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01:19:53

신화(아이돌)



파일:신화(아이돌) 로고.png



[ 한국 음반 ]
||<tablebgcolor=#fff,#1f2023><tablewidth=100%><width=25%><bgcolor=#8E8F94>
파일:신화_해결사.jpg
||<width=25%>
파일:신화_T.O.P..jpg
||<width=25%>
파일:신화_Only One.jpg
||<width=25%>
파일:qESDGFHDGJCFHKGJ.jpg
||
해결사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1998.05.09.
T.O.P.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1999.04.15.
Only One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0.05.27.
First Mythology:
2001 1st Live Concert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1.04.01.
파일:신화_Hey, Come On!.jpg
파일:sdafZSvjhlk.png
파일:SHINHWA5.jpg
파일:신화_너의 결혼식.jpg
Hey, Come On!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1.06.28.
My Choice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2.01.26.
Perfect Man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2.03.09.
너의 결혼식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2.12.27.
파일:신화_The Everlasting Mythology: Shinhwa 2nd Concert.jpg
파일:신화_Winter Story.jpg
파일:신화_Brand New.jpg
파일:How Do I Say.jpg
The Everlasting Mythology:
Shinhwa 2nd Concert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3.10.07.
Winter Story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3.12.30.
Brand New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4.08.27.
How Do I Say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4.08.30.
파일:신화_Winter Story 2004-05.jpg
파일:신화_Hey, Dude!.jpg
파일:신화_Summer Story 2005.jpg
파일:1aeccd52f70a4.jpg
Winter Story 2004-05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4.12.17.
Hey, Dude!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5.04.14.
Summer Story 2005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5.08.05.
Shinhwa 2005 Japan Tour Live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6.03.15.
파일:신화_State Of The Art.jpg
파일:신화 8집 스페셜.jpg
파일:신화_Winter Story 2006-2007.jpg
파일:신화_Winter Story 2007.jpg
State Of The Art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6.05.11.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6.08.16.
Winter Story 2006-2007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7.01.25.
Winter Stroy 2007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7.12.05.
파일:신화_다시 한 번만.jpg
파일:SHINHWA9.jpg
파일:신화 9집 스페셜.jpg
파일:dasfsgvjhkl;dyufugyikul.png
다시 한 번만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8.03.24.
10th Anniversary - RUN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8.04.03.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8.07.03.
The Return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12.03.23.
파일:신화_The Classic.jpg
파일:신화_MEMORY.jpg
파일:dffsagDSF.jpg
파일:신화_아는 사이.jpg
The Classic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13.05.16.
MEMORY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15.02.03.
WE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15.02.26.
아는 사이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16.10.22.
파일:신화_UNCHANGING PART 1 - ORANGE.jpg
파일:신화_UNCHANGING - TOUCH.jpg
파일:신화_SHINHWA TWENTY GIFT SINGLE 'All Your Dreams'.jpg
파일:신화_SHINHWA TWENTY SPECIAL ALBUM 'HEART'.jpg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16.11.29.
UNCHANGING - TOUCH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17.01.02.
SHINHWA TWENTY GIFT SINGLE 'All Your Dreams'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18.03.26.
SHINHWA TWENTY SPECIAL ALBUM 'HEART'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18.08.28.
[ 일본 음반 ]
||<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fff><width=25%><bgcolor=#8E8F94>
파일:R-14348530-1572716912-6546.jpg
||<width=25%>
파일:21TSP35Q9PL._SL500_.jpg
||<width=25%>
파일:P5_G3250193W.jpg
||<bgcolor=#000>
파일:d6a113197e9f72ae14e.jpg
||
Perfect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2.05.15.
Best of Shinhwa 2001–2003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3.09.18.
Precious: Essential Collection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5.03.30.
Inspiration #1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6.08.16.
파일:ea8b8313d559a8.jpg
파일:71iGW-nURrL._SX450_.jpg
僕らの心には太陽がある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6.09.07.
Shinhwa CD Premium Box
~DISCOGRAPHY~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9.04.15.
[ 대만 음반 ]
||<width=10000>
파일:Best Hits Collection 1998–2003.png
||<width=75%><#fff> Best Hits Collection 1998–2003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3.12.16. ||
[ 참여 음반 ]
||<tablewidth=100%><width=20%>
파일:Christmas In SMtown.com.jpg
||<width=20%><bgcolor=#F4292F>
파일:Winter Vacation In SMTOWN.com.jpg
||<width=20%>
파일:SM BEST ALBUM2.jpg
||<width=20%>
파일:Winter vacation in SMTOWN.com.jpg
||
Christmas In SMTOWN.com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1999.12.01.
Winter Vacation In SM Town.com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0.12.01.
SM BEST ALBUM 2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1.05.01.
Winter vacation in
SMTOWN.com Angel eyes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1.12.01.
파일:02 SUMMER VACATION IN SMTOWN.com.jpg
파일:2002 Winter Vacation SMTOWN.com.jpg
파일:2003 Summer Vacation in SMTOWN.Com.jpg
파일:스타싱글앨범 Vol.02.jpg
02 SUMMER VACATION
IN SMTOWN.com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2.06.12.
2002 Winter Vacation
In SMTown.com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2.12.01.
2003 Summer Vacation
in SMTOWN.Com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3.06.23.
스타싱글앨범 Vol.02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4.05.21.
파일:백한번째 프로포즈 OST.jpg
파일:신입사원 OST.jpg
파일:5207416.jpg
파일:SM BEST ALBUM 3.jpg
백한번째 프로포즈 OST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5.01.21.
신입사원 OST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5.05.04.
동화 OST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06.12.20.
SM BEST ALBUM 3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0.1px solid #000; border-width: 1px; color: #000000"
2012.08.10.
[ 관련 문서 ]
||<|2><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FA500,#FFA500><colcolor=#fff><nopad> 활동 ||<width=30%> 활동 ||<width=30%> 음반 ||<width=30%> 노래 ||
콘서트 미디어 신화방송
팬덤 신화창조 굿즈 갤러리
기타 신화컴퍼니 WDJ 타그룹과의 관계
여담 수상 사건 사고
SHINHWA TWENTY SPECIAL ALBUM
『'HEART'』
파일:shinhwa_20th_photo.jpg
<colbgcolor=#ffa500> 왼쪽부터
에릭 · 신혜성 · 이민우 · 김동완 · 앤디 · 전진
<colbgcolor=#ffa500><colcolor=#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a500><tablebgcolor=#ffa500> 파일:신화(아이돌) 로고.png[ruby(신화, ruby=神話)]
SHINHWA
}}}
데뷔일 1998년 3월 24일
(데뷔일로부터 [dday(1998-03-24)]일, [age(1998-03-24)]주년)
데뷔 음반
{{{#!wiki style="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8E8F94"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유닛 신화 WDJ
장르 댄스, 발라드, R&B/Soul
리더 에릭
소속사 신화컴퍼니 (2011. ~ 현재)
{{{-2 {{{#!folding [ 이전 소속사 펼치기 · 접기 ]
유통사 뮤직앤뉴
공식 색
주황색 (Orange)
팬덤 '''[[신화창조|
신화창조
]][[신화창조#|
신화창조
]][[신화창조#s-|
신화창조
]]'''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1. 개요

파일:1495784796.gif
혜성처럼 전진하는 우리는 신화입니다!


1998년 3월 24일에 SM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6인조 보이그룹. 그룹명은 신화(Mythology)에서 유래되었다.

2. 멤버

파일:신화(아이돌) 로고.png
파일:heart_concept_photo_eric.jpg
파일:heart_concept_photo_minwoo.jpg
파일:heart_concept_photo_dongwan.jpg
에릭 이민우 김동완
1979. 02. 16. ([age(1979-02-16)]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리더
메인래퍼


1979. 07. 28. ([age(1979-07-28)]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메인댄서
리드보컬
1979. 11. 21. ([age(1979-11-21)]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리드보컬
파일:heart_concept_photo_hyesung.jpg
파일:heart_concept_photo_junjin.jpg
파일:heart_concept_photo_andy.jpg
신혜성 전진 앤디
1979. 11. 27. ([age(1979-11-27)]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메인보컬
1980. 08. 19. ([age(1980-08-19)]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리드래퍼
리드댄서
1981. 01. 21. ([age(1981-01-21)]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리드댄서
서브래퍼
나이는 에릭(1979년 2월 16일), 이민우(1979년 7월 28일), 김동완(1979년 11월 21일), 신혜성(1979년 11월 27일), 전진(1980년 8월 19일), 앤디(1981년 1월 21일) 순이다. 에릭과 앤디는 둘 다 빠른 년생이지만, 에릭은 데뷔 전 신화 내 79년생들 한정으로 동갑내기 친구로 지내고,[1][2] 앤디는 데뷔 후 전진과 친구로 지낸다. 또한 2025년 기준 래퍼라인인 에릭, 전진, 앤디가 기혼자이다.

최연장자인 에릭이 팀 내에서 리더를 맡고 있다. 신화컴퍼니 내에서는 에릭과 이민우가 공동대표를 맡고 있으며 모든 멤버들이 주주로서 똑같은 지분을 가지고 있다.[3] 결정을 내린 후 최종적으로 서류에 사인하는 일은 에릭이, 비지니스를 위한 미팅은 이민우가 맡아서 한다고 한다.[4]

랩 메이킹은 대부분 에릭이 담당하고 안무 메이킹에는 이민우가 참여해 최종적으로 컨펌한다. 프로듀싱과 디렉팅은 이민우가 주로 맡는다.[5]

3. 특징

1998년 3월 SM엔터테인먼트에서 데뷔하였고, 계약 만료 후인 2003년 7월 굿엔터테인먼트[6]로 이적하였다가 2011년 본인들이 직접 신화컴퍼니를 설립하였다. 데뷔 이후 지금까지 단 한번도 그룹이 해체하거나 멤버의 탈퇴 및 교체가 없었던 대한민국 최장수 아이돌 그룹. 2017년 기준으로 13장의 정규앨범과 7장의 비정규 앨범을 발표하여 대한민국 댄스 그룹 최다 정규앨범 발매 기록을 수립하였다.[7] 음반판매량 정규 싱글 포함 3,553,554장이며(sm 시절7장으로 2,512,648장 소속사 이적후 120만장 이상) 이상 총 71회 1위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99년부터 대중적으로 인기를 모으기 시작했고, 전성기로 간주되는 기간은 2000년대 초반부터 중반이다. 1990년대 후반 전성기를 맞았던 H.O.T.젝스키스는 1세대 선발주자로, 2000년대 초반 전성기를 맞았던 신화와 god는 1세대 후발주자 또는 1.5세대로 분류된다. H.O.T.의 영향으로 신비주의 미소년이 주류이던 1대 아이돌 붐 시장에서 신화는 유일하게 강한 남성미, 탈신비주의, 화려한 댄스 음악 등을 내세우며 차별화에 성공하였다. 데뷔 7년차에 처음으로 가요대상을 수상하며 최전성기를 맞았으며, 지난 20년 동안 1집을 제외한 15개의 모든 활동곡이 음악방송에서 1위를 거두었다. 또한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단독 콘서트를 열 수 있었던 몇 안되는 국내 가수이며,[8] 첫 단독 콘서트, 10주년 기념 콘서트, 20주년 기념 콘서트를 모두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치렀다.

'따로 또 같이'라는 이름으로 아이돌 개인 활동의 보편화를 이끈 그룹이다. 그룹 활동과 개인 활동을 병행한 최초의 아이돌 그룹이자 개인활동으로 대박을 친 몇 안되는 아이돌 그룹. 아이돌 그룹 멤버의 개인 활동이 용인되지 않던 시절 일찍이 멤버 개개인이 솔로 음반, 예능, 드라마, 광고 등 다양한 연예 분야에 도전해 성공을 거두었고, 2000년대 중반에는 방송만 틀면 신화 멤버가 나온다는 소리를 들었을 정도로 왕성한 미디어 활동을 보였다.

트렌드에 절대 뒤쳐지지 않으면서도 신화만의 음악적 색깔을 잃지 않는 것이 강점. 신화를 대표하는 장르는 화려한 사운드의 댄스 음악으로, 댄스를 유독 부각했던 1세대 아이돌 그룹 중에서도 퍼포먼스로 가장 유명하다. 퍼포먼스 측면에서 높은 완성도와 이색적인 시도로 좋은 평가를 받아왔을 뿐만 아니라, 댄스 음악을 하는 그룹도 장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모범적인 사례이다.

3.1. 데뷔 과정

SM엔터테인먼트는 1996년 9월 데뷔 시킨 H.O.T.로 첫 선발주자였던 아이돌 그룹을 대성공을 거둔 뒤 아이돌 시장의 잠재력을 깨닫게 된다. 이에 이수만은 본격적으로 아이돌 산업에 뛰어들기 앞서 차세대 걸그룹과 보이그룹 멤버들을 찾아 발 벗고 나서는데 이렇게 기획된 그룹이 각각 S.E.S.와 신화였다. 당시 다른 기획사들이 그랬다시피 SM 또한 오늘날처럼 연습생을 대규모로 영입해서 장시간 트레이닝 시킬만한 여건이 되지 않았다. 때문에 H.O.T. 멤버들을 모을 때 이미 경험했듯히 처음부터 인기 있고 재능 있는 아이들을 캐스팅 해오는 것이 매우 중요했는데 그런 점에서 신화는 모범적인 캐스팅 사례였다.

1996년 3월에 앤디(본명 이선호)가 연습생으로 발탁되었다. 앤디는 미국 오렌지 카운티 출신으로 어린 시절 이민을 갔고, 중학생 때 H.O.T.의 토니 안과 함께 댄스팀 멤버로 활동하였다. 두 사람은 미국 현지 캐스팅 디렉터 개리 M. 분을 통해 영어랩을 구사할 재미교포 출신 멤버를 찾는 이수만과 연락이 닿았고 그와 공원에서 만나 오디션을 보았다. 이때 합격한 앤디는 토니 안을 포함한 H.O.T. 멤버들과 한국에서 연습생 생활을 했고 최종 데뷔조까지 들었다. 그러나 당시 앤디의 부모님이 아들이 너무 어린 나이에 데뷔하는 것을 반대했고, H.O.T. 멤버들이 앤디보다 토니 안과 함께하길 원했기에 미국으로 돌아가야 했다. 그로부터 1년여 뒤인 1997년 고등학생이 된 앤디는 LA에서 이수만과 우연히 재회하게 되었고, 이수만은 이때 앤디를 다시 신화의 멤버로 캐스팅했다.

1997년 연초 에릭(본명 문정혁)과 신혜성이 합류했다. 재미교포인 에릭과 앤디는 미국에 있을 때부터 친분이 있었던 사이였고, 유학생인 신혜성도 그 둘과 접점이 있었다.[9] 에릭은 앤디와 같은 오렌지카운티 출신으로 초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이민을 갔다. 에릭 또한 댄스팀에서 활동하며 인기를 끌었는데, 앤디와 토니 안의 증언에 따르면 잘생기고 공부도 잘하고 싸움도 잘하는, 그야말로 그 일대에서 미친듯이 잘나가는 인물이었다고 한다. 토니 안이 증언하길 에릭과 같이 공연을 하면 무조건 그가 센터였다고. 에릭은 한인 라디오 방송 관계자의 추천으로 이수만과 첫 대면을 하게 된다. 그리고 노래방에서 오디션을 보고 합격하게 되었으며, 오디션 합격 전 UCLA를 비롯한 3개 대학에 합격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수의 꿈을 위해 대학 진학을 포기했다.[10]

이수만은 앤디를 캐스팅한 후 그를 LA 오디션장에 데리고 갔는데 이때 합격한 참가자가 신혜성이다. 신혜성은 동생과 단둘이 벨리 지역에서 홈스테이 생활을 하던 유학생이었는데, 주위 친구들이 죄다 연예인 지망생인 탓에 음악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하루는 전미 한인가요제에 나갔다가 클릭비의 우연석과 만나 친해졌고, 이때 과거 토니 안, 앤디 등을 발굴한 개리 분이라는 이름의 캐스팅 디렉터와 인연이 닿게 되면서 SM 오디션에 함께 참가했으나 신혜성 혼자 합격했다.[11] 앤디가 증언하길 이수만이 신혜성의 노래를 듣고 "너무 좋지 않니?"라고 말하며 기뻐했다고. 본래 가수의 꿈이 없었던 신혜성은 이 오디션 합격을 인생의 터닝 포인트로 삼게 되었다.

1997년 상반기에 이민우가 합류했다. 이민우는 전북 남원시 출신으로 데뷔 전부터 전주 전역에서 이름을 날리던 춤꾼이었다. 그 시절부터 쫓아다니는 팬이 있어 옷을 협찬받는다는 소문까지 있었을 정도. 집안 사정이 어려웠던 탓에 고등학교 때부터 댄스팀 공연을 하며 직접 생활비를 벌었다고 한다. 상금이 300만원이라는 말을 듣고 서울까지 올라와 전국 댄스경연대회에 참가했다가 고향 친구와 함께 SM으로부터 캐스팅되었다. 연습생 때부터 안무를 하나씩 만들어 이수만에게 검사를 받았다고. 이수만이 유독 예뻐했는지 종종 다른 연습생들 몰래 용돈 하라며 수표를 쥐어줬다고 한다. 연습생 시절 이민우가 쓴 일기가 있다. 이민우가 쓴 일기

1997년 하반기에는 전진(본명 박충재)이 합류했다. 전진은 서울 송파구 출신으로 송파구 일대에서 유명한 춤꾼이었다. 배우 최필립과 함께 댄스팀으로 활동했으며, '오금고 쫄바지'라는 별명으로 유명세를 탔다. 불우한 가정에서 자라 춤만이 유일한 삶의 돌파구였으며, 가수가 된 이유는 생모를 찾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학교 1년 선배인 H.O.T. 강타(본명 안칠현)의 추천으로 SM 오디션을 보게 되었고, 합격 후에 연습생으로 합류하면서 이민우의 친구는 연습생에서 퇴출되었다.[12]

1997년 11월 3일 마지막 멤버로 김동완이 합류하면서 신화 멤버 6인이 최종 결성되었다.[13] 김동완은 당시 아역 배우 경력도 있었고, 학교 록밴드 보컬로도 활동했는데, 저 신화 멤버들 중에서도 가장 유명인사였다. 기획사들이 '김동완 전담반'을 만들고 캐스팅 매니저까지 따라붙었을 정도. # 휘문고 모세라는 별명이 유명한데, 김동완이 나타나면 모세의 기적처럼 길이 쭉 갈라진다 하여 생긴 별명이었다. 김동완은 월드뮤직 엔터테인먼트 연습생으로 있다가 SM에 캐스팅되었다.[14] SM이 록커가 아닌 아이돌로 데뷔하기를 권하자 처음에는 거부했으나, 나머지 신화 멤버들 5명과의 첫 대면 후 멋있어 보여서(...) 생각을 바꿨다고 한다. 데뷔 전 멤버들이 김동완에게 쓴 편지

3.2. 장수

2025년 기준으로 데뷔 27주년을 맞은 국내 최장수 아이돌 그룹이다. 게다가 데뷔 이후 한 번도 해체나 멤버의 탈퇴 및 교체 없이 끈끈한 의리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더더욱 주목받고 있다. 아이돌계의 살아있는 전설이자 신화 그 자체.

신화가 데뷔했을 당시 1990년대 후반은 아이돌의 평균 수명이 3~5년에 지나지 않았고 덕분에 5년 차 징크스라는 이야기까지 오갔다. 이 때문에 SM엔터테인먼트 역시 신화를 해체시킨 후 솔로로 계약할 생각이었으나, 신화는 함께 일하던 스텝들을 데리고 다 같이 소속사를 이적하며 그룹을 보존했다. 2000년대 초중반 당시는 매너리즘과 불법 음원 범람, 그리고 소몰이창법 발라드 위주로의 가요계 개편으로 인해 1세대 아이돌들이 지독한 침체기를 겪던 시절이었음에도 불구하며 아이돌계의 징크스를 깨고 신화는 2004년 7집으로 대상을 수상하며 데뷔 6년 차에 제 2의 전성기를 맞게 되었다.[15] 7년 차에 전성기를 맞기는 커녕 7년 차인 아이돌 그룹 자체가 극히 드물었다는걸 생각하면 대단한 일. 신화를 이후로 점점 7년 차는 물론 10년 차도 거뜬히 넘어서는 아이돌이 늘어나고 있다.

신화가 데뷔했을 당시는 아이돌 평균 수명이 짧았기 때문에 신화는 10년도 더 전부터 '장수 아이돌', '중견 아이돌'이라는 타이틀을 달게 되었다. 아이돌계 최고참으로 활동한 기간이 아닌 기간보다 더 많은 셈. 한국 아이돌 최초 정규 6집 활동이라는 타이틀이 붙었던 <너의 결혼식> 활동 시절, 신화는 당시 평균나이가 고작 24.5세에 불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나이 때문에 춤출 때 힘들지 않느냐?"라는 질문을 받았다. 그 정도로 이 당시 아이돌이란 20대 초반 이하의 어린 친구들이 몇 년 바짝 하고 빠지는 직업이었고 20대 중반도 거의 찾기 힘들었다. 서른이 넘은 현역 아이돌들[16]도 많은 지금으로써는 상상하기 힘든 일. 그렇기에 신화는 더더욱 연예계에서 변종으로 여겨졌고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군복무로 인한 공백기 4년을 제외하면 그룹 활동을 2년 이상 쉬었던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는 사실. 평균 앨범 발매 텀은 대략 1년 반 정도다. 한창 빡세게 활동하던 1~6집 시기에는 1년에 한장 꼴로 앨범을 발매했고, SM엔터테인먼트를 나온 이후 7집부터는 그룹활동과 개인활동을 병행하며 앨범 발매의 텀이 길어졌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백기가 2년 이상을 넘어간 적이 단 한번도 없다.[17] 심지어 활동이 뜸하다고 원성이 자자했던 시기인 2005년~2008년 조차도 8집은 1년 9개월, 9집은 1년 10개월만에 발매되었기 때문에 평소와 비교해 그다지 긴 텀도 아니었다.[18] 최근 아이돌 그룹들과 가요계의 동향을 보았을 때 굉장히 이례적인 사례로,[19] 데뷔 20년차 베테랑인 신화가 싱글도 미니앨범도 아닌 정규앨범을 1~2년마다 꼬박꼬박 발매한다는 것은 실로 대단한 행보라고 볼 수 있다.[20] 하지만 2025년 기준, 2018년 20주년 기념 앨범 HEART를 마지막으로 7년 동안 공식적인 앨범 활동은 없는 상태여서 결국 기록이 깨졌다.[21]

그만큼 멤버들 모두 무조건 개인 활동보다 그룹 활동을 무조건 우선시한다. 활동부터 음반 제작까지 멤버들이 최종적으로 책임을 지다보니 준비 기간이 길고, 이 때문에 정규 앨범 활동 최소 1년 전에 멤버들끼리 모여 플랜을 짜놓는다. 그룹 활동을 우선하여 플랜을 짠 후 남는 시간에 개인활동 플랜을 짠다고 한다. 배우 활동을 병행하고 있는 에릭과 김동완의 경우 신화 활동에 조금이라도 방해가 될 것 같으면 먼저 들어오는 시나리오는 읽어보지도 않는다고 한다. 다만 <연애의 발견> 시나리오가 들어왔을 때는 에릭이 멤버들에게 '~한 시나리오가 들어왔다'라고 말을 꺼내자 멤버들이 오히려 무조건 하라며 계속 등을 떠밀었고 신화 활동을 예정보다 뒤로 미뤘다고 한다.

신화가 얼마나 오랫동안 활동했는지 설명하자면 H.O.T., 젝스키스 다음으로 데뷔하여 god와 동시기에 활동하였고, 동방신기가 막 데뷔해 신인상을 휩쓸 때 가요대상을 받았고,[22] SHINee와 같은 테이블에 앉아서 골든디스크 본상을 수상하였고[23], EXO를 2013년 MAMA에서 투표로 이겼다. 2017년 <TOUCH> 로 활동했을 당시 TWICE, 아이오아이 등 신화 데뷔 당시 태어나지 않았던 멤버들이 있는 그룹과도 1위 경쟁을 벌였다.

신화 멤버들과 띠동갑뻘인 양요섭(하이라이트), 민호(샤이니), 백현(엑소), 슈가(방탄소년단) 등이 후배가 됐고 이들조차 이젠 데뷔 10년차가 넘어가며 신화가 데뷔하던 해인 1998년 태어난 다현(TWICE), (더보이즈), 승관(세븐틴) 등이 후배가 되었고 이때 태어난 사람들도 2017년 기준으로 성인이 되었다.[24] 신화의 최전성기 시절이었던 2001~2005년 사이 태어난 세대도 2024년 기점으로 해서 성인으로 성장했다. 이 시기 태어난 전소미, 초원, 안유진, 장원영, 다현 등이 신화의 후배가 되었으며 많은 인기를 얻으며 활동하고 있으며 신화의 최전성기가 지난 이후에 태어난 전유진, 이서, 정동원, 혜인, 정서주, 임서원도 데뷔했다.

또한 신화가 활동한 시기에만 6개의 정권이 들어섰다[25]. 활동 중 2번째 정권을 맞이하기도 전에 해체하거나, 2번째 정권을 맞이해도 얼마 지나지 않아 해체하는 아이돌 그룹들이 많이 있다는걸 생각하면 전무후무한 기록이다. 순서대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국민의 정부(1998~2003) →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참여정부(2003~2008) → 이명박 전 대통령의 이명박 정부(2008~2013) → 박근혜 전 대통령의 박근혜 정부(2013~2017) → 문재인 정부(2017~2022)를 거쳐 윤석열 정부를 맞았다. 덤으로 북한에서도 김정일에서 김정은으로 정권이 교체되었다. 아이돌룸에서도 이것을 언급하며 이제는 남북통일을 바라본다는 말까지 나왔다.

더불어 활동 중 월드컵만 7번[26]한 개최되었고, 하계 아시안 게임만 6번, 동계 아시안 게임만 5번, 하계 올림픽만 7번, 동계 올림픽만 7번 개최되었다.

3.3. 우정

신화가 [age(1998-03-24)]년 동안 그룹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요인이자, 신화가 지금까지 사랑받고 있는 요인 중 하나가 바로 끈끈한 우정이다. 여성층의 인기가 절대적인 남자 아이돌 그룹이지만 이러한 우정으로 이어진 소탈하고 꾸밈없으면서 끈끈한 모습들 덕분에 남성들, 특히 팬이 아닌 사람들에게도 굉장히 호감도가 높다. 흔히들 신화가 단순히 '꾸준히 수요가 있었고 상황이 잘 맞아떨어져서' 장수할 수 있었을거라 생각하지만, 사실상 신화는 지금까지 가장 많은 해체 위기를 겪어본 아이돌 그룹이다. 소속사 문제, 상표권 문제, 금전적인 문제, 건강 악화, 주변의 유혹과 이간질부터 사소한 다툼까지, 아이돌 그룹이 겪을 수 있는 해체 위기라는 위기는 전부 다 겪어봤다. 이처럼 멤버들이 위기를 맞았을 때 계속 연예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버팀목이 되어준 것은 다름 아닌 서로였다고 한다. 멤버들 또한 서로를 만난 것은 운명으로 밖에 설명할 수 없다고 말할 정도.[27]

2003년 SM엔터테인먼트와의 계약이 만료되고 소속사를 나왔을 때, 표면적으로는 특별한 문제 없이 단체로 기획사를 나왔으나, 이는 절대 운이 좋아서가 아니라 멤버들의 결속력과 신뢰가 빛을 발한 케이스이다. 처음에는 SM엔터테인먼트에서 몇몇 멤버들에게만 은밀하게 파격적인 조건으로 솔로 계약을 제안했으며,[28] 다른 기획사에서도 솔로로 혹은 특정 멤버를 빼고 계약하자며 파격적인 조건과 금액으로 끊임없이 유혹을 해왔다. 그러던 와중에 멤버들끼리 가진 술자리에서 한 멤버가 "헤어지고 싶지 않다"고 진심을 토해내자, 멤버들 모두 서로가 같은 마음이라는 걸 깨닫고 똘똘 뭉쳐서 신화라는 팀을 지킬 수 있었다고 한다. 만약 이때 신화 멤버 중 단 한 사람이라도 우정 대신 부와 성공을 택했다면 신화는 예견된 해체 수순을 밟았을 것이다.

흔히들 SM엔터테인먼트가 신화를 탈없이 보내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굉장히 구질구질했다. 당시 신화는 SM엔터테인먼트에 계속 남아있으면 팀의 존속이 어려워질 수도 있겠다는 판단 하에 소속사를 이적하였고, SM엔터테인먼트도 처음에는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으나 결국은 신화의 결정을 존중해주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후 SM엔터테인먼트는 태도를 바꿔 신화의 상표권을 특허청에 등록하였고, 신화 상표권을 오픈월드 엔터테인먼트라는 회사에 넘겼으며, 신화는 오픈월드의 갖은 횡포에 휘둘려야 했다. 이 당시 신화는 모든 멤버가 개인 활동으로도 충분히 대박을 터트린데다, 당시가 지금과 달리 아이돌의 전망이 어둡고 미래가 불완전한 시기였다는 것을 생각하면, 신화 멤버들이 팀의 존속을 택한 것은 매우 어려운 결정이었다.

특히 에릭은 '역대 가장 헌신적인 아이돌 리더'라는 찬양을 받을 만큼 리더십을 발휘했는데, 신화 상표권을 되찾기 위해 직접 법공부를 하고 변호사를 만나러 다녔으며 신화 상표권을 찾아오는데 가장 크게 공헌한 인물이다. 드라마 불새로 톱스타 자리에 올랐을 무렵에도 모 소속사에서 제안한 수십억원의 계약금을 거절하고 팀을 택했으며, 빠듯한 개인활동 스케줄과 군복무가 겹쳐져 멤버들 간의 소통이 전보다 부족해졌을 때에도 멤버 6명이 다같이 한자리에 모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자리를 주선하며 리더 노릇을 톡톡히 했다.[29]

가족도 돈 때문에 싸우고 찢어지는 마당에, 신화는 돈보다 의리를 골라서 많은 이들을 감동시켰다. 김동완에 따르면 멤버들 중 서로에게 도움을 받지 않은 멤버가 없다고 한다. 모두가 곗돈 붓듯이 서로 크게 크게 도와준 적이 있어 멤버들끼리는 미안해할 필요가 없다고. 앤디네 아버지가 뇌출혈로 쓰러졌을 때에도 멤버들이 돈을 모아 수술비를 전부 부담했다고 하며, 이민우가 가족의 부채 때문에 사채를 쓸까 고민할 정도로 큰 금전 부담에 시달렸을 때, 멤버들이 다같이 돈을 모아 거액을 생일선물이라며 건넸다고 한다.[30]

신화는 금전적인 것을 넘어 정신적으로도 서로에게 버팀목이 되어주었다. 전진이 태어나서 처음으로 생모를 만나러 간다고 했을 때, 모든 멤버들이 함께 전진의 생모에게 편지를 썼으며 전진과 동행해 그의 생모를 만나고 왔다. 또한 신혜성이 물의를 일으켜 자숙하던 시절에는, 전진과 에릭이 매일 같이 신혜성의 집을 찾아가 그를 보살펴줬다고 한다.

각종 위기를 함께 이겨내고 희노애락의 순간을 함께 겪어오며 이제는 서로에게 가족이나 다름 없는 존재가 되었다. 전진은 어버이날에 멤버들 부모님께 카네이션 꽃바구니를 보내기도 했고, 신혜성은 멤버들 부모님의 생신을 일일이 다 챙기고 있다고 한다. 신화 멤버들의 부모님들 역시 신화 멤버들을 '아들'이라고 부르며, 멤버들의 개인 콘서트에도 먹을거리를 싸들고 찾아온다.

신화 멤버들의 이미지와 나이로 봐서는 정말 의외지만 서로 유난스러울 정도로 애정 표현이 많고 스킨십이 진한 것이 특징이다. [31] 숙소 생활을 하던 시절에는 팬티를 같이 돌려입었을 정도로 신체 접촉에 관대하다. 일상 생활에서 아무렇지 않게 뽀뽀를 하고 심지어 목이나 이마, 입술에도 하며, 신화 멤버들과 신화창조 중 아무도 그걸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덕분에 신화 멤버들이 뽀뽀하는 모습에 후배 아이돌들이 깜짝 놀라거나, 신화가 지나가는 말로 꺼낸 스킨쉽 일화에 MC나 패널들이 기겁하기도 한다.[32]

그러면서도 싸울 때는 화끈하게 싸우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화끈하게 싸우고 화끈하게 화해하는 것 또한 신화의 우정 비결로, 서운한 감정을 그때 그때 다 말하기 때문에 서로 쌓인 감정이 없다고 한다. 치기 어린 20대 초반에 남들 다 보는 방송국 내에서 자기들끼리 주먹다짐을 한 것은 신화팬들 뿐만 아니라 방송관계자들 사이에서도 유명한 에피소드.[33] 지금도 신화는 커텐을 치냐 마냐를 두고 싸우고 인형을 망가뜨렸다고 싸우고 또 언제 그랬냐는듯 화해하며 살고 있다. 다만 이제는 나이도 들고 싸울 소재도 고갈돼서 주먹질은 안 한다고.[34] 그리고 결정적으로 신화 멤버들 성격이 많이 유해졌다.

신화의 이러한 행보가 이상적인 이유는 아이돌의 우정과 의리가 대중들에게 장점으로 어필하기 때문이다. 대중들은 아이돌 그룹 멤버들이 서로 스스럼 없이 어울리고 우정을 다지는 모습을 보며 환상을 갖게 되고, 소속사는 대중의 환상을 이용해 아이돌의 우정을 상업화한다. 허나 대중은 멤버들이 팀보다는 개인의 이익과 안위를 더 우선시하는 모습을 목격하고, 자신들의 환상이 깨지면 바로 배반한다.[35] 그렇기에 신화의 비현실적이고 동화같은 우정은, 대중들에게 감동을 주고 그들로 하여금 대리만족을 느끼게 한다.

또한 아래에 언급하지만 신화의 이런 행보는 예능에서 매우 강한 장점으로 작용한다. 예능 프로그램의 단체 출연에선 출연자들 간의 케미스트리가 매우 중요한데, 신화는 여기에서 시작부터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때문.

사실 신화 역시 불화설에 숱하게 시달린 그룹이다. 당시에는 아이돌이 따로 활동한다는 것이 불화의 징조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에, 아이돌 그룹 최초로 그룹 활동과 개인 활동을 병행한 신화에게는 해체설이 끊이질 않았다. 또한 불가피하게 개인 소속사가 갈라지고, 아이돌 최초로 군입대를 하고, 군복무로 인해 공백기를 겪으며 신화는 10집으로 컴백하기 이전까지 끊임없는 해체설을 겪어야 했다. 그러나 지금은 대중들 또한 신화의 불화설에 코웃음치는 수준에 이르렀고, '우정'과 '의리'는 신화의 상징 중 하나가 되었다.[36]

3.4.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화(아이돌)/평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평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평가#|]][[신화(아이돌)/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음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화(아이돌)/음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음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음반#|]][[신화(아이돌)/음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화(아이돌)/활동 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활동 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활동 역사#|]][[신화(아이돌)/활동 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 미디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화(아이돌)/미디어 활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미디어 활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미디어 활동#|]][[신화(아이돌)/미디어 활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콘서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화(아이돌)/콘서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콘서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콘서트#|]][[신화(아이돌)/콘서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기록

  • 해체나 멤버 변동 없이 활동한 국내 최장수 아이돌 (24년차)
  • 아이돌 최다 정규앨범 발매 (13집)
  • 아이돌 중 가장 기수 높은 팬클럽 소유 (13기)
  •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음악 방송 1위를 한 유일한 아이돌
  • 아이돌 최초 10주년, 20주년 콘서트 개최
  • 아이돌 최초 멤버가 주주로서 자체 기획사 설립 및 운영
  • 아이돌 최초 그룹 상표권 소유
  • 아이돌 최초 그룹 활동과 개인 활동을 병행
  • 아이돌 최초 정규 6집 활동[37]
  • 아이돌 최초 멤버 전원 같은 소속사로 이적
  • 아이돌 최초 해체하지 않은 채 군복무
  • 아이돌 최초 올 밴드 라이브로 콘서트 진행
  • 아이돌 최초 의자춤[38], 스탠딩 마이크[39], 보깅댄스[40] 시도
  • 아이돌 최초 연기 활동으로 신인상, 우수상, 최우수상 수상 성공
  • 아이돌 최초 연기대상 후보 노미네이트
  • 아이돌 최초 오디션 프로그램 진행[41], 후배 양성 및 그룹 제작
  • 아이돌 최초 그룹명을 건 단독 예능 방영[42]
  • 아이돌 최초 단독 예능 최장 기간 TV 방영[43]
  • 아이돌 최초 역대 최장 기간 교복 모델 (2000년 ~ 2005년)[44]
  • 아이돌 최초 양복 브랜드 모델[45]
  • 아이돌 최초 안무 연습 영상 공개 #
  • 아이돌 최초 세미 누드집 발매
  • 국내 팬클럽 최초로 쌀 화환
  • 국내 팬클럽 최초로 도시락 조공
  • 국내 팬클럽 최초로 아이돌 숲 조성
  • 예능돌&짐승돌&비글돌의 시작[46]

6. 수상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화(아이돌)/수상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수상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수상 경력#|]][[신화(아이돌)/수상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신화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BS 로고.svg 가요대전 대상
이효리
10 Minutes
(2003년)
신화
Brand New
(2004년)
김종국
제자리 걸음
(2005년)

파일:seoulmusicawards2.png
서울가요대상 대상
이효리
<10 minutes>
(2003년)
신화
<Brand New>
(2004년)
동방신기
<"O"-正.反.合.>
(2006년)[47]

파일:2006_멜론 뮤직 어워드.jpg
올해의 아티스트상[48]
동방신기
(2005년)
신화
(2006년)
신혜성
(2007년)

}}} ||

7. 팬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화창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창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창조#|]][[신화창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 굿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화(아이돌)/굿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굿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굿즈#|]][[신화(아이돌)/굿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화(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신화(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여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화(아이돌)/여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여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여담#|]][[신화(아이돌)/여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1. 타 그룹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화(아이돌)/다른 그룹과의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다른 그룹과의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화(아이돌)/다른 그룹과의 관계#|]][[신화(아이돌)/다른 그룹과의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둘러보기



파일:SM엔터테인먼트 로고 가로형.svg

출신 아티스트
<keepall>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그룹 ]
{{{#!wiki style="margin: -5px -1px; font-size: 0.85em"
<rowcolor=#000> 데뷔일 아티스트 팬덤 결성 인원
SM기획
1994. 03. xx. 메이저 - 3인조 남성 포크 록 밴드
1994. 08. xx. J&J - 남성 듀오
SM엔터테인먼트
1996. 09. 07. H.O.T. [[Club H.O.T.|
Club H.O.T.
]]
5인조 보이그룹[1]
1997. 11. 28. S.E.S. [[친구(S.E.S.)|
친구
]]
3인조 걸그룹
1998. 03. 24. 신화 [[신화창조|
신화창조
]]
6인조 보이그룹
1998. 07. 15. 배드 보이스 써클 - 3인조 남성 펑크 록 밴드
1999. 11. 21. 플라이 투 더 스카이
Fly High
남성 R&B 듀오
2001. 12. 17. M.I.L.K.
Milky Way
4인조 걸그룹
2002. 03. 01. 블랙비트
SOULBLACK
5인조 보이그룹
2002. 04. 01. 신비
Linos
3인조 걸그룹
2002. 09. 02. 이삭 N 지연
N
여성 R&B 듀오[2]
2003. 12. 26. 동방신기 [[카시오페아(동방신기)|
카시오페아
]]
5인조 보이그룹
2004. 07. 19. The Trax
Traxian
4인조 남성 록 밴드
2005. 04. 29.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SHAPLEY
4인조 걸그룹
2005. 11. 06. SUPER JUNIOR [[E.L.F.|
E.L.F.
]]
13인조 보이그룹
2007. 08. 05. 소녀시대 [[S♡NE|
S♡NE
]]
9인조 걸그룹
2008. 05. 25. SHINee [[SHINee WORLD|
SHINee WORLD
]]
5인조 보이그룹
2009. 09. 05. f(x) [[me(you)|
me(you)
]]
5인조 걸그룹
2012. 04. 08. EXO [[EXO-L|
EXO-L
]]
12인조 보이그룹
2014. 08. 01. Red Velvet [[ReVeluv|
ReVeluv
]]
4인조 걸그룹
2016. 04. 09. NCT [[NCTzen|
NCTzen
]]
[무한확장]
2016. 07. 07. NCT 127 [[NCTzen|
NCTzen 127
]]
7인조 보이그룹
2016. 08. 25. NCT DREAM [[NCTzen|
NCTzen DREAM
]]
2019. 01. 17. WayV [[NCTzen|
WayZenNi
]]
2019. 10. 04. SuperM
SuperM SUPPORTERS
2020. 11. 17. aespa [[MY|
MY
]]
4인조 걸그룹
2022. 01. 03. GOT the beat - 7인조 걸그룹
2023. 09. 04. RIIZE [[BRIIZE|
BRIIZE
]]
7인조 보이그룹
2024. 02. 21. NCT WISH [[NCTzen|
NCTzen WISH
]]
6인조 보이그룹
2025. 02. 24. Hearts2Hearts [[S2U|
S2U
]]
8인조 걸그룹
}}}}}}}}}
[ 솔로 ]
||<tablewidth=100%><width=100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1e8,#ffe1e8><rowcolor=#000> 데뷔일 ||<width=30%> 아티스트 ||<width=25%> 팬덤 ||<width=20%> 비고 ||
SM기획
1990. 04. xx. 현진영과 와와 - [4]
1991. 01. xx. 한동준 -
1991. 10. xx. 김광진 -
1993. 08. 18. 유영진 -
SM엔터테인먼트
2000. 08. 25. 보아 [[점핑보아|
Jumping BoA
]]
2001. 08. 15. 강타 [[Club K.I.T.|
Club K.I.T.
]]
[H]
2001. 09. 10. 다나
DANA For You
[6]
2001. 09. 22. 문희준
Club H.I.T.
[H]
2006. 09. 08. 장리인
Chocolate
2007. 09. 12. 제이민
J-Min Day
2013. 06. 07. 헨리
Strings
SUPER JUNIOR-M
2013. 11. 14. 이동우 -
2014. 08. 15. 태민 - SHINee
2014. 10. 31. 조미
Mitangs
SUPER JUNIOR-M
2014. 11. 13. 규현 - SUPER JUNIOR
2015. 01. 12. 종현 - SHINee
2015. 02. 13. 엠버 - f(x)
2015. 10. 07. 태연 - 소녀시대
2016. 01. 28. 려욱 - SUPER JUNIOR
2016. 04. 19. 예성 -
2016. 05. 11. 티파니 - 소녀시대
2016. 05. 31. 루나 - f(x)
2016. 12. 02. 효연 - 소녀시대
2017. 01. 17. 서현 -
2018. 10. 04. 유리 -
2018. 11. 06. KEY - SHINee
2018. 12. 05. 온유 -
2019. 03. 30. 솔희 - [AIKM]
2019. 04. 01. - EXO
2019. 06. 12. 유노윤호 - 동방신기
2019. 07. 10. 백현 - EXO
2019. 11. 22. 성민
성민에너지
SUPER JUNIOR
2020. 03. 30. 수호 - EXO
2020. 04. 06. 최강창민 - 동방신기
2020. 11. 30. 카이 - EXO
2021. 04. 05. 웬디 - Red Velvet
2021. 05. 26. 조이 -
2021. 07. 26. 디오 - EXO
2021. 10. 20. 은혁 - SUPER JUNIOR
2021. 12. 21. 민호 - SHINee
2022. 09. 26. 시우민 - EXO
2022. 10. 04. 슬기 - Red Velvet
2023. 06. 05. 태용 - NCT
2023. 10. 20. 찬열 - EXO
2024. 05. 16. 마크 - NCT
2024. 02. 13. -
2024. 04. 01. 루카스 - [9]
2024. 04. 22. 도영 - NCT
2024. 08. 26. 재현 -
2024. 09. 10. nævis - 버추얼 아티스트
2024. 10. 04. 민지운 - [KRUCIALIZE]
2024. 11. 26. 아이린 - Red Velvet
[ 영입 ]
||<tablewidth=100%><width=100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1e8,#ffe1e8><rowcolor=#000> 발매일 ||<width=30%> 아티스트 ||<width=25%> 팬덤 ||<width=20%> 비고 ||
솔로
2002. 08. 29. 추가열 -
2019. 02. 25. 자이언트 핑크 - [AIKM]
}}} ||
{{{#!wiki style="margin: 0px -10px -1px; min-height: 13px; font-size: 0.85em; color: #8c8c8c"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 -6px -1px -20px; word-break: keep-all"

[1] 문희준을 제외한 4명의 멤버가 SM기획과 계약을 체결하고 SM기획 소속으로 활동을 하다가 2000년경 SM엔터로 계약을 이관했다.[2] 지연은 천상지희 멤버 린아로 2005년 재데뷔.[무한확장] NCT무한확장 시스템을 기반으로 데뷔하였다. 데뷔 싱글, NCT U의 『일곱 번째 감각 (The 7th Sense) / WITHOUT YOU』 기준으로는 총 7명이 최초로 데뷔하였다. 2023년 2월 24일, 무한확장 종료를 발표하며 현재 NCT는 25인조이다.[4] 솔로 가수. 와와는 현진영의 고정 백댄서들이며 모두 독립하여 가수로 데뷔했다. 1기(클론), 2기(듀스), 3기()이 있다.[H] H.O.T. 해체 후 솔로 데뷔.[6] 2005년, 천상지희 멤버로 재데뷔.[H] [AIKM] AIKM 레이블 소속.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레이블이다.[9] NCT 탈퇴 후 솔로 데뷔.[KRUCIALIZE] KRUCIALIZE 레이블 소속.[AIKM]
}}}}}}}}}

[1] 신화 밖에서는 78년생들과 친구이고 79년생들은 동갑내기지만 에릭 입장에서 동생이 된다. 신화 멤버들의 인맥이 많이 겹칠 수 밖에 없다보니 족보가 상당히 꼬여 있다.[2] 엄밀히는 입춘육십갑자의 기준이기에 에릭, 이민우, 김동완, 신혜성이 기미년생 동갑이고, 전진, 앤디가 경신년생 동갑이다.[3] 다만 법적으로 대표는 에릭 한 사람이다.[4] 김동완이 자신의 포토 에세이에서 언급했다.[5] 신화에는 댄서가 두 명이다.(이민우(메인댄서)와 전진(리드댄서)) 그리고 보컬라인과 래퍼라인도 있다.(보컬라인: 신혜성(메인보컬), 김동완(리드보컬), 이민우(리드보컬)/래퍼라인: 에릭(메인래퍼), 전진(리드래퍼, 서브보컬), 앤디(서브래퍼))[6] SM엔터테인먼트에서 신화와 함께 일하던 스텝들이 차린 신생 연예 기획사.[7] 종전 기록은 혼성그룹 11집이었다.[8] 2001년, 2005년[9] 신혜성에 따르면 앤디와는 오디션 합격 전 클럽에서 이미 마주쳤고 에릭과는 한국에 오기 전 노래방에서 딱 한번 어울렸다고 한다. 반면 에릭은 오디션 합격 전인 vally k festival 노래 대회에서 이미 신혜성을 본 적이 있다고 말했다.[10] 출처는 이수만 평전. 에릭은 빠른 년생이라 한국에서 1978년들과 함께 학교를 다녔었기에 미국에서도 한 학년 일찍 입학했다. 때문에 같은 1979년생인 신혜성보다 학년상 선배였고 대학 진학을 앞둔 시기였다.[11] 다행히 우연석은 훗날 클릭비로 데뷔하게 된다.[12] 이 친구의 이름은 박상준으로 20년이 지난 2017년, 신화 13집 수록곡 <별>의 작곡과 편곡을 맡게 된다.[13] 결성 날짜를 알 수 있는 이유는 신화가 김동완이 합류한 날짜를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었기 때문.[14] 월드뮤직은 당시 SM엔터테인먼트의 음반 유통 대행을 맡고 있는 회사였기 때문에 SM과 친분이 있었는데 S#ARP, 이브, 업타운, 컨츄리꼬꼬 등 당대 인기 그룹을 다소 보유하고 있던 회사였지만 결국 회사가 해산되었다. 기존에 김동완이 회사 해산후에 신화에 합류했다는 기록이 있었는데 월드뮤직의 해산은 2003년도이다. 훗날 와서 보면 김동완에게는 신의 한 수였던 셈.[15] '최장수 아이돌' '장수돌' 이라는 호칭이 붙기 시작한 것도 이 때부터였다.[16] 동방신기, SUPER JUNIOR, BIGBANG, 2PM, SHINee, EXO, 하이라이트 등.[17] 7집(1년 8개월) 8집(1년 9개월) 9집(1년 10개월) 10집(군입대 공백기 4년) 11집(1년 2개월) 12집(1년 9개월) 13집(1년 9개월) 20주년 스페셜 앨범(1년 7개월)[18] 다만 8집은 방송활동이 많이 미미했고 9집은 앨범만 내고 방송활동을 아예 하지 않았던 전례가 있어 체감상 공백기를 많이 가졌던 것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다.[19] 데뷔 10년차만 넘겨도 신화보다 텀이 길어진다.[20] 게다가 공백기 동안의 윈터스토리 앨범 및 콘서트까지 포함하면 군백기를 가진 2008년 이전까지의 신화 그룹 활동은 활발하지는 못했을지언정 꼬박꼬박 이어갔다고 할 수 있다.[21] 매년 진행했던 콘서트도 2019년이 마지막이었으며, 2020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 유행하기 시작한 영향도 있었는지 VLIVE+를 통해 2019년 콘서트의 실황을 공개하는 것으로 대체되었다.[22] 신화가 <Brand New>로 대상을 받았던 2004년 동방신기가 데뷔했고 동방신기 역시 신인상을 휩쓸었다.[23] 심지어 2022년 기준으로 동방신기와 샤이니마저도 고참급 그룹이다.[24] <TOUCH> 활동 당시 인터뷰에서 이 사실을 언급하기도 했다.[25] 1개월만 더 일찍 데뷔했다면 김영삼 전 대통령의 문민정부(1993~1998) 까지 거쳤을 아이돌이 됐을 것이다. 참고로 문민정부는 1998년 2월 24일까지 존속했다. 즉 신화가 데뷔하기 1달 전 김대중 전 대통령의 국민의 정부와 정권이 교체된 것.[26] 데뷔 해인 1998년에는 프랑스 월드컵이 개최되었고, 이후 2002년 한일 월드컵/2006년 독일 월드컵/2010년 남아공 월드컵/2014년 브라질 월드컵/2018년 러시아 월드컵 2022년 카타르 월드컵이 개최되었다.[27] 2008년 10주년 콘서트에서 이민우가 했던 멘트.[28] 처음 재계약 제의를 받은 멤버는 신혜성과 이민우로 이민우에게 "한국의 어셔로 만들어주겠다"고 말했다고 한다.[29] 이 이유에 대해 에릭은 "초심으로 돌아가 생각하면, 우리는 배우를 하러 혹은 솔로 가수를 하러 모인게 아니지 않느냐. 우리는 신화를 하러 뭉친 것이고 신화이기 때문에 팬들이 우리를 응원해준 것인데, 개인 활동이 더 벌이가 좋다고 해서 그룹을 놓는 것은 비굴하고 치사하게 느껴졌다."라고 답했다.[30] 이민우는 승승장구 신화 편에서 그때 그 감정을 지금도 잊을 수 없다며, 자신은 정말 행운아라며 눈물을 보였다.[31] 데뷔 초부터 예능에서 멤버끼리 가래떡 먹기 게임이나 빼빼로 게임을 시키면 신화는 자기들끼리 닥돌을 해버려서 하트CG들이 붙곤 했다.[32] 2017년 주간 아이돌에 출연했을 당시 목에서 목으로 오렌지를 옮기는 릴레이 게임을 했을때, 첫 주자였던 전진과 전진 다음 주자였던 신혜성이 오렌지를 옮기는 모습이 심히(...) 오해를 살 만한 구도가 나왔는데도 다른 멤버들은 놀라거나 이상하게 여기지 않고 지극히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다. 오히려 MC인 정형돈이 당황해서 아무 말도 못했다.[33] 유재석은 이 일화를 두고 '방송가의 전설'이라고 언급했고, 문희준은 '(자기들끼리) 주먹질하면 저희 말고 신화가...'라고 언급했다.[34] 그래도 싸움을 아예 안 하지는 않는 모양이다. 아래 '에피소드' 문단의 논현역 포장마차 싸움 에피소드를 보면...[35] 그렇다고 이러한 풍속이 나쁘다고 단정할 순 없다. 자신들의 미래를 위해서는 합리적인 선택일 수도 있고, 무엇보다 자기 인생에 있어서 어디에 우선순위를 두냐는 개인의 선택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의 영속을 원하는 팬들에게는 무엇보다도 가슴 아픈 일.[36] 2021년에는 에릭이 김동완에 대해 불만을 표출하자 언론에서 해체설이 나왔지만 술자리에서 오해를 풀어 해결한 것으로 보인다.[37] 동세대 아이돌 그룹들은 6집 발매 전 해체하거나 활동 중단[38] <Wild Eyes>[39] <Perfect Man>[40] <This Love>[41] 2005년 <배틀신화>[42] 신화방송[43] 신화방송[44] 아이비클럽[45] 로이젠[46] 이는 결코 농담만이 아닌게, 신화는 남자 아이돌 그룹으로서 기존의 신비주의 컨셉에서 탈피하고 극도의 털털함, 활달함을 대놓고 드러내며 각종 예능 프로그램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방향의 기반을 닦았다.[47] 2005년 시상식 미개최[48] 2005 ~ 2008년 온라인 발표. 2009년부터 대면 시상식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