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E500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5007F> | }}} | ||
| {{{#!wiki style="color: #E5007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립 | |||
|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 국립해양박물관 | 국립부산과학관 | 국립수산과학관 | |
| 공립 | ||||
| 부산시립미술관 | 부산박물관 | 임시수도기념관 | 부산근현대역사관 | |
| 부산근현대역사관 별관 | 복천박물관 | 정관박물관 | 부산영화체험박물관 | |
|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 | 부산어촌민속관 | 부산현대미술관 | 사상생활사박물관 | |
| 사립 | ||||
| 록봉민속교육박물관 | 범어사 성보박물관 | 부산포민속박물관 | 애플컴퓨터박물관 | |
| 오륜대한국순교자박물관 | 유엔평화기념관 | 증권박물관 | 자본시장역사박물관 | |
| 한국기독교선교박물관 | ||||
| 대학교 | ||||
|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 동아대학교 석당미술관 | 부산대학교 박물관 | ||
| <colbgcolor=#17738a><colcolor=#fff>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國立日帝强制動員歷史館 National Memorial Museum of Forced Mobilization under Japanese Occupation | |
| | |
| | |
| 종류 | 국립 박물관 |
| 개관일 | 2015년 12월 10일 ([age(2015-12-10)]주년) |
| 박물관장 | 박철규 |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홍곡로 320번길 100 (대연동) |
| 관련 링크 | |
1. 개요
부산광역시 남구 홍곡로 320번길 100 (대연동)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국립 박물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에 관한 테마의 박물관이다.2. 상징
| | |
| MI |
| | |
| 색상 |
3. 연혁
| <rowcolor=#fff> 날짜 | 내용 |
| 2007. 05. | 추도공간 및 기념시설 건립 기본계획(안) 마련 |
| 2008. 08. | 건립부지(부산 남구 당곡근린공원) 선정안 의결 |
| 2008. 12. | 타당성 조사 및 기본구상 연구용역 완료 |
| 2009. 07. | 설계용역 착수 |
| 2010. 12. | 설계용역 완료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착공 |
| 2014. 04. | 전시물 제작·설치완료 |
| 2014. 05. |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준공 |
| 2015. 12. |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개관 |
| 2016. 01. | 행정자치부 이관 |
| 2016. 03. |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역사관 위탁계약 체결 |
| 2016. 06. | 김우림 초대 관장 취임 |
| 2016. 07. | 국립박물관 등록 |
| 2017. 06. | 특별기획전 「4번의 전쟁, 아물지 않은 상흔」 개최 |
| 2017. 12. | 개관 1주년 특별기획전 「우토로, 남겨진 사람들의 노래」 개최 |
| 2018. 04. | 「교육기부 진로체험 인증기관」 교육부 인증 |
| 2018. 09. | 특별기획전 「돌아와요! 부산항에」 개최 |
| 2019. 03. | 특별기획전「민화로 보는 3․1 운동의 단상」 개최 한․일 고교생 평화교류 행사 개최 |
| 2019. 09.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한일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국제관계」 개최 |
| 2020. 02. | 역사관 소장 주요 명부 복원 |
| 2020. 05. | 특별기획전 「죽음의 태국-버마 철도」 개최 |
| 2020. 06. | 「기억의 터」(위패관) 개관 |
| 2020. 11. | 한국문화정보원 「5G 실감형 전시 체험관 구축 지원 사업」선정 |
| 2021. 02. | 상설전시실 부분정비사업 완료 |
| 2021. 12. | 특별기획전 「지워지지 않을 역사의 유산」 개최 어린이 교양서 아동극본집 「남양의 사탕수수밭 아이들」 발간 |
| 2022. 02. | 부산지역 일본군‘위안부’운동 역사 자료집 발간 |
| 2022. 04. | 스마트박물관 조성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 완료 |
| 2022. 11. | 특별기획전 「사라지는 목소리들」 개최 |
| 2022. 12. | 특별기획전 「또 다른 수탈」개최 |
| 2023. 01. | 역사관 소장 강제동원 명부 DB 구축 협업(국가기록원) 완료 |
| 2023. 06. | 4차 산업 교육 프로그램 「강제동원 A.I 웹툰교실」 개최 |
| 2023. 08. | 보강블록 안전보강공사 완료 |
| 2023. 09. | 특별기획전 「일상의 풍속」 개최 |
| 2023. 11. | 상설전시실 개편 타당성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완료 |
| 2023. 12. | 스마트자료관 조성 기본계획 설계 용역 완료 |
| 2024. 08. | ICT 연계 교육 사업 - 사도광산 바로알기「AI웹툰교실」, 「드론으로 보는 디지털 역사지도」 테마전시 「강제동원지, 광산 - 사도광산」 |
| 2024. 09. | 특별기획전 「기억을 걷는 시간」(9~12月) |
| 2024. 10. | 테마전시 「강제동원지, 광산 - 홋카이도지역」 |
| 2024. 11. | 테마전시 「강제동원지, 광산 - 규슈지역 |
| 2025. 03. | 역사관 대면 및 비대면 교육프로그램(3月~11月) |
4. 관람 시간
오전 9시 30분 ~ 오후 5시 30분- 도슨트 전시해설(상설해설) : 오전 11시, 오후 2시 30분(SNS 참고)
5. 휴관일
월요일, 1월 1일(새해 첫날), 설날 및 추석 당일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다음 평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