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남구(부산광역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남구(부산광역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남구(부산광역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 }}}[[남구(부산광역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남구(부산광역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남구(부산광역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중·영도 | 서·동 | 부산진 갑 | 부산진 을 |
| 조승환 | 곽규택 | 정성국 | 이헌승 | |
| 동래 | 남 | 북 갑 | 북 을 | |
| 서지영 | 박수영 | 전재수 | 박성훈 | |
| 해운대 갑 | 해운대 을 | 사하 갑 | 사하 을 | |
| 주진우 | 김미애 | 이성권 | 조경태 | |
| 금정 | 강서 | 연제 | 수영 | |
| 백종헌 | 김도읍 | 김희정 | 정연욱 | |
| 사상 | 기장 | |||
| 김대식 | 정동만 | |||
| 선거 결과 | ||||
◀ 제21대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580009><tablebgcolor=#580009,#580009> | 남구 (부산) 남구 일원 南區 Nam | }}} | |||
| <nopad> | ||||||
| <colbgcolor=#580009,#580009><colcolor=#fff> 인구 | 251,504명[1] | |||||
| 상위 행정구역 | 부산광역시 | |||||
| 관할 구역 |
| |||||
| 신설년도 | 2000년, 2024년 | |||||
| 이전 선거구 | 남구 갑, 남구 을 | |||||
| 국회의원 | | 박수영 | ||||
1. 개요
부산광역시 남구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 현재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소속 재선 박수영 의원이다.2. 상세
소선거구제가 실시되고 1995년 수영구가 분구된 이후에도 갑/을로 나뉘었다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IMF 외환위기로 인한 고통분담을 이유로 의원 정수를 줄이며 상한선 이하로 떨어져 합구되었다가 2004년 다시 분구되었다.그러나 남구의 인구가 계속 줄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합구 논의가 나왔고[2],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결국 24년 만에 합구되어 다시 선거구가 부활했다.
3.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결과
| <rowcolor=#fff>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
| 제16대 | 김무성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
| 남구 갑, 남구 을 분구 | ||||
| 제22대 | 박수영 | | 2024년 5월 30일 ~ | |
3.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남구 부산 남구 일원[3]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김무성(金武星) | 75,215 | 1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66.93% | 당선 | |
| 2 | 송정섭(宋正燮) | 13,060 | 3위 |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 | 11.62% | 낙선 | |
| 4 | 김용철(金容哲) | 24,096 | 2위 |
| | 21.44%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219,942 | 투표율 51.90% |
| 투표 수 | 114,230 | ||
| 무효표 수 | 1,859 | ||
3.2.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남구 부산 남구 일원[4]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박재호(朴在昊) | 70,868 | 2위 |
| | 45.59% | 낙선[5] | |
| 2 | 박수영(朴洙瑩) | 84,563 | 1위 |
| | 54.40% | 당선 | |
| 계 | 선거인 수 | 223,869 | 투표율 70.30% |
| 투표 수 | 157,215 | ||
| 무효표 수 | 1,784 | ||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1e2b,#e61e2b><bgcolor=#e61e2b,#e61e2b><tablebgcolor=#fff,#1c1d1f> 22대 총선 부산 남구 개표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박재호 | 박수영 | ||
| 득표수 (득표율) | 70,868 (45.59%) | 84,563 (54.40%) | -13,695 (▼8.81) | 157,215 (70.30%) |
| 대연3동[A] | 49.73% | 50.26% | ▼0.53 | 64.70 |
| 대연4동[B] | 43.89% | 56.10% | ▼12.21 | 69.66 |
| 대연5동[C] | 44.00% | 55.99% | ▼11.99 | 66.12 |
| 대연6동[D] | 44.60% | 55.39% | ▼10.79 | 74.95 |
| 용호1동[E] | 40.60% | 59.39% | ▼18.79 | 69.72 |
| 용호2동[F] | 44.88% | 55.11% | ▼10.23 | 70.23 |
| 용호3동[G] | 46.74% | 53.25% | ▼6.51 | 76.58 |
| 용호4동[H] | 50.48% | 49.51% | △0.97[14] | 71.84 |
| 용당동[I] | 44.68% | 55.31% | ▼10.63 | 70.09 |
| 감만1동 | 47.78% | 52.21% | ▼4.43 | 67.35 |
| 감만2동 | 43.53% | 56.46% | ▼12.93 | 69.34 |
| 문현1동[16] | 41.01% | 58.98% | ▼17.97 | 67.67 |
| 문현2동[J] | 40.97% | 59.02% | ▼18.05 | 58.16 |
| 문현3동[K] | 42.70% | 57.29% | ▼14.59 | 68.07 |
| 문현4동[L] | 39.36% | 60.63% | ▼21.27 | 67.08 |
| 우암동 | 42.01% | 57.98% | ▼15.97 | 69.56 |
| 후보 | 박재호 | 박수영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45.60% | 54.39% | ▼8.79 | |
| 관외사전투표 | 57.07% | 42.92% | △14.15 | |
| 재외투표 | 74.58% | 25.41% | △49.17 | |
| 부산 남구 출구조사 결과 |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박재호 | 박수영 | 격차 |
| 전체 | 51.3% | 48.7% | 2.6%p경합 |
| 선거 벽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 |
국민의힘에선 남구 갑의 박수영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에선 남구 을의 박재호 의원이 출마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제 둘 다 공천이 확정되고[20] 2024년 2월 29일 남구가 합구된 선거구 획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맞대결이 이뤄지게 되었다. 두 후보는 모두 이전부터 양쪽 지역구 행사에 모두 방문하며 이미 합구 이후를 준비하고 있었다.
사실 선거 초만 해도 지난 선거에서 접전 끝에 약 2%p 차로 당선된 박재호 의원 대비 약 11%p 차로 당선된 박수영 의원이 두 지역구가 합쳐진만큼 유리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이후 발표된 여론조사에서 박재호 의원이 박수영 의원을 상대로 약간 앞서는 것으로 나오면서 박빙 승부가 예상되었다. #
이는 박재호 의원 특유의 지역밀착형 행보에 더불어 정권 심판론 때문에 대표적인 친윤 인사인 박수영 의원 역시 반윤 진영에 찍힌 점이 한 몫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다가 3월 말 ~ 4월 초에는 박수영 의원이 약간 앞서는 여론조사가 나오면서 점점 알 수 없게 되었다.
선거 당일, 방송 3사 출구조사 결과 더불어민주당 박재호 의원이 51.3% vs 48.7%로 2.6%p 차로 경합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21], 막상 투표함을 열어보니 실제로는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이 10%p가 넘는 차이로 계속해서 앞서갔으며 결국 개표 결과 박수영 의원이 8.81%p 차로 당선되었다.
박수영 의원은 개표 결과 용호4동[22]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승리했다. 막판에 관외 사전투표에서 박재호 후보가 압도적으로 이기면서 (2,043표차) 격차가 살짝 줄긴 했지만 결과를 바꾸진 못했다.
박재호 의원 입장에선 문현동, 감만동, 우암동에선 이길 가능성이 높지 않은만큼[23], 자신이 그나마 선전하거나 이겼던 용호3동, 용호4동, 용당동, 대연동에서라도 이겼어야 했는데, 용호동과 대연동 일대가 문재인 정부의 종합부동산세 인상의 직격탄[24]을 맞은 게 원인이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한편으로는 2004년의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의 결과의 재림으로 볼 수도 있다. 당시 탄핵 역풍으로 인해 열린우리당이 유리하고 한나라당이 고전하던 시기, 부산 남구 을에서 김무성 한나라당 후보와 박재호 열린우리당 후보가 맞붙었었다. 이때 김무성 후보가 박재호 후보를 9%차로 따돌리고 승리하였는데, 이번 22대 총선에서도 8%대의 차이로 이겼다는 점에서 첫 공통점이 존재한다.
또한 박재호 후보는 용호4동에서만 유일하게 승리하였는데, 17대 총선 당시에도 박재호 후보는 김무성 후보를 상대로 용호4동에서만 이겼었다. 즉 박재호 후보로서는 17대 총선의 결과를 다시 맞이하였으며, 박수영 후보로서는 17대 총선에서의 김무성 후보의 결과를 맞이하였다.
[1] 2025년 9월 기준[2] 결국 분구가 유지되었지만 관할 구역이 대폭 변경되었다.[3] 대연1동, 대연2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1동, 우암2동, 문현1동, 문현2동, 문현3동, 문현4동[4] 대연1동, 대연3동, 대연4동, 대연5동, 대연6동, 용호1동, 용호2동, 용호3동, 용호4동, 용당동, 감만1동, 감만2동, 우암동, 문현1동, 문현2동, 문현3동, 문현4동[5]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단일 후보.[A] 경성대학교와 국립부경대학교 및 대연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더 비치 푸르지오 써밋 등의 아파트들과 다세대주택이 있는 동네.[B] 재한유엔기념공원이 있는 동네이자, 대연 푸르지오 클라센트, 대연 파크 푸르지오와 다세대주택이 공존해있는 동네.[C] 부산예술대학교와 대연 SK뷰 힐스가 있는 동네.[D] 남구청 및 대연 롯데캐슬 레전드가 있는 동네.[E] LG메트로시티와 GS하이츠자이, 용호동 W가 위치해있는 부산광역시의 대표적인 부촌 지역.[F] 오륙도가 있는 동네이자, 오륙도 SK뷰와 데시앙 해링턴 플레이스 파크시티가 있는 동네.[G] 이기대가 위치해있는 동네.[H] 해군작전사령부와 부산성모병원이 있는 동네.[14] 단 51표 차이였다.[I] 동명대학교와 국립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 및 신선대부두가 있는 동네.[16] 박수영 후보의 고향.[J] 부산문현혁신도시로 조성된 동네.[K] 문현삼성아파트와 문현경동리인, 대연 양우내안애 퍼스트 등의 아파트들과 다세대주택으로 구성된 동네.[L] 부산 오션 파라곤과 다세대주택으로 이루어진 동네.[20] 민주당에서는 기존 남구 갑에 공천을 받았던 박재범 전 남구청장의 거취가 관건이었는데, 2024년 3월 4일 후보직에서 사퇴한 뒤 박재호 의원 지지를 선언하였다.[21] 다만 JTBC 출구조사 결과는 박수영 의원이 51.2% vs 48.8%로 2.4%p 차로 경합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22] 여기도 단 51표 차이로 근소했다.[23] 세 동 모두 토박이가 많아서 보수세가 강한데, 이들 지역 중 두 동(감만동, 우암동)이 포함된 선거구, 즉 남구 을이 있었을 때도 박재호는 우암동, 감만동, 용호1동, 용호2동에서 지고 대연3동, 용호3동, 용호4동에서 이겨서 당선되었다.[24] GS하이츠자이, W 등 부촌 아파트와 LG메트로시티같은 대단지 아파트가 몰려있는 용호1동은 과거부터 꾸준하게 보수세가 강했으며, 특히 용호동 W의 경우 부산 최고가 아파트 중 한곳으로 꼽힐 정도로 집값이 비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