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소속책임운영기관 | |
<colbgcolor=#003764> |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 | |
| 국립중앙과학관 · 국립과천과학관 | |
| 국립국제교육원 | |
| 국방전산정보원 · 국방홍보원 | |
| 국토지리정보원 · 항공교통본부 | |
| 국립종자원 · 한국농수산대학교 | |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국립중앙극장 · 국립현대미술관 · 한국정책방송원 | |
| 국립공주병원 · 국립나주병원 · 국립부곡병원 · 국립춘천병원 · 국립재활원 · 국립정신건강센터 | |
| 국립통일교육원 | |
| 국립수산과학원 · 국립해양측위정보원 · 해양수산인재개발원 | |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 |
| 국립생물자원관 · 화학물질안전원 | |
| 국립경찰병원 | |
| 관세인재개발원 | |
| 국세상담센터 | |
| 국립기상과학원 · 항공기상청 | |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국립축산과학원 | |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국립해양유산연구소 · 궁능유적본부 | |
| 국립산림과학원 · 국립수목원 ·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 |
| 국립소방연구원 | |
| 국립마산병원 · 국립목포병원 | |
| 통계개발원 | |
| 해양경찰정비창 | |
중앙책임운영기관 | ||
| ||
군 책임운영기관 | ||
| 국방출판지원단 · 국방통합데이터센터 · 국군복지단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164194>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지방자치 | | | | |
법조 | | | | | |
| | ||||
교육 | | | |||
| | | | ||
치안 | | | | | |
소방 | | ||||
| | ||||
보건 | | | | | |
세무 | | ||||
| | ||||
기타 국가기관 | | | | |
국토지리정보원 國土地理情報院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 |
| |
<colbgcolor=#003964> 원장 | 조우석 |
소속 | 국토교통부 |
종류 | 공공기관 |
설립일 | 1958년 4월 19일([age(1958-04-19)]주년)[1] |
주소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92(원천동) |
연락처 | (031) 210-2700 |
웹사이트 | |
[clearfix]
1. 개요
국토교통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2조(소속기관) ⑤ 국토교통부장관의 관장사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책임운영기관의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제1항, 같은 법 시행령 제2조제1항 및 같은 영 별표 1에 따라 국토지리정보원 및 항공교통본부를 둔다.
제52조(직무) 국토지리정보원은 다음 사무를 관장한다.
1. 측량에 관한 정책의 수립·시행
2. 측량 관계 법령의 운영·연구 및 제도개선과 그 이행
3. 국가측량기준의 설정 및 기준점[2]의 유지·관리
4. 항공사진의 촬영 및 제작
5. 세부도화(細部圖畵)
6. 위성영상 등을 이용한 항공사진측량의 연구·개발
7. 국토지리 및 지명조사
8. 지도의 전산편집·제작·관리 및 판매·보급
9. 국토지리정보의 수집·전산화·관리 및 보급
10. 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운용
11. 소관 국유재산 및 물품의 관리
12. 측량·지도제작 관련 비영리법인의 지도·감독
대한민국의 조사·관리형 공공기관. 국토교통부 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서 국토지리정보 생산·운용·보급, 측량 분야 전반에 대한 사업, 지도(국가기본도 등)와 사진 제작 등에 관한 사무를 담당한다. 위치는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92(원천동)이다. 국토지리정보원 내에 수준점, 삼각점, 지자기점이 있다.제2조(소속기관) ⑤ 국토교통부장관의 관장사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책임운영기관의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제1항, 같은 법 시행령 제2조제1항 및 같은 영 별표 1에 따라 국토지리정보원 및 항공교통본부를 둔다.
제52조(직무) 국토지리정보원은 다음 사무를 관장한다.
1. 측량에 관한 정책의 수립·시행
2. 측량 관계 법령의 운영·연구 및 제도개선과 그 이행
3. 국가측량기준의 설정 및 기준점[2]의 유지·관리
4. 항공사진의 촬영 및 제작
5. 세부도화(細部圖畵)
6. 위성영상 등을 이용한 항공사진측량의 연구·개발
7. 국토지리 및 지명조사
8. 지도의 전산편집·제작·관리 및 판매·보급
9. 국토지리정보의 수집·전산화·관리 및 보급
10. 국가지리정보시스템의 운용
11. 소관 국유재산 및 물품의 관리
12. 측량·지도제작 관련 비영리법인의 지도·감독
2. 조직
- 국토지리정보원장(고위공무원단 나급 일반직 임기제 공무원)
- 기획정책과
- 운영지원과
- 위치기준과
- 스마트공간정보
- 지리정보과
- 국토조사과
- 국토위성센터
- 국립지도박물관 - 수원시 영통구에 있으며 국토지리정보원이 직영한다. 2004년 개관했다.
3. 업무
3.1. 발행 지도
국토지리정보원은 계속해서 지도를 업데이트해서 발행하고 있다. 그중 기본적인 지형도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3]※축척 | 도엽수 |
1/5천 | 17,661 |
1/25천 | 812 |
1/5만 | 241 |
1/25만 | 26 |
국토를 규칙적으로 나눠 지도를 만들고 지역 대표명칭을 도엽명으로, 그 부분의 일부 지도에 일련번호인 도엽번호를 매겼다. 나머지 범례는 교과서와 같다. ※ 이런 표준적인 지형도를 얻으려면 홈페이지 지도받기 서비스로 뽑거나 청사로 찾아가거나 택배로 받는 방법이 있고 시중 판매처는 전멸했다. ※ 위 지도들을 인터넷 지도로도 공개하고 있다. ※
또한 1:1,000 도시지역 수치지형도, 한반도 전도, 세계지도, 시각장애인용 지도, 연안해역도※, 극지지도※, 자율주행차용 초정밀 도로지도※도 제작한다.
3.2. 간행물
한반도 지리에 대한 총서인 국가지도집(1~3)[4] 을 제작해 홈페이지에 무료로 열람이 가능하게 해뒀다.3.3. 기타
[1] '국방부 지리연구소'로 설립.[2] 측량기준점 등을 말함. 문서 참조.[3] 이외 축척은 수십년 전 업데이트가 끊김.[4]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황철수 교수가 국가지도집 사업을 제안하고 주도적으로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