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도시화 지수를 나타내는 지도 |
[clearfix]
1. 개요
도시화(都市化, urbanization)는 도시가 아니었던 구역[1], 혹은 낙후된 지역이 발전되거나 개발되는 것을 말한다. 주거지의 발달로 일컬어질 수 있다.2. 이론
2.1. 도시화 곡선
도시화율의 변화는 초기 단계 → 가속화 단계(종주도시화) → 종착 단계(교외화 발생)의 순서로 진행된다.제3세계의 도시화의 경우 이촌향도와 도시의 높은 출산율로 인해 급속한 도시화를 이루며, 가도시화 현상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도시시설 미비한데 인구만 급증하여 정주여건이 하락하고 실업률 상승 및 슬럼 형성 등의 문제가 나타난다. 또한 생계유지를 위해 비공식 경제부문 성장한다.
2.2. 차별도시화 이론
도시들 간의 인구이동을 기초로 하며, 도시화 주기는 대도시, 중간도시, 소도시 순으로 나타난다는 이론이다. 대도시의 도시화 과정은 인구가 집중(과밀화)되어 집적 불이익 발생하면, 차하위 중간도시로 인구분산(교외화)되어, 대도시의 광역화(대도시권 형성)가 발생하고, 단핵에서 다핵구조로 변하는 순서로 일어난다. 중간도시의 도시화과정은 교외화로 인해 교외중심지가 성장하여 대도시권이 형성된 식이다. 소도시의 도시화는 역도시화로 인해 농촌의 인구감소가 멈추고 도농 간 인구이동이 미약한 것을 말한다.2.3. 도시화단계 이론
한 도시의 인구 증감을 기초로 하여, 도시발달은 도시화 → 교외화 → 역도시화 → 재도시화의 단계를 거친다는 이론이다.- 교외화(분산적 도시화): 다핵화, 대도시권 형성
- 역도시화: 대도시권의 인구 감소
- 재도시화: 도심의 점이지대 재개발에 따른 고소득층 유입(젠트리피케이션) → 주거지의 양극화
3. 한국사
한국에서는 조선 후기에 한양, 평양 등 일부 도시를 중심으로 근대적인 도시화가 시작되었고 일제강점기 때는 부산이나 라진, 영등포, 인천 등 주요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인구가 몰려들어서 도시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때 도시화가 이루어졌다 한들 인구의 절대다수는 여전히 농촌에서 살고 있었기에 현대에 생각하는 도시화와는 규모면에서 차이가 크다.대규모의 도시화가 이루어진 것은 광복부터로 외국에서 많은 재외동포들이 귀국하고 월남자들이 대거 도시지역에 정착하고, 피난과정으로 향촌사회가 파괴되고 전후에 일자리를 찾기 위해 많은 농민들이 도시로 상경하면서부터이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도시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고, 1960년대에 진행된 산업화로 더욱 가속화되었다. 1990년대에는 이 현상이 계속 이어진 결과 농어촌의 인구비율이 10% 아래로 떨어졌고 농어촌은 고령자들이 가득한 지역으로 전락해버리고 말았다.
4. 효과
산업화의 기초적인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부수적인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산업화를 하기 위해서는 많으면서도 저임금에도 부려먹을수 있는 노동자를 필요로 하는데[2] 이러한 노동자의 수요가 급증하자 공급을 맞추기 위해 자연히 농촌에 있는 노동자들이 도시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 이후 도시화가 상당히 이루어진 후(70~80%)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동하는 역도시화 또는 도시에서 도시로 이동하는 도시간 이동이 활발해진다. 결국 도시로 유입된 노동자가 수입 상승으로 중산층의 형성에 기여하는 것을 감안하면 일정 수준 이상의 도시화는 민주적인 사회발전과 선진국으로의 진입에 필수다. 소위 저개발국가가 경제 성장 과정에서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나기 위한 필수 조건 중의 하나로 도시화의 일정 이상 진척을 꼽을 정도.이렇게 보면 저개발국가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자연히 이루어지는 현상으로 생각하게 되지만, 실제로 많은 저개발국가에서는 내부 혼란이나 규제 등 각종 정치 사회적 문제로 농촌 인구의 도시 이동이 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고 결국 경제 발전의 저해 요소로 작용하는 경우도 많다. 당장 중국만[3] 해도 후커우 제도 등 농촌 인구의 자유로운 도시 이주를 막는 전근대적인 제도 때문에 일본 한국 등의 경험에 비해서 도시화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진척되는 편이다. 다만 다만 무턱대고 도시로 몰려들면 실업 문제가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일부러 농촌에 인력을 상당수 묶어놓으려는 의도도 조금은 있다.
5. 부작용
상술했듯, 도시화 자체는 선진국 진입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인구 밀도의 편차를 심화시키기도 하며, 이에 따라 각종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도시 지역이나 낙후지역이나 인구 변동은 계속해서 이뤄지고 있는데, 토지 자체는 그대로인 탓에, 인구 과밀화 또는 인구 소밀화로 인하여 문제가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다.[4] 인프라 격차로 시작해서 온갖 격차가 일어남에 따라, 도시 지역과 낙후지역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기도 하며, 이는 곧 사회갈등비용의 증가로도 이어진다.이 때문에 일부 선진국에서는 계획도시 등으로 어떻게든 인프라 분산 등을 통해 도시화 비율을 끌어내리려고 노력하고 있다. 인구 밀도의 편차를 줄이면 도시 지역에서 일어나는 문제와 낙후지역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구 밀도도 결국 과유불급이다.
5.1. 도시 지역 문제
도시 지역은 인구 밀도가 높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주거 수요가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이 수요를 따라올 공급, 즉 부동산 공급은 항상 제한적이기에, 자연스레 수요와 공급에 따라 주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도로 같은 교통 인프라의 공급 역시 부동산 공급에 얽혀 있는지라 교통 체증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인구에 비례해서 쓰레기의 양 역시 증가하는데,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처리 시설 등을 늘이는 것도 마땅치 않은지라 환경오염이 발생하기도 한다.또한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접촉이 더 많아지니 그에 따라 갈등이 생길 가능성도 증가하게 된다. 경쟁이 더욱 심화되기에, 자연스레 외모지상주의도 심해질 수 있다고 한다.[5] 혐오시설에 대한 님비 현상 역시 부각되기도 하기에, 일부 혐오시설은 낙후지역에 떠넘기기 일쑤이다.
5.2. 낙후지역 문제
반대로 낙후지역의 경우는 사람 수가 줄어들기에, 이것 역시 문제가 된다. 젊은 층은 어떻게든 도시 인프라의 혜택을 지속적으로 보려고 하기 때문에 낙후지역에서 통근 또는 통학하는 것을 꺼리게 되고, 자연스레 도시 지역으로 옮겨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고령화 문제가 대두되고 되고 있으며, 돈이 많아봤자 그것을 굴릴 사람이 없어지기에 지역 경제 침체로도 이어지게 된다. 전국노래자랑 신안군 편에 출연했던 '청년회장' 임춘식[6]의 사례는 뒤의 장면[7]때문에 개그 소재가 되긴 했지만, 만 69세 노인이 청년회장을 맡을 정도면 실제로는 심각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3년 뒤 전국노래자랑이 다시 신안군에서 열렸고 이 노인은 다시 출연했는데 만 72세인데도 청년회장을 지내고 있었다(...).중앙정부의 행정력이 닿지 않고 지방정부의 행정력 역시 약해지기에, 지역 자체가 닫힌 사회가 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지방에서 공공연히 일어나는 부정부패는 물론이고, 흉악한 사건들마저 일어날 수 있다. 지방정부에서 건드리기에는 뜨거운 감자나 마찬가지인 골칫거리이고, 그렇다고 중앙정부에서 건드리려 하니 외지인에 대한 주민의 반발이 거세기에, 이리저리 책임만 돌리다가 결국 공소권 종결 등으로 유야무야 넘어가게 될 수도 있다. 실제로 노예 할아버지 사건 이후로 신안 염전 노예 사건, 청주 타이어 노예 사건 등 낙후지역에서 일어나는 각종 노예 사건들이 비일비재하지만, 정작 해당 사건이 발굴되어 수사가 진행되어도 석연찮은 판결로 흐지부지된 적이 많았다. 외국에서도 핏케언 제도 집단 성폭행 사건 같이 낙후지역이 그대로 닫힌 사회로 변질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외지인에 대한 주민의 반발은 혐오시설 추진에도 애를 먹게 하는 원인이 된다. 상술했듯 도시 지역에 혐오시설을 놓는 건 여러 문제로 어려우니 자연스레 낙후지역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는데, 지역 자체가 닫힌 사회가 되다보니 외지에서 주로 쓰는 시설마저 반발하게 되는 것이다. 해당 혐오시설의 수요는 보나마나 도시 지역에 몰릴 것이 뻔하니, 그것에 대한 반발도 심하다. 그렇다고 혐오시설이 아닌 다른 시설의 유치가 제대로 될 수 있냐면 그것도 아니다. 다른 이익 시설을 유치하려 해도, 그 시설을 관리할 사람이 태부족하기에 결국 타 지역에서 인력을 수급할 수밖에 없다.[8] 하지만 그 타 지역 사람들이 이미 도시 인프라를 겪었고, 전술했듯 이 인력들이 낙후지역에서 일하고 싶을 가능성은 없기에, '낙후지역'이라는 꼬리표가 그 자체로 해당 시설이 혐오시설과 다를 바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만 봐도 지방 의료원이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려 폐쇄되고 있고, 그에 따라 서울에 의료시설이 쏠리는 현상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6. 관련 항목
[1] 녹지, 혹은 도서지역.[2] 이것이 농노의 해방이 왜 산업화의 시초인지 알게 되는 원인이다. 또한 서유럽과 북미에서 공업화가 진전되면서 자연스레 노예제가 폐지된 한 원인이기도 하다. 지배계층이 토지(혹은 지주)에 묶여있는 농노와 노예들에게 신분의 자유와 거주 이전의 자유를 부여하여 도시의 저임금 공업노동자로 흡수하는 게 훨씬 이익임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인권이란 거창한 대의명분으로 포장할 수도 있기도 하고.[3] 대체로 중국과 러시아와 같은 개발도상국 국가일수록 도시와 농촌 간 격차가 크다.[4] 이 때문에 간척을 통해 새로운 토지를 확보하는 방법을 쓰기도 하지만, 비용 문제가 심각해 낙후 지역에서는 공사에 착수하기 매우 어렵다.[5] Plaut, V. C., Adams, G., & Anderson, S. L. (2009). Does attractiveness buy happiness?“It depends on where you’re from”. Personal Relationships, 16(4), 619-630.[6] 2012년 당시 69세[7] 뜬금없이 어떤 아저씨가 해변에서 말을 타고 질주하다가 고꾸라지는 장면. 정작 낙마한 아저씨나 말은 무사했고, 문제의 청년회장은 '누가 울어'를 선곡했으나 광탈했다. 그로부터 3년 뒤에 또 나왔다.[8] 전문직에서 이런 문제가 심각하며, 특히 자격증이 필수인 경우는 말할 것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