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a2032 70% 80%, #0066b3 80% 90%, #da2032 90%)"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d900><colbgcolor=#da2032> 상징 | 국장 · 국가 · 소욤보 · 몽골야생말 · 헨다손매 |
| 역사 | 역사 전반 · 카마그 몽골 · 몽골 제국 · 북원 · 복드 칸국 · 몽골 인민 공화국 · 준가르 | |
| 정치 | 정치 전반 · 대통령 · 몽골 의회 | |
| 행정구역 | 행정구역 전반 · 아르항가이 · 바잉헝거르 · 더르너드 · 트브 · 울란바토르 | |
| 경제 | 경제 전반 · 몽골 투그릭 | |
| 국방 | 몽골군 | |
| 외교 | 외교 전반 · 몽골 여권 | |
| 사회 | 언어 · 교통 |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아이락 · 몽골 영화 · 공휴일/몽골 · 게르 · 델(의복) · 마두금 · 텁쇼르 · 야특 · 알타이 야특 · 에웨르 부레 · 샨즈 · 대마두금 · 몽골 축구 국가대표팀 · 오르팅 도 · 호치르 · 이킬 | |
| 지리 | 몽골 고원 · 고비 사막 · 외몽골 · 훕스굴 호 | |
| 기후 | 조드 | |
| 언어 | 몽골 문자 · 몽골어 · 카자흐어 · 키르기스어 · 에벤키어 · 러시아어 · 몽골어족 | |
| 관광 | 관광 전반 · 울란바토르 · 수흐바타르 광장 · 간등 사원 · 복드 칸 겨울궁전 · 고비 사막 · 카라코룸 · 보르항 산 · 훕스굴 호 | |
| 민족 | 몽골인 · 몽골계 러시아인 · 몽골계 미국인 · 몽골계 한국인 · 몽골계 인물 | |
| 인물 | 칭기즈 칸 · 복드 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욤자깅 체뎅발 · 산자수릉깅 저릭 | |
| 상징동물 | 몽골야생말 · 쿨란 |
| 헨다손매(세이커매) Saker Falcon | |
| | |
| 학명 | Falco cherrug Gray,JE, 1834 |
| 분류 |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강 | 조강(Aves) |
| 하강 | 신악하강(Neognathae) |
| 상목 | 신조상목(Neoaves) |
| 목 | 매목(Falconiformes) |
| 과 | 매과(Falconidae) |
| 아과 | 매아과(Falconinae) |
| 속 | 매속(Falco) |
| 종 | 헨다손매(F. cherrug) |
| 멸종위기등급 | |
| | |
1. 개요
매목 매과의 새이다. 몽골, 아랍에미리트의 국조이며 아랍에미리트의 국장에 있는 새 역시 이 종이다.2. 생김새
이미지성조는 적갈색이 강한 몸색을 지녔다. 어린새는 매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흰 눈썹선이 있고 뺨선이 더 가늘다.
3. 생태
동유럽부터 몽골에 이르는 중위도 지역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중동, 중국 등지에서 월동한다. 넓은 개활지에서 서식하며 설치류, 조류 등을 잡아먹는다. 매과 조류답게 비행에 능숙하며 수평비행으로 시속 150km, 급강하시 시속 300km까지 낼 수 있다. 한국에서는 불규칙적으로 관찰되는 극히 드문 겨울철새이며 천수만 등지에서 관찰 기록이 있다.IUCN 적색 목록 EN(위기)등급으로 분류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