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0 22:37:02

국방통합데이터센터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직할부대 백색.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사학교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파일:합동군사대학교 엠블럼.svg
합동군사대학교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합동부대
파일:사이버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사이버작전사령부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지휘통신사령부
파일:국군수송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수송사령부
파일:화방사_부대마크.png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파일:국군심리전단.png
국군심리전단
파일:드론작전사 부대마크.png
드론작전사령부
파일:대한민국 전략사령부_2.png
전략사령부
군 사법기관
파일:국방부 조사본부 로고_미니.svg
국방부 조사본부
파일:국방부 검찰단 휘장.png
국방부 검찰단
파일:군사법원 로고 최종 완성본.png
군사법원
정보기관
파일:국군방첩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방첩사령부
파일:국방정보본부 부대마크.svg
국방정보본부
근무지원단
파일:국방부 근무지원단.svg
국방부 근무지원단
파일:계룡대 근무지원단 로고.png
계룡대 근무지원단
파일:자운대 근지단 로고.png
자운대 근무지원연대
기타 부대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의무사령부
파일:국방시설본부 마크.svg
국방시설본부
파일:fmc_logo.png
국군재정관리단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국군체육부대
파일:국방정신전력원 부대마크.svg
국방정신전력원
파일: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png
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
파일:군사편찬연구소 마크.svg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파일: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마크.svg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파일:국회CI.svg
국방부 국회협력단
군 책임운영기관
파일:국방출판지원단 부대마크.svg
국방출판지원단
파일:국방통합데이터센터 부대마크.png
국방통합데이터센터
파일:국군복지단 부대마크.svg
국군복지단
}}}<colbgcolor=#c51426><colcolor=#FFF> ※ 참고 : 국방부 조직 및 소속기관, 직할부대 예하부대
합동참모본부 [[대한민국 육군본부|{{{#!wiki style="background-color: #1e3775; padding: 0px 3px; border-radius: 8px; display: inline-block"
국방부 소속기관 국방홍보원, 국방전산정보원
국방부 산하 공공기관 한국국방연구원, 전쟁기념사업회, 국방전직교육원
국직부대 예하 국방부 조사본부 예하: 국군교도소 | 국군방첩사령부 예하 : 국군방첩학교, 국방보안연구소 | 국방정보본부 예하: 정보사령부, 777사령부 | 계룡대 근무지원단 예하: 자운대 근무지원단 | 국군의무사령부 예하 : 국군의학연구소, 국군의무학교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책임운영기관.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소속책임운영기관
<colbgcolor=#003764> 파일:정부상징.svg 국가데이터처 국가통계연구원
파일:정부상징.svg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고객상담센터
파일:정부상징.sv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중앙과학관 · 국립과천과학관
파일:정부상징.svg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국방전산정보원 · 국방홍보원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 항공교통본부
파일:정부상징.svg 기후에너지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 화학물질안전원
파일:정부상징.svg 농림축산식품부 국립종자원 · 한국농수산대학교
파일:정부상징.svg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국립중앙극장 · 국립현대미술관 · 한국정책방송원
파일:정부상징.svg 보건복지부 국립공주병원 · 국립나주병원 · 국립부곡병원 · 국립춘천병원 · 국립재활원 · 국립정신건강센터
파일:정부상징.svg 통일부 국립평화통일민주교육원
파일:정부상징.svg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 국립해양측위정보원 · 해양수산인재개발원
파일:정부상징.svg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휘장.svg 경찰청 국립경찰병원
파일:정부상징.svg 관세청 관세인재개발원
파일:정부상징.svg 국세청 국세상담센터
파일:정부상징.svg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 · 항공기상청
파일:정부상징.svg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국립축산과학원
파일:정부상징.svg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국립해양유산연구소 · 궁능유적본부
파일:정부상징.svg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 국립수목원 ·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파일:소방청 마크.svg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
파일:정부상징.svg 질병관리청 국립마산병원 · 국립목포병원
파일:해양경찰청 OI.svg 해양경찰청 해양경찰정비창
군 책임운영기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국방출판지원단 · 국방통합데이터센터 · 국군복지단 }}}}}}}}}

국방통합데이터센터
國防統合데이터센터
Defense Integrated Data Center(DIDC)
파일:국방통합데이터센터 부대마크.png
창설일 2014년 7월 21일
소속 대한민국 국군
상급기관 대한민국 국방부
종류
역할 국방정보시스템 중 컴퓨터 체계에 대한 관리 및 운영 업무
센터장 2급 군무원(군무이사관) 000
위치 1센터: 경기도 용인시
2센터: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계룡대

1. 개요2. 상세3. 출신인물
3.1. 센터장3.2. 장교/부사관3.3. 병
4. 기타
4.1. 부대가
5. 여담
국방통합데이터센터령

1. 개요

대한민국 국군의 부대로 국방개혁 기본계획에 따라 국방정보 시스템 중 컴퓨터 체계를 통합관리·운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됐다.

2. 상세

국방부 직할부대대한민국 국방부를 비롯해 육·해·공 등 주요 군의 1100여개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는 국방 정보화의 핵심 데이터 센터이다. 각 군 전산소에 흩어져 있던 데이터센터를 한 곳으로 통합, 체계적 관리·유지보수 등을 지원한다.

3. 출신인물

3.1. 센터장

역대 국방통합데이터센터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0 예) 육군 대령 단장
00대 000 단장

3.2. 장교/부사관

3.3.

국방통합데이터센터는 국방부 산하의 주요 정보자산을 통합·관리하고, 군의 정보체계 운영 및 보안을 총괄하는 전략적 핵심 기관으로, 고도의 전문성과 보안성이 요구되는 분야이다. 이에 따라 해당 센터에서는 단순한 IT 기술 습득에 그치지 않고, 정보통신기술(ICT), 사이버 보안, 네트워크 인프라,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실무적 역량을 두루 갖춘 컴퓨터 분야의 전문 인재를 선발하여 배치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최신 IT 트렌드와 국방 정보 환경의 복잡성과 민감성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과 주도적 기술 응용 능력을 요구받는다. 단순히 매뉴얼대로 작업하는 수준을 넘어, 사이버 위협 대응, 데이터 보호, 시스템 최적화 등 다양한 실무 영역에서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사고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인재들은 병무청의 전문연구요원 또는 전문특기병 제도를 통해 엄정한 절차를 거쳐 선발되며,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정보 기반 시설의 안정적 운영 및 기술적 지원을 담당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들은 국방 ICT 인프라의 중단 없는 운영을 보장함과 동시에,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사이버 전장 환경에서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4. 기타

4.1. 부대가

5. 여담

참고로 국방통합데이터센터에 배치되는 병 전문 인력은 카투사(KATUSA)에 비해 지원 조건이 더 까다로운 편이다. 일반적인 병역 특례와 달리 높은 수준의 컴퓨터 관련 전문 지식과 실무 능력을 요구하며, 선발 과정도 까다롭게 진행된다. 다만 그만큼 근무 여건은 상당히 좋은 편인데, 첨단 정보 인프라를 갖춘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고, 복지 측면에서도 우수한 편이라 안정적이고 쾌적한 환경에서 근무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내부에는 최신 컴퓨터 장비와 쾌적한 휴게 공간, 체력 단련 시설 등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 있으며, 휴가 제도 또한 체계적으로 운영되어 병사들의 생활 균형과 재충전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