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1.#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76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126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176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백조(고니, 큰고니, 혹고니)
1.#226 삼척 초당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창덕궁 다래나무
1.#27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326 검은머리물떼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검은목두루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 화산쇄설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567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당진 면천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 부여 가림성 느티나무 扶餘 加林城 느티나무 Saw-leaf Zelkova of Garimseong Fortress, Buyeo | |
|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성흥로97번길 167 (임천면) |
| 소유자 | 국가유산청 외 |
| 관리자 | 부여군 |
|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기념 |
| 수량/면적 | 1주/1,920㎡ |
| 지정연도 | 2021-08-09 |
| |
1. 개요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의 부여 가림성에 있는 느티나무 노거수. 2021년 8월 9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2. 상세
| |
| 성벽 아래서 바라본 가림성 느티나무 |
| |
| 하트 반쪽 모양의 가지 |
3. 천연기념물 제564호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느티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자라서 둥근 형태로 보이며, 꽃은 5월에 피고 원반모양의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줄기가 굵고 수명이 길어서 쉼터역할을 하는 정자나무로 이용되거나 마을을 보호하고 지켜주는 당산나무로 보호를 받아왔다.
가림성(사적)은 백제 동성왕 23년(501)에 부여 남쪽, 백마강 주변의 성흥산(286m) 7~8부 능선에 쌓은 성이다. 느티나무는 성벽만 남아있는 성흥산 8부 편평한 능선 부근(부여군 임천면 군사리 산1-1, 남문지 인근 약220m)에 위치하고 있다. 나이는 약400년 정도이며, 나무 높이 22m, 가슴높이 둘레 5.4m로 넓은 원뿔 모양의 아름다운 느티나무 한 그루가 자라고 있으며, 나무 아래서 논산, 강경, 익산, 서천이 한눈에 보인다.
부여 가림성 느티나무는 백제 동성왕 23년(501)에 쌓은 가림성(사적) 정상부에 위치해 있어 금강 일원이 조망되며 넓게 펼쳐진 독특한 뿌리 모양과 수형이 아름다운 느티나무로 학술적·경관적 가치가 커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부여 가림성 느티나무(扶餘 加林城 느티나무) ||
가림성(사적)은 백제 동성왕 23년(501)에 부여 남쪽, 백마강 주변의 성흥산(286m) 7~8부 능선에 쌓은 성이다. 느티나무는 성벽만 남아있는 성흥산 8부 편평한 능선 부근(부여군 임천면 군사리 산1-1, 남문지 인근 약220m)에 위치하고 있다. 나이는 약400년 정도이며, 나무 높이 22m, 가슴높이 둘레 5.4m로 넓은 원뿔 모양의 아름다운 느티나무 한 그루가 자라고 있으며, 나무 아래서 논산, 강경, 익산, 서천이 한눈에 보인다.
부여 가림성 느티나무는 백제 동성왕 23년(501)에 쌓은 가림성(사적) 정상부에 위치해 있어 금강 일원이 조망되며 넓게 펼쳐진 독특한 뿌리 모양과 수형이 아름다운 느티나무로 학술적·경관적 가치가 커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부여 가림성 느티나무(扶餘 加林城 느티나무) ||
4. 기타
- 인근엔 관촉사의 은진미륵과 함께 고려 거불을 대표하는 미륵보살입상이 있는 대조사가 있다.
- 미디어 출연 등으로 유명해진 나무가 문화재가 된 사례 중 하나인데 몇 년 뒤 천연기념물이 된 창원 북부리 팽나무와 함께 여러 사람들이 방문하나 가지를 꺾거나 올라타는 등의 나무를 훼손하는 행위에 대한 명확한 대책은 세워지지 않아 우려를 모으고 있는 나무이다.
- 가까운 주차장에 차를 대도 산성이기 때문에 조금은 가파른 계단을 걸어 올라가야 한다.
- 올라가는 길엔 수령 약 200년 가량의 소나무 노거수가 있고 성흥산 아래 군사리에도 수령 약 300살의 소나무 보호수 하나가 있다.
[1] 그러나 이 이야기로 추정한 수령은 나무의 크기 등으로 추정한 수령과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민담으로만 보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