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1.#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76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126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176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백조(고니, 큰고니, 혹고니)
1.#226 삼척 초당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창덕궁 다래나무
1.#27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326 검은머리물떼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검은목두루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 화산쇄설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567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당진 면천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 문섬·범섬 천연보호구역 문섬·범섬 天然保護區域 Munseom and Beomseom Islands Natural Reserve | ||
소재지 | 제주 서귀포시 서귀동 산4번지 및 법환동 산1-3번지 등 | |
소유자 | 산림청 외 | |
관리자 | 제주특별자치도 | |
분류 | 자연유산 / 천연보호구역 / 자연과학성 / 해양생물상 | |
수량/면적 | 9,196,822㎡ | |
지정연도 | 2000-07-18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 제주연안 연산호 군락 濟州沿岸 軟珊瑚 群落 Population of Soft Corals Along the Coast of Jeju | ||
소재지 | 제주 서귀포시 대포동 대포코지 2499-1 외 | |
소유자 | 해역부 | |
관리자 | 제주특별자치도 | |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분포학 | |
수량/면적 | 90,105,503㎡ | |
지정연도 | 2004-12-13 | }}} |
|
1. 개요
문섬은 서귀포시 남쪽에 위치한 섬이다.2. 상세
본래 아무것도 없는 민둥섬이라 하여 믠섬이라고 불린것이 발음이 변해 문섬이 되었고, 이를 음차해서 문도(文島), 훈차해서 독도(禿島)라고 불리기도 한다. 혹자는 섬에 모기가 많아서 모기 문(蚊)을 써 문섬이라 한다고도 한다. 인근에 위치한 범섬, 섶섬 등과 함께 서귀포해양도립공원에 속해 있으며, 범섬과 함께 '문섬·범섬 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 제421호)으로 지정되어 보호 받고 있다.현재는 섬 위에 상록수림이 있고, 인근 해역은 연산호를 비롯한 각종 희귀한 해양생물들의 서식지로서 가치가 높아 이 또한 천연기념물 제442호인 '제주연안 연산호 군락'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이에 따라 스쿠버다이빙 등의 해양 탐사 관광이 활발하게 이뤄졌으나, 2022년 1월부터 섬 주변 해역까지 출입제한지역이 되었기 때문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국가유산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022년 6월에 관광잠수함이 문섬에 너무 가까이 접근해 문섬의 암벽은 물론, 문섬 앞바다의 연산호 군락 및 희귀생물 서식지가 훼손되고 있다는 논란이 불거졌다.# 이에 당시 문화재청은 조사 후에 훼손이 실제로 일어났음을 확인하였고, 해당 관광잠수함 업체에 문섬 일대의 관광잠수함 운항 불허를 통보했다.#
3. 천연기념물 제421호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문섬과 범섬은 서귀포 주변에 있는 5개의 무인도에 포함되는 섬들로 서귀포 해안에서 남쪽으로 1.3㎞ 정도 떨어져 있다.
문섬 및 범섬은 제주도의 기반 암석인 현무암이 아닌 조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섬 전체에는 암석이 규칙적으로 갈라진 주상절리가 수직으로 발달하였고, 파도 침식에 의해 생긴 절벽과 동굴이 발달되어 경관이 아름답다.
문섬에는 땅에서 자라는 식물 118종이 서식하고 있는데 그 중에는 제주도에만 자생하는 보리밥나무와 큰보리장나무의 군락이 있으며, 흑비둘기의 서식처인 후박나무도 자라고 있다. 범섬에는 총 142종의 식물들이 자라고 있는데, 이 중에 거문도와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물푸레나무과의 박달목서가 자생하고 있다.
해안에는 녹조류·갈조류·홍조류 등 총 111종의 해조류가 자라고 있고, 이외에도 다수의 신종, 미기록종 식물들이 있다. 또한 해산무척추동물도 해면동물 13종 중 2종의 한국 미기록종이 있고, 극피동물 5종·자포동물 중 히드라류 5종·산호충류 17종·태형동물 11종·피낭동물 1종·이매패류 12종 중 3종·갑각류는 23종 중 8종이 한국에서는 기록되지 않은 종으로 조사되었다.
문섬 및 범섬 천연보호구역은 경관이 아름답고, 세계적 희귀종인 후박나무가 자라고 있으며, 천연기념물인 흑비둘기가 번식하는 남쪽 한계지역이다. 또한 학술적 가치가 큰 한국 특산 해산생물 신종·미기록종이 다수 출현하는 곳으로서 남방계 생물종 다양성을 대표할 수 있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현재 문섬 범섬의 보호를 위하여 공개제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관리 및 학술 목적 등으로 출입하고자 할때에는 국가유산청장의 허가를 받아 출입할수 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문섬·범섬 천연보호구역 (문섬·범섬 天然保護區域) ||
문섬 및 범섬은 제주도의 기반 암석인 현무암이 아닌 조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섬 전체에는 암석이 규칙적으로 갈라진 주상절리가 수직으로 발달하였고, 파도 침식에 의해 생긴 절벽과 동굴이 발달되어 경관이 아름답다.
문섬에는 땅에서 자라는 식물 118종이 서식하고 있는데 그 중에는 제주도에만 자생하는 보리밥나무와 큰보리장나무의 군락이 있으며, 흑비둘기의 서식처인 후박나무도 자라고 있다. 범섬에는 총 142종의 식물들이 자라고 있는데, 이 중에 거문도와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물푸레나무과의 박달목서가 자생하고 있다.
해안에는 녹조류·갈조류·홍조류 등 총 111종의 해조류가 자라고 있고, 이외에도 다수의 신종, 미기록종 식물들이 있다. 또한 해산무척추동물도 해면동물 13종 중 2종의 한국 미기록종이 있고, 극피동물 5종·자포동물 중 히드라류 5종·산호충류 17종·태형동물 11종·피낭동물 1종·이매패류 12종 중 3종·갑각류는 23종 중 8종이 한국에서는 기록되지 않은 종으로 조사되었다.
문섬 및 범섬 천연보호구역은 경관이 아름답고, 세계적 희귀종인 후박나무가 자라고 있으며, 천연기념물인 흑비둘기가 번식하는 남쪽 한계지역이다. 또한 학술적 가치가 큰 한국 특산 해산생물 신종·미기록종이 다수 출현하는 곳으로서 남방계 생물종 다양성을 대표할 수 있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현재 문섬 범섬의 보호를 위하여 공개제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관리 및 학술 목적 등으로 출입하고자 할때에는 국가유산청장의 허가를 받아 출입할수 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문섬·범섬 천연보호구역 (문섬·범섬 天然保護區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