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26 삼척 초당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창덕궁 다래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326 검은머리물떼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51 검은목두루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51 당진 면천 은행나무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72C13E>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338E41> 서울/인천 경기 | ||
강원 | 가리산 공작산 대암산 덕항산 명성산 | ||
대전/세종 충남 | 덕숭산 서대산 | ||
충북 | 구병산 도락산 천태산 희양산 | ||
대구/경북 | 운문산 황장산 | ||
부산/울산 경남 | 금산 재약산 지리산(통영) 황석산 | ||
전북 | 방장산 백암산 운장산 장안산 적상산 | ||
광주/전남 | 깃대봉 추월산 팔영산 | ||
제주 |
1. 개요
성인봉(聖人峰)은 울릉도에 있는 높이 984m의 성층화산이다. 이름과 달리 어떤 봉우리의 이름이 아니다.2. 상세
섬에 있는 높은 산이라는 점에서 제주도의 한라산을 쉽게 떠올릴 수 있겠지만, 산의 특성이 제주도와 울릉도는 판이하게 달라 두 산도 매우 다른 풍경을 보여준다. 제주도는 섬 자체가 워낙 크기 때문에 한라산도 성인봉보다는 높고 크지만, 산세가 둥글고 경사가 완만한 구간이 많은 한라산에 비해 성인봉은 매우 거칠고 깎아지른 절벽이 많다. 제주도를 세로로 압축한 듯한 산세를 보여준다.산 위에는 나리분지라는 분지 지형이 있다. 백두산으로 치면 천지에 해당하는 칼데라다. 성인봉은 나리분지 가장자리에 있는 봉우리다.
육지와 멀리 떨어진 섬답게 본토와는 상당히 다른 식생의 원시림이 성인봉 산중에 있으며, 울릉 성인봉 원시림이라는 이름으로 천연기념물 제189호로 지정되어있다.
아주 맑은 날에는 운이 좋으면 강원도 동해안 지역도 간간이 볼 수 있다. 강원도 동해안의 아름다운 석양도 쉽게 바라볼 수 있는 특이한 점이 있다.
울릉군의 행정구역인 울릉읍, 서면, 북면을 가르는 경계선이 성인봉에서 시작한다.
3. 등산
등산로는 도동에서 올라 나리분지로 내려가는 게 일반적이다. 도동 쪽에서는 세 갈래 길이 있다. 산 자체는 1천미터도 안 되는 산이지만, 등산로의 시작이 바다 바로 앞이고 위에서 적었듯 험한 산이기 때문에 등산 난이도는 어지간한 강원도 고산에 맞먹는다고도 한다.나리분지에서 올라서 도동으로 하산하여 봉래폭포 구경을 하고 내려오는 코스가 가장 좋다.
나리분지에서 오르는 오름길은 태반이 목책계단이므로 참고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