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툰 메트로놈의 등장인은 느시(메트로놈) 참조.
느시 鴇 | Great bustard | |
학명 | Otis tarda Linnaeus, 1758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조강(Aves) |
하강 | 신악하강(Neognathae) |
상목 | 신조상목(Neoaves) |
목 | 느시목(Otidiformes) |
과 | 느시과(Otididae) |
아과 | 느시아과(Otidinae) |
속 | 느시속(Otis) |
종 | 느시(O. tarda) |
멸종위기등급 | |
[clearfix]
1. 개요
느시목[1] 느시과에 속하는 겨울철새이다. 들칠면조라고도 부르며 잡식성이다. 수컷이 몸길이 약 100cm, 암컷이 약 76cm 정도로 수컷이 더 크다.
2. 특징
몽골을 포함한 중앙아시아, 중국, 서아시아, 러시아, 유럽 및 북아프리카 일부 지역에 분포하며, 남아시아나 동남아시아처럼 열대지역에서는 살지 않는다.특징적인 구애행동으로 잘 알려져 있다. 수컷은 암컷의 관심을 끌기위해 깃털을 한껏 부풀리고 춤을 추는데 이 모습이 마치 '거품목욕'을 연상시킬 정도로 독특하다. 그러나 외모심사에 합격해도 최종적으로 총배설강 검사를 통과해야만 암컷에게 교미를 허락받을 수 있다. 이는 수컷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깨끗한 항문은 병치레 없이 건강한 수컷의 상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컷느시는 면역력을 키우기 위해 독충인 가뢰를 자주 먹는다고 한다.
3. 보존 현황
IUCN EN(위기)등급의 국제보호조이며, 전 세계에 남은 개체수는 약 44,000-57,000여 개체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불규칙적으로 도래하는 극히 드문 겨울철새이며 1968년 5월 31일 천연기념물 제206호로 지정하였고,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2]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4. 기타
느시사촌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유전적으로는 느시사촌은 공포새 계통과 훨씬 가깝다.알집에서 새 이름으로 폴더를 생성할 때 나오는 이름 중 하나라서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아비도 그렇다.
성경에는 하나님이 그 고기를 먹지 말라고 말씀하신 것들 중 하나로 서술되어 있다.
블리치에서 웨코문도로 처음 넘어갈 때, 우라하라 키스케가 가르간타를 여는 과정에서 시전한 영창에 다소 뜬금없이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