터 친하게 지내는 사이. 2008년 SG워너비의 컬쳐엠콘서트에서 게스트 무대로 데뷔했다. 씨야처럼 직접 프로듀싱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소속사 선배로서 트레이닝에 어느 정도 참여한 듯 하다. 강민경은 불후의 명곡에서 채동하가 가장 무섭게 혼냈던 선배였다고 회고했고, SNS를 통해 2013년 이후 솔로로 활동 중인 김진호를 응원하는가 하면, 2020년 본인의 유튜브에 김진호의 〈가족사진〉 커버 영상을 업로드했다. 이해리는 2011년에 '유희열의 스케치북'에서 김진호와 듀엣 무대를, 2013년에 발매된 김진호 솔로 앨범에 피처링을 함께 했다.
- 동방신기: 김종국과 2005년 가요계와 시상식을 양분했다면, 2006년에는 동방신기와 가요계를 양분했다. 동방신기는 아이돌 그룹, SG워너비는 보컬 그룹이기 때문에 서로 음악적인 성격과 장르는 매우 달랐지만, 두 그룹 모두 매우 높은 음반 판매량을 자랑하면서 연간 음반 판매량 1위와 연말 가요시상식 대상을 가지고 경합을 벌였다. 특히 2006년은 두 그룹간의 최대 경쟁 시기로서 서로 연말 가요 시상식 대상들을 양분하였다[80]. 2005년 KBS 가요대상에서 합동 공연도 가진 적이 있다.
- 버즈: 데뷔 후 1집부터 〈Timeless〉와 〈Monologue〉, 2집 〈죄와 벌〉과 〈겁쟁이〉, 싱글 〈Untouchable〉과 〈사랑은 가슴이 시킨다〉, 3집 〈내 사람 : Partner For Life〉과 〈남자를 몰라〉 등 버즈가 잠정 해체하기 전까지 2000년대 중반 가요계 최대 라이벌이었다. 버즈 해체 확정 이후 보컬인 민경훈이 3.5집 〈Ordinary People〉에 피처링으로 참여했고 한 때, IS엔터테인먼트에서 한솥밥을 먹기도 했다. 이 때 시작된 인연으로 민경훈의 미니 앨범의 〈어떡하죠 난〉에 이석훈이 피처링에 참여했다. 이후 공백기 이후 가진 컴백 무대에서 이석훈과 〈겁쟁이〉 무대를 함께하기도 했다. 민경훈과 김진호는 고등학교와 대학교 선후배 사이다.
- 부활: 김태원이 라디오 스타에 출연해 "프로젝트 앨범을 만든다고 가정했을 때 5명 정도의 보컬을 뽑는다면?"이라는 질문에 박완규, SG워너비, 이루를 꼽았고[81], 그 후 부활 25주년 헌정 앨범에 〈Never Ending Story〉로 참여하게 되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MNET 20's Choice에서 합동 무대를 가졌다.
- 브라운아이드걸스: 2006년 〈Must Have Love〉로 김용준과 가인이 합작으로 캐롤 음반을 발표했고, 활동 중에 두 그룹 전 멤버가 '엠 카운트다운'에서 〈Feliz Navidad〉를 부르는 스페셜 스테이지를 가졌다. 그 이후에는 접점이 없다.
- 소향: 이석훈과 친분이 있는 사이였는데, 2010년 이석훈의 미니앨범 《감사》에 참여했고, 2012년 '나는 가수다 2'에서 〈살다가〉를 부른 인연으로 '열린음악회'에서 김진호와 함께 〈살다가〉 무대를 가진 적이 있다.
- M TO M: 김진호가 1집 때 객원 멤버로 참여했으며, 2집 때는 SG워너비 3명이 모두 객원 멤버로 참여했다. 같은 소속사여서 콘서트 게스트와 합동 콘서트 등으로 함께 활동했다. 이후 김진호가 솔로 활동을 시작할 2013년 무렵엔 엠투엠의 리더 손준혁이 대표로 있는 기획사 뮤니트엔터테인먼트에 몸 담기도 했다. 2013년부터 엠투엠이 손준혁 1인 그룹이 되면서 그룹간의 큰 접점은 사라졌지만, 손준혁과 김진호의 친분은 유지하고 있는듯 하다.
- 이효리: 엠넷미디어 시절 한솥밥. 김용준과 함께 〈Sexy Back〉 무대를 꾸민 적이 있다. 엠 카운트다운에서 〈빨간 자동차〉에 김건모를 대신하여 김진호가 피처링 무대를 가진 적이 있다.
- 옥주현: 2.5집에 〈유리창엔 비〉의 여자 파트너가 원래 옥주현이었지만 작업 과정에서 다른 가수로 변경되었고, 4집 〈한 여름날의 꿈〉에 피처링으로 참여했다. 그 후 옥주현 3집 〈My Romeo〉에 김용준이 코러스로 참여했고, 김진호와 함께 〈페이지원〉을 발표했다. 활동은 2007년에 〈한 여름날의 꿈〉만 잠깐씩 함께 했다.
- 이현: 김진호, 케이윌과 함께 언더그라운드 흑인 음악 동아리 SOULIST 출신. 2009년 엠카운트다운 스페셜 스테이지 〈Break Away〉를 함께 한 것 외에 활동 상 접점은 없다.
- 씨야: 가비엔제이보다 데뷔는 늦지만, SG워너비가 직접 보컬 트레이닝과 프로듀싱을 맡으며 본격적으로 키워낸 진짜 "여자 SG워너비". 씨야 1집 〈사랑하기 때문에〉를 같이 불렀고, SG워너비 3집 〈선인장〉에는 코러스로 참여한 김연지의 목소리가 들린다. 앨범 발표 순서도 벤치마킹했는데, 2008년 5집에서 컨트리로 변화를 시도한 〈라라라〉는 어느 정도 성공한 반면, 동시기에 씨야는 3집에서 하우스로 변화를 시도하고 시원하게 망해버렸다.[82]
초창기 음악 스타일 뿐만 아니라 멤버 별 그룹 내 포지션도 상당히 비슷한데, 리더/센터 채동하-남규리, 메인보컬 김진호-김연지, 보컬 김용준-이보람으로 포지셔닝 되었다. 합동 무대시 무대 위치도 이와 같았다.[83]
- 케이윌: 김진호와 언더그라운드 시절부터 친하게 지냈던 사이. 2007년에 뮤직뱅크 스페셜 스테이지에서 〈왼쪽 가슴〉과 〈아리랑〉을 함께 했고, 그 이후에 활동을 계속 하면서 이석훈, 김용준과도 친분이 생긴 듯 하다. 김진호가 혼자 케이윌 콘서트 '케대박' 게스트로 참여하기도. 여담으로 언더그라운드 시절 케이윌이 김진호의 노래 스타일을 보며 "노래 부를 때 너처럼 그렇게 부르면 안 된다"는 식의 디스를 당한 적이 있다며 케이윌이 진행하는 라디오에서 우스갯소리로 김진호가 썰을 푼 적이 있다. 그 덕에 SG워너비 멤버와 케이윌 모두 빵 터진 일이 있었다.
- FT아일랜드: FNC의 매니지먼트를 잠시동안 엠넷미디어가 분담하던 시절 2007년 Big4 콘서트와 연말 시상식 등에서 함께 무대를 가졌다. FNC가 제대로 독립한 이후에는 활동 접점이 없다. 2016년에 출연한 이홍기의 키스더라디오를 보면 농담도 스스럼없이 하는 편한 사이인 듯.
- 초신성: 엠넷미디어 한솥밥. 초신성이 신인 시절 SG워너비 콘서트 게스트로 참여한 적이 있고, 김진호와 김성제는 동갑내기 친구이다.
- MSG워너비: 유재석의 부캐인 유야호가 보컬 그룹을 만들기 위해 자신이 좋아하는 SG워너비를 참고로 하여 MSG워너비를 결성하였다. 놀면 뭐하니?에 출연하여 프로듀서인 유야호에게 MSG워너비를 결성을 위해 보컬 그룹의 조건과 블라인드 오디션 영상을 같이 보며 조언을 해주기도 했다. 그 블라인드 오디션에 이석훈이 참가하여 유야호가 놀라기도 했다[84]. 그리고 프로젝트 마지막 놀면 뭐하니의 100회 특집인 톱10귀 콘서트에 등장하여 공연을 하기도 했다. MSG워너비는 자신들의 아버지 그룹이라 여기고 있다.
- 바이브: SG워너비 2집의 프로듀싱과 〈살다가〉의 작곡을 류재현이 담당했으며, 윤민수가 〈살다가〉 후반부 애드리브 구간의 코러스를 맡았다. SG워너비 3집에서는 〈내가 너를〉을 리메이크하여 수록했으며, SG워너비 히스토리 앨범 〈사랑가〉에도 피처링과 작곡으로 참여했다. 2005년 Big4 활동 당시에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함께 부르고 콘서트도 함께 했다. 단순히 곡만 준 것이 아니라 간단한 보컬 트레이닝 정도까지 나눈 사이로 보인다. 2008년 이후에는 함께 활동하지는 않는데, 이석훈과 윤민수가 함께 출연한 '라디오 스타'를 보면 종종 보는 사이인 듯.
- V.O.S: 2004년 데뷔 동기. 데뷔 당시에는 SG워너비만 주목 받았지만, 2007년 쇼바이벌 이후에 화려하게 부활하면서 약간의 라이벌 관계를 형성한 것 외에는 큰 연관은 없다. 다만 2008년에 영입된 이석훈이 김경록과 친구고, 최현준과는 보컬 트레이너 시절부터 친분이 있다. 2009년에 조영수 올스타 앨범에서 〈사랑합니다〉를 함께 했다. 또 각 팀의 리더였던 채동하와 박지헌이 탈퇴 후 듀엣으로 싱글 음반 〈어제 같은데〉를 발표하기도 했다.
8. 둘러보기
- [ 그룹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c1d1f><tablecolor=#000,#fff><width=100000><rowbgcolor=#000><rowcolor=#fff> 데뷔년도 ||<width=35%> 아티스트 ||<width=35%> 비고 ||
<rowcolor=#fff> GM기획 시기 1995년 터보 - 2000년 문차일드 - 티니 두손기획 합작 2002년 악동클럽 - 2004년 SG워너비 - 엠투엠 - 2006년 씨야 - 2007년 블랙펄 - 초신성 - <rowcolor=#fff> 코어콘텐츠미디어 시기 2008년 다비치 - 2009년 티아라 - 2010년 남녀공학 - 2011년 파이브돌스 남녀공학
파생 그룹2012년 갱키즈 - 더 씨야 - 2013년 SPEED 남녀공학
파생 그룹티아라 N4 티아라
유닛 그룹QBS <rowcolor=#fff> MBK엔터테인먼트 시기 2015년 DIA - 2016년 빈챈현스 DIA
유닛 그룹L.U.B <rowcolor=#fff> 포켓돌스튜디오 시기 2018년 UNB KBS 더유닛
데뷔 그룹UNI.T KBS 더유닛
데뷔 그룹2019년 원더나인 MBC 언더나인틴
데뷔 그룹비너스 내일은 미스트롯
프로젝트 그룹2020년 H&D - BAE173 - 2022년 CLASS:y MBC 방과후 설렘
데뷔 그룹에스페로 - 2023년 FANTASY BOYS MBC 소년판타지
데뷔 그룹2024년 A SIX 유닛 그룹 2025년 Double 0ne 유닛 그룹
- [ 솔로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c1d1f><tablecolor=#000,#fff><width=100000><rowbgcolor=#000><rowcolor=#fff> 데뷔년도 ||<width=35%> 아티스트 ||<width=35%> 비고 ||
<rowcolor=#fff> GM기획 시기 1990년 김민우 - 윤상 - 1998년 조성모 - <rowcolor=#fff> 코어콘텐츠미디어 시기 2008년 남규리 씨야 멤버
솔로 가수 데뷔2009년 홍진영 - <rowcolor=#fff> MBK엔터테인먼트 시기 2014년 지연 티아라 멤버
솔로 가수 데뷔효민 샤넌 - 2015년 함은정 티아라 멤버
솔로 가수 데뷔조승희 파이브돌스, DIA 前 멤버
배우 데뷔2016년 정채연 DIA 멤버
배우 데뷔2017년 권채원 <rowcolor=#fff> 포켓돌스튜디오 시기 2019년 송가인 TV조선 미스트롯
선발홍자 2021년 백예빈 DIA 멤버
솔로 가수 데뷔오유진 KBS2 트롯전국체전
선발2024년 채원 CLASS:y 멤버
솔로 가수 데뷔복지은 TV조선 미스트롯3
선발
<colbgcolor=#f5a77f>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a77f> | 골든디스크어워즈 디지털 음원 부문 대상 수상자 | }}}(2006 - 현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1회 (2006)[1] | 22회 (2007) | 23회 (2008) | 24회 (2009) | 25회 (2010) |
내 사람 : Partner For Life SG워너비 | 이럴 거면 아이비 | One More Time 쥬얼리 | Gee 소녀시대 | 죽어도 못 보내 2AM | |
26회 (2011-2012) | 27회 (2013) | 28회 (2014) | 29회 (2015) | 30회 (2016) | |
The Boys 소녀시대 | 강남스타일 싸이 | GENTLEMAN 싸이 | 눈, 코, 입 태양 | LOSER BIGBANG | |
31회 (2017) | 32회 (2018) | 33회 (2019) | 34회 (2020) | 35회 (2021) | |
CHEER UP TWICE | 밤편지 아이유 | 사랑을 했다 iKON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Feat. Halsey) 방탄소년단 | Blueming 아이유 | |
36회 (2022) | 37회 (2023) | 38회 (2024) | 39회 (2025) | ||
Celebrity 아이유 | LOVE DIVE IVE | Ditto NewJeans | Supernova aespa | ||
[1]: 2005년 20회까진 단일 대상이었다. | |||||
둘러보기: 음반 부문 대상 수상자 |
<colbgcolor=#f5a77f>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a77f> | 골든디스크어워즈 음반 부문 대상 수상자 | }}}(2006 - 현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1회 (2006)[1] | 22회 (2007) | 23회 (2008) | 24회 (2009) | 25회 (2010) |
"O"-正.反.合. 동방신기 | The Sentimental Chord SG워너비 | MIROTIC 동방신기 | Sorry, Sorry SUPER JUNIOR | Oh! 소녀시대 | |
26회 (2011-2012) | 27회 (2013) | 28회 (2014) | 29회 (2015) | 30회 (2016) | |
Mr. Simple SUPER JUNIOR | Sexy, Free & Single SUPER JUNIOR | XOXO (Kiss&Hug) (Repackage) EXO | 중독 (Overdose) EXO | EXODUS EXO | |
31회 (2017) | 32회 (2018) | 33회 (2019) | 34회 (2020) | 35회 (2021) | |
EX'ACT EXO | LOVE YOURSELF 承 'Her' 방탄소년단 | LOVE YOURSELF 結 'Answer' 방탄소년단 | MAP OF THE SOUL : PERSONA 방탄소년단 | MAP OF THE SOUL : 7 방탄소년단 | |
36회 (2022) | 37회 (2023) | 38회 (2024) | 39회 (2025) | ||
BE 방탄소년단 | Proof 방탄소년단 | FML 세븐틴 | SPILL THE FEELS 세븐틴 | ||
[1]: 2005년 20회까진 단일 대상이었다. | |||||
둘러보기: 디지털 음원 부문 대상 수상자 |
[1] 5집, 6집, 7집 Part.1 타이틀곡까지 시도했던 장르.[2] 계약 해지로 업로드가 중단되었다.[CJ] [카카오] [5] 2004년부터 공식 팬까페였던 다음까페의 사랑방은 2016년 CJ E&M에서 관리자권한을 양도받아 관리해오다가 계약기간이 끝난 후 관리자 없이 방치되어 등업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 현재 커뮤니티가 이 곳뿐이다. 그러나 이 곳 역시 글리젠이 거의 없고 간혹 올라오는 게시물도 악개, 어그로 들의 분탕으로 정상적인 팬 활동이 어려운 상태이며 현재는 멤버 개인의 팬 커뮤니티만 활성화되어 있다.[6] 이석훈의 영입 이후 노래 스타일이 바뀌었는데, 채동하가 멤버였던 4집까진 구슬픈 발라드가 주 타이틀 곡이었다면, 이석훈 영입 이후 5집부턴 밝고 컨트리적인 미디엄 템포 스타일의 노래들이 타이틀곡으로 변했다.[7] 사실상 사이먼 앤 가펑클 스타일과는 전혀 연관성이 없는 음악을 하다가 6집에서 초심으로 돌아가는 마음으로 사이먼 앤 가펑클 스타일의 곡을 타이틀로 내기도 했다. 사실 3집의 '내 사람'에는 아이리쉬 스타일의 악기, 4집의 〈아리랑〉은 국악과의 콜라보 등으로 새로운 시도들을 많이 하다가 5집의 〈라라라〉부터 미국 컨트리 음악을 시도하긴 했었다. 6집 타이틀 〈사랑해〉는 거의 사이먼 앤 가펑클의 〈The Boxer〉를 벤치마킹한 느낌. 실제로 후렴의 "라이엘라 랄라랄라랄라 라이엘라" 부분은 〈The Boxer〉에서 사용된 가사다. 이지리스닝을 따르고 싶었다면 괜찮은 작명이긴 하다.[8] 이 후 무혐의 처리되었다.[9] M To M, V.O.S, 먼데이키즈, 가비엔제이, 씨야, 블랙펄, 브라운아이드걸스 등. 이 중 엠투엠과 씨야는 당시 같은 소속사로 SG워너비의 음악 스타일을 따라갔다.[10] 2.5집으로 리메이크 앨범을 발매했을 때 기성세대에게 많은 어필을 한 듯하다. 20대 시절엔 거의 유일하게 중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연말 디너쇼를 열었다.[11] 반면 이렇듯 왕성한 콘서트 활동은 메인보컬 김진호가 성대결절에 걸리게 되는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12] 200회 기념으로 2006년엔 3집 전국투어 라이브 DVD가 발매되었고, 2009년엔 300회 기념으로 6집 전국투어 라이브 DVD가 발매되기도 했다. 이 라이브 DVD에 실린 6집 전국투어 콘서트 '인연'의 서울 공연은 대중 가수에게는 인순이, 이승철 등 최고의 가수에게만 문을 열어주는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렸다. 20대 가수로서는 최초의 세종문화회관 입성이었다.[13] 이석훈이 처음 데뷔한 2008년 5집 활동 때는 이석훈이 채동하가 있던 중앙에 섰으나, 2009년 6집 활동부터 김진호와 이석훈의 위치가 바뀌었다.[14] 3, 4집에 랩이 포함된 곡들이 수록되었는데, 라이브 무대에서는 대부분 김용준이 랩을 했다. 개인 무대에서도 랩이 있는 곡을 선곡하기도 했다.[15] "3년 전 한 신인 그룹과의 첫 촬영, 당시 잊을 수 없는 재촬영의 기억이 있다. 아직 알려지지 않은 신인들의 첫 앨범이었던지라 재촬영을 한다는 것은 시간적, 경제적으로 크게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었던 이유는 그 신인 그룹의 멤버가 2명에서 3명으로 늘어나게 되었던 것이다." <사진작가 조세현의 스타 & 얼굴>‘SG 워너비’ 갑자기 멤버 늘어 재촬영[16] 김진호는 오디션을 본 지 불과 일주일 만에 녹음에 투입되었다. 본인에 따르면 고3 시절 학교의 두발 규제로 인해 머리카락은 짧았고 몸무게는 98kg이 나가던, 이른바 '시골 학생'이였는데, 그에 비해 김진호의 눈에 비친 두 형들은 강남인 세련되어 보였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많은 파트를 맡게 되자 큰 미안함과 부담을 느껴 "저 그냥 나갈게요"라고 말했다고. 그러나 형들은 괜찮다며 그를 다독이며 만류했다고 한다. 다만 이후 얘기에 따르면 김진호의 첫 등장에 채동하와 김용준도 꽤나 당황했었다는 듯. [17] 이에 대해 2021년 유퀴즈에서 김진호는 "(회사가) 데뷔 초 때는 방송을 안하는게 좋겠다고 했다. 그때 제 몸무게가 98kg 나갔는데 말라야만 가수할 수 있는 건 아니지 않나. 사장님이 우선 음악에 집중할 수 있게 신비주의로 가자고 했다"고 말했다.[18] 한편 이 시기의 SG워너비는 아직 얼굴을 공개하지 않은 상태였다. 하루 종일 연습실에 머무르며 지내야 했고, 연습실을 오갈 버스비조차 없어 갖은 고생을 했다. 생계를 위해 신문지 배달 등 아르바이트 등을 전전하고 있는데 온 길거리에서 자신들의 노래가 흘러나오고 있는 묘한 경험을 하기도 했다고.[19] 참고로 이 첫 쇼케이스에서 김진호가 너무 긴장한 나머지 〈Timeless〉의 "넌 내게 추억을 준 거야"에 파트에서 음이탈을 냈다. 그런데 경험이 없는 신인이여서 "죄송합니다 다시 할게요"(...)라고 외쳤다. [20] 당시 모든 가요 시상식 대상 최다 수상자는 정규 3집 《This is me》 수록곡 〈제자리 걸음〉, 〈사랑스러워〉, 〈별, 바람, 햇살 그리고 사랑〉의 3연타 대히트로 종합적으로 가장 높은 가요성적을 거둔 지상파 3사 가요대상 그랜드 슬램 및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가수이자 총 11개의 대상을 수상한 김종국이다.[21] 동방신기 3집 《"O"-正.反.合.》은 당시 총 34만 장이 판매되었다.[22] 만일, 동방신기가 리패키지 앨범을 발매하지 않았다면, 다음 해인 2007년까지 3년 연속 골든디스크 음반 대상을 받는 대기록을 세웠을 것이다.[23] 이 때의 성대결절 이후 김진호의 발성법이 바뀌기 시작했다. 채동하도 3집 활동 중에 좌측성대마비로 고생했지만 이후 완치되었다.[24] 작곡가 조영수가 가장 많은 노력을 들이고 고민을 한 노래라고 언급하기도 했다.[25] 다만 이는 김광수의 언플일 가능성이 높은데, 이석훈은 나머지 499명을 본적도 없다고 (...)[26] 이석훈은 채동하와의 직접적인 접점은 많지 않았으나, 2007년 멤버 선발 이후 5집을 준비하던 수개월 간은 같이 지냈던 시기도 있었고, 실제 2008년 SG워너비 콘서트 현장에서 마주쳐 서로 격려를 주고받기도 했다.[27] 원래 채동하가 탈퇴하기 전에 제작 중이던 앨범이라 채동하 부분이 모두 녹음되어 있었다. 그러나 탈퇴가 가시화되어가자 채동하 부분만 지우고 이석훈의 파트로 재녹음을 했다고 하며 심지어 이석훈은 앨범의 모든 곡들을 2주일 만에 녹음해 도중에 성대 결절에 걸렸다고 한다.[28] 2009년 11월 채동하가 직접 싸이월드에 "(석훈이가) 그 부담감을 어떻게 견뎠을까 생각하면, 또 너무 고맙고 미안한 마음"이라고 언급했다.[29] 참고로 콘서트 도중 〈아리랑〉에서 채동하의 음성이 나오기도 했다.[30] 다만 해당 곡들은 당시 1위뿐만 아니라 각종 시상식에서 상을 휩쓰는 인기를 누린 곡들이라 역주행이 아니라 재주행이라는 의견도 간간히 보인다.[31] 참고로 해당 일자 SBS 인기가요 출연자들 가운데 스테이씨의 윤, 재이, 피원하모니의 소울, 종섭, 엔하이픈의 정원, 니키 등은 해당 음악이 발매되었을 때 아예 태어나지도 않았다.현역 아이돌보다 나이많은 노래[32] SG워너비 활동 시기에는 싸이월드 뮤직이 압도적으로 점유율이 높았던 포털 사이트였다.[33] 또 다른 대상 부문 중 올해의 노래 부문, 올해의 앨범 부문은 김종국이 차지했다.[34] 장윤정과 공동수상. [35] [36] 현재는 벅스뮤직으로 합병.[37] 뮤즈는 싸이월드와 네이버 등 주요 포털 사이트에 배경음악을 공급하는 온라인 음악 사이트 어워드다. 현재는 올레 뮤직으로 합병.[38] [39] [40] 비아이돌이 받은 마지막 골든디스크 음반 대상이다.[41] 총 3관왕[42] 총 13관왕[43] 총 8관왕[44] 총 1관왕[45] 총 3관왕[46] 한국음반산업협회에서 음반 판매량을 계산했다 해도 2006년의 1집 판매량과 같은 소수의 판매는 포함되지 않는다.[47] 한국음반산업협회 기준 [48] 출처[49] 06년까지는 2000만 명의 이용자 수, 09년을 넘어가서부턴 무려 약 4000만 명 가량의 이용자 수가 존재했던 2000년대 초대규모 플랫폼이었다.[50] SK텔레콤의 컬러링, KTF의 링투유, LG텔레콤의 필링[51] SG워너비가 객원 보컬로 참여한 곡이다.[52] 다운로드건 수 불명[53] 다운로드건 수 불명[54] 다운로드건 수 불명[55] 'Big4'라는 그룹으로 김종국, 엠투엠과 참여한 곡[56] SK텔레콤(011) + 신세기통신(017) 집계[57] 연간 TOP 10에 다른 가수들 사이에서 유일하게 2곡을 진입시켰다.[58] 케이티프리텔(016) + 한국통신엠닷컴(018) 집계[59] 연간 TOP 10에 다른 가수들 사이에서 유일하게 3곡을 진입시켰다.[60] LG Telecom(019) 집계[61] 연간 TOP 10에 다른 가수들 사이에서 유일하게 3곡을 진입시켰다.[62] 케이티프리텔(016) + 한국통신엠닷컴(018) 집계[63] 소속사를 옮긴 2009년 6집부터는 사용되지 않았다.[64] 2011년부터 4년간 공백기를 가진 후 미니 앨범 'THE VOICE'로 복귀하면서 로고가 변경되었다.[65] 2023년 '우리의 노래' 콘서트부터 사용 중이다.[66] 다만 현재에 와선 다 알려진 연기자들이지만 당시에는 신인급이거나 라이징 스타였던 배우들도 상당수다.[67] 임창규의 '새구두'와 스토리가 이어진다.[68] 역대 SG워너비 타이틀 중 뮤직비디오 러닝타임이 가장 길다.[69] 엠투엠의 '새까맣게'와 스토리가 이어진다. MV[70] 반대로 개성을 내세우지 않았기 때문에 롱런할 수 있었다는 평가도 있다.[71] 4집의 〈Stay〉, 5집의 〈멜로디〉[72] 1집의 〈Don't Know Why〉, 2집의 〈24 Hour〉[73] 5집의 〈Kiss〉[74] 물론 일부는 SG워너비의 멤버들을 잘 알고 있고, 채동하가 사망했을 때에 많은 외국인 팬들이 슬퍼했다. 현재는 김진호가 외국인 팬들 중에서 많이 거론된다.[75] SBS 가요대전 대상, KBS 가요대상 대상, MBC 가요대제전 최고 인기 가수상(대상)을 모두 석권하여 가요대상 트리플 크라운 및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김종국과 골든디스크 시상식 대상은 SG워너비가 수상했다. 당해 서울가요대상은 개최되지 않았다.[76] #[77] #[78] #[79] 서로 가수로서 작품의 접점이 없을 뿐, 상술했듯 정규 5집 발매 이후 2008년 KBS 가요대축제에서 합동 공연을 하기도 했고, 2024년 5월 마동석 결혼식에서 만나서 함께 사진을 찍기도 했다.[80] 동방신기는 2006년 SBS 가요대전 대상, 골든디스크 음반 대상, 서울가요대상 대상, MKMF 올해의 가수상을 수상하였고, SG워너비는 골든디스크 디지털 음원 대상, MKMF 올해의 앨범상, 올해의 노래상을 동시에 수상하였다.[81]
[82] 씨야는 2011년 해체했고, 2020년 슈가맨3에 출연하며 재결합이 가시화되었지만 상호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최종 무산되었다.[83] SG워너비가 직접 프로듀싱을 맡은 영향인지, 비슷하다 못해 아예 무대 매너도 똑같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다.[84] 멤버들이 첫 소절만 듣고 맞춰서 기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