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23:25:13

비스트(아이돌)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2017년 2월 이후 활동}}}에 대한 내용은 [[하이라이트(아이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하이라이트(아이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하이라이트(아이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017년 2월 이후 활동: }}}[[하이라이트(아이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하이라이트(아이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하이라이트(아이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비스트(아이돌) 로고.svg

{{{#!folding [ 전 멤버 ]

[ 한국 음반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fff><width=25%>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02341.jpg
||<width=25%>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17989.jpg
||<width=25%>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21677.jpg
||<width=25%>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38709.jpg
||
[[Beast Is The B2ST|
Beast Is The B2ST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09. 10. 14.
[[Shock Of The New Era|
Shock Of The New Era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10. 3. 1.
[[비스트(아이돌)/음반 목록#s-1.3.1|
Easy (Sincere Ver.)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baaac;"
2010. 4. 29.
[[비스트(아이돌)/음반 목록#s-1.3.2|
주먹을 꽉 쥐고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5a8389;"
2010. 9. 17.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39310.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45209.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52289.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82843.jpg
[[Mastermind|
Mastermind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10. 9. 28.
[[Lights Go On Again|
Lights Go On Again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10. 11. 9.
[[비스트(아이돌)/음반 목록#s-1.3.3|
My Story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282a8;"
2010. 12. 21.
[[비가 오는 날엔|
비가 오는 날엔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11. 5. 12.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83891.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19254.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35261.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35936.jpg
[[Fiction And Fact|
Fiction And Fact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637976;"
2011. 5. 17.
[[비스트(아이돌)/음반 목록#s-1.3.6|
이럴 줄 알았어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3e1e2;"
2012. 1. 26.
[[비스트(아이돌)/음반 목록#s-1.3.7|
Midnight (별 헤는 밤)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12. 7. 15.
[[Midnight Sun(비스트)|
Midnight Sun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12. 7. 22.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70959.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73547.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379306.jpg
파일:external/image.genie.co.kr/80442483_1402304020254_1_600x600.jpg
[[비스트(아이돌)/음반 목록#s-1.3.10|
괜찮겠니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9a9a9;"
2013. 5. 29.
[[비스트(아이돌)/음반 목록#s-1.3.9|
I'm Sorry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13. 6. 15.
[[Hard to love, How to love|
Hard to love, How to love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13. 7. 19.
[[비스트(아이돌)/음반 목록#s-1.3.10|
이젠 아니야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a9a9a9;"
2014. 6. 10.
파일:external/image.genie.co.kr/80443494_1402650699267_1_600x600.jpg
파일:external/image.bugsm.co.kr/457849.jpg
파일:external/image.genie.co.kr/80643768_1437919922429_1_600x600.jpg
파일:external/image.melon.co.kr/2693807_org.jpg
[[Good Luck(비스트)|
Good Luck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b7b8ba;"
2014. 6. 16.
[[TIME(비스트)|
TIME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a6341;"
2014. 10. 20.
[[Ordinary|
Ordinary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f72b4;"
2015. 7. 27.
[[Highlight(비스트)|
Highlight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896a3;"
2016. 7. 4.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 음반 ||<width=25%> 노래방 수록곡 ||<width=25%> 하이라이트 ||<width=25%> 팬덤 ||
THE 3rd ALBUM
Highlight
파일:Highlight 비스트 1.jpg
윤두준 · 양요섭 · 이기광 · 손동운 · 용준형
<colbgcolor=#A9A9A9,#A9A9A9><colcolor=#000,#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9A9A9,#A9A9A9><tablebgcolor=#A9A9A9,#A9A9A9> 파일:비스트(아이돌) 로고.svg비스트
B2ST · BEAST
}}}
데뷔일 2009년 10월 16일
(데뷔일로부터 [dday(2009-10-16)]일, [age(2009-10-16)]주년)
데뷔 음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활동 기간 2009년 10월 16일 ~ 2017년 2월 23일[1]
2025년 4월 16일[2] ~ 현재
장르 K-POP, 댄스, 발라드[3]
소속사 어라운드어스엔터테인먼트[4]
(2025. 04. 16 ~ )
{{{#!folding [ 이전 소속사 펼치기 · 접기 ]
팬덤 '''[[라이트(하이라이트)|
B2UTY
]][[라이트(하이라이트)#|
B2UTY
]][[라이트(하이라이트)#s-|
B2UTY
]]'''
공식 색
다크 그레이 (Dark Gray)
응원봉 로즈봉
링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유니버설 뮤직 그룹 로고.svg파일:유니버설 뮤직 그룹 로고 화이트.svg

1. 개요2. 멤버
2.1. 전 멤버2.2. 멤버 구성
3. 특징
3.1. 로고3.2. 그룹명3.3. 공식색3.4. 콘셉트3.5. 실력
3.5.1. 보컬3.5.2. 댄스
4. 음반5. 활동6. 수상
6.1. 음악 방송 1위6.2. 시상식
7. 팬덤8. 여담
8.1. Ordinary 의상 콘셉트8.2. 아육대 역조공 스티커8.3. 음반 오타
9. 둘러보기

1. 개요

So Beast! 안녕하세요, 비스트입니다.[5]
2009년 10월 16일에 큐브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데뷔한 4인조 보이그룹.

7년 간 6인조 활동을 이어 갔지만, 2016년 4월 19일 장현승이 탈퇴해 5인조 그룹이 되었다. 이후 2016년 10월 15일 소속사였던 큐브엔터테인먼트를 나와 12월 16일 독자 기획사 어라운드어스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여 '하이라이트'라는 새로운 그룹[6]으로 컴백했다.

2. 멤버

파일:비스트(아이돌) 로고.svg
파일:Highlight 윤두준 2.jpg 파일:Highlight 양요섭 2.jpg 파일:Highlight 이기광 2.jpg 파일:Highlight 손동운 2.jpg
윤두준 양요섭 이기광 손동운
1989. 07. 04. ([age(1989-07-04)]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990. 01. 05. ([age(1990-01-05)]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990. 03. 30. ([age(1990-03-30)]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991. 06. 06. ([age(1991-06-06)]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1. 전 멤버

이름 국적 생년월일 포지션 SNS 혈액형 비고
장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년 9월 3일 (35세) 리드보컬, 리드댄서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B 트러블 메이커
용준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년 12월 19일 (35세) 메인래퍼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O

2.2. 멤버 구성

한가지 더 특이한 점은 지금의 멤버로 그룹의 형태가 갖춰지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는 것이다.
영상(23:11~45:03/길지만 영상에 굉장히 잘 설명되어서 영상을 보는 걸 추천),
  • 이기광은 JYP연습생이었지만 박진영이 재능은 매우 훌륭하지만[7] 간절함이 부족하였다고[8] JYP 임원진이었던 홍승성이 큐브를 설립하며 이기광에게 같이 새로 해보자고 해서 큐브 1호 연습생이 되었다.[9] 이기광은 비스트로 데뷔 전 AJ라는 예명으로 솔로 활동을 했는데 그 때 멤버 윤두준, 양요섭이 백댄서로 도와줬었다.[10]
  • 윤두준은 JYP 공채에서 3등으로 입사했지만[11], 2PM과 2AM를 뽑는 열혈남아에서 탈락, JYP 실장과 함께 큐브로 넘어와서 3호 연습생이 되었다.
  • 양요섭은 JYP 뿐만 아니라 다른 회사들을 전전했고, JYP에서 방출되자 그냥 노래만 잘하는 일반인, 가수가 아니라고 생각했으나, 이기광에 의해 큐브 2호 연습생이 되었다. 그러나 큐브에서 생각한 신인 그룹의 이미지는 동방신기였고, 양요섭은 맞지 않다고 생각해 너무 귀여워서 또 한 번 퇴출됐지만, 퇴출 전 멤버들과 다같이 찍은 영상을 가 보고 잘 어울리는데 왜 퇴출하냐며 가까스로 살아남았다.
  • 손동운도 JYP연습생이었다. JYP에서 이기광은 조권과 함께 5인조 단신 그룹, 손동운은 닉쿤 등과 함께 6인조 비주얼 그룹이 될 뻔했으나 쇼케이스에서 원더걸스가 너무 잘했고, 계속 뒤로 미뤄지다가 반복되는 일에 지쳐 스스로 퇴사, 일반인 신분으로 돌아갔다.[12] 이후 홍승성이 큐브를 설립하며 연습생을 물색하던 중 ‘JYP에 있던 잘생긴 친구’가 떠올라 홍승성이 직접 연락, 설득하여 큐브 연습생으로 들어가게 됐다고 한다. 큐브에 들어온 건 장현승보다는 먼저지만, 비스트 멤버로는 가장 마지막에 합류됐다고 한다.

이런 멤버들의 화려한 이력들 때문에 비스트는 데뷔 초부터 재활용 그룹이라는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이름 국적 생년월일 포지션 SNS 혈액형 비고 이모티콘[13][14]
윤두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년 7월 4일 (33세) 리더, 서브보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A 연장자 💙⚽[15] 🍑[16] 🐶
양요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년 1월 5일 (32세) 메인보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B 빠른 생일 💛🐑[17]🍋🐹
이기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년 3월 30일 (32세) 메인댄서, 리드보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A 조기입학 💚🎴[18]🍒[19]🐿
손동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년 6월 6일 (31세) 서브보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A 막내 💜🖐[20] 🍇 🐘[21]

멤버 중 1명이 1989년생이고 2명이 1990년생이고 1명이 1991년생이다. 무려 2, 1마리, 1마리.[22][23]

3. 특징

3.1. 로고

비스트 공식 로고
파일:비스트(아이돌) 구 로고.svg
파일:비스트(아이돌) 로고.svg
<rowcolor=#000> 2009 ~ 2014 2014 ~ 2017
B2ST에서 2 부분을 자세히 보면 줄 하나 그어진 달러 기호($)를 좌우반전하고 위아래 잘라먹은 것처럼 생겼다. 물론 컴퓨터로 입력할 때는 그런 글자가 없으므로 그냥 B2ST. 하지만 잘 보면 BæST라고 보이기도 한다. 즉, 2를 작대기로 반 자르면 E와 A가 함께 들어있는 셈이다. [24] 또 비스트 엠블럼에 사용된 폰트의 명칭은 'Batman Forever'(배트맨 포에버). 이 폰트의 별칭이 '비스트체'라고 알려진 이유가 이때문이다.[25]

2014년 6월 컴백하면서 새 로고를 들고 나왔는데, 비스트의 초성인 ㅂㅅㅌ을 형상화한 '∀Δ∑'. 왠지 수학기호스럽다......가 아니라 사실이다![26]

3.2. 그룹명

비스트(B2ST, BEAST)는 Boys 2 Search for Top (정상을 노리는 소년들)의 약자. 데뷔 직전에 BEAST로 팀명을 바꾸면서 Boys of EAst Standing Tall[27][28]

비스트라는 이름이 정해지기 전에 영화 300의 무사들처럼 되라는 의미의 '300', 여섯 개의 아이콘이라는 의미의 ‘식스콘’, 아시아를 정벌하라는 의미의 ‘징기스칸’, 올림픽 기간을 맞아 ‘금은동 독수리’ 등 다양한 팀명이 거론됐다고 한다... 관련 기사 그리고 7년이 지나서 다시 재조명받게 되는데 재계약을 안하는 바람에 앞으로 비스트라는 이름을 쓰기 힘들 가능성을 고려, 팬들이 예전 이름 후보를 관심있게 보는 중이다. 큐브가 비스트라는 상호명을 양요섭의 생일인 2015년 1월 5일에 등록해버리는 만행을[29] 저질렀기 때문.[30] 비스트가 홍콩서 새로운 소속사 만들 준비한다는 소식이 들리자마자 BEAST도 10월에 등록해버렸다. 결국, 비스트가 하이라이트로 팀명을 바꾸는 것으로 종결되었다.

팀명과 더불어 멤버들의 이름도 구한말 시기의 지식인 같다는 반응이 나온다. 소속사의 정책에 따라서 예명이 아닌 본명을 사용하는데 멤버들의 이름이 흔한 이름이 아니라서 비스트 멤버들의 가치가 더 상승하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용준형의 경우 이름은 20~30대 남성 중에서 많지만 성이 흔하지 않은 '용'이라서 본인의 독자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성공하였다.

3.3. 공식색

다크 그레이로 결정했으며, 이는 2011년 큐브에서 공식 발표했다. 로즈봉뿐 아니라 최근 할라봉이라 불리는 응원봉의 빛나는 부분이 다크그레이이다. 고로 하이라이트로 개명한 지금까지도 다크그레이가 공식색.[31]

3.4. 콘셉트

이름에서 들리는 느낌은 심히 짐승스럽지만 실상 무대를 보면 그렇지 않다. 2PM이 짐승계라면 비스트는 오히려 미소년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샤이니2PM을 절충하여 버무려 놓은 듯한 이례적인 케이스가 데뷔 초 비스트의 모습이었다.

2009년과 2010년은 남성적인 면을 강조한 음악과 스타일링이 주였으나 (미니 4집 Beautiful 제외) 2011년은 비가 오는 날엔과 Fiction으로 대표되는 서정성을 내세워 활동했다. 곡 자체도 그렇지만 안무도 훨씬 간소화되면서도 세련된 스타일이었다. 그러나 1년 만에 컨셉뿐만 아니라 음악도 그전의 비스트가 하던 음악과는 360도 다른 모습으로 컴백한다. 세간에서는 서정성이 돋보이는 Midnight을 타이틀로 밀었어야 했다는 말도 나왔으나 다같이 즐길 있는 노래 아름다운 밤이야를 내세운 건 엄청 큰 수확이라 볼 수 있다.[32]

2013년부터는 용준형이 프로듀싱을 본격적으로 맡으며 아티스트로서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33] 발라드 선공개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으며 특유의 서정적인 곡은 앨범에 꼭 들어간다.

3.5. 실력

3.5.1. 보컬

실력이 좋은 아이돌그룹, 라이브가 뛰어난 아이돌그룹을 언급할 때 빠지지 않는다. 메인보컬은 양요섭.
특이하게도 멤버 전체가 보컬이다. 윤두준도 가끔 랩을 하긴 하지만, 데뷔 전 때나 그랬지 지금은 굉장히 드물다. 네명의 보컬 실력이 다른 아이돌그룹과 비교해봐도 준수한 편. 초기에는 고음을 맡은 양요섭과 前멤버 장현승에게 파트가 몰빵되었지만, 지금은 골고루 분배된다. 최근 발표한 앨범들을 듣고 그 후 데뷔초반의 앨범을 들어보면 전체적인 보컬상향화를 뼈저리게 느낄 수 있다.
비스트는 힙합그룹이죠. 메인래퍼 손동운에 리드래퍼 양요섭 모르세요?

3.5.2. 댄스

메인댄서는 이기광. 2011년 Fiction 시절까지만 하더라도 딱딱 들어맞는 칼군무로 유명했는데, 2012년 아름다운 밤이야 이후 자유분방함이 늘었는지 개개인이 추는 안무로 변화된 상태였다. 하지만 Good Luck 활동부터 다시 데뷔초의 파워풀한 퍼포먼스와 함께 그동안의 내공으로 다져진 안정적인 보컬을 선보이는 형식으로 바뀌었다. Good Luck부터 시작해서 12시 30분, 리본까지 극악의 안무 난이도를 보여준다.[34]
전체적으로 춤실력이 준수하며 안무 소화력이 뛰어나다. 프리픽스 하우신은 안무영상에 본래 댄서를 쓰지만 비스트 멤버들의 안무 소화력이 뛰어나 비스트 멤버들을 세웠다고 언급하였다. 비스트 공식 안무영상을 보면 쉬운 춤이 별로 없다.

대부분의 히트곡의 안무는 프리픽스 하우신이 만들었지만 지금은 헤어진 상태인가 했더니 용준형의 솔로곡 Flower 안무에 참여했다.[35] Good Luck에서는 일본 활동시 인연을 맺었던 다른 해외안무가와 호흡을 맞추었다. 하우신과는 이제 완전히 안녕인듯.

4. 음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스트(아이돌)/음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스트(아이돌)/음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스트(아이돌)/음반#|]][[비스트(아이돌)/음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스트(아이돌)/활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스트(아이돌)/활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스트(아이돌)/활동#|]][[비스트(아이돌)/활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수상

6.1. 음악 방송 1위

연도 곡명 프로그램 특이사항
2010년Shock3월 25일 Mnet 엠 카운트다운첫 1위
10월 8일 KBS 뮤직뱅크지상파 첫 1위
10월 14일 Mnet 엠 카운트다운-
Beautiful12월 5일 SBS 인기가요-
2011년비가 오는 날엔5월 27일 KBS 뮤직뱅크선공개곡 1위
Fiction5월 26일 Mnet 엠 카운트다운-
6월 2일 Mnet 엠 카운트다운2주 연속
6월 3일 KBS 뮤직뱅크-
6월 5일 SBS 인기가요-
6월 9일 Mnet 엠 카운트다운트리플 크라운
6월 10일 KBS 뮤직뱅크2주 연속
6월 12일 SBS 인기가요2주 연속
2012년아름다운 밤이야8월 2일 Mnet 엠 카운트다운-
8월 9일 Mnet 엠 카운트다운2주 연속
8월 10일 KBS 뮤직뱅크-
8월 16일 Mnet 엠 카운트다운트리플 크라운
8월 21일 MBC MUSIC 쇼챔피언-
2013년괜찮겠니6월 8일 쇼! 음악중심선공개곡 1위
Shadow8월 1일 Mnet 엠 카운트다운-
8월 3일 MBC 쇼! 음악중심-
8월 4일 SBS 인기가요-
2014년[36]이젠 아니야6월 21일 MBC 쇼! 음악중심선공개곡 1위
Good Luck6월 26일 Mnet 엠 카운트다운-
6월 27일 KBS 뮤직뱅크-
6월 28일 MBC 쇼! 음악중심역대 최초 만점
6월 29일 SBS 인기가요만점
7월 2일 MBC MUSIC 쇼챔피언-
7월 4일 KBS 뮤직뱅크2주 연속
7월 5일 MBC 쇼! 음악중심2주 연속
7월 11일 KBS 뮤직뱅크3주 연속
7월 12일 MBC 쇼! 음악중심3주 연속
7월 13일 SBS 인기가요통산 2주
12시 30분10월 29일 MBC MUSIC 쇼챔피언-
10월 31일 KBS 뮤직뱅크-
11월 1일 MBC 쇼! 음악중심-
11월 2일 SBS 인기가요-
11월 7일 KBS 뮤직뱅크2주 연속
11월 8일 MBC 쇼! 음악중심2주 연속
11월 9일 SBS 인기가요2주 연속
11월 14일 KBS 뮤직뱅크3주 연속
2015년일하러 가야 돼8월 2일 SBS 인기가요선공개곡 1위
8월 8일 MBC 쇼! 음악중심선공개곡 1위
YeY8월 5일 MBC MUSIC 쇼챔피언-
8월 6일 Mnet 엠 카운트다운-
8월 7일 KBS 뮤직뱅크-
8월 9일 SBS 인기가요-
2016년리본 (Ribbon)7월 13일 MBC MUSIC 쇼챔피언-
7월 15일 KBS 뮤직뱅크-

6.2. 시상식

비스트의 주요 수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소녀시대
Oh!
(2010년)
비스트
Fiction
(2011년)
수상자 없음
(2012년)

파일:mma_logo_white.png
아티스트상
소녀시대
(2009년, 2010년)
비스트
(2011년, 2012년)
샤이니
(2013년)

}}} ||
연도 시상식 부문
2010년 제19 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신인상
유니버설 뮤직골드디스크
제4 회 Mnet 20's Choice스무디 쿨스타상
아시아송 페스티벌아시아 인플루엔셜 아티스트상
제11회 대한민국 영상대전포토제닉상 가수부문
2011년제25회 골든디스크 어워즈신인상
제20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본상
제5회 Mnet 20's Choice핫 퍼포먼스스타상
제2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문화체육관광부장관표창
제3회 멜론뮤직어워드TOP10
아티스트상[39]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남자 그룹상
KBS 가요대축제올해의 노래상
2012년제26회 골든디스크 어워즈음반부문 본상
음반부문 쎄씨 K-POP 아이콘상
디지털음원부문 MSN 인터내셔널상
제7회 아시아 모델상 시상식BBF 인기가수상
제21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본상
제26회 일본 골드디스크상아시아부문 베스트 3 뉴 아티스트
제1회 가온차트 K-POP 어워드앨범부문 2분기 올해의 가수상
2012년 제4회 멜론뮤직어워드TOP10
네티즌인기상
아티스트상
2013년제27회 골든디스크 어워즈음반부문 본상
음반부문 JTBC 베스트아티스트상
제5회 멜론뮤직어워드TOP10
뮤직비디오상
2014년제28회 골든디스크 어워즈음반부문 본상
음반부문 인기상
제6회 멜론뮤직어워드TOP10
네티즌인기상
SBS 가요대전 SUPER5TOP10
제23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본상
2015년제29회 골든디스크 어워즈음원부문 본상
남자그룹 베스트 퍼포먼스상
제24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본상
최고음반상
2016년제30회 골든디스크 어워즈음반부문 본상

7. 팬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이트(하이라이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트(하이라이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이트(하이라이트)#|]][[라이트(하이라이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여담

8.1. Ordinary 의상 콘셉트

앨범 속지에 실린 사진과는 달리, 방송 활동 의상이 계절 감각을 심하게 무시해 비스트 코디 담당인 인트렌드는 팬들에게 신나게 까이는 중. 타이틀 곡인 YeY는 시원한 여름 댄스곡으로 나온 것이지만, 정작 실제 활동 의상은 춘추복... 더욱 무서운 것은 이렇게 입고 야외 행사를 뛴다는 것.

2015년 7월 30일 컬투쇼에 출연했을 때도 DJ가 이기광의 목폴라를 보고 지적을 했는데, 이에 이기광은 몸이 냉해서 그렇다고 대답했다. 사실 여기에는 업계의 사정이 있는데, 특정 브랜드[40]의 가을/겨울 신상 의상 협찬을 미리 받다 보니 생긴 일이라고 한다.

게다가 앨범 속지 사진과 실제 활동 의상의 콘셉트도 서로 안 맞는다. 원래는 앨범 사진의 의상 콘셉트와 실제 활동 의상 콘셉트가 일치하는 게 일반적이다.

앨범 속지 사진의 경우 90년대 복고풍 콘셉트로, 이기광이 쓴 모자는 패션 잡지에서 올여름 유행 아이템으로 추천한 것이다.

그리고 YeY의 분위기를 생각하면 사실, 앨범 속지 콘셉트로 쭉 가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다. 비록 의류 매장에서는 8월에 미리 가을/겨울 의상을 내걸기는 하지만, 팬들은 가수의 무대까지 굳이 그렇게 해야 하느냐고 소속사를 맹렬히 성토 중. 게다가, 아무리 가을/겨울 신상 홍보 때문이라 하더라도, 그 가운데서 시원한 옷을 골라서 입힐 수도 있는데 하필이면 무거운 질감의 옷만 골라서 입혔다는 점에서 코디의 센스가 의심받고 있다. 팬들의 지적을 받아들였는지 8월 방송부터는 민소매 의상이 많이 보이고 있다.

8.2. 아육대 역조공 스티커

2015년 추석 특집 아육대 녹화 때 그것을 보러 간 팬들에게 큐브 아이돌[41]들이 일명 큡버거라 불리는 역조공을 했다.[42] 문제가 된 것은 역조공 햄버거가 들어간 봉투에 큐브 아이돌 중 비스트의 이름만 빠졌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2016년 비스트 계약 만료와 연관지어 이야기가 나오는 등 팬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다. 큐브는 아무런 입장을 내놓지 않는 중.

8.3. 음반 오타

2014년 10월에 발매된 스페셜 미니 7집 'Time'의 CD 북클릿 맨 뒷장에서는 용준형의 영문 이름이 누락 되고 양요섭의 영문 이름이 두 번 표기되는 심지어 '양'요섭의 성 'YANG'을 'YAGN'으로 오타까지 내는 만행을 볼 수 있다. 오타를 발견한 팬들이 SNS를 통해 퍼트렸고 양요섭은 24일 자신의 트위터에 “YANG인데 YAGN 아니고. 회사 내에서 성희롱[43] 하는 거 신고할 수 있죠?”라는 글과 “큐브에서 앞으로 열심히 일하라고 지어준 이름 YAGN요섭. 야근요섭은 오늘도 힘차게 살아보려 합니다. 야근하시는 모든 회사원 분들 힘내세요. 야근요섭이 있잖아요! 파이팅”이라는 글을 연달아 올렸다. 한참 뒤에야 소속사가 사과문을 올렸다.

2015년 8월에 발매된 미니 8집 'Ordinary' 앨범의 겉 케이스의 트랙리스트에서는 I Think I Love 'You'가 I Think I Love 'Tou'라고 적혀있는 만행을 볼 수 있다. 한번도 아니고 두번이나 심지어 북클릿도 아니고 겉케이스에... 심지어 이 사건에 대해 큐브는 어떤 피드백도 하지 않았다.

사실 큐브는 그 후로도 계속 소속 그룹 앨범에 오타를 종종 내곤 했는데, 대표적으로 멤버의 생일이나 이름, 수록곡 제목에 오타를 낸 경우가 있다.

9. 둘러보기



[ 그룹 ]
||<tablewidth=100%><bgcolor=#006ebd><tablebgcolor=#ffffff,#191919><rowbgcolor=#fff><tablecolor=#000,#fff><rowcolor=#fff><width=100000> 데뷔년도 ||<width=30%><bgcolor=#006ebd> 아티스트 ||<width=30%><bgcolor=#006ebd> 비고 ||
2009년 4minute -
비스트 -
2012년 비투비 -
2015년 CLC -
2016년 펜타곤 -
2018년 (여자)아이들 -
가을로 가는 기차 -
2021년 LIGHTSUM -
2024년 NOWADAYS -
[ 솔로 ]
||<tablewidth=100%><bgcolor=#006ebd><tablebgcolor=#ffffff,#191919><rowbgcolor=#fff><tablecolor=#000,#fff><rowcolor=#fff><width=100000> 데뷔년도 (솔로 기준) ||<width=30%><bgcolor=#006ebd> 아티스트 ||<width=30%><bgcolor=#006ebd> 비고 ||
2008년 마리오 -
2009년 이기광 -
2010년 현아 -
2010년 G.NA -
2010년 조권 -
2012년 용준형 -
신지훈 -
2013년 오예리 -
2017년 유선호 -
2017년 전소연 걸그룹 (여자)아이들 멤버
2019년 라이관린 Wanna One 출신
2022년 미연 걸그룹 (여자)아이들 멤버
2024년 후이 보이그룹 펜타곤 멤버
우기 걸그룹 (여자)아이들 멤버
진호 보이그룹 펜타곤 멤버
2025년 민니 걸그룹 (여자)아이들 멤버

파일:유튜브 뮤직 로고.svg파일:유튜브 뮤직 로고 화이트.svg
역대 국내 음악 베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방탄소년단
Dynamite
아이유
에잇
창모
METEOR
지코
아무노래
브라운 아이즈
벌써 일년
장범준
흔들리는 꽃들 속에서 네 샴푸향이 느껴진거야
방탄소년단
작은 것들을 위한 시
iKON
사랑을 했다
모모랜드
뿜뿜
BLACKPINK
Really
폴킴
모든 날, 모든 순간
아이유
밤편지
임재현
사랑에 연습이 있었다면
케이시
그때가 좋았어
박효신
야생화
에일리
첫눈처럼 너에게 가겠다
멜로망스
선물
아이유
좋은 날
싸이
강남스타일
소녀시대
Gee
2NE1
내가 제일 잘 나가
BIGBANG
뱅뱅뱅
프라이머리
자니
아이유
잔소리
비스트
비가 오는 날엔
테이
사랑은...향기를 남기고
TWICE
CHEER UP
BIGBANG
FANTASTIC BABY
윤종신
좋니
볼빨간사춘기
좋다고 말해
SG워너비
죄와 벌
태양
눈, 코, 입
T-ARA
Roly-Poly
BIGBANG
하루하루
버즈
겁쟁이
휘성
With Me
여자친구
시간을 달려서
소유 & 정기고
어반자카파
널 사랑하지 않아
브라운 아이드 소울
정말 사랑했을까
에픽하이
Love Love Love
백아연
이럴거면 그러지말지
보아
No.1
2NE1
I Don't Care
김건모
잘못된 만남
브라운아이드걸스
Abracadabra
미쓰에이
Bad Girl Good Girl
씨야
여인의 향기
보아
아틀란티스 소녀
포지션
I Love You
원더걸스
Nobody
백지영
사랑 안해
버스커 버스커
벚꽃 엔딩
한동근
이 소설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엄정화
Poison
김현정
그녀와의 이별
Zion.T
꺼내 먹어요
Apink
NoNoNo
씨스타
나혼자 (Alone)
이효리
10 minutes
쿨(COOL)
애상
DJ DOC
Run to You
원더걸스
Tell Me
구창모
희나리
이수영
휠릴리
이승철
안녕이라고 말하지마
조성모
아시나요
김범수
보고 싶다
김현식
비처럼 음악처럼
박효신
좋은사람
김민우
사랑일뿐야
전람회
기억의 습작
신승훈
미소 속에 비친 그대
조성모
슬픈 영혼식
김현식
내 사랑 내곁에
이문세
사랑이 지나가면
서태지와 아이들
난 알아요
아이비
유혹의 소나타
김건모
핑계
마로니에
칵테일 사랑
황치훈
추억 속의 그대
패닉
달팽이
한동준
너를 사랑해
조덕배
꿈에
이문세
난 아직 모르잖아요
김현철
그대안의 블루
이선희
J에게
015B
아주 오래된 연인들
듀스
여름안에서
변진섭
희망사항
송창식
고래사냥
혜은이
감수광
이광조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
조용필
허공
이장희
그건 너
조용필
단발머리
핑클
영원한 사랑
god
god
거짓말
AKMU
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 거지
같이 보기: 역대 국내 음악 베스트 | 역대 국내 댄스 베스트 | 역대 국내 발라드 베스트 | 역대 국내 록발라드 베스트 | 역대 국내 록/얼터너티브 베스트
출처 : #
}}}}}}}}} ||


파일:하이라이트(아이돌) AFTER SUNSET 로고 화이트.svg

{{{#!folding [ 전 멤버 ]

[ 앨범 목록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fff><width=25%>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0086432.jpg
||<width=25%>
파일:external/image.bugsm.co.kr/20099969.jpg
||<width=25%>
파일:CELEBRATE.jpg
||<width=25%>
파일:Highlight OUTRO.jpg
||
[[CAN YOU FEEL IT?(하이라이트)|
CAN YOU FEEL IT?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e2c2c"
[[CALLING YOU|
CALLING YOU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4b36"
[[CELEBRATE(하이라이트)|
CELEBRATE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1dfc9"
[[OUTRO|
OUTRO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c2026"
파일:하이라이트-미니 3집 the blowing 표지.jpg
파일:Highlight DAYDREAM.jpg
파일:AFTER SUNSET 앨범아트.jpg
파일:하이라이트_SwitchOn.jpg
[[The Blowing|
The Blowing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d79b5d"
[[DAYDREAM(하이라이트)|
DAYDREAM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12B37"
[[AFTER SUNSET|
AFTER SUNSET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221e1f"
[[Switch On|
Switch On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221e1f"
[ 관련 문서 ]


[1] 2017년 2월 24일 하이라이트로 팀명을 개명했다.[2] 하이라이트 미니 6집 선공개곡을 발매하였다.[3] 댄스와 발라드를 합친 "댄라드"로 불리기도 했다. 특히 〈12시 30분〉 같은 곡.[4] 멤버 5인이 큐브엔터테인먼트와 재계약하지 않고 새로 어라운드어스엔터테인먼트를 설립했지만, 그룹명의 상표권은 큐브에 귀속되어 있기에 이름 자체는 큐브에 남아있는 상태였는데, 2024년 4월 2일 큐브엔터테인먼트와 상호간의 합의로 상표권을 돌려 받았으나 현재 소속사에서 하이라이트 이름을 계속 쓴다고 밝혔다.[5] 2016년 《Highlight》 활동 때 "So 비비비비스트 안녕하세요, 비스트입니다." 라는 새로운 구호를 쓰기도 했다.[6] 비스트로 활동할 때 마지막 음반명이자 수록곡 제목이다.[7] 늦은 나이에 춤을 배웠지만, 누구보다 열심히 연습해서 발 지문이 없어졌다고 한다...[8] 자기가 잘하는 걸 너무 잘 안다고...[9] 방출되었다고 잘못 알려져 있다.[10] 많이 부러웠다며 방송에서 말했다. 양요섭은 마이크를 뺏고 싶었다고 했고, 윤두준은 댄싱슈즈를 엄청 신어보고 싶다고 했다.[11] JYP에 입사한 계기가 굉장히 재밌는데, 코끼리 왕돈가스를 먹으며 장현승이 출연하는 빅뱅 다큐멘터리를 보다가 비슷한 또래들은 벌써 가수의 꿈에 다가왔는데, 자신은 팬티차림으로 돈가스나 먹고 있다고... 생각해서 공채를 봤다고 한다.영상[12] 본인이 직접 방송에서 언급했으며 방출되었다고 잘못 알려져 있다.[13] 하트 이모티콘은 멤버들의 고유색 (?) 같은 것인데 CELEBRATE 활동 당시 각각 색의 풍선으로 사진을 찍으면서 확실해졌다. 그리고 동물은 팬들이 성격이나 이미지같은 것을 보고 정해준 것[14] 멤버들을 묶어서 말할 때 '윤양이손', '💙💛💚💜', '⚽🐑🎴🖐', '🍑🍋🍒🍇', '🐶🐹🐿🐘' 등으로 표시하기도 한다[15] 축구돌[16] 원래는 살구지만 복숭아 이모티콘으로 대신한다[17] '양'요섭[18] 이기'광'[19] 빨강 머리를 두 번(섀도우, 사랑했나봐)하기도 했고 AJ 시절 체리보이 광고[20] '손'동운[21] 별명 중 라임'코끼리'가 있다[22] 알다시피 이기광은 조기입학으로 인해 1989년생들과 친구다. 즉, 막내인 손동운을 제외한 나머지 멤버들이 친구다![23] 이전에 말 두마리에 양요섭이 있었으나 양요섭은 1990년 1월 5일생에 음력, 입춘으로 하면 뱀띠가 맞아서 바꿨다. 뱀만 2마리 거기다 탈퇴한 장현승, 용준형까지 합하면 4마리...[24] 음악방송에선 BEAST라고 쓰고 앨범이나 시즌그리팅 같은 굿즈에서는 B2ST를 사용한다. 두 이름을 병행해가며 사용하니 둘 다 틀린 이름이 아니다. 추가로 2에다가 가운데 선을 긋는 것도 비스트 엠블럼으로 쓰인다.[25] 실제로 비스트 엠블럼을 만들 때 'B' 부분의 획을 살짝 바꾸고 '2'에다가 선을 긋는 방식으로 하니까 컴퓨터로 작업할 때 참고하자.[26] ∀는 명제와 논리에서 '모든~에 대해'를 의미한다. Δ는 그리스 문자로 델타를 의미하며 이는 물리와 수학에서 대체로 변화량을 의미하며 라플라스 연산자 중 하나로도 이용된다. ∑는 대문자 시그마로 그리스 문자다. 수학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학문에서 합산을 의미하며 위,아래에 첨자를 달아 구간을 정해준다. 간혹 구간이 정해지지 않은 경우도 있는 데 이 경우는 구간을 정하기 힘들어서이다.[27] '동쪽의 우뚝 선 소년들'이라는 의미도 추가되었다.[28] 이 이름은 멤버들에게 춤을 가르치던 흑인 댄서가 '멋지다'는 뜻의 'So Beast'라는 말을 한 것에서 착안했다고 한다.[29] 비스트가 데뷔한지 7년이나 지나 이제서야 등록을 하는 점, 심지어 10월 재계약을 앞두고 있었던 점을 보면 팀 이름을 빌미로 비스트를 잡겠다는 의도로만 보일 수밖에 없다.[30] 앞으로 10년간 비스트라는 이름의 상표권은 큐브에게 있다. 10년이 지난후에는 그 상표권을 연장할 권리 또한 큐브에게 있다.[31] 엑소 팬덤과와 공식색 논란도 있었지만 엑소 데뷔 전에 지정된 엄연히 구 비스트 즉, 현 하이라이트의 공식색이다. 한때 이 분쟁으로 시끌벅적했었다.[32] 발표한 지 12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워터밤이나 세계관광문화대전 등 큰 행사에서 아름다운 밤이야를 선곡한다.[33] 2014년부터 양요섭과 이기광도 작곡에 참여한다.[34] 12시 30분과 리본은 주간아이돌 2배속 댄스를 시도조차 못할 정도로 엇박에 빠른 박자의 춤이라고.[35] 하우신은 자신의 트윗 관련(모 아이돌이 자신의 안무(비스트 곡으로 추정된다.)를 표절했다. 비스트 안무영상을 왜 자기가 올려야하나.)과 비스트를 이용한 팀과 학원 홍보 등으로 인해 팬덤과 마찰이 심했는데, 어느날 유튜브에 올라온 비스트 안무연습영상을 다 지워버리는 짓을 저지른다. 팬들은 빨리 하우신과 헤어지길 비는 상태. 안무가로서의 능력은 탁월할지 모르나, 멘탈이 영... 요즘은 안무도 별로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36] 19번 수상으로 2014년 음악방송 최다 수상 2위이다. 1위는 에이핑크의 21번[37] 2005년에 대상을 시상하고 3년간 시상을 하지 않았다가 2009년 ~ 2011년, 2013년에 시상을 하였다. 이때는 시청자들의 인기투표로 대상 수상자를 결정하였다.[38] 2011년부는 올해의 노래상으로 시상.[39] 남자 그룹 최초 3대 대형기획사 (SM, YG, JYP) 출신이 아닌 남자 그룹 대상이다. 이는 방탄소년단 이전까지 유일한 중소돌 대상 수상이었다.[40] 'off white라는 브랜드로 2014년 여름 굿럭 활동 때도 이 브랜드 의상을 협찬받았지만, 그래도 당시 의상은 지금 의상처럼 무거운 분위기는 아니었다.[41] 포미닛, 비투비, CLC, 비스트[42] 녹화를 보러 간 팬에게 아이돌이 도시락 등의 식사나 편의도구를 주는 것을 역조공이라 일컫는다.[43] 성씨를 가지고 놀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