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6 03:37:00

수원남부소방서


파일:경기도 휘장_청색바탕용.svg
경기도(남부) 소방기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방서
수원소방서 수원남부소방서 성남소방서 분당소방서 부천소방서
안양소방서 안산소방서 용인소방서 용인서부소방서 평택소방서
송탄소방서 광명소방서 시흥소방서 군포소방서 화성소방서
이천소방서 김포소방서 광주소방서 안성소방서 하남소방서
의왕소방서 오산소방서 여주소방서 양평소방서 과천소방서
기타 기관
119종합상황실 경기도소방학교 특수대응단 국민안전체험관
}}}}}}}}} ||
경기도의 소방기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파일:수원남부소방서 로고.gif수원남부소방서
水原南部消防署
Suwon Nambu Fire Station
}}}
<colbgcolor=#ae1932><colcolor=#fff> 설립일 1996년 10월 5일
폐지일 2009년 12월 1일
설립일(2차) 2019년 10월 1일
서장 고영주
관할구역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팔달구
상급기관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관할센터 권선구, 팔달구
위치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동수원로 286
웹사이트 파일:경기도 휘장.svg
파일:수원남부소방서 전경.jpg
수원남부소방서

1. 개요2. 연혁3. 역대 서장4. 조직도5. 관할 센터6. 대중 교통
6.1. 버스6.2. 버스6.3. 지하철

[clearfix]

1. 개요

수원남부소방서(水原南部消防署, Suwon Nambu Fire Station)는 경기도 수원시 관내의 화재를 예방ㆍ경계하거나 진압하고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구급 활동 등을 통하여 국민의 생명신체재산을 보호하는 경기소방본부 산하의 소방서이다.[1][2][3]

1980년대부터 수원 동남부 지역의 택지지구[4] 개발과 1995년부터 화성시에서 수원시 팔달구로 영통동, 망포동, 신동이 편입됨과 동시에 택지지구 개발로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수원남부소방서 신설이 확정되었으며, 개청 1달 전인 1996년 9월 10일부터 초대 김명식 서장이 취임하였고,1996년 10월 5일부터 기존의 수원소방서 산하였던 원천•권선•지만•이의파출소가 분리되면서 수원남부소방서가 신설되었다.

1996년도 개청 당시 관할 행정 구역은 권선구 일부[5], 장안구 연무동[6], 팔달구[7]이었다.

2003년 11월 24일부터 영통구가 분구되면서 관할 행정 구역도 권선구 일부[8], 장안구 연무동[9], 팔달구 일부[10], 영통구로 개편되었다.

김문수 도지사의 1시(군)-1소방서 정책으로 2009년 12월 1일부터 폐지되며 수원소방서 산하 남부직할대로 격하되었다.
남부119구조대는 폐지되지 않고 기존의 행정 구역을 관할하는 걸로 유지되었다.

하지만, 폐지 전부터 우려되었던 광교신도시의 수요와 서수원•남수원 일대의 신 택지지구 개발로 인구가 증가하며 수요를 감당하기가 어려워지자 2019년 10월 1일부터 수원소방서와 수원남부소방서가 다시 분리되었다.

그러나, 1996~2009년도 당시 관할 구역으로 재분리하는 것이 아닌 권선구와 팔달구 전역을 재분리하는 걸로 확정되면서 기존의 남부•지만119안전센터와 舊 수원중부소방서의 관할 구역이었던 매산•서둔•고색119안전센터가 분리되었다. 이 과정에서 정자119안전센터의 팔달구 관할 구역이 서둔(화서동)•매산(신풍동)•지만(장안동, 북수동)119안전센터로 이관되었고, 남부119안전센터의 영통구[11] 관할 구역이 원천119안전센터로 이관되었다. 마찬가지로, 남부119구조대의 장안구, 영통구 구역이 정자119구조대로 이관되며 권선구, 팔달구 관할로 개편되었다.

2. 연혁

일자 내용
1947년 5월 1일수원소방서 개서 (군정법 제 66호)
1996년 9월 10일제1대 김명식 서장 취임 (‘96.09.10 ~‘00.05.14)
1996년 10월 5일수원남부소방서 개청 (수원소방서 분리) 경기도 조례 제 2689호 (경기도소방서설치조례) /남부119안전센터 개소
1998년 5월 15일제2대 김승주 서장 취임 (‘98.05.15 ~‘98.12.31)
1999년 1월 23일제3대 이희재 서장 취임 (‘99.01.23 ~‘00.06.30)
1999년 2월 25일119구조대 발대
2000년 9월 1일제4대 전석완 서장 취임 (‘00.09.01 ~‘03.06.30)
2003년 7월 1일블릿_화살표 제5대 공병의 서장 취임 (‘03.07.01 ~‘04.11.02)
2003 07.20영통119안전센터 개소
2004 11.03제6대 이종국 서장 취임 (‘04.11.03 ~‘06.12.31)
2007 01.01제7대 정광석 서장 취임 (‘07.01.01 ~‘09.06.30)
2009년 7월 1일화살표 제8대 배석홍 서장 취임 (‘09.07.01 ~‘09.11.04)
2009 11.16원천119안전센터 신축 이전
2009년 12월 1일수원소방서 통합 (수원중부소방서,수원남부소방서) 경기도 조례 제 3968호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일부개정)
2011년 11월 8일119안전센터 통합 (권선119안전센터→남부119안전센터)
2019년 10월 01일 수원남부소방서 개청(수원소방서 분리/119구급대 신설)[12]
2020년 4월 1일 국가직 신분 전환
2020년 11월 2일 호매실 119안전센터 개청

3. 역대 서장

파일:소방청 MI.svg
수원남부소방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김명식
제2대
김승주
제3대
이희재
제4대
전석완
제5대
공병의
제6대
이종국
제7대
정광석
제8대
배석홍
제9대
이정래
제10대
정훈영
제11대
이종충
제12대
고영주
}}}}}}}}}

4. 조직도

파일:수원남부소방서 조직도.jpg

5. 관할 센터

안전 센터명 주소 전화번호 기타
남부 119안전센터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동수원로 286 031-639-8501~8516 [13]
119구조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동수원로 286 031-639-8450~6 [14]
매산 119안전센터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 89 031-639-8520~8529 [15]
지만 119안전센터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경수대로 660 031-639-8530~8538 [16]
서둔 119안전센터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호동로 48 031-639-8540~8548 [17]
고색 119안전센터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부로 1614 031-639-8550~7 [18]
호매실 119안전센터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금곡동 1119 031-639-8560~8570 [19]

6. 대중 교통

6.1. 버스

6.2.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수원남부소방서(042333) ||
직행
일반

6.3. 지하철

노선 역이름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매탄권선역

[1] 경기도 행정기구 설치 조례[2] 소방기본법 제1조(목적), 제3조(소방기관의 설치 등)[3] 지방소방기관 설치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4] 권선, 인계, 매탄 등[5] 권선동, 세류2~3동, 곡선동[6] 행정동 기준, 법정동-상광교동•하광교동 포함[7] 행정동-팔달동(법정동-팔달로1~3가•남창동•영동•구천동•중동) 제외[8] 권선동, 세류2~3동, 곡선동[9] 행정동 기준, 법정동-상광교동•하광교동 포함[10] 매향동, 남수동, 지동, 우만동, 인계동[11] 매탄3동 한정[12] 경기도 조례 제 6235호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소방조직 발췌)[13] 관할구역 : 권선동(권선 1·2동), 곡반정동, 대황교동, 장지동, 인계동[14] 관할구역 : 권선구, 팔달구[15] 관할구역 : 세류2동, 세류3동, 매교동, 교동, 매산로1,2,3가 팔달로1,2,3가, 중동, 구천동, 남창동, 영동, 고등동 신풍동)[16] 관할구역 : 지동, 우만1동, 우만2동, 행궁동(남수동, 매향동, 북수동, 장안동)[17] 관할구역 : 서둔동, 탑동, 구운동, 화서1동, 화서2동[18] 관할구역 : 고색동, 평동, 평리동, 오목천동, 세류1동[19] 관할구역 : 호매실동, 금곡동, 입북동, 당수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