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파눌리오랑우탄 打巴奴里猩 | Tapanuli orangutan | |
| |
학명 | Pongo tapanuliensis Nurcahyo et al., 2017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강 | 포유강 Mammalia |
상목 | 영장상목 Euarchontoglires |
목 | 영장목 Primates |
과 | 사람과 Hominidae |
아과 | 오랑우탄아과 Ponginae |
족 | 오랑우탄족 Pongini |
속 | 오랑우탄속 Pongo |
종 | 타파눌리오랑우탄 P. tapanuliensis |
멸종위기등급 | |
|
1. 개요
오랑우탄의 일종. 대형 포유류치고는 상당히 늦은 시기인 2017년이 되어서야 발견되고 명명되었다.[1] 오랑우탄 중 가장 개체수가 적은 종이며 야생 개체가 8백여마리밖에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2. 특징
수마트라에 서식하지만 유전적으론 수마트라오랑우탄보단 보르네오오랑우탄에 더 가깝다.[2] 다만 외형은 수마트라오랑우탄과 흡사한 편.다른 종들에 비해 털은 곱슬거리며 얼굴이 평평하고 넓다. 크기는 수컷이 키 1.37m에 체중 70~90kg, 암컷이 키 1.1m에 체중 40~50kg 정도다.
타파눌리오랑우탄의 '롱 콜'은 수마트라오랑우탄보다 최대 주파수가 높고, 보르네오오랑우탄보다 훨씬 오래 행하는 경향이 있다.
3. 생태
수마트라섬의 남부 타파눌리 지역의 토바호 남부, 해발 300~1,300m의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에 서식한다. 활동 범위는 약 1,000km2며, 수마트라오랑우탄하곤 서식지가 100km나 떨어져있다.생태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주로 단독생활을 하며 서로 중첩되는 세력권을 가진 두세 마리의 개체가 짧은 기간 동안 상호 작업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새끼는 약 8~9살이 될 때까지 어미와 함께 머문다.
천적은 수마트라호랑이, 순다구름표범, 수마트라승냥이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