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침팬지 黑猩猩 | Chimpanzee[1], Common chimpanzee  | |||
|   | |||
| 학명 |   Pan troglodytes  (Blumenbach, 1775)  | ||
| <colbgcolor=#fc6> 분류 | |||
| 계 | 동물계(Animalia) |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 강 | 포유강(Mammalia) | ||
| 상목 | 영장상목(Euarchontoglires) | ||
| 목 | 영장목(Primates) | ||
| 과 | 사람과(Hominidae) | ||
| 아과 | 사람아과(Homininae) | ||
| 속 | 침팬지속(Pan) | ||
| 종 | 침팬지(P. troglodytes) |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아종}}}]] | |||
  | |||
| 멸종위기등급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CCCCC,#212121>한국어 | 침팬지[3], 침판지, 침팬지이, 검은성성이[4], 흑성성이[5] | |
| 영어 | Chimpanzee, Chimp, Common chimpanzee, Robust chimpanzee | ||
| 중국어 | 黑猩猩 | ||
| 일본어 | チンパンジー (침판지) | ||
| 독일어 |  Schimpanse (쉼판제: 남성형, 수컷)  Schimpansin (쉼판진: 여성형, 암컷)  | ||
| 프랑스어 | chimpamsé (섕팡제) | ||
| 스페인어 | chimpancé (췸판세) | ||
| 이탈리아어 | scimpanzé (쉼판체) | ||
| 네덜란드어 | chimpansee (쉼판세이) | ||
| 포르투갈어 | chimpanzé (슁팡제) | ||
| 스웨덴어 | schimpans (휨판스) | ||
| 덴마크어 | chimpanse (심팬즈) | ||
| 노르웨이어 | sjimpanse (심판세) | ||
| 핀란드어 | simpanssi (심판시) | ||
| 체코어 | šimpanz (쉼판즈) | ||
| 헝가리어 | csimpánz (췸판즈) | ||
| 폴란드어 | szympans (심판스) | ||
| 튀르키예어 | şempanze (쉠판제) | ||
| 라틴어 | sphingas (스핑가스) | ||
| 그리스어 | χιμπατζής (힘파치스) | ||
1. 개요
|   | 
침팬지속에 속하는 유인원의 일종.
인간과 공동 조상을 가진 동물로서, 침팬지는 보노보와 함께 유전적으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 중 하나다. 침팬지의 유전자와 인간의 유전자는 약 96~98% 일치한다.[6] 침팬지라는 이름은 콩고민주공화국의 빌리어와 루바카사이어에서 '유인원' 혹은 '가짜 인간'을 뜻하는 '침팬제'에서 유래했다.
2. 특징
평균 신장은 150cm[7]고, 체중 범위는 수컷 40~70kg, 암컷 27~50kg다. 기록된 가장 큰 개체는 1980년생의 '커밋'이란 개체로 1991년에 신장은 168cm, 체중은 82kg이였으며,[8] 2006년 당시에는 무려 136kg에 달했다.[9]모공 개수는 인간과 별반 차이가 없다. 털색은 보통 검은색이지만 회색, 은색, 옅은 갈색을 띄는 개체들도 있다. 나이가 들면 턱 밑에 흰 털과 회색 반점이 생기며, 털이 빠지기 시작한다. 피부색은 나이와 아종, 시기에 따라 다르며, 보통 동부침팬지는 연주황색에서 어두운 회색으로, 중부침팬지는 얼룩덜룩한 연주황색에서 짙은 회색으로, 서부침팬지는 얼굴만 연주황색이다가 점차 어두워진다. 또한 자외선을 너무 쬐면 피부가 어두워지고, 발정기 암컷은 피부 일부가 분홍색으로 변한다.
이빨 개수는 사람과 같다. 즉, 앞니 8개, 송곳니 4개, 소구치 8개, 어금니 12개, 총 32개가 있다는 것. 허나 사람과 달리 송곳니가 매우 크고 길게 발달되어 있다.
골반은 크고 길쭉하다. 갈비뼈는 둥근 모양이며, 보통의 사람보다 한 쌍 더 많아 총 13쌍이다.
음경뼈(Baculum)가 퇴화된 인간과 달리, 이들은 작게나마 음경뼈를 가지고 있다. 음경 길이는 평균 14.4cm로 인간과 비슷하지만, 좀 더 가늘며, 귀두가 없다. 난교를 벌이기에 다른 수컷들과 정자 경쟁을 위해서 고환 크기가 매우 큰 편이다.
2.1. 지능
가까운 친척인 보노보와 함께 인간을 제외한 영장류들 중 가장 영리하며, 코끼리, 돌고래, 까마귀 등과 함께 비인간 인격체로 분류되는 동물들 중 하나다.유명한 침팬지 연구자 제인 구달은 침팬지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는데, 그 이전엔 인간만이 도구를 사용하며, 도구는 인간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해 왔다. 게다가 침팬지가 고기를 먹는 동물인지도 알지 못했다.
놀라운 점은 지역별로 독특한 도구 사용법이 있는데, 말하자면 침팬지에게도 '문화'라는 게 있다는 말이 된다. 어떤 지역의 침팬지는 나뭇가지를 사용하여 흰개미를 낚는 수법을 알고 있는데, 또 다른 지역에서는 돌로 호두를 깨는 법을 알고 있다. 일부 서부침팬지 무리는 나뭇가지를 꺾어 창처럼 만들어 갈라고를 사냥하기도 한다. 그런데 제인 구달의 연구에 따르면, 침팬지도 개성이 있어서 어느 녀석은 더 영리하여 금세 저런 지식을 익히고 더 발전시키지만 어느 녀석은 도저히 익히지 못하고 포기하는 것도 흔하다고 한다.
| 인지적 트레이드 오프 가설[10] | 
그리고 일본 교토대학에서도 순간 기억력을 갖고 있는 침팬지가 있다. 이름은 아유무로 인간과의 기억력 대결에서 이길 정도. 사실 아유무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침팬지의 순간 기억력은 인간보다 우위에 있다. 화면에 특정 카드를 보여주고 순서대로 짚는 실험을 해보면 대부분의 사람보다 침팬지가 훨씬 빠르다.
이것이 침팬지의 주 서식지가 나무나 수풀 우거진 곳이다 보니, 여러 장애물 사이에서 동료나 장애물 등을 수시로 파악해야 하는 상황 덕에 순간적인 기억력이 발전했다는 것이 유력하다. 대신 장기 기억력의 부분에서는 인간이 침팬지보다 월등하다. 한번 배운 기술이나 지식, 들은 이야기나 겪은 경험을 잊지 않고 전수까지 가능한 건 인간이 우위라고 볼 수 있다.
침팬지와 소통하기 위해 님 침스키[11]라는 침팬지에게 미국 수화를 가르치는 "프로젝트 님" 실험이 있었다. 여기서 님은 몇 개의 수화를 하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침팬지가 언어구사가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단순히 모방에 불과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고 고등한 언어 표현과 사고는 불가능하다고 한다. 게다가 구사하는 것 대부분이 1개의 문장 이상이 불가능하고 대부분의 주제가 놀이, 먹이, 생리현상에 관련되어 있다고 한다. 또한 지식의 축적 능력이 굉장히 부실하다. # # 이 실험의 궁극적인 결과는 이들의 전달은 제한적인 범위에서 단절적인 신호체계에 불과하다는 것이 실험의 결론이었다. 즉 다양한 신호를 암기시킬 수는 있어도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는 개방적인 사고는 인간만 가능하다.[12] 칼 세이건의 에덴의 용 5장에서는 여키스 영장류센터에서 수화를 가르친 침팬지에게 컴퓨터를 이용한 대화를 알려줬더니 기존의 단어를 조합해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능력도 보여주기는 했으나 이것도 암기 표현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반면 가드너 부부와 로저 파우츠가 새끼 침팬지 워쇼(washoe)에게 350개의 수화 신호를 가르친 실험은 상당히 성공적이었다. 워쇼는 단어와 단어를 조합해 "나를 안아줘", "나를 놓아줘", "옷 줘", "먹을 것 줘"를 비롯한 간단한 의사를 표현을 성공적으로 해냈으며, 냉장고를 "열어서 먹고 마셔"라는 단어 조합으로 표현해내거나, 담요 위 칫솔과 담요 아래 칫솔을 구분해서 표현하는 등의 괄목할만한 의사능력을 보여줬다. 워쇼가 성체가 되면서 영장류연구소로 옮겨졌는데, 이때 동족 침팬지를 처음 보고 '검은 벌레'로 표현하며 정체성 혼란을 표현하기도 했으며, 연구소 생활에 적응한 뒤에는 같이 지내는 침팬지 무리에 수화를 전수하고, 워쇼에게 수화를 배운 침팬지들이 수화로 동료 침팬지들과 인간에게 의사표현을 하고 심지어 수화로 거짓말을 이용한 변명까지 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에 로저 파우츠 박사는 언어는 학습이자 문화적 전파라는 결론을 내렸다.
간혹 특정한 나무 줄기에 돌을 쌓아 놓거나, 폭우가 내리면 몸을 흔들거나, 정전기를 느끼기 위해 폭포에 올라가는 등의 행동을 하는데, 이는 아주 원시적인 종교적 의식 중 하나로 추측되기도 한다.
생태 문단에서 후술하겠지만, 식물, 곤충 등을 사용해 침팬지가 사람처럼 서로의 상처를 치료하는 행위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침팬지가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영상[13] | 
음악을 비롯한 유희를 즐길 수 있다는 것을 방증하는 사례다.[14] 엄밀히 말해 영상속 침팬지들이 박수를 치고 몸을 흔드는 것은 춤이 아니라 상대방을 향한 위협 행동이지만 인간의 춤 문화도 전쟁 이전에 사기 고양, 혹은 적을 도발하거나 위협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을 생각해 보면 충분히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2.2. 의사소통
침팬지는 높은 지능에 걸맞은 고도의 소통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의사소통하기 위해 표정, 제스처, 소리를 자유자제로 사용한다.위는 침팬지가 두려움을 느낄 때 짓는 표정인 '공포 찡그림(fear grimace)'이다. 한 개체가 찡그리면 주변 개체들도 두려움을 느끼며 같이 찡그리기 시작한다. 허나 이빨을 크게 드러내는 탓에 사람들 사이에선 활짝 웃는 것으로 오해를 사는 경우가 무척 잦다. 비슷한 표정으론 '비웃음'이 있다. 두려움을 느낄 때 짓는 표정인 것은 동일하나, 공포 찡그림보단 입을 덜 열고 윗니를 보인다.
진짜 침팬지의 웃음은 위 영상처럼 입을 벌리고, 입술로 윗니를 가리는 동시에 아랫니를 보이며 헐떡대는 것이다. 이 웃음은 자기들끼리 레슬링을 하며 놀때 자주 관찰 가능하다.
지배 개체는 종종 공격적인 행동으로 자신을 과시하는데, 이때 두 발로 서서 팔을 휘두르며 자신의 몸집을 부풀린다. 이때 피지배 개체는 공포 찡그림을 보이며 몸을 상하좌우로 움직이고, 지배 개체에게 손을 뻗으며 복종을 표한다. 또 등을 돌리거나, 헐떡거리는 소리를 내거나, 몸을 어루만져서 자신은 공격할 의사가 없다는 것을 알린다.
[15]
성체 침팬지들은 자주 '팬트 훗(pant hoot)'이란 울음소리를 내는데, 이는 사회적 지위, 유대감, 먹이의 위치를 나타낸다. 팬트 훗은 부드럽게 우~우거리며 시작해 점점 더 높은 소리를 내며, 절정에 다다렀을 때 힘차게 비명을 지르거나 울부짖는다. 이때 달려나가며 나무를 치기도 한다. 비명이 끝난 후에는 다시 부드럽게 울며 팬트 훗을 끝낸다
2.3. 근력
|   | 
그리고 인간보다 근섬유의 굵기가 가늘어 같은 근육량으로도 보다 강한 힘차이를 낼 수 있다.[18] 그렇기에 인간은 선천적인 신체적 능력이 비교적 강하지 못하고, 더군다나 현대화되면서 신체를 적극적으로 쓸 일이 적어진지라 평균적인 인간이 야생 기준으로는 많이 약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달리기 속도도 인간보다 압도적으로 우월해 신체 구조가 달리기에 적합한 체형이 아님에도 최대 40km/h라는 경이로운 신체능력을 보인다.[19] 인간의 일반인 평균 최대 시속은 20km/h~26km/h이므로 침팬지에게서 도망치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완력도 침팬지가 훨씬 우월하다. 침팬지의 악력은 200~330kg[20]이기에 일반적인 성인 남성의 악력을 압도적으로 웃도는 수준이다.[21]
3. 생태
주 서식지는 중앙아프리카부터 서아프리카, 동아프리카 극 일부까지이며 사바나 평야에 적응한 인간과는 달리, 숲을 주 거점으로 활동한다. 허나 적응력이 뛰어난 만큼, 사바나에도 서식한다.주로 15~150마리가 모여 살며, 형성된 무리내에서도 같은 목적을 지닌 침팬지들이 모여 파가 갈린다. 예를 들어, 몇 수컷들은 사냥만을 위해 모이고, 새끼를 가진 몇 암컷들은 공동 육아만을 하기 위해 모인다.
가장 강하고 공격적인 수컷이나 동료가 많은 수컷이 우두머리가 되어 무리를 이끈다. 다른 수컷이 우두머리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기존의 우두머리와 싸워야하는데, 이런 싸우는 행위 말고도 동맹, 배신, 위엄과시 같은 다양한 행위들로 우두머리 자리를 노리거나 우두머리 자리를 지키기도 한다. 집단에서 밉보이면 따돌림을 받는 일도 존재하고, 집단에 불복종하면 우두머리와 그 무리에게 구타를 당하거나 죽기도 한다.
침팬지의 정치 싸움을 다룬 디스커버리 영상에서 우두머리인 로프티는 힘으로 우두머리를 차지했지만 성격이 깡패같아서 친구가 없었고, 이에 힘도 세면서 사교성이 높은 바르톡이라는 침팬지가 서열 2~5위까지의 침팬지를 고기를 나눠주고 그루밍을 해줘서 모두 포섭한 후 몰매를 때려 우두머리 자리를 탈취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편 서열 6위인 엘링턴이라는 침팬지는 그 스스로도 강인한 전사이며 동시에 타고난 지휘관으로서 사냥조, 정찰조, 전투조에서 다른 침팬지들을 통솔하는 데 두각을 나타냈지만, 우두머리 쟁탈전에는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 녀석은 누가 우두머리가 되었건 즉각 복종하며, 오로지 침팬지들을 이끌고 다른 무리의 침팬지나 동물들을 사냥하는 데에만 관심을 보였다. 따라서 침팬지 무리의 우두머리는 "장군"의 지위와는 별개의 것이고, "사자"처럼 강한 힘으로만 유지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번식권리"가 배타적인 것도 아닌 정말로 정치적인 우두머리에 가까운 것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워낙 험하게 사는 탓에 야생에서의 평균 수명은 12~15년 미만이다. 허나 아주 드물게 야생에서 60년까지 사는 개체들도 종종 있으며, 사육 개체라면 중간 수명이 수컷 31.7년, 암컷 38.7년으로 훌쩍 뛴다. 사육 상태에서 가장 오래 산 약 79살에 미국의 동물원인 라이온 컨트리 사파리에서 살다 죽은 암컷 '리틀 마마'이다.
2017년, 고령 침팬지의 뇌에서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신경섬유다발이 발견되어, 침팬지도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다만 인간에 비해 발병률은 현저히 낮다.
채식 위주의 잡식성으로, 식단의 60~70%를 과일로 때운다. 잎과 견과류, 흰개미, 개미, 꿀벌 같은 곤충, 고기도 먹는다. 특히 종종 사냥에 나서 원숭이[22], 영양[23], 새끼 덤불멧돼지, 나무타기천산갑, 볏뿔닭, 힌지백육지거북 등의 척추동물들도 잡아먹는다. 주로 수컷이 암컷보다 사냥을 자주 나서기에 육식을 즐기는 편. 사냥에 성공하면 사냥대원 전원과 구경꾼들에게 고기를 나누어준다. 제인 구달도 침팬지들이 먹은 새끼 혹멧돼지의 잔해들을 보고 이전까지 채식으로 알려진 침팬지가 육식을 한다는 것에 놀라기도 했다. 서식지 파괴와 먹이 감소가 심해지면 민가에 내려와 농작물을 훔치거나 가축을 공격하기도 한다.
사실상 유일한 천적은 아프리카표범이다. 표범은 침팬지의 위험한 천적으로 근력도 순발력도 침팬지보다 우위인데다 뛰어난 은신술로 침팬지의 뒤를 노린다. 침팬지들이 서식하는 빽빽한 수풀은 매복/기습 공격 전문 사냥꾼인 표범에게는 최고의 사냥터로, 침팬지들도 표범의 기척을 느끼면 크게 동요하여 도망가거나 여럿이 협동하며 나뭇가지 등을 내던지며 싸운다. 흔한 일은 아니지만 가끔 역으로 표범을 쫓아내어 표범이 사냥한 먹이를 먹기도 한다. 그 외 사자 또한 잠재적인 천적으로 여겨지지만 확증은 없는 상태다.[24]
침팬지들은 다른 무리에 쳐들어가 패싸움을 벌이는 일이 잦은데, 연구자들에 따르면 집단으로 싸우는 침팬지들은 상당히 조직화된 행동을 보인다. 포로를 납치해서 고문하는 것으로 보이는 행동과 동족포식 행위도 확인되었다. 그렇지만 동족끼리 영역 다툼을 벌여서 경쟁적 배제를 하는 행동은 침팬지 외 늑대나 개미같이 무리를 짓는 동물들에게 발생하는 흔한 일이지만, 유독 침팬지만의 특징인 것처럼 와전되는 일이 잦다. 물론 성체 납치, 고문 등의 행위는 침팬지만의 특성이 맞긴 하다.
| 올리브개코원숭이와 대치하는 침팬지 | 
또한 고릴라들과도 서식지가 겹치지만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보고된 건 서부로랜드고릴라 뿐이다. 힘과 몸집의 차이가 크고 평소에는 둘 다 선호하는 먹이가 달라 경쟁이 피해지기에 충돌을 피하는 편이기에 새끼들끼리 서로 어울려서 장난치면서 노는 등의 상호작용도 하며 대체로 공존하는 편이다.# 허나 영장류 특유의 기회주의적인 습성과 지구 온난화 같은 환경파괴에서 비롯된 먹이 부족으로 인해 실버백 개체를 포함한 성체 고릴라들을 수로 밀어붙여 습격하고 그사이 새끼들을 잡아먹는 일을 벌이기도 했다.
침팬지는 일년 내내 짝짓기를 하는 동물이다. 하지만 발정기는 무리와 계절에 따라 다르며, 보통 먹이를 쉽게 구할 수 있을 때 발정기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암컷은 발정기 기간 동안 생식기가 보기 기괴할 정도로 부풀어 오르는데, 보통 난교를 벌이며, 한 암컷이 여러 수컷과 교미한다. 교미는 대형 유인원치곤 굉장히 짧으며, 약 7초간 한다.
임신 기간은 약 8개월이다. 태어난 후, 약 30일 동안은 어미의 배에 매달리다가, 5~6개월 후면 어미의 등에 올라탄다. 2살이 되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며, 점차 어미에게 의존하지 않기 시작하다가, 4~6살이 돼서야 젖을 떼고 유아기가 끝난다. 청소년기는 6~9년이며, 청소년 개체는 어미와 가까이 지내지만, 지역 사회의 다른 구성원과 점점 더 많이 상호 작용한다. 사춘기의 암컷은 무리 사이를 이동하며, 여러 만남에서 어미의 지원을 받는다.
| 개구리를 이용해 자위행위를 하는 침팬지 | 
침팬지 사회는 폭력지수가 인간 사회의 100배 정도까지 이른다는 보고도 있다. 이 수치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겠지만 침팬지 사회는 인간 사회에 비해 문제 해결을 일상화된 폭력에 크게 의존한다는 추정이 있다.# 반대로 침팬지가 인간보다 유독 폭력적이지 않다는 연구도 있다. 사실 폭력의 스케일만 보면 거대 사회를 이룩한 인간의 전쟁이 압도적으로 더 폭력적이기는 하다. 그리고 인간 역시 침팬지와 달리 고도의 사회와 법에 의해 본능이 많이 제약을 받고 있는데, 이게 없거나 아주 초보적인 사회라면 바로 본능적인 폭력사태로 들어갈 일이 많기도 하다.
침팬지 연구와 보호에 평생을 바친 제인 구달이 한국에 방문했을 때, 장대익 교수가 침팬지와 인간의 폭력성에 대한 물음에 대해 침팬지의 폭력성과 잔인함을 경고한 바가 있기도 하다. # 그 외에도 장대익 교수는 세계 영장류 학회에서 목숨 걸고 찍은 침팬지 사이의 폭력적인 살해 영상을 보고 '침팬지들이 조폭 이상으로 잔혹한 쾌락 살인을 벌인 것'이라고 평가했다.
질병에 걸리거나 부상을 입으면 항염증과 진통 성분이 있는 약초들을 먹거나, 씹어서 즙을 낸 뒤 환부에 발라서 치료한다. 실제로 손을 크게 다친 한 수컷 개체가 강한 항염증 성분이 있는 Christella parasitica라는 양치식물을 찾아 먹은 뒤 손의 상처가 완전히 회복된 사례가 있었다. 기사
4. 인간과의 관계
아프리카 문화에선 침팬지가 사람과 너무 비슷하단 이유로 거의 묘사하지 않는다. 드물게 등장하긴 하나, 십중팔구는 인간 여성을 납치해 강간한다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나온다.라이베리아의 지오족과 콩고의 헴바족은 침팬지 가면을 만들어 쓴다. 지오족의 가면은 아이들에게 예의범절을 가르칠 때 착용하고, 헴바족의 가면은 장례식에서 의식을 거행할 때 착용한다고 한다.
아프리카의 몇 국가들(특히 콩고민주공화국)과 미국에서 애완용으로 길러진다. 그러나, 워낙 공격성이 강한 동물인지라 길들여진 개체들이 큰 사고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실험동물로도 자주 쓰인다.
현재 멸종 위기 동물인데, 원주민과 밀렵꾼들이 침팬지의 고기는 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믿어 별미로 즐겨 먹었고 침팬지가 서식하는 숲을 파괴해 도시로 만들고 새끼들을 잡아서 애완동물과 실험용으로 팔아버린데다가, 설상가상으로 유인원에게 치명적인 에볼라 바이러스까지 확산되어버린 탓이다.
4.1. 인간 vs 침팬지
한 남성과 침팬지의 힘 겨루기 장면이다. 유언비어로 알려진 낭설과 다르게 침팬지가 팔 힘만으로 인간의 팔을 뜯어낸다든가 하는 일은 없었다. 당연하게도 침팬지의 근력은 사람과 비슷하거나 조금 강한 수준이고 평균적인 침팬지보다 훨씬 더 근력이 강한 스트롱맨들과 악력이 더 강한 악력 세계기록 보유자들도 맨손으로 사람 팔을 잡아당겨 뜯어낸다거나 하는 짓은 불가능하다.
인간과 평균 스펙이 가장 비슷한 동물이라서 의외로 호랑이 vs 사자, 개 vs 고양이급으로 인기가 많고 여러 매체에서 자주 볼 수 있는 VS 떡밥이다. 침팬지의 기준은 수컷 성체이며, 인간의 기준은 평균 체격의 성인 남성 기준이다. 노약자나 어린이 그리고 성인 여성은 논외로 친다.[25]
먼저 요약하자면 단련된 성인 남성이라면 침팬지를 이길 확률이 있다.
당연히 무기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전제를 깔고 간다. 무기를 제대로 사용하는 순간 침팬지는 인간을 상대로 게임이 안 되기 때문. 투창과 투석 사냥을 즐겨하던 원시인들은 지금같은 현대무기 없이 창과 돌 같은 원시시대 무기로도 침팬지보다 훨씬 더 강하고 흉포한 매머드, 곰, 검치호들을 잘만 사냥하고 다녔다. 침팬지 정도는 창 한 방에 불과한 건 자명한 일.
- 체급
평균적으로 인간이 우위다. 인간의 성인 남성은 평균적으로 171cm 정도에 몸무게는 77kg 정도 나가고, 침팬지의 성체 수컷은 평균적으로 150cm에 몸무게는 45kg이기에 인간 초등학생 고학년 정도의 크기이다. 
- 격투기술
당연히 격투기를 배운 인간의 격투기술과 아무것도 안 배운 침팬지는 사용 위력에서 많은 차이가 날 것이다. 격투기 선수 혹은 취미인의 기술은 침팬지를 압도한다. 격투기 취미인과 미식축구 선수가 싸움을 하자 체급과 신체능력에서 훨씬 불리한 격투기 취미인이 이기는 정도로 격투 기술의 효과는 크다. 격투 기술의 효과 
- 근력
근섬유 한개당 평범한 인간보다 약 1.35배 강하다. 1975년 기네스북 68페이지에서는 45kg의 침팬지가 데드리프트 272kg을 들어올린 기록이 있다.# 악력이 엄청 강한데 침팬지의 추정 악력은 200~330kg, 성인 남성의 평균 악력은 44kg~46kg이다. - 신체능력
사거리, 지구력, 다리 근력은 인간이 우위이고 평균 순발력, 팔 근력, 악력은 침팬지가 우위이다.
침팬지는 평균적으로 봤을 때 인간보다 순발력이 높으며 인간보다 확연히 크고 날카로운 송곳니까지 있다. 또 침팬지의 신체 구조는 당기기에 적합해서 헤드락이라도 걸린다면 목이 졸려 죽을 수도 있고, 손이나 팔, 얼굴 같은 약한 부분이라도 운 나쁘게 잘못 붙잡히면 바로 살점이 뜯겨나갈 위험이 있을 수 있다. 
허나 격투기를 한 인간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단련된 스텝으로 인한 거리조절 때문에 거의 잡히지도 않고, 잡힌다한들 격투기를 한 인간에 한해서는 침팬지보다 그라운드 싸움을 훨씬 잘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침팬지와 달리 두 다리로만 걸어왔기 때문에 체중대비 하체근력이 영장류 중 가장 우월한데다 다리도 길어 다리 쪽 리치가 더 길다. 즉 로우킥을 이용해 견제 위주의 전략을 전개를 하면 위험 없이 승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킥복싱 선수의 발차기는 파괴력이 대단하기 때문에 아무리 인간보다 두개골이 튼튼하더라도 이를 제대로 맞는다면 한방만으로 전투가 종료된다. 작정하면 다리만으로도 제압이 가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인간의 다리는 침팬지의 팔에 비해 가동범위가 덜 자유롭고 이런 폭발적이고 빠른 하체 기술은 단련된 인간인 격투기 선수 혹은 격투기 취미인들이 아닌 격투기를 해 본적 없는 인간이라면 어설픈 발차기 기술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위에서 말했듯 인간이 사거리로는 유리하며, 기본적으로 인간은 지구력이 높아서 장기전으로 가면 침팬지가 힘이 빠질 때를 노릴 수도 있다. 물론 그때까지 침팬지에게 공격당할 건 조심해야 한다.
위에서 말했듯 인간이 사거리로는 유리하며, 기본적으로 인간은 지구력이 높아서 장기전으로 가면 침팬지가 힘이 빠질 때를 노릴 수도 있다. 물론 그때까지 침팬지에게 공격당할 건 조심해야 한다.
- 공격성
침팬지들이 마구 두들겨 패고 물어 뜯어 거기에 당한 사람이 정말 처참한 몰골이 되는 사례가 종종 있어 왔다. 이런 여러 엽기적인 기행들 탓에 미디어에서 침팬지를 과도하게 초인화하여 엄청난 괴력몬으로 모는 일이 허다하다.[26] 그러나 실제로는 침팬지가 아니라 사람이 같은 사람의 얼굴을 형체도 안 남길정도로 찢어발겨 놓는다거나 질질 끌고 다닌 사례가 훨씬 더 많다.[27] 더군다나 해당 영상 중 일부는 벽 또는 바닥에 패대기치거나 도구를 이용해 가격한 사례도 있는데 이를 짜깁기하여서 오로지 악력으로만 찢은 것으로 왜곡한 영상도 있다.
그런데 격투기가 업이거나 격투기를 취미로 하는 사람들, 직업 군인 등 폭력이 관련된 상황에 익숙한 사람들을 제외한 현대인들은 폭력에 적응이 되어 있지 않고 마음이 싸움과는 거리가 멀어서 호전성이나 야만성, 포악함 등이 떨어진다. 즉 제대로 싸우려면 인간도 마음을 잡고 싸워야 한다. 그렇지만 반대로 침팬지 입장에서는 침팬지보다 체급이 상당히 큰 동물인 인간이 달려들 때 겁을 먹는 건 침팬지 역시 마찬가지이다. 평균 체급은 인간이 더 크기 때문이다. 즉 처음 보는 사이라면 누가 더 공격적, 위협적으로 다가오느냐에 따라 상대가 겁을 먹을 수 있다. 
결론을 내자면, 세미 슐트나 브록 레스너처럼 격투기 선수들이나 격투기를 오래 수련한 남성은 침팬지를 이길 가능성이 크고 쇠질을 열심히 한 체급이 높은 남성들도 충분히 침팬지를 이길 가능성이 있다. 당연하지만 모든 싸움에 절대는 없고 애초에 침팬지와 단련된 인간의 맨손 싸움 사례가 거의 없기 때문에 정확하게 이렇다 저렇다 말할 수는 없다.[28] 미국에서 전직 NASCAR 카레이서 세인트 제임스 데이비스와 그의 부인이 침팬지 두 마리에게 공격당한 사건[29]과 트레비스 사건 등 일반인은 성인 남성, 나이 든 사람, 여성 가리지 않고 맨손 싸움에선 일방적으로 당한 기록밖에 없다. 그런데 침팬지들에게 기습을 당한 단련되지 않은 일반인들인 것을 감안해야 하며, 침팬지보다 훨씬 체급이 높고 힘이 좋은 스트롱맨들이나 미식축구 선수들이 격투기를 수련한 상대에겐 무참히 지는 사례들이 많이 확인되기에 드웨인 존슨, 마동석, 샤킬 오닐, 도리안 예이츠 같은 단련된 인간이 침팬지를 이길 수 있다는 추정을 할 수는 있다.
4.2. 인간과의 교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휴먼지 프로젝트#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휴먼지 프로젝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3. 사육 현황
대한민국에서는 서울동물원의 유인원관, 에버랜드의 알버트 스페이스센터, 대전 오월드, 달성공원에서 침팬지를 사육 중이다. 아종이 정확하게 밝혀진 개체는 없어 대부분이 아종간 교잡 개체로 추정된다. 그나마 달성공원의 침팬지 알렉스는 중부침팬지로 추정된다.서울동물원은 22년 침팬지 남매인 관순이[30]와 광복이를 인도네시아의 사파리로 반출하려고 하였다. 문제는 해당 사파리가 동물학대 논란이 있어서 사람들의 항의가 빗발친 적이 있다. 비난 여론을 인식한 탓인지 서울동물원 측은 관순이와 광복이의 반출을 철회하였다. 그리고 서울동물원에는 높이가 무려 24m나 되는 침팬지 타워가 있는데, 착공 당시에는 가장 높은 침팬지 타워였다고 한다. 현재도 가장 높은지는 불명. 서울동물원의 침팬지는 총 6마리로써 전부 한가족이다. 용용(아빠, 96.07.01 출생)이와 쥬디(엄마, 98.09.15 출생)의 자식들 중 나이 순서대로 광복, 까미, 관순, 아자. 그러니까 위의 반출 시도는 장남과 차녀를 이사보내려고 했던 것이다.
달성공원 동물원에는 과거에 맥스란 이름의 침 뱉는 침팬지가 있기로 유명했다. 지금은 사육장을 유리로 막아놓아서 예전처럼 사람들에게 침 뱉는 모습을 볼 수 없다.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선 과거에 '똘똘이'라는 침팬지를 보유했으나, 더 좋은 동물복지를 구실로 캄보디아로 반출되었다. 허나 공개된 문건들로 보아 캄보디아가 아닌 베트남으로 보내진 것으로 보인다.
해외에서는 일본 아사히야마동물원, 마루야마동물원, 타마동물공원, 요코하마동물원 주라시아, 히가시야마동식물원, 텐노지동물원, 후쿠오카시동식물원, 중국 상하이동물원, 베트남 사이공동물원 등에서 침팬지를 사육 중이다.
4.4. 창작물
과거에는 인간과 유전적으로 닮았다는 점에서 친근하고 우스꽝스럽게 표현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며 특유의 난폭한 성격과 강약약강, 집단지성[31]이 부각되어 보통 군중심리나 문제가 있는 특정한 집단이나 조직을 비판할 때 묘사된다. 그렇다 보니 현재는 부정적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침팬지 무리가 등장한다면 대체로 어느 정도 비난이나 풍자의 의도가 담겨 있는 경우가 잦다. 주로 "특정한 집단의 행동, 수준이 침팬지와 다를 바 없다"는 식으로 표현된다. 한때 사납고 난폭하게 표현되었지만 온순한 성격이 드러나면서 긍정적인 이미지가 강해진 고릴라와 크게 대조되는 부분.- The Wild and the Free (1980)라는 영국 TV영화에서 침팬지가 여러 마리 집중적으로 나온다. 사실상 침팬지들이 주연급으로 침팬지 보호시설을 운영하며 남녀가 사랑에 빠지고 침팬지 밀렵꾼에 맞서는 이야기. 사자 항목에도 나온 영화 야성의 엘자( Born Free,1966)를 감독한 영국 감독인 제임스 힐이 감독한 작품으로 1985년 5월 18일에 토요명화에서 <야성의 에이미>라는 야성의 엘자를 참고한 제목으로 더빙 방영했다. 당연히 에이미는 암컷 침팬지 이름이다. 대우비디오에서 1988년에 <황야의 하늘 높이>이란 제목으로 출시한 바 있다.
 
- 놉에서는 "고디"라는 침팬지가 쇼 진행중 풍선 터지는 소리에 자극받아 위의 트래비스 사건처럼 사람을 난폭하게 공격하다 사살된다.
 
- 스페이스 포스에서는 미국의 우주 탐사를 위해 "마커스"라는 침팬지와 "테오도르"라는 허스키[33]가 무인 우주선에 태워진다. 그러다 마커스가 탄 우주선이 적국인 중국의 우주선에게 공격받게 되고, 마커스는 혼자 우주선을 수리하다가 그만 공허로 날아가 버린다. 결국 중국 우주선이 마커스를 구해주는 것으로 등장 종료.
 
- 론머맨에서는 정부의 가상현실 실험을 받아 지능이 향상된 침팬지가 연구원들을 죽이고 연구실을 뛰쳐나왔다가 사살된다.
 
- 모여라! 시튼 학원에서는 사루하라 팡이라는 침팬지 캐릭터가 등장한다. 자신들은 도구를 쓸 수 있다는 이유로 다른 동물들을 깔보고 란카의 동료들에게도 해코지 하지만 란카의 "한 번만 더 내 동료에게 손대면 물어뜯어 버린다"는 말을 듣고 벙찐다.
 
- 네모바지 스폰지밥에서는 발명품 편에서 한 번 등장하였으며, 각자 퍼시 교수, 마멀레이드 박사, 레지널드 경이라는 이름[34]을 가지고 있다. 다람이의 연구성과가 영 부진하자 지상으로 올려보내려고 했지만, 다람이가 개발한 호두까기 로봇이 바나나를 까주자 117년 동안 연구했는데도 못 만든 걸 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기뻐하며 최고 점수를 주며 20년간 연구비를 지급해주겠다고 한다.
 
- 유아교육 사이트 지니키즈의 캐릭터 중 하나인 바나노의 심리를 중재하는 꼬마침프도 침팬지이다.
 
- 더 와일드 쏜베리즈라는 애니메이션에서 다윈이라는 침팬지가 레귤러 캐릭터로 나온다.
 
- 꼬마 돼지 베이브 2에 나오는 밥, 주티, 이지가 침팬지들 이다.
 
- 디시인사이드에서는 흔히 야숭이라고 불리며 흑우 유저들을 풍자하는데 쓰기도 한다.
 
- 주 타이쿤이나 플래닛 주, 롤러코스터 타이쿤 3와 같은 동물원 운영 게임에서는 열대 동물의 대표주자로서 자주 등장한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침팬지/창작물|침팬지/창작물]]}}}{{{#!if external != "o"
[[침팬지/창작물]]}}}}}}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침팬지/창작물?uuid=7144b52f-7d50-46d7-a37c-08f3abe7ed6b|r2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침팬지/창작물?uuid=7144b52f-7d50-46d7-a37c-08f3abe7ed6b#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침팬지/창작물?from=23|이전 역사 보러 가기]]}}}#!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침팬지/창작물|침팬지/창작물]]}}}{{{#!if external != "o"
[[침팬지/창작물]]}}}}}}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침팬지/창작물?uuid=7144b52f-7d50-46d7-a37c-08f3abe7ed6b|r2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침팬지/창작물?uuid=7144b52f-7d50-46d7-a37c-08f3abe7ed6b#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침팬지/창작물?from=23|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5. 여담
- 술, 담배에 중독된 침팬지도 여럿 있다. 기사 참조 특히 북한 조선중앙동물원의 진달래라는 1996년 생 암컷 침팬지가 하루에 한 갑 가량 담배를 피운다고 하여 큰 논란이 된 적 있었다. # 또한 대한민국 서울대공원에서도 1986년에 담배 피우는 침팬지가 있었다고 한다. #
 
- 가까운 친척인 보노보와 교잡이 가능하기에 간혹가다 야생에서 보노보의 유전자를 일부 지니고 있는 개체들이 발견되기도 한다. 왜냐하면 이들의 서식지를 양분하는 콩고강의 부피가 줄어들고 또 넓어짐에 따라서 종간 교잡과 분화를 반복했기 때문이다. 사육 상태에서도 몇번 교잡 사례가 있었으며 그중 한 개체는 더 스퀘어에 출현하기도 했다. 여러 증언에 의하면 교잡 개체들의 울음소리와 성격은 침팬지보단 보노보와 비슷하다고 한다.
 
- 기니의 일부 서부침팬지들은 바위너구리의 일종인 서부나무타기너구리를 애완동물 삼아서 기르기도 한다. 같이 자고 털 손질도 해준다고.
 
- 톱스타 마이클 잭슨이 키우던 애완동물인 버블스가 침팬지이다. 원래 마이클 잭슨과 같이 살다가 마이클이 버블스를 학대한다는 온갖 이상한 루머에 시달리고, 버블스가 통제가 안 될 정도로 커져버려 결국 헤어졌다. 현재도 플로리다에 있는 유인원 센터에서 잘 지내고 있다. 특이하게 전주인을 닮아서 그런지 그림을 그리기도 했는데 그린 그림들 중 12점이 마이애미의 한 전시회에 전시되어 큰 인기를 얻기도 하였다. 유인원 센터측은 이 그림들을 판매하여 센터 운용 기금으로 사용했다고.
 
- 니은(ㄴ)에 의해 혀가 입천장에 붙어 ㅈ보다는 ㅊ 발음이 편해 '침팬치'로 발음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침팬지가 맞다. 포르투갈을 '포르투칼', 셰퍼드를 '셰퍼트'라고 잘못 읽는 것도 같은 오류이다. 영어 표기만 봐도 알 수 있는데, 독일어에서 직접적으로 어휘를 수입해온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z를 ㅊ로 옮기지 않는다. 그리고 독일어로도 침팬지는 Schimpanse(쉼판제)로 거센소리가 아니다.
 
- 우리가 흔히 대중매체에서 들을 수 있는 사람을 제외한 영장류들의 "우끼끼!", "우우! 아아!"로 대표되는 그 울음소리는 보통 침팬지의 울음소리에서 따오며, 생김새와 행동 양식도 대체로 침팬지에게서 따온다. 실제로는 영장류가 한두종이 아니다 보니 영장류의 울음소리도 새 못지않게 매우 다양하다. 새처럼 지저귀는 듯한 소리를 내는 종이 있는가 하면, 쥐처럼 찍찍 소리를 내는 종도 있고, 심지어는 개처럼 멍멍 짖는 종도 있다.
 
- 흔한 케이스는 아니지만 인간의 언어를 따라하는 듯한 개체들이 종종 있다.[35] 
NO를 가르치지 말라는 댓글이 압권이다 
- 중국에서는 빨래를 하고, 젓가락질을 해서 국수를 먹는 침팬지가 화제가 됐다.#
 
- 일본에서도 젓가락을 이용해서 국수를 먹는 23살 침팬지 가 있다. 인간처럼 손가락을 이용해서 젓가락을 사용하고, 젓가락 1쌍의 끝이 맞닿았을 때 음식을 "집는다"는 원리도 이해하는 수준의 젓가락 사용모습을 보여준다. 나무막대기로 개미를 찍어먹는 원시적인 수준의 도구사용 뿐 아니라, 조금 더 복잡한 도구사용도 훈련을 통해서 습득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인간에게 AK-47 소총을 난사하는 침팬지의 영상이 존재한다. 아프리카 어딘가의 게릴라들이 장난삼아 침팬지에게 총을 쥐어주고 낄낄거리며 놀리던 중, 침팬지가 총을 발사하는 문제의 장면은 사실 영화 혹성탈출의 노이즈마케팅 영상. 하지만 워낙 정교하게 만들어져서 해당 영상을 진짜라고 믿는 사람도 있었다.
 
6. 관련 문서
[1] 줄여서 'Chimp'라고 칭하는 경우가 많다.[2] 권위높은 인류학자 콜린 그로브스(1942~2017)에 의해 주장된 아종. 동부침팬지에서 갈라진 새로운 아종이라고 주장되었으나, 현재 IUCN에서는 이 아종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3] 표준어[4] 문화어[5] 한자 문화권에서는 아직 이렇게 부르지만, 대한민국에서는 1970년대의 일부 백과사전 등을 제외하면 크게 쓰이지는 않은 이름이다. 또한 침팬지를 처음 기록한 유럽의 고문헌에서는 '아프리카의 검은 오랑우탄'이라는 이와 비슷한 명칭이 보고되기도 했다.[6] 퍼센트는 논문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7] Bipedal tool use strengthens chimpanzee hand preferences[8] 1991년 기사[9] 2006년 기사[10] Vsauce의 영상.[11] Nim Chimpsky. 언어학자 놈 촘스키의 이름을 비튼 것이다. 그가 인간만이 언어 구사 능력을 갖고 태어난다고 주장했기 때문.[12] 문화인류학, 한상복, 이문웅, 김광억, 2012[13] 영상에서 쓰인 악기는 마인크래프트의 배경음악에서 사용해서 유명한 핸드팬.[14] 영상의 4:25부턴 정확한 템포에 맞춰 박수를 치기도 한다. 확실히 음악을 즐긴다는 것을 증명하는 행동.[15] 초반에 등장하는 사람은 제인 구달이다.[16] 인간은 최소 1:9에서 평균 3:7 최대 5:5까지 가능하고 아주 드물게 속근비율이 지근보다 많은 사례도 있다. 이들은 대부분 운동선수가 되어서 세계기록을 세웠다. 체급비례 근력이 가장 강한 족제빗과는 속근 비율이 9:1, 다른 최상위권인 파충류, 조류와 고양이과가 그 뒤를 잇는다. 인간 간의 신체능력 차이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데 속근 섬유가 상대적으로 많은 흑인들이 육상을 제패하는 근본적인 이유이다. 이는 유전자 검사를 통해서도 쉽게 알 수 있는데 체내의 속근 섬유를 분석해 단거리 달리기나 폭발력 순발력 등에 적합한지 알아낼 수 있다. 그렇다고 속근이 지근보다 우월한가를 본다면 그렇지도 않다. 에너지 효율 측면에선 산소를 기반으로 작동되는 지근이 압도적으로 우월하기 때문이다.[17] 끈질긴 추격을 위한 지구력이나 근육량이 현저히 많아 속근이 필요가 없는 대부분의 초식 동물이 여기에 해당된다. 그 예로 소나 말은 지근이 많아 지구력도 좋고 근육량이 많기 때문에 속도도 매우 빠르다.[18] 이는 침팬지의 특징이라기보단 인간의 특징이다. 인간은 괴력보단 근육의 섬세한 움직임을 담당하는 파인 모터 기술이 더 발달했기 때문이다. 근섬유의 굵기가 얇을수록 가닥의 수가 더 많아지기에 밀도가 높아져 큰 힘을 내기에 적합하지만, 높아진 밀도만큼 반동이 더 심해져 세세한 움직임을 조작하기가 힘들어진다.[19] 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간인 우사인 볼트는 최대 45km/h를 달릴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이론치와 실제치에서도 가장 우월한 개체 기준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나는 편.[20] 54 kg (119 lb) male chimpanzee squeezed 330 kg (730 lb) on a dynamometer[21] 다만 해당 기록은 1946년에 측정되었기에 악력 측정값도 그 정확성과 신빙성에 대해 논란이 많은 편이며, 상기했던 근섬유 한 개당 1.2~1.5배라는 수치와의 괴리도 크다.[22] 동부콜로부스, 브라자원숭이, 칼라망가베이, 큰흰코원숭이, 서부붉은콜로부스, 다이아나원숭이, 붉은꼬리원숭이, 새끼 노랑개코원숭이, 새끼 기니개코원숭이 등[23] 임바발라, 푸른다이커, 베이다이커 등.[24] 마할레 산맥 국립공원 근처에 서식하던 사자의 배설물에서 침팬지 4마리의 잔해가 나온 기록이 있지만, 직접 사냥했는지에 대해선 불명이기 때문이다.[25] 건장한 성인 남성도 상대하기 까다로운 마당에 그보다 훨씬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가 싸웠다간 지는 건 둘째치고 생명이 위태로울 수도 있다.[26] 성인 남성이 찢긴 사례[27] 대다수가 취객이 술에 취해 이성을 잃고 난동을 부린 케이스에 해당되며 이러한 사고는 전 세계 각지에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28] 침팬지와 인간이 싸울 일 자체가 거의 없을 뿐더러 그것도 인간이 단련돼있는데다가 무기가 없는 상황에 싸워야 할 상황이여야 성립된다.[29] 제임스는 자신이 키우던 '모'(Moe)라는 1967년생 침팬지가 자꾸 사람들을 물며 공격하자 2005년, 모를 침팬지 보호소에 맡겼다. 이후 모의 39번째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아내와 함께 선물을 가지고 침팬지 보호소를 방문했으나, 마침 우리를 탈출한 다른 수컷 침팬지 두 마리에게 무참히 공격을 당했다. 특히 제임스는 얼굴과 팔을 마구 공격당해 손가락 몇 개, 코, 둔부 일부가 뜯겨나간 뒤 침팬지에게 질질 끌려다니기까지 해서 구급대원들이 마치 회색곰에게 당한 것 같다고 했을 정도의 중상을 입었다. 부부의 침팬지인 모는 공격에 가담하지 않았다.[30] 참고로 관순이는 예전에 TV 동물농장에 2번 출연한 적이 있다.[31] 이것은 침팬지뿐만 아니라 다른 영장류들도 다 가지고 있는 특징이지만, 침팬지는 아무래도 인간과 가까운 유인원이기도 하고 흉포성도 개코원숭이와 함께 손에 꼽을 정도로 강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이 더욱 부각된다.[32] 정확히 말하자면 치타라는 이름의 특정 침팬지가 있는 것이 아니라, 치타라는 배역이 있는 것이다. 때문에 오랑우탄이나 사람이 치타 역을 맡는 경우도 있었다.[33] 후에 배고픈 마커스한테 잡아먹힌다.[34] 니켈로디언판 버전. EBS판에서 이들의 이름은 각각 침 교수, 팬 교수, 지 교수.[35] 그런데 영상의 개체는 모든 사람들을 보고 마마라고 불렀다고 하니 정확한 뜻을 알고 사용하는 것이 아닌, 마마를 사람을 칭하는 말로 잘못 학습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