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8 18:04:02

J에게

파일:MBC 로고(1981-1985).svg 10대 가수 가요제
최고 인기 가요상
조용필
〈나는 너 좋아〉
(1983년)
이선희
〈J에게〉
(1984년)
김범룡
바람 바람 바람
(1985년)
<colbgcolor=#fff><colcolor=#440e00> J에게
Dear J
파일:제5회 MBC 강변가요제 앞면.jpg
가수 이선희
발매일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1984년 8월 25일[A]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1985년 1월 25일[B]
장르 발라드
작사 이세건
작곡
편곡 정경천
재생 시간 3분 5초
수록 음반
노래방 688
539

1. 개요2. 가사
2.1. 원곡 버전2.2. 양준일 버전
3. 여담


1. 개요


1984년 7월 29일, 제5회 MBC 강변가요제이선희를 주축으로 한 '4막5장'이 부른 노래이다. 80년대를 주름잡았고, 데뷔한 지 30년이 넘어서도 계속 전성기를 보내고 있는 이선희라는 가수를 등장시킨, 이선희의 데뷔곡. 강변가요제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이선희는 고등학생 때 가수가 되고 싶어 당시 유명했던 가수 장욱조의 사무실을 찾아 오디션을 보았는데, 오디션 결과는 좋았지만 사무실에서 제시한 레슨료를 감당하기 어려워서 발을 돌린 적이 있다. 그때 마침 사무실에서 한 무명의 작곡가가 "이 노래는 아무도 안 불러"라고 한탄하며 악보를 쓰레기통에 버리는 것을 우연히 본 이선희는 그 작곡가에게 "이거 제가 가져갈 수 있을까요?"라고 물어봤고, 맘대로 하라는 말에 가져가서 3년 동안 고이 모셔뒀다가 강변가요제에 신청할 때 이 곡으로 신청하여 예선을 통과했다. 당시 악보를 버린 작곡가가 바로 이세건이다. 작사 비화 이선희는 강변가요제 이후 원 저작권자인 이세건에게 저작권료를 지불했다고 한다. 이세건 작곡가는 J에게를 통해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게 된 이후 임창정의 '거짓 같은 진실' 등 많은 명곡을 작곡하게 된다.

같은 대학의 다른 선배들은 아마추어 실력의 자작곡으로 강변가요제 예선 접수를 했지만 모두 탈락했고, 이 노래만 예선을 통과할 수 있었다. 예선 탈락으로 좌절하던 다른 선배들에게 이선희가 본인의 예선 통과를 알리자 선배들이 자신들의 이름만이라도 올릴 수 없냐고 해서 '4막 5장'[3]이라는 팀으로 가요제에 출연하게 되었다.

정규 앨범 한 장 없이 오직 이 곡 하나만으로 KBS 가요톱텐에서 5주 연속 1위를 하여 골든컵을 차지했고, 1984년 KBS 가요대상 신인상, '84 MBC 10대가수 가요제 최고 인기가요상, 신인상, 10대 가수상으로 최초 3관왕에 오르는 등 데뷔 직후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워낙 히트곡인지라 많은 가수들에 의해 리메이크 되거나 커버곡으로 불렸다. 원로가수인 최희준이 1986년 가요무대에서 부르기도 했고#, 나훈아, 양준일, 그리고 이선희의 제자인 이승기가 남성 버전으로 리메이크하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양수경 4집 ASIAN DREAM에도 이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LP 음반 4번 트랙이 이 곡이며, 물론 방송에는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 일본에서는 엔카가수인 계은숙[4]과 카도쿠라 유키 그리고 코야나기 유키[5]에 의해 일본어로 리메이크 되었다.

2. 가사

2.1. 원곡 버전

대부분의 리메이크 또한 원곡 가사를 따른다.
J 스치는 바람에
J 그대 모습 보이면
난 오늘도 조용히
그대를 그리워하네
J 지난밤 꿈속에
J 만났던 모습은
내 가슴 속 깊이
여울져 남아있네

J 아름다운 여름날이
멀리 사라졌다 해도
J 나의 사랑은
아직도 변함없는데
J 난 너를 못 잊어
J 난 너를 사랑해
J 우리가 걸었던
J 추억의 그 길을
난 이 밤도 쓸쓸히
쓸쓸히 걷고 있네

J 아름다운 여름날이
멀리 사라졌다 해도
J 나의 사랑은
아직도 변함없는데
J 난 너를 못 잊어
J 난 너를 사랑해
J 우리가 걸었던
J 추억의 그 길을
난 이 밤도 쓸쓸히
쓸쓸히 걷고 있네

쓸쓸히 걷고 있네

2.2. 양준일 버전


원곡에 없는 영어 파트가 있다. 진하게 처리된 버전이 영어 파트.
J 스치는 바람에
J 그대 모습 보이면
난 오늘도 조용히
그댈 그리워하네
J 지난 밤 꿈속에
J 만났던 모습은
내 가슴 속 깊이
여울져 남아 있네

J 아름다운 여름날이
멀리 사라졌다 해도
J 나의 사랑은
아직도 변함 없는데
J 난 너를 못 잊어
J 난 너를 사랑해
J 우리가 걸었던
J 추억의 그 길을
난 이 밤도 쓸쓸히
쓸쓸히 걷고 있네

J I remember the streets we used to walk
Now I walk those streets alone thinking about you
You may not remember the moments that we shared
But I treasure those times deep in my heart
And you know I'll always love you till the end of time

J 아름다운 여름날이
멀리 사라졌다 해도
J 나의 사랑은
아직도 변함없는데
J 난 너를 못 잊어
J 난 너를 사랑해
J 우리가 걸었던
J 추억의 그 길을
난 이 밤도 쓸쓸히
쓸쓸히 걷고 있네

쓸쓸히 걷고 있네

3. 여담

  • 이 곡으로 인해 이선희 자신이 가수로 데뷔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데뷔하자마자 큰 인기를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인지 인터뷰에서 여러 차례 본인이 가장 애착이 가는 곡이라고 했다.
  • 이선희의 오랜 팬들은 이 곡이 세상에 나왔던 날이자 이선희의 데뷔일인 1984년 7월 29일을 "J-Day"라고 칭하며 매년 기념한다.
  • 1984~1985년은 땡전뉴스가 나오고 있던 시기였기 때문에 이 곡의 첫 부분을 "J~ 9시 뉴스에~"라고 부르며 전두환 대통령과 땡전뉴스를 비판하던 사람들도 있었다.[6]주로, 시위대였지만 일반인들도 언론 상황에 대해 자조적으로 부르기도 했다고.
  • 1985년 1월 22일에 방영된 전원일기 205화 무지개를 찾아서편에 사용되었다.
  • 연세대학교 응원단의 연고전 응원가로도 쓰인다.(부분각색)
  • 2015년 한화 이글스에서 뛰었던 용병 나이저 모건의 응원가로도 쓰였던 적이 있으며, 모건이 방출된 이후로는 김경언이 물려받았다.
  • 북한에서 잘 알려진 남한의 노래 중 하나이다.
  • 히든싱어3 '이선희' 편 1라운드 미션곡으로 선정되었다. #
  • 이 곡에서 이름을 딴 수제맥주가 출시되었다.[7] 피치에일, 라거 두 종류로 출시되었으며, 전국 편의점과 마트에서 판매하고 있다.
  • 2023년부터 이승기 버전의 J에게가 SSG 랜더스응원가로 쓰이고 있다.

[A] 제5회 MBC 강변가요제[B] 이선희 1집[3] 남자 멤버의 이름은 임성균인데 라디오 스타에 따르면 김구라 친구의 사촌형이라고 한다.[4] 아역 출신 가수로 일본에는 1985년 데뷔했다. NHK 홍백가합전 7회(연속) 출전으로 역대 한국인 최다 출전 기록을 가지고 있다[5] KOYANAGI the COVERS PRODUCT 2의 8번 트랙[6] 다만 전두환의 전은 Chun으로 표기한다. 전두환이 한창이던 때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도 정해지지 않은 시기였고 인명은 고유명사라 본인의 요청에 따라 표기법을 무시하고 표기한다.[7] 스퀴즈 브루어리의 '추억소생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출시되었으며, 캔에는 이선희의 모습에 새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