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8 15:50:22

멜론 뮤직 어워드


파일:카카오엔터테인먼트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3%; display:inline-block"
{{{#!folding [ 미디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미디어
플랫폼 카카오TV (오리지널) | MUSE : 뮤즈 (캐스팅)
시상식 Ready Model Awards (모델)
소속사 BH | | 제이와이드 | 어썸이엔티 | VAST | 킹콩 (배우)
레디엔터테인먼트 (모델)
영상 콘텐츠 제작 메가몬스터 | 로고스필름 | 글앤그림 | 바람픽쳐스 | 크로스픽쳐스 | 크래들스튜디오 | 쓰리와이코프레이션 | 오오티비 | 안테나 플러스 (방송)
영화사월광 | 사나이픽처스 | 영화사집 (영화)
글라인 (크리에이터)
영상 스트리밍 기술 아이앤아이소프트 (디지털 콘텐츠 기술)
콘텐츠 커머스 및 마케팅 그레이고 | 메종드바하 | 클로브클럽 | 돌고래유괴단 | 스튜디오좋 | 파괴연구소 | 글링크미디어 (커머셜)
}}}}}}}}}
[ 뮤직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ffcd00><color=#000000><-2> 뮤직 ||
플랫폼 멜론 (음원)
유튜브 1theK (뮤직 비디오) | 1theK Originals (웹예능) | 노래는 듣고 다니냐 (음악)
소속사 IST | EDAM | 스타쉽 | 하이라인 | 하이업 | 안테나 (가수)
제작사 쇼노트 (공연)
시상식 멜론 뮤직 어워드 (음악)
[ 스토리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ffcd00><color=#000000><-2><:>스토리||
국내 유통 플랫폼 카카오웹툰 (웹툰)
카카오페이지 (웹툰, 웹소설)
카카오페이지 스테이지 (웹소설 연재)
해외 유통 플랫폼 카카오웹툰 | 크로스코믹스 (웹툰)
타파스 (웹툰, 웹소설)
래디쉬 | 우시아월드 (웹소설)
콘텐츠 제작 및 유통 타파스엔터테인먼트 | 삼양씨앤씨 | 다온크리에이티브 | 알에스미디어 | 케이더블유북스 | 레전더리스 | 인타임 | 필연매니지먼트 | 슈퍼코믹스스튜디오 | 넥스트레벨스튜디오 | 사운디스트엔터테인먼트 | 키위바인
||


대한민국의 대중음악 시상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f_logo.png 파일:서울 가요 대상.png 파일:마마 어워즈 로고.svg 파일:한국대중음악상 로고.png 파일:멜론 뮤직 어워드 로고.svg
파일:써클logo.png 파일:아시아아티스트어워즈 로고.png 파일:gma_logo.png 파일:tma로고.png 파일:하트드림어워즈 로고.png }}}}}}}}}
멜론 뮤직 어워드
Melon Music Awards
파일:멜론 뮤직 어워드 로고.svg
<colbgcolor=#10f860><colcolor=#000>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
주최 파일:카카오엔터테인먼트 로고.svg파일:카카오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첫 시상년도 2009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folding 역대 멜론 뮤직 어워드 로고 2019 ~ 파일:멜론 뮤직 어워드 2020 로고.png
2016 ~ 2018 파일:mma_logo_white.png
2010 ~ 2015 파일:2011102400575_0.jpg }}}

1. 개요2. 시상 부문3. 대상 연혁
3.1. 온라인 (2005년 ~ 2008년)3.2. 대면 시상식 개최 이후 (2009년 ~ 현재)
4. TOP10 연혁5. 역대 시상식6. 여담

[clearfix]

1. 개요

국내 최대 음원 서비스인 멜론에서 주최하는 음악 시상식이다.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서 주최하는 시상식인 만큼 대한민국의 대중음악 시상식 중에서 드물게 음원 중심의 시상식으로, 음반 판매량이나 유튜브 조회수 등은 집계되지 않는다.[1]

2009년 12월 16일, 서울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제1회 멜론 뮤직 어워드'를 정식으로 개최하면서 지금과 같은 시상식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2]

2. 시상 부문

MMA 시상 부문
<colbgcolor=#10f860><colcolor=#000> 대상 올해의 아티스트 최고 인기 아티스트 (음원 60% + 심사 20% + 투표 20%)[3]
올해의 앨범 최고 인기 앨범 (음원 60% + 심사 20% + 투표 20%)[4]
올해의 베스트송 최고 인기 곡 (음원 60% + 심사 20% + 투표 20%)[5]
올해의 레코드 올해 가장 주목할 만한 음악적 성취를 이룬 아티스트와 그 제작자 (심사 100%)
주요상 올해의 신인 최고 인기 신인 (음원 60% + 심사 20% + 투표 20%)
TOP10 가장 사랑 받은 아티스트 10팀 (음원 80% + 투표 20%)
베스트상 베스트 솔로 남자 최고 인기 솔로 남자 (음원 60% + 심사 20% + 투표 20%)
베스트 솔로 여자 최고 인기 솔로 여자 (음원 60% + 심사 20% + 투표 20%)
베스트 그룹 남자 최고 인기 그룹 남자 (음원 60% + 심사 20% + 투표 20%)
베스트 그룹 여자 최고 인기 그룹 여자 (음원 60% + 심사 20% + 투표 20%)
베스트 컬래버레이션 최고 컬래버레이션 팀 (음원 70% + 심사 30%)
베스트 뮤직스타일 자신만의 장르색과 스타일로 큰 공감을 끌어낸 아티스트 (심사 100%)
베스트 OST 최고 인기 드라마 삽입곡 (음원 70% + 심사 30%)
베스트 팝 아티스트 최고 인기 팝 아티스트 (음원 70% + 심사 30%)
특별상 ※ 특별상은 멜론 뮤직 어워드 공식 홈페이지 참고
  • 2018년부터 '대상'에 '올해의 레코드'가 추가되었다. 이후 2020년에 잠깐 폐지되었으나 2021년부터 다시 시상하고 있다.
  • 2010년부터 2020년까지는 '장르상'을 시상했으나 2021년부터는 '장르상'을 폐지하고 '베스트상'을 시상하고 있다.

3. 대상 연혁

3.1. 온라인 (2005년 ~ 2008년)

MMA 역대 대상 연혁
연도 올해의 아티스트 올해의 앨범 올해의 베스트송
2005년 동방신기 SG워너비
《살다가》
에픽하이
《Fly (Feat. Amin. J of Soulciety)》
2006년 신화 김종국
《네 번째 편지》
백지영
《사랑안해》
2007년 신혜성 - 원더걸스
Tell Me
2008년 동방신기 원더걸스
So Hot

3.2. 대면 시상식 개최 이후 (2009년 ~ 현재)

MMA 역대 대상 연혁
회차 연도 올해의 아티스트 올해의 앨범 올해의 베스트송 올해의 레코드
1회 2009년 소녀시대 G-DRAGON
Heartbreaker
소녀시대
Gee
-
2회 2010년 2NE1
To Anyone
2AM
죽어도 못 보내
3회 2011년 비스트 2NE1
2NE1 2nd Mini Album
아이유
좋은 날
4회 2012년 버스커 버스커
버스커 버스커 1집
싸이
강남스타일
5회 2013년 SHINee 버스커 버스커
버스커 버스커 2집
EXO
으르렁
6회 2014년 아이유 god
Chapter 8
태양
눈, 코, 입
7회 2015년 BIGBANG EXO
EXODUS
BIGBANG
뱅뱅뱅
8회 2016년 EXO 방탄소년단
화양연화 Young Forever
TWICE
CHEER UP
9회 2017년 아이유
Palette
방탄소년단
봄날
10회 2018년 방탄소년단 방탄소년단
LOVE YOURSELF 轉 'Tear'
iKON
사랑을 했다
Wanna One
11회 2019년 방탄소년단
MAP OF THE SOUL : PERSONA
방탄소년단
작은 것들을 위한 시
방탄소년단
12회 2020년 방탄소년단
MAP OF THE SOUL : 7
방탄소년단
Dynamite
-
13회 2021년 아이유 아이유
LILAC
방탄소년단
Butter
aespa
14회 2022년 임영웅 임영웅
IM HERO
IVE
LOVE DIVE
방탄소년단
  • 가장 많은 해에 대상을 수상한 가수는 방탄소년단이다. (7년 연속)[7]
  • 올해의 아티스트/앨범/베스트송 3개 부문 대상을 모두 수상한 가수는 EXO (2016년), 아이유 (2017년), 방탄소년단 (2018년)이고, 올해의 아티스트/앨범/베스트송/레코드 4개 부문 대상을 모두 수상한 가수는 방탄소년단 (2019년)뿐이다.

4. TOP10 연혁

MMA 역대 TOP10 연혁
연도 가수
2009년 2NE1 2PM 8eight 다비치 브라운아이드걸스
소녀시대 카라 케이윌 G-DRAGON SUPER JUNIOR
2010년 2AM 2NE1 2PM 소녀시대 아이유
이승기 티아라 포맨 CNBLUE DJ DOC
2011년 2NE1 리쌍 박정현 비스트 시크릿
씨스타 아이유 BIGBANG f(x) SUPER JUNIOR
2012년 2NE1 버스커 버스커 비스트 싸이 씨스타
아이유 인피니트 티아라 허각 BIGBANG
2013년 다비치 다이나믹 듀오 버스커 버스커 비스트 씨스타
아이유 에일리 EXO G-DRAGON SHINee
2014년 2NE1 걸스데이 비스트 씨스타 아이유
태양 AKMU EXO god WINNER
2015년 소녀시대 씨스타 토이 혁오 Apink
BIGBANG EXO San E SHINee Zion.T
2016년 마마무 방탄소년단 여자친구 지코 태연
AKMU BewhY EXO Red Velvet TWICE
2017년 방탄소년단 볼빨간사춘기 아이유 헤이즈 BIGBANG
EXO Red Velvet TWICE Wanna One WINNER
2018년 마마무 방탄소년단 볼빨간사춘기 비투비 Apink
BLACKPINK EXO iKON TWICE Wanna One
2019년 마마무 방탄소년단 볼빨간사춘기 엠씨더맥스 잔나비
장범준 청하 태연 헤이즈 EXO
2020년 김호중 방탄소년단 백예린 백현 아이유
오마이걸 임영웅 지코 BLACKPINK IZ*ONE
2021년 릴보이 방탄소년단 아이유 이무진 임영웅
헤이즈 aespa AKMU ASH ISLAND NCT DREAM
2022년 멜로망스 방탄소년단 세븐틴 아이유 임영웅
BE'O IVE NCT DREAM NewJeans (여자)아이들
MMA 역대 최다 TOP10 수상자
순위 가수 수상 횟수
1 아이유 9회
2 방탄소년단, EXO 7회
3 2NE1, 씨스타 5회
4 비스트, BIGBANG 4회
5 마마무, 볼빨간사춘기, 소녀시대, 임영웅, 헤이즈, AKMU, TWICE 3회

5. 역대 시상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멜론 뮤직 어워드/역대 시상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연도별 시상식에 관한 여담에 대한 내용은 멜론 뮤직 어워드/역대 시상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2019년부터는 TV 중계를 더 이상 하지 않고 있는데, 2021년까지는 카카오TV유튜브에서 온라인 생중계로만 진행했다. 2022년부터는 국내에서는 카카오TV뿐만 아니라 OTT인 웨이브에서도 생중계를 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1theK의 유튜브 채널에서 생중계를 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현지 OTT인 U-NEXT, 인도네시아에서는 CXO Media, 베트남에서는 FPT Play에서 실시간 중계를 제공한다.
  • 온라인 생중계로 시상식을 진행하면서 TV 중계에서는 심의에 걸리는 노래도 공연이 가능해졌고 다른 시상식과 차별성을 둘 수 있었다.[9]

[1] 실제로 대상 중 하나인 '올해의 앨범'은 다른 시상식과 달리 그해의 음반 판매량 1위에게 시상하는 것이 아닌, 그해의 앨범 누적 스트리밍량 1위에게 시상한다.[2] 2005년부터 2008년까지는 온라인으로 결과만 발표했다.[3] 'TOP10' 투표 점수는 올해의 아티스트 점수에도 반영.[4] 프로듀서도 함께 상 수여.[5] 작곡/작사가도 함께 상 수여.[6] 2019년 당시 8개로 역대 가장 많은 대상을 수상했고 이후 경신했다.[7] 2020년 당시 멜론 뮤직 어워드 최초로 5년째 대상을 수상하며 가장 많은 해에 대상을 수상했고 이후 경신했다.[8] 2019년 멜론 뮤직 어워드 최초로 모든 부문 대상을 동시에 수상했고, 2020년 2년 연속으로 모든 부문 대상을 동시에 수상했다.[9] 실제로 2022년, (여자)아이들이 'TOMBOY'를 CD 버전으로 무대를 선보였다. 그래서 TV 중계였으면 절대 불가능한 "Fucking"과 "Sex"라는 가사가 그대로 송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