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아라비아표범"><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아라비아표범(아랍표범) 阿拉豹 | Arabian leopard | |
| |
학명 | Panthera pardus nimr (Hemprich and Ehrenberg, 1833)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포유강(Mammalia) |
목 | 식육목(Carnivora) |
아목 | 고양이아목(Feliformia) |
과 | 고양이과(Felidae) |
속 | 표범속(Panthera) |
종 | 표범(P. pardus) |
아종 | 아라비아표범(P. p. nimr) |
멸종위기등급 | |
|
1. 개요
표범의 아종.
2. 특징
수컷은 꼬리포함 몸길이 182~203cm, 무게는 약 30kg이고, 암컷은 꼬리포함 몸길이 160~192cm, 무게는 약 20kg으로 표범의 아종 중에서 가장 몸집이 작지만, 서식지인 아라비아 내에선 가장 큰 고양이과 동물이다. 모피는 옅은 금색 내지 노란색이다.야생 개체가 현존하는 국가는 예멘과 오만 뿐이며, 이스라엘에선 소수의 재도입 개체들이 서식한다. 예전에는 요르단, 아랍에미리트, 이집트 등에서도 살았지만 지금은 멸절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에선 멸절했는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높은 산악 지대와 구릉지에 서식하며, 가끔 넓은 평야, 사막, 해안까지 이동하기도 한다.
주로 야행성이지만, 가끔 낮에도 활동한다.
이들은 크기가 작기에 소~중형 먹이를 집중해 사냥하며, 어쩌다 대형 먹이를 잡게 되면 동굴에 저장해 놓고 먹는다. 주로 아라비아가젤, 누비아아이벡스, 케이프멧토끼, 바위너구리, 호저, 사막고슴도치, 소형 설치류, 조류, 곤충을 먹는다. 다만 지역 주민들의 과도한 사냥으로 먹이 동물의 개체수가 줄자, 현재는 염소, 양, 당나귀, 어린 단봉낙타로 눈을 돌렸다.
3월에 발정기를 맞고, 13주간의 임신 기간 후 동굴이나 굴에서 새끼 2~4마리를 낳는다. 새끼는 눈을 감은 채로 태어나 4~9일 후에 뜬다. 사육 상태에서 태어난 새끼는 생후 한 달이 되면 처음으로 굴에서 나온다. 생후 3개월이 되면 젖을 뗀 후, 최대 2년 동안 어미와 함께 지내다가 독립한다.
3. 멸종 위기
현재는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한 아종으로, IUCN 적색 목록에 1996년 등재된 이후 지속적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추세로 추정된다. 또 개체수가 워낙 적고 서식지 특성상 조사도 다소 어려워 알려진 정보도 부족하다.현재 유일한 서식지인 예멘과 오만엔 겨우 100~120마리의 아라비아표범이 남아있으며, 이들은 서식지 파괴, 과도한 사냥으로 인한 먹이 고갈, 불법 야생 동물 거래를 위한 밀렵, 가축을 지키기 위함이란 명목적인 사냥으로 위협받는 중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현재 여러 국가에서 아라비아표범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멘에서 표범을 보존하려 심혈을 기울이고 있고, 사우디아라비아에선 표범 보호구역을 건설 중이며, 이스라엘에선 재도입을 준비 중이다.
또한 2022년 2월엔 사우디아라비아 각료회의에서 아라비아표범을 보호하고 보존 상태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2월 10일을 "아라비아표범의 날"로 선언했다. UN은 2023년 6월에 2월 10일을 아라비아표범의 국제 날로 공식 지정하는 결의안을 채택하기로 투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