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8 18:16:20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국회휘장.svg 국회
국회박물관
파일:국가정보원 로고.svg 국가정보원
안보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기획재정부
한국조폐공사 화폐박물관
관세청 관세박물관
국세청 국립조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과학관◈ 대전(중앙) · 과천 · 서울(어린이) · 광주 · 대구 · 부산 · 원주(강원)2025년 예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과학관
우정사업본부 / 서울중앙우체국 우표박물관
우정사업본부 / 우정공무원교육원 우정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외교부
외교사료관
파일:정부상징.svg 통일부
국립6.25전쟁납북자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법무부
검찰청 검찰역사관 · 국가형사사법기록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전쟁기념사업회 전쟁기념관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해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박물관
공군사관학교 국립공군박물관
육군부사관학교 국립전사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행정안전부
경찰청 국립경찰박물관
소방청 국립소방박물관2026년 예정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파일:정부상징.svg 국가보훈부
독립기념관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 호남호국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국립한글박물관 · 국립한국문학관 ·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국립박물관 서울(중앙) · 춘천 · 청주 · 공주 · 부여 · 전주 · 익산 · 광주 · 나주 · 대구 · 경주 · 진주 · 김해 · 제주 · 충주2026년 예정
국립현대미술관 과천(본관) · 서울 · 덕수궁 · 청주 · 대전2026년 예정
국립민속박물관 서울(본관) · 파주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 · 국립무형유산원 ·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 충무공이순신기념관 · 세종대왕역사문화관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천연기념물센터
국립해양유산연구소 해양유물전시관(목포(본관) · 태안)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국립중앙극장 공연예술박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박물관
국민체육진흥공단 국립스포츠박물관2026년 예정
대한체육회 한국체육박물관
태권도진흥재단 국립태권도박물관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박물관
한국저작권위원회 국립저작권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농림축산식품부
국립농업박물관
한국마사회 말박물관
산림청 국립산악박물관
산림청 /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국립농업과학원 잠사곤충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보건복지부
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성평등가족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국립여성사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국립항공박물관 · 국토발전전시관
국토지리정보원 국립지도박물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박물관
한국철도공사 철도박물관
새만금개발청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해양수산부
국립해양박물관 · 국립인천해양박물관 · 국립해양과학관 · 국립해양수산박물관2030년 예정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씨큐리움
한국항로표지기술원 국립등대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기후에너지환경부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 국립밀양기상과학관 · 국립충주기상과학관 · 국립대구기상과학관 · 국립전북기상과학관 · 국립충남기상과학관 · 국립여수해양기상과학관
파일:한국은행 심볼.svg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파일:국립박물관단지 흰색 심볼.svg 국립박물관단지
국가기록박물관 · 국립어린이박물관 · 국립도시건축박물관 · 국립디지털문화유산센터 · 국립디자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정부대전청사 상설 및 특별전시관
발명인의 전당 · 조달전시관 · 정부조달상품문화전시장 · 통계전시관 · 숲사랑체험관 · 국가기록전시관 · 병무역사기록관 · 관세기록관
◈표시가 붙여있는것은 과학관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의 해당하는것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E500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E5007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립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국립해양박물관 국립부산과학관 국립수산과학관
공립
부산시립미술관 부산박물관 임시수도기념관 부산근현대역사관
부산근현대역사관 별관 복천박물관 정관박물관 부산영화체험박물관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 부산어촌민속관 부산현대미술관 사상생활사박물관
사립
록봉민속교육박물관 범어사 성보박물관 부산포민속박물관 애플컴퓨터박물관
오륜대한국순교자박물관 유엔평화기념관 증권박물관 자본시장역사박물관
한국기독교선교박물관
대학교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동아대학교 석당미술관 부산대학교 박물관
}}}}}}}}} ||
<colbgcolor=#17738a><colcolor=#fff>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國立日帝强制動員歷史館
National Memorial Museum of Forced Mobilization under Japanese Occupation
파일: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MI.svg
파일: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전경.jpg
종류 국립 박물관
개관일 2015년 12월 10일 ([age(2015-12-10)]주년)
박물관장 박철규
소재지 부산광역시 남구 홍곡로 320번길 100 (대연동)
관련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연혁4. 관람 시간5. 휴관일6. 시설7. 교통8. 기타

1. 개요

부산광역시 남구 홍곡로 320번길 100 (대연동)에 위치한 대한민국국립 박물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에 관한 테마의 박물관이다.

2. 상징

파일: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MI.svg
MI
파일: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상징 색.gif
색상

3. 연혁

<rowcolor=#fff>
날짜
내용
2007. 05. 추도공간 및 기념시설 건립 기본계획(안) 마련
2008. 08. 건립부지(부산 남구 당곡근린공원) 선정안 의결
2008. 12. 타당성 조사 및 기본구상 연구용역 완료
2009. 07. 설계용역 착수
2010. 12. 설계용역 완료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착공
2014. 04. 전시물 제작·설치완료
2014. 05.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준공
2015. 12.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개관
2016. 01. 행정자치부 이관
2016. 03.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역사관 위탁계약 체결
2016. 06. 김우림 초대 관장 취임
2016. 07. 국립박물관 등록
2017. 06. 특별기획전 「4번의 전쟁, 아물지 않은 상흔」 개최
2017. 12. 개관 1주년 특별기획전 「우토로, 남겨진 사람들의 노래」 개최
2018. 04. 「교육기부 진로체험 인증기관」 교육부 인증
2018. 09. 특별기획전 「돌아와요! 부산항에」 개최
2019. 03. 특별기획전「민화로 보는 3․1 운동의 단상」 개최
한․일 고교생 평화교류 행사 개최
2019. 09.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한일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국제관계」 개최
2020. 02. 역사관 소장 주요 명부 복원
2020. 05. 특별기획전 「죽음의 태국-버마 철도」 개최
2020. 06. 「기억의 터」(위패관) 개관
2020. 11. 한국문화정보원 「5G 실감형 전시 체험관 구축 지원 사업」선정
2021. 02. 상설전시실 부분정비사업 완료
2021. 12. 특별기획전 「지워지지 않을 역사의 유산」 개최
어린이 교양서 아동극본집 「남양의 사탕수수밭 아이들」 발간
2022. 02. 부산지역 일본군‘위안부’운동 역사 자료집 발간
2022. 04. 스마트박물관 조성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 완료
2022. 11. 특별기획전 「사라지는 목소리들」 개최
2022. 12. 특별기획전 「또 다른 수탈」개최
2023. 01. 역사관 소장 강제동원 명부 DB 구축 협업(국가기록원) 완료
2023. 06. 4차 산업 교육 프로그램 「강제동원 A.I 웹툰교실」 개최
2023. 08. 보강블록 안전보강공사 완료
2023. 09. 특별기획전 「일상의 풍속」 개최
2023. 11. 상설전시실 개편 타당성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완료
2023. 12. 스마트자료관 조성 기본계획 설계 용역 완료
2024. 08. ICT 연계 교육 사업 - 사도광산 바로알기「AI웹툰교실」,
「드론으로 보는 디지털 역사지도」
테마전시 「강제동원지, 광산 - 사도광산」
2024. 09. 특별기획전 「기억을 걷는 시간」(9~12月)
2024. 10. 테마전시 「강제동원지, 광산 - 홋카이도지역」
2024. 11. 테마전시 「강제동원지, 광산 - 규슈지역
2025. 03. 역사관 대면 및 비대면 교육프로그램(3月~11月)

4. 관람 시간

오전 9시 30분 ~ 오후 5시 30분
  • 도슨트 전시해설(상설해설) : 오전 11시, 오후 2시 30분(SNS 참고)

5. 휴관일

월요일, 1월 1일(새해 첫날), 설날추석 당일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다음 평일

6. 시설

7. 교통

대중교통은 부산 버스 남구9가 유일하다. 큰길가나 지하철역에서 걸어오려면 거리도 거리지만 가파른 오르막이라 매우 힘들다.

8. 기타

바로 옆에 UN 평화기념관이 있으며 재한유엔기념공원부산박물관과도 약간 가까운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