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07:38:24

국악박물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
파일:국회휘장.svg 국회
국회박물관
파일:국가정보원 로고.svg 국가정보원
안보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기획재정부
한국조폐공사 화폐박물관
관세청 관세박물관
국세청 국립조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과학관 대전(중앙) · 과천 · 서울(어린이) · 광주 · 대구 · 부산 · 원주(강원)2025년 예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과학관
우정사업본부 / 서울중앙우체국 우표박물관
우정사업본부 / 우정공무원교육원 우정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외교부
외교사료관
파일:정부상징.svg 통일부
국립6.25전쟁납북자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법무부
검찰청 검찰역사관 · 국가형사사법기록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전쟁기념사업회 전쟁기념관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해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박물관
공군사관학교 국립공군박물관
육군부사관학교 국립전사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행정안전부
경찰청 경찰박물관
소방청 국립소방박물관2025년 예정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파일:정부상징.svg 국가보훈부
독립기념관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 호남호국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국립한글박물관 · 국립한국문학관 ·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국립박물관 서울(중앙) · 춘천 · 청주 · 공주 · 부여 · 전주 · 익산 · 광주 · 나주 · 대구 · 경주 · 진주 · 김해 · 제주 · 충주2026년 예정
국립현대미술관 과천(본관) · 서울 · 덕수궁 · 청주 · 대전2026년 예정
국립민속박물관 서울(본관) · 파주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 · 국립무형유산원 ·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 충무공이순신기념관 · 세종대왕역사문화관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천연기념물센터
국립해양유산연구소 해양유물전시관(목포(본관) · 태안)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국립중앙극장 공연예술박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박물관
국민체육진흥공단 국립스포츠박물관2026년 예정
대한체육회 한국체육박물관
태권도진흥재단 국립태권도박물관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박물관
한국저작권위원회 국립저작권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농림축산식품부
국립농업박물관
한국마사회 말박물관
산림청 국립산악박물관
산림청 /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국립농업과학원 잠사곤충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보건복지부
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여성가족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국립여성사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국립항공박물관 · 국토발전전시관
국토지리정보원 국립지도박물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박물관
한국철도공사 철도박물관
새만금개발청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해양수산부
국립해양박물관 · 국립인천해양박물관 · 국립해양과학관 · 국립해양수산박물관2026년 예정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씨큐리움
한국항로표지기술원 국립등대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환경부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 국립밀양기상과학관 · 국립충주기상과학관 · 국립대구기상과학관 · 국립전북기상과학관
파일:한국은행 심볼.svg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파일:국립박물관단지 흰색 심볼.svg 국립박물관단지
국가기록박물관 · 국립어린이박물관 · 국립도시건축박물관 · 국립디지털문화유산센터 · 국립디자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정부대전청사 상설 및 특별전시관
발명인의 전당 · 조달전시관 · 정부조달상품문화전시장 · 통계전시관 · 숲사랑체험관 · 국가기록전시관 · 병무역사기록관 · 관세기록관 }}}}}}}}}

국악박물관
國樂博物館
National Museum of Gugak
파일:국립국악원 CI.svg
파일:국악박물관전경.jpg
종류 기념관, 음악박물관
운영자 국립국악원장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64 (국립국악원 내 위치)
개관일 1995년 2월 23일
소장 작품 수 250
연락처 02-580-3130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관람 정보
3.1. 내부 시설
3.1.1. 궁중 음악실3.1.2. 원류 음악실3.1.3. 서민 음악실3.1.4. 선비 음악실3.1.5. 궁중 음악인실3.1.6. 근현대 음악실3.1.7. 특별 전시실
4. 기술개발
4.1. 실감 컨텐츠
4.1.1. 융합 미디어 전시
5. 교통
5.1. 버스5.2. 지하철
6. 여담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전통음악전통무용을 관장하는 국립예술기관이자 국내 유일의 국악 전문 박물관으로, 민족음악과 무용의 보존과 보급, 그리고 국악의 연구와 발전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 역사

역사적으로 신라의 음성서(音聲署), 고려의 대악서(大樂署), 조선의 장악원(掌樂院)과 관련되었고, 민족항일기의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와 광복 이후 구왕궁아악부(舊王宮雅樂部)에서 유래되었다.

3. 관람 정보

국악뜰, 소리품, 악기실, 문헌실, 아카이브실, 명인실, 체험실 순서로 구경을 추천하며, 개별관광객은 사전 예약없이 관람이 가능하다.

관람료는 무료이다.

3.1. 내부 시설

각 전시실마다 테마에 맞는 국악이 흘러나와 색다른 경험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참고]

3.1.1. 궁중 음악실

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된 악기와 음악 문화를 전시
병풍 그림과 인형을 활용하여 궁중의 연회와 음악을 재현

3.1.2. 원류 음악실

신호와 의사소통에서 발전한 고대 악기의 변천사 소개
출토된 고대 악기 문화재 전시
신라시대 토우(흙 인형)를 통해 당시 음악 생활 조명

3.1.3. 서민 음악실

노동요, 기원 음악 등 서민들의 생활 속 음악 소개

3.1.4. 선비 음악실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 문화와 음악 전시

3.1.5. 궁중 음악인실

궁중에서 음악과 춤을 담당했던 악인들의 삶과 역할 조명

3.1.6. 근현대 음악실

국악의 발전 과정과 국악계 스타들의 활동 조망

3.1.7. 특별 전시실

특정 주제의 기획 전시 공간

4. 기술개발

국가유산과 미디어를 활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체험할수 있도록 하고있다.

4.1. 실감 컨텐츠


대표적인 실감 컨텐츠로 디지털 신기술을 융합한 미디어 전시가 있었다.

4.1.1. 융합 미디어 전시


새롭게 개편된 실감콘텐츠를 국악박물관 상설전시실에서 경험을 하는 등의 다양한 전시가 계속해서 새롭게 열리고 있다.

5. 교통

5.1. 버스

5.2. 지하철

6. 여담

7. 관련 문서


[참고] https://www.nihc.go.kr/planweb/board/view.9is?dataUid=fb0db99570e2feb301710514e70d47da&page=10&boardUid=ff8080816ed8ebd3016ee88d76f100eb&contentUid=ff8080816f40a80f016f7eab66c50d59&layoutUid=&searchType=&keyword=&categoryUid1=&categoryUid2=&cateogryUid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