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4a84ee><colcolor=#ffffff> 국립과천과학관 國立果川科學館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 |
| |
개관일 | 2008년 11월 14일([age(2008-11-14)]주년)[1] |
운영주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유형 | 과학관 |
관장 | 한형주 |
정원 | 84명 |
슬로건 | 재미있는 상상, 즐거움의 시작 |
주소 | |
경기도 과천시 상하벌로 110 | |
우편 번호 | 13817 |
대표번호 | 02-3677-1500 |
링크 |
1. 개요
국립과천과학관 공식 홍보영상(2023)[3] |
국립과천과학관 공식 로고송 - 과학이라서 좋아[4] |
2008년 2016년까지 사용한 로고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책임운영기관으로, 경기도 과천시에 소재한 과학관이다.
1.1. 법령
- 법령: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 제6장(과천과학관) - 제34조(직무) - 국립과천과학관은 기초과학·응용과학·자연사 및 과학기술사 등에 관한 자료의 수집ㆍ보존ㆍ연구ㆍ전시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 법령: 과학관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5]
- 행정규칙: 국립과천과학관 기본운영규정 - 제1장(총칙) - 제3조(소관업무) - 과학관은 기초과학·응용과학·산업기술·과학기술사 및 자연사에 관한 자료의 수집·보존·연구·전시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1.2. 조직
- 국립과천과학관장 - 법령에 따라 고위공무원단 나등급(2~3급)에 속하는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한다.
- 국립어린이과학관 - 부설기관이다. 해당 문서 참조.
2. 시설
| |
입구 사진 | 전경 사진 |
2.1. 관람 특징
- 찾아오는 길 - 수도권 전철 4호선 대공원역 6번 출구에 바로 있다.[6]
- 운영
- 매주 월요일[7], 1월 1일, 설날과 추석 당일에 휴관한다.
- 9시 30분 ~ 17시 30분 운영하며, 16시 30분에 입장을 마감한다. 단, 특별 행사나 천체 시설 등은 야간 운영이 있을 수 있다.
- 요금
- 입장료 - 4000원(성인 기준), 2000원(청소년 기준). 티켓을 가지고 있으면 당일 재입장이 가능하다. 20명 이상 단체는 입장료가 1인당 성인 1천원, 청소년 500원 할인된다. 매주 수요일은 개인요금의 50% 할인이 적용된다.
- 15시 이후 입장료 50% 할인
- 2024년 기준 그 외에 상설 요금을 받는 곳은 천체투영관 및 스페이스 아날로그가 있다. 입장료는 별도로 필요하다.
- 천체 투영관 - 성인/청소년 2천원, 우대회원 1천원. 단체 고객은 1,2,8월, 주말 및 공휴일 제외 우대회원 요금 적용
- 스페이스 아날로그 해설 - 성인/청소년 2천원, 우대회원 1천원, 초 3이상 참가 가능
- 스페이스 아날로그 체험 - 성인/청소년 1만원, 우대회원 5천원, 초 5이상 참가 가능
- 회원권 - 연 5만원이다. 상설전시관은 무료, 천체투영관은 할인해준다. 과학교육 정원에 우선 배정되며, 교육 프로그램을 할인해준다.
- 주차비 - 선불, 종일권으로 일반 5,000원, 25인승 이상 10,000원이다. 제1출입구는 중앙주차장/동주차장, 더 안 쪽 제2출입구는 서주차장/버스전용주차장에 주차할 수 있다. 동주차장/서주차장이 메인 출입구에 가까운데, 동주차장은 협소하다. 버스전용주차장은 버스들이 없는 경우 일반 승용차에게 개방한다. 15시 이후 입차는 50% 할인된다. 총 1,100대 주차가 가능하다.
- 서울대공원 주차장은 기본 2시간에 4,000원, 그리고 추가 30분당 1,500원이지만, 6분 이상 걸어야 하기에 추천되지 않는다.
- 관람코스
- 하루 만에 관람을 다 하기 힘들 정도로 매우 큰 편이다. 과학관 오피셜로 상설전시관만 보면 2시간 30분, 야외공간까지 모두 보면 4시간 30분. 그것도 상영-체험시간을 딱 맞춘 경우에도. 전시보다 체험을 중시한다. 전시물도 관람객이 직접 만져볼 수 있는 게 많으며, 평시에 하는 체험 프로그램만 해도 다 해보려면 하루를 꼬박 쓰거나 며칠에 걸쳐서 해야 한다. 실제로 과학관에서도 3~4일 일정을 잡고 관람하는 것을 권하고 있다. 당일치기를 할 경우 일정을 아무리 치밀하게 짜도 한 두 개는 시간이 중복돼서 못 하게 된다.
- 체험물 예약은 줄 선 1명당 1장만 뽑는 게 가능하므로 가족이 다 같이 줄을 서는 게 좋다. 당연한 말이지만 뛰지 말 것. 뛰지 않는 건 비단 모든 박물관, 미술관, 전시관 및 공공장소에도 적용되는 기본 매너다.
- 체험 프로그램은 예약제로 운영되며, 그날 그날 각 체험 프로그램이 실시되는 장소에서 예약을 받는다. 특별 체험 프로그램은 인터넷 예약도 받는데, 일반적으로 인터넷 예약만으로도 인원이 꽉 찬다. 주말이나 방학에는 아침부터 헬게이트가 열리는지라 예약을 하지 않을 경우 그날 체험은 물 건너 갔다고 보면 된다. 개관하기 전부터 사람들이 모여있으며, 개관을 시작하자 마자 체험 프로그램 예약하러 미친듯이 달려간다. 때문에 미리 뭘 체험할 건지 치밀하게 계획을 짜놓을 필요가 있다.
- 평일이라고 만만하게 생각하지는 말것. 몇 안되는 국립 과학관이라 단체 방문객이 늘 생각보다 꾸준히 많다.
- 야간 프로그램으로 2024년에는 다음 프로그램이 있다.
2.2. 상설전시 및 행사
2.2.1. 과학관 전면
- 과학광장 - 지하철 대공원역 6번 출구 방면을 일컫는다. 편의점이 있다.
- 과학조각공원 - 과학광장 좌측/서쪽 공간이다. 전시물들, 과학놀이터, 에너서클이 있다. 에너서클은 2022년 한국서부발전이 세계 5번째로 자립한 터빈의 모형을 중심으로 한 체험물들의 놀이터를 일컫는다. #
- 과학문화공원 - 과학광장 우측/동쪽 공간이다. 농구골대가 있으며, 다목적광장이라고도 한다. 과학의 날 행사가 이뤄지곤 한다.
2.2.2. 상설전시관 1층
- 미래상상SF관 - 로봇, 인공지능, 에너지, 생명과학.
- 타임머신 - 270도 와이드 영상으로 시간여행을 떠날 수 있다.
- VR 극장 - 실감나는 우주전쟁을 볼 수 있다.
- 2017년, 넥슨 컴퓨터박물관과 콜라보한 메이플스토리 상설전시관을 만들었다.
- 과학탐구관 - 전기, 회전력, 광학, 유체역학.
- 지진체험 Robo-Q - 520인치 와이드 스크린과 6m 거대 로봇 시뮬레이터로 스푸키즈 캐릭터가 등장.
- 테슬라 코일[8] - 시간에 맞춰 가동한다. 사람에 따라서는 작동 시 소음을 견디기 힘들어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
- 극지체험실 - 매월 2, 4번째 일요일 오전 10시 반에 남극 세종 과학기지 연구원들과 화상통화를 할 기회가 주어진다. 연구원들에게 평소 궁금했던 질문을 직접 물어보고 그 답을 들어볼 수 있다.
- 토네이도 체험
- 유아체험관 - 미취학 아동(7세 이하)에 한해, 사전 예약제로, 시간별 입장인원을 제한한다.
- 명예의전당 - 31인의 우리나라 과학자들을 소개한다.
- 기획전시실/특별전시관
- 어울림홀/창조홀/상상홀
2.2.3. 상설전시관 2층
2.2.3.1. 자연사관[9]
공룡, 수족관을 전시한다.- "생동하는 지구, SOS" 상영이 있다. #
- 입구의 종려나뭇잎 화석은 실물로 세계 최대 크기다.
- 44kg에 달하는 철질 운석이 있으며 직접 만져볼 수도 있게 했다.
- 에드몬토사우루스 화석은 티라노사우루스에게 물린 흔적이 아직까지 보존되어 있다.
- 라이브진화센터에는 실제 살아 있는 수중 생물들의 수족관이 있다.
2.2.3.1.1. 전시 표본
- 선캄브리아대
- 아카스타 편마암 | 지르콘 | 스트로마톨라이트(Ephyalpes edingunnensis, Girvanella, Colienia undosa, Alcheringa narrina, 호상철광층, Hydrohycus immanus) | 호상철광층 | 카르니아(masoni 종) | 스프리기나 | 파르반코리나(minchami 종) | 디킨소니아[10] | 킴베렐라[11] | 킴베렐라(quadrata 종) | 포르피타(porpita 종) | 트리브라키디움(heraldicum 종) | 네미아나(simplex 종) | 디킨소니아(costata 종) | 사이클로메두사[12] | 디킨소니아(tenuis 종)
- 고생대
- 필석(Phyllograptus archaios, Dictyonema retiforme, Desmograptus mirconematodes, Didymograptus sp., Monograptus sp., Glossograptus quadrimucronatus) | 해백합(Agaricocrinus splendes, Scytalocrinus robustus, Dichocrinus ficus, Cyathocrinites multibrachiatus, Macrocrinus mundulus) | 시스토이드(Pleurocystites squamosus) | 바다꽃봉오리(Cryptoblastus melo, Orophocrinus stelliformis) | 고사리류(Pecopteris mazoniana, Pecopteris unita, Labatopteris lamuriana, Macroneuropteris scheuchzeri, Neuropteris flexuosa, Laveineopteris rarinervis, Taeniopteris multinervis, Pecopteris sp.) | 속새류(Asterophyllites sp., Annularia radiata, Annularia stellata, Sphenophyllum oblongifolium) | 석송류(Cyclopteris sp.) | 삼엽충(Basilliela sp., Isotelus rex, Acadoparadoxides briareus, Peronopsis interstricta, Hoplolichoides conicotuberculatus, Arctinurus boltoni, Walliserops trifurcatus) | 인목줄기(Lepidodendron sp.) | 오르토케라스[13] | 완족동물(Rafinesqunia chosenensis, Atrypa sp., Parispirifer bownockeri, Platystrophia ponderosa, Mucrospirifer sp.) | 복족류(Raphistoma katoi)
- 에리옵스 | 에스템메노수쿠스(mirabilis 종) | 세이모우리아[14] | 글로소프테리스[15] | 메소사우루스 | 아칸토스테가 | 틱타알릭
- 파람블립테루스(duvernoyi 종) | 트리스티콥테루스(alatus 종) | 오스테올레피스(macrolepidotus 종) | 둔클레오스테우스(marsaisi 종) 머리 골격 모형 | 보트리올레스피스(canadensis 종) | 리놉테라스피스(dunensis 종) | 메타스프리기나 | 하이코우이크티스
- 에우립테루스 | 판상상호(Favosites sp.) | 산호(Paleofavosites sp.) | 사슬산호(Halysites catenularia) | 암모노이드(Goniatite sp.) | 메가네우라(monyi 종) | 쿡소니아[16]
- 중생대
- 사르코수쿠스[17] 두개골 | 스테놉테리기우스[18] | 애몰라이트(Placenticeras meeki) | 암모나이트(Grammatoceras sp., Harpoceras sp.) | 앵무조개(Nautilus pompilius) | 틸로사우루스[19] | 톡소켈리스(Toxochelys latiremis) | 프로토스테가 | 프리오노켈리스(nauta 종) | 엘라스모사우루스
- 코리아노사우루스
- 잠자리목 유충 | 파리목 유충 | 바퀴목 | 경골어류 | 에스테리아(kyongsangensis 종) | 매미과| 식물 | 양치식물(Onychiopsis elongata, Coniopteris sp.) | 유절류(Neocalamites carrerei) | 식물(Phoenicopsis angustifolia) | 은행나무 | 소철류(Podozamites distans)
- 위석 |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saharicus 종) 이빨 | 키로스테노테스 발톱 | 오비랍토르 발톱 | 디플로도쿠스(carnegii 종) 대퇴골 | 사이카니아 꼬리 곤봉 | 분화석 | 람포링쿠스(muensteri 종) | 시조새
- 고르고사우루스 | 스테고사우루스[20] | 트리케라톱스(horridus 종) 머리 | 티라노사우루스(rex 종) 머리 | 프테라노돈(longiceps 종)[21] | 에드몬토사우루스[22][23]
- 프로토케라톱스(andrewsi 종) | 벨로키랍토르(mongoliensis 종)
- 프시타코사우루스 | 카마라사우루스 앞다리
- 티라노사우루스(rex 종) '스코티'[24]
- 신생대
- 종려나무류(sablites sp.) | 디플로미스투스(dentatus 종) | 나이티아(eocene 종) | 미오플로수스(labracoides 종) | 암피플라가(brachyptera 종)[25]
- 무환자나무아과(Thouinia eocenica) | 꽃[26] | 버즙나무류(Macginetea sycamore) | 버드나무류(Populus willmattae) | 정향나무류(Syzygioides americana) | 스테고돈(trigonocephalus 종) 이빨 | 털매머드 이빨 | 물개류(Scaldectus sp.) 이빨 | 재규어 이빨 | 파라히푸스[27] 이빨
- 청어목(Gosiutichthys parvus) | 파리목 | 농어류(Priscacara liops, Mioplosus labracoides) | 골인목(Phareodus encaustus)
- 에레모테리움(laurillardi 종) | 우인타테리움[28] | 글립토돈(clavipes 종) | 동굴곰 | 털매머드 | 스밀로돈[29]
- 인류의 진화
- 두개골(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호모 하빌리스, 네안데르탈인, 사람)
- 석기(올도완, 아슐리안, 무스테리안)
- 골반 대퇴부(침팬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 척추 표본+전신 골격(침팬지, 네안데르탈인)
- 하악(시바피테쿠스)
- 특수 화석
- 전시 박제[30]
- 솔부엉이 | 긴점박이올빼미 | 황갈색올빼미 | 칡부엉이 | 쏙독새 | 큰소쩍새 | 쇠부엉이 | 소쩍새 | 북중국수리부엉이 | 쇠기러기 | 흰뺨오리 | 혹부리오리 | 가창오리 | 쇠오리 | 흰뺨검둥오리 | 재두루미 | 쇠물닭 | 뜸부기 | 대륙말똥가리 | 황조롱이 | 새매 | 조롱이 | 붉은배새매 | 독수리 | 멧비둘기 | 유라시아까치 | 황로 | 중백로 | 검은머리물떼새 | 삑삑도요 | 알락꼬리마도요 | 중부리도요 | 왕눈물떼새 | 청다리도요 | 중대백로 | 쇠백로 | 큰덤불해오라기 | 검은댕기해오라기 | 황새 | 까막딱따구리 | 청딱따구리 | 오색딱따구리 | 쇠딱따구리 | 아무르표범 | 우수리흑곰 | 아무르삵 | 시베리아호랑이 | 고라니 | 멧돼지 | 너구리 | 청설모 | 시베리아다람쥐 | 아무르고슴도치 | 한국여우 | 몽골늑대 | 한국멧토끼 | 들꿩 | 꿩 | 멧비둘기 | 노란목도리담비 | 아시아오소리 | 시베리아족제비 | 큰부리까마귀 | 물까마귀 | 서양갈까마귀 | 유라시아까치 | 물까치 | 황여새 | 붉은뺨멧새 | 노랑턱멧새 | 멧새 | 유리딱새 | 큰유리새 | 밀화부리 | 굴뚝새 | 양진이 | 쇠박새 | 흰눈썹황금새 | 직박구리 | 호랑지빠귀 | 개똥지빠귀 | 쑥새 | 제주휘파람새 | 어치 | 솔잣새 | 울새 | 긴꼬리딱새 | 노랑지빠귀 | 참새 | 꾀꼬리 | 노랑때까치 | 때까치 | 파랑새 | 호반새 | 물총새
2.2.3.1.2. 전시 생물
- 우리나라 바다의 물고기들
- 파랑돔
- 우리나라 강과 호수의 물고기들
- 성과 유전적 조합
- 유전자와 변이
- 진화의 핵심 사건
- 검정말(verticillata 종) / 좁쌀공말 / 진핵 생물 화석(Grypania spiralis)
- 사각 수조
- 생명의 탄생(표본)
- 열수 심해 새우류(Alvinocarididae), 심해 고둥류(Alviniconcha sp.) / 심해 홍합류(Bathymodiolus sp.), 심해 조개류(Calyptogena sp.) / 갯지렁이류(Alvinella sp.), 심해 빛말미잘과, 심해 만각류(Neolepas sp.)
- 열대 바다의 물고기들
2.2.4. 야외 건물
- 천체투영관 - 국내 최대 직경 25m의 돔 상영관으로, 관람일의 별자리와 관련 영상을 보여준다.
- 천문대 - 직경 1m의 광학망원경, 직경 7.2m의 전파 망원경을 갖추고 천체관측 실습을 한다.
- 스페이스 아날로그[38] - 우주환경 적용 모의훈련을 체험한다.
- 패밀리 창작 놀이터 - 2017년 구글의 후원으로 지어졌다. 3D 프린터 등을 체험한다. #
2.2.4.1. 곤충생태관
2.2.4.1.1. 전시 표본
- 곤충 표본
- 홍점알락나비 | 큰멋쟁이나비 | 오색나비 | 암끝검은표범나비 | 산제비나비 | 은줄표범나비 | 넓적사슴벌레 | 사슴풍뎅이 | 왕사슴벌레 | 하늘소 | 장수풍뎅이 | 톱사슴벌레 | 남방공작나비 | 남방오색나비 | 남색남방공작나비(암컷, 수컷) | 끝검은왕나비 | 무늬박이제비나비 | 별선두리왕나비 | 암붉은오색나비(수컷) | 꼬마줄물방개 | 검정물방개 | 장구애비 | 물방개(chinensis 종) | 물장군 | 게아재비 | 어리장수잠자리 수채 | 동쪽애물방개 | 물땡땡이(acuminatus 종) | 수투랄리스애기물방개 | 물자라 | 브루이니참나무하늘소 | 태국참나무하늘소 | 빅토리아나참나무하늘소 | 기브비콜초록하늘소 | 디미디아타색사향하늘소 | 스트라우시점박이하늘소 | 카스타네우스두점박이사슴벌레 | 아로위왕사슴벌레 | 페리큰턱사슴벌레 | 웨스터마니넓적사슴벌레 | 프라이사슴벌레 | 달마니멋쟁이사슴벌레 | 로위사바보나비 | 인터메디아네발나비 | 아르테미스뱀눈나비 | 포세이돈프리아무스비단제비나비 | 플라베센스독나비 | 프랑크자색띠쌍둘기나비 | 노란점큰비단벌레 | 왕눈이큰비단벌레 | 버카르디곱추비단벌레 | 치리시디오이데스곱추비단벌레 | 라자비단벌레 | 워레이시큰비단벌레 | 애기뿔소똥구리 | 쇠똥구리(mopsus 종) | 도미누스왕소똥구리 | 낙엽사마귀(dessicata 종) | 로젠버기황금사슴벌레 | 골리앗꽃무지(regius 종, goliatus 종) | 아데라이다줄보석풍뎅이 | 귀신꽃무지(torquata 종) | 모엘렌캄피황금귀신사슴벌레 | 루케리앞장다리풍뎅이 |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ecuatorianus 아종) | 아르밀라투스장수하늘소 | 큰쥐박각시 | 뱀눈박각시 | 무늬콩박각시 | 케이론장수풍뎅이(chiron 아종) | 스플렌디다푸른날개매미 | 페리앞장다리풍뎅이 | 게스트로이앞장다리장수풍뎅이(gestroi 아종) | 기라파톱사슴벌레(keisukei 아종) | 웨스트우디왕대벌레 |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 | 뮤엘러리사슴벌레 | 로봇 곤충(딱정벌레, 나비목) | 케이론장수풍뎅이(chiron 아종) | 프리아무스비단제비나비(poseidon 아종) | 골리앗금비단제비나비(samson 아종, procus 아종) | 배추흰나비 | 암끝검은표범나비 | 모르포 나비(didius 종) | 웨이스케이보라띠제비나비 | 기곤제비나비(gigon 아종) | 페란투스제비나비(adamantius 아종) | 블루메이제비나비(blumei 아종) | 마다가스카르비단제비나방 | 율리시스제비나비 | 레우시페헤보모이아나비 | 림보르기나뭇잎나비
- 곤충 화석
- 성장 표본
2.2.4.1.2. 전시 생물
- 수서 곤충
- 물땡땡이[39], 다슬기[40] / 물자라 / 동쪽애물방개, 물방개(chinensis) / 장구애비 / 게아재비 / 검정물방개
- 샤페테트라, 구피, 시아미즈 알지이터, 검정물방개, 동쪽애물방개, 왕잠자리 수채, 장구애비
- 꽃들의 중매장이
- 육상 곤충
- 아메리카왕거저리 / 벼메뚜기 / 왕사마귀 / 이질바퀴 / 흰점박이꽃무지 / 넓적사슴벌레 / 왕사슴벌레 / 풀무치 / 장수풍뎅이
- 귀뚜라미[42]
- 넓적배사마귀 알집, 왕사마귀 알집, 사마귀 알집, 좀사마귀 알집
- 거북이 이야기
- 양파[43] 아파트
- 절지 아파트
- 체리레드 센티페드 / 자바 블랙팁 센티패드 / 부톤타이거[44] / 칠리안로즈헤어 / 셀먼 핑크 버드이터 / 인도네시아 블랙팁 센티페드 / 후아이니버드이터 / 버건디 골리앗 버드이터 / 가이아나 핑크토 / 브라질리안 블랙 / 브라키펠마(smithi 종) / 타이 타이거 / 매홍손 타이거 / 메리아나이 핑크토
- 소형 사육장
- 중형 사육장
- 나비 이야기
2.2.5. 야외 생태
2.2.6. 야외 전시
- 로켓 모형 & 별난 공간 - 누리호를 실물 크기로 전시해 놓았다. 마운팅슬라이드, 네트놀이대, 미스트 파고라, 조형 벤치 등의 놀이 시설이 있다. 태양광발전, 풍력발전기도 있다.
- 역사 광장 & 공룡 동산 - 고천문, 측우기, 규표 등이 있다. 중생대의 대표적인 공룡 7종과 공룡알 및 발자국 화석을 실물 그대로 복원해 놓았다.
- 노천 극장 & 캠프장 숙소 - 농구장과 배드민턴장도 있다.
2.2.6.1. 철도 전시 섹션의 반달리즘
엄연히 전시품이지만 유난히 열차들에만 반달리즘을 자행한 사례가 많아 많은 비판을 받는다. 이들을 카페 등으로 활용하려 반입한 것으로 보이지만 전시물에다 이런 짓거리를 하는 상식 외의 행보를 보여 왔다.- 한국철도공사 2101호 디젤기관차, 새마을호 유선형 객차, 한국형 표준 전동차가 전시되어 있다.
- 2018년 1월, 한국형 표준 전동차 내부를 카페로 개조하고 외부를 '순간이동 우주선'이라며 겉면에 철판을 덕지덕지 발라 훼손해서 비판을 받았다. #[46] 많은 비판을 받은 뒤에야 2025년부터 복원에 들어갔다.
- 2019년 3월, 디젤기관차의 도색을 백두대간협곡열차와 유사하게 하여 원형훼손이란 지적이 나와 이후 철도청 말기 도색으로 원형복원했다. 또한 새마을호 유선형 객차의 도색을 다 벗기고 좌석을 탈거했다.[47] # 2025년 기준, 디젤기관차를 다시 재도색하여 국철 도색으로 복원했지만 새마을호 객차는 아직도 도색을 복원하지 않았다.
- 2024년 5월 시점에 방문한 결과 새마을호 유선형 객차는 여전히 도색이 다 벗겨진 상태고, 실내 관람을 할 수 없도록 자물쇠를 설치해두었다.
2.2.7. 상설 행사
2.3. 특별전시 및 행사
- 2011년, '신비의 파라오, 투탕카멘'[48]
- 2020년, '기후 위기 당장 행동하라', '천문우주 페스티벌'
- 2021년, '모든 사물의 역사', '심연'
- 2022년, '바이러스의 고백'
- 2023년, '탄소 C그널', '누리호 3차 발사 특별전', '어울림 숲의 공존', '퇴근한 김에 과학관'[49]
- 2024년, '보이지 않는 우주 기획전'#연계 강연회, '세계 최대 티라노사우루스 기획전', '수도권 협력전시 '별꼴''
- 2025년, '미래동물: 대멸종 너머의 생명'
2.4. 이동전시 및 행사
- 2020년, 이동형 과학체험콘텐츠 50종을 개발했다. 노원우주학교, 인천어린이과학관에서 체험행사를 열었다. #
- 2021년, 송암스페이스센터, 서울시교육청 서울과학전시관,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에 임대했다. #
- 2022년
- 대전과학체험관, 충북자연과학교육원에 임대했다.
- 이 해부터 매년 과천과학관 중앙홀에서 가을무렵 체험행사를 열기로 하고, 이동형 전시물 일체를 '싸이팝(Sci-PoP)'이라 호칭한다. #
- 이 해부터 국립과학관 연구개발 전시품 공동 전시회가 열린다.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개최했다. #
- 2023년[50]
3. 교통
- 수도권 전철 4호선(과천선) - 대공원역 6번 출구
4. 여담
- 청소년 자원봉사 신청을 받으며, 시간을 인정받을 수 있다.
- 2007년, 기관명을 공모했다. 서울대공원 부지 안에 있는 시설 중 유일하게 소재지인 과천의 이름이 들어가게 되었다. '사이언토리움(Science + torium, 과학 체험의 장)'이 공식 별칭이다. # 이후 '과천'을 빼고 '창의'를 넣자는 명칭 논란이 있었으나 유지되었다.
- 2008~2011년 법인화 논란이 있었으나 국립으로 남았다. 이로서 중앙/과천은 전액 국비, 대구/광주/부산은 국비+지방비로 운영된다. #
- 2011년 3월, 처음으로 대청소가 실시되었다. #
- 2014년 2월 16일 런닝맨 런닝별에서 온 그녀 후반부를 이곳에서 촬영했으며 하하가 도민준,유재석이 천송이,김종국이 절대 악인으로 열연해 유재석이 단독 우승했다.#
- 2015년, 로고송 공모전을 진행했다. 분위기는 놀이공원 테마곡과 비슷하고 야외로 나가면 들을 수 있다. 대상(1) 금상(2) 장려상(2) 등. 대상은 "과학이라서 좋아"가 당선.
- 과학관 내외부 편의점들이 라면을 팔지 않았으나[51], 2010년대 중반 이후 다시 판매하기 시작했다.
- 2017년,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에피소드8)가 개봉하자, 건물 외관이 메가급 스타 드레드노트와 매우 닮았다는 평가가 나왔다.
- 2022년 9월, 궤도와 윤하가 탐방을 진행했다. #1, #2, #3
- 야외전시물도 꽤 있는 만큼, 양산등의 대책이 있으면 도움이 된다.
- 15시 이후 방문시 After3 할인요금이라는 명칭으로 주차장 및 입장권 50% 할인을 해준다. 단체 방문객들이 이 시간에는 많이 빠지기 때문에 하는 지역민 대상 할인 프로모션으로 보이는데, 은근히 써먹기가 힘들다. 내부 식음시설들이 17시면 아예 닫기도 하고, 천체투영관 프로그램 중 16시 프로그램만 참가 가능하다던가 하는 제약이 꽤 있다. 천체투영관 프로그램은 하루 5편이 전부 다른 상영이기 때문에 다른 시간에 올 필요도 제법 있는 편. 자주 다녀서 다른 상설전시물은 익숙하고 기획전만 보러간다던가 하는 경우에나 도움이 될 것이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b39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부과천청사 입주기관 | }}}}}}}}} |
[1] 2001년 4월 과학의 날을 맞아 김대중 대통령이 공약하여, 2003년 12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과학기술문화창달계획에 반영되었다.[2] 전국과학관길라잡이 및 한국과학관협회 홈페이지도 참고.[3] 2020년 버전은 다음과 같다. 링크[4] 어린이 버전은 다음과 같다. 링크[5] 과학관은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과 별개의 법으로 관리된다.[6] 단, 야외 광장으로 연결되어, 비가 온다면 상설전시관 입장까지는 우산이 필요하다.[7] 월요일이 공휴일일 경우 그 주 첫번째 평일[8] 2024년 6월 기준으로 전압기가 망가져서 운영이 안된다.[9] 2012년에 자연사관에 오류가 있는 것을 국내 고생물 덕후들이 지적했다. # 한참 수정되지 않다가 2017년 8~9월 리모델링하며 수정했다.[10] 종명 불명[11] 종명 불명[12] 종명 불명[13] 종명 불명[14] 종명 불명[15] 종명 불명[16] 종명 불명[17] 종명 불명[18] 종명 불명[19] 종명 불명[20] 종명 불명[21] 모형이 주기적으로 움직인다.[22] 종명 불명[23] 꼬리에 티라노사우루스에게 물린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다.[24] 현재까지 발견된 티라노사우르스 중 가장 거대한 개체이다. 2024년에 레플리카를 특별 전시했었고, 특별 전시 기간이 끝나고 자연사관으로 옮겼다. 스코티의 레플리카는 세계적으로 단 4개만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가 이것이다.[25] 이들은 자연사관 입구에 있는 실제 화석이다.[26] 종명 불명[27] 종명 불명[28] 종명 불명[29] 종명 불명[30] 현생 동물들이 박제되어있다. 극히 일부를 제외한 박제가 다 한반도 자생 동물들이다.[31] 종명 불명[32] 종명 불명[33] 종명 불명[34] 종명 불명[35] 종명 불명[36] 종명 불명[37] 종명 불명[38] 기존에 운영하던 인터렉티브 영상관 스페이스 월드를 리뉴얼했다. 스페이스 월드 줄거리는 생명의 나무가 시들어 멸망 위기에 처한 외계 행성에 찾아가 악기의 리듬으로 생명의 나무를 부활시켜 행성의 멸망을 막는 내용이다. 이 때 영상 시청자들이 실제 소고를 두드려 리듬을 맞춰야 한다.[39] 종명 불명[40] 종명 불명[41] 거대한 벌집도 같이 전시되고 있다.[42] 종명 불명[43] 양서류와 파충류[44] 종명 불명[45] 종명 불명[46] 2010년의 마개조 이전 모습 참고 #[47] 2014년의 좌석 탈거 이전 모습 참고 #[48] 철저한 고증을 거친 모조 전시회[49] 과학기술인공제회 회원을 대상으로 한 유료행사[50] 한국연구재단이 2018~2022년 '과학문화 전시서비스 역량강화 지원사업'을, 2023년부터 '과학관 전시서비스 연구개발사업'으로 개명해 실시한다.[51] 2000년대 중반부터 대한민국이, 2010년부터 미국이 학교매점 및 주변반경의 햄버거, 콜라 판매를 금지하는 캠페인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