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꼬리수리 White tailed eagle[1] | |
| |
학명 | Haliaeetus albicilla (Linnaeus, 1758)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조강(Aves) |
목 | 수리목(Accipitriformes) |
과 | 수리과(Accipitridae) |
아과 | 말똥가리아과(Buteoninae) |
속 | 흰꼬리수리속(Haliaeetus) |
종 | 흰꼬리수리(H. albicilla) |
멸종위기등급 | |
|
|
1. 개요
수리목 수리과에 속한 조류.2. 특징
평균 몸길이 80∼94cm, 익장 1.8~2.45m로, 흰꼬리수리속의 조류 중 참수리 다음으로 제일 크다. 수컷과 암컷의 생김새는 큰 차이가 없으며 다른 맹금류와 마찬가지로 암컷이 약간 더 크다. 몸은 황갈색에서 담황갈색의 머리와 목, 백색 꽁지를 제외하고는 균일한 갈색이다. 새끼때는 머리와 목의 담색부가 없고 전체가 갈색으로 얼룩지며 백색을 띤 꽁지는 나이에 따라 차가 있다. 어릴 때는 꼬리가 얼룩덜룩하다가 나이가 들수록 흰색으로 변한다.검독수리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몸집은 흰꼬리수리가 좀 더 크고, 부리 색 역시 흰꼬리수리가 더 밝다.
참수리, 흰머리수리와는 같은 흰꼬리수리속에 속한 사촌격이다. 북아메리카에는 흰머리수리가 서식하고, 유라시아에서는 참수리와 흰꼬리수리가 서식한다.
울음소리와 울때는 흰머리수리와 비슷하나[2], 이쪽은 울음소리가 조금 더 크고 암수에 따라 울음소리도 살짝 다른 편이다. 암컷은 톤이 조금 낮고, 수컷은 톤이 살짝 높다. 울음소리.
1973년 4월 12일 천연기념물 제243호로 지정되었고,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3. 생태
유럽 전역과 아시아 북부[3], 그린란드 등지에 분포하며, 흰꼬리수리속 맹금류 중 서식지가 제일 넓다. 겨울에는 결빙되지 않은 수면을 찾아 일부가 남하 이동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보기 드문 겨울철새이며[4] 임진강, 한강, 낙동강 등의 대형 강이나 하구, 또는 동서 해안 및 남해 도서 연안 등 도처에서 월동한다. 드물게도 2012년 흑산도에서 한쌍의 개체가 번식했던 기록이 있다. 2023년에 시화호 인근에서 번식을 시도 했으나 큰부리까마귀 무리의 지속적인 방해로 번식에는 실패하였으며 사용했던 둥지는 옮겨져서 흑산도의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에 전시되어 있다. # 이듬해인 2024년엔 번식에 성공하여 24년만에 유조가 확인되었다. #. 2025년에는 1.5km 떨어진 송전탑에 둥지를 짓고 번식을 시도했으나 찍사들의 과도한 접근으로 포란을 포기하여 번식에 실패했다. 버려진 둥지엔 알이 하나 있었다. 어미들이 떠난 이후 까치 또는 큰부리까마귀가 알을 쪼아 먹은 것으로 보인다.#해안의 바위, 진흙 갯벌, 소택지, 내륙의 호수, 하천, 하구 및 개활지나 산림에도 서식하나 산악지대에는 살지 않는다.
주로 잉어, 누치, 북부민물꼬치고기 등 어류나 물닭, 오리, 기러기, 갈매기, 가마우지 등 물새와 바닷새를 잡아먹는다.[5][6] 때때로 사향쥐, 밍크, 토끼 같은 중소형 포유류나 까마귀, 까치, 멧닭, 꿩 등 육상조류도 사냥한다.[7] 보통 큰 동물은 잘 노리지 않으나, 경우에 따라 너구리, 여우, 담비, 수달, 어린 노루, 고라니 같은 중형 포유류나 서부대백로, 왜가리, 홍부리황새, 검은목두루미, 큰고니 같은 대형 조류를 사냥하기도 한다.[8][9][10] 물에서 잡은 먹이가 너무 무거우면 발톱으로 붙잡고 수영해서 육지로 끌고 나와 먹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10kg이 넘는 물고기도 사냥할 수 있다.[11][12] 죽은 동물의 사체도 곧잘 먹으며, 왜가리나 가마우지 등 다른 물새들이 잡은 먹이를 빼앗아 먹기도 한다. 다른 맹금류들과는 경쟁 관계인데, 먹이를 두고 흰죽지수리나 참수리와 경쟁하는 경우가 많다. 홋카이도에서는 두루미에게 주기 위해 공급되는 물고기를 훔쳐가려다가 두루미와 싸우는 일도 있다.
번식기는 남쪽 서식지에서는 1월~7월이며 북쪽에 사는 흰꼬리수리들은 4월~11월로 더 늦은 편이다. 보통 짝을 맺으면 일정 영역을 차지하고 한 쪽이 죽을 때까지 같은 상대와 번식한다.[13] 산란기는 2월 하순에서 4월 중순이며 1∼4개의 알을 낳는다.[14] 부화 후 암수가 공동으로 먹이를 조달하며 90일이 지나면 새끼는 날 수 있게 된다.[15] 이후 1년에서 최대 3년까지 부모의 영역에서 보호를 받다가 독립한다.[16]
4. 폴란드에서
|
특히 흰꼬리수리 문장은 우리로 치면 고조선급의 위치인 폴란드 영지 시절부터 왕실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폴란드 역사상 최대의 전성기였던 폴란드-리투아니아 시절에도 리투아니아의 파호냐 문장과 함께 국기에 그려져 쓰였다. 이런 유구한 역사를 지닌만큼, 흰꼬리수리 문장이 폴란드인에게 주는 의미는 매우 특별하다.
| <nopad> | <nopad> |
입헌왕국기(러시아령) | 포젠주 문장(독일령) | 크라쿠프 대공국장(오스트리아령) |
심지어 공산주의 정권 시절에도 다른 공산국들이 사회주의 문장 도식을 따라 새 국장을 정할 때, 해당 풍조를 깔끔하게 무시하고 기존 흰꼬리수리 문장에 왕관 그림만 빼서 사용했다[17]. 공산 정권이 무너진 현재는 다시 왕관을 추가해서, 국가의 상징으로 널리 쓰고 있다.
5. 여담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1.#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76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126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176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백조(고니, 큰고니, 혹고니)
1.#226 삼척 초당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창덕궁 다래나무
1.#27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326 검은머리물떼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검은목두루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 화산쇄설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567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당진 면천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I급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 포유류 | <colbgcolor=#fff,#1c1d1f>늑대† · 대륙사슴† · 무산쇠족제비 · 점박이물범 · 반달가슴곰 · 붉은박쥐 · 사향노루 · 산양 · 수달 · 스라소니† · 여우† · 작은관코박쥐 · 표범† · 호랑이† | |
조류 | 검독수리 · 고니 · 넓적부리도요 · 노랑부리백로 · 느시 · 두루미 · 먹황새 · 뿔제비갈매기 · 저어새 · 참수리 · 청다리도요사촌 · 크낙새† · 호사비오리 · 혹고니 · 황새 · 흰꼬리수리 | ||
파충류 | 비바리뱀 | ||
양서류 | 수원청개구리 | ||
어류 | 감돌고기 · 꼬치동자개 · 남방동사리 · 모래주사 · 미호종개 · 얼룩새코미꾸리 · 여울마자 · 임실납자루 · 좀수수치 · 퉁사리 · 흰수마자 | ||
곤충 | 붉은점모시나비 · 비단벌레 · 닻무늬길앞잡이 · 산굴뚝나비 · 상제나비 · 수염풍뎅이 · 장수하늘소 · 큰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 | ||
기타 무척추동물 | 귀이빨대칭이 · 나팔고둥 · 남방방게 · 두드럭조개 | ||
식물 | 광릉요강꽃 · 금자란 · 나도풍란 · 만년콩 · 비자란 · 암매 · 죽백란 · 제주고사리삼, · 탐라란 · 털복주머니란 · 풍란 · 한라솜다리 · 한란 |
- [ II급 ]
- ||<width=15%> 포유류 ||<colbgcolor=#fff,#1c1d1f>노란목도리담비 · 북방물개 · 삵 · 큰바다사자 · 토끼박쥐 · 하늘다람쥐 ||
†:대한민국에 더 이상 서식하지 않는 종 |
[1] 바다에도 서식하기 때문에 'White tailed sea eagle'로도 부른다.[2] 흰머리수리가 약간 '삐비비빅-!' 하듯이 운다면, 흰꼬리수리는 '뺙 뺙 뺙 뺙-!' 이런식으로 운다.[3] 서아시아와 남아시아 북부, 동아시아, 중앙아시아, 북아시아 등.[4] 다만 대한민국에 도래하는 수리류 중에서는 도래하는 개체 수가 독수리 다음으로 많아 철새 도래지로 유명한 곳에 방문하면 어렵지 않게 관찰 가능하다.[5] Love, J. A. (1983). The return of the Sea Ea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5513-9.[6] Mori, S. (1980). Breeding biology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Hokkaido, Japan. Japanese Journal of Ornithology, 29(2–3), 47–68.[7] Probst, R. (2009). Der Seeadler (Haliaeetus albicilla) in Österreich: Das WWF Österreich Seeadlerprojekt. Denisia, 27, 29–50.[8] Yurko, V.V. (2016). Diet of the White-Tailed Eagle During the Breeding Season in the Polesski State Radiation-Ecological Reserve, Belarus. Raptor Conservation, 32: 21–31.[9] Fanke, Jane, Gudrun Wibbelt, and Oliver Krone. "Mortality factors and diseases in free-ranging Eurasian Cranes (Grus grus) in Germany." Journal of Wildlife Diseases 47.3 (2011): 627-637.[10] Brazil, M. (2010). The whooper swan. Bloomsbury Publishing.[11] Wille, F. (1979). Choice of Food of the Greenland White-tailed Eagle- method and preliminary results. Dansk ornithogisk Forenings Tidsskrit, 73: 165–170.[12] Adrianova, O. V., & Kashevarov, B. N. (2005). Some Results of Long-Term Raptor Monitoring in the Kostomuksha Nature Reserve. Status of Raptor Populations in Eastern Fennoscandia, Proceedings of the Workshop, Kostomuksha, Karelia, Russia.[13] Ferguson-Lees, James; Christie, David A. (2001). Raptors of the World. Illustrated by Kim Franklin, David Mead, and Philip Burton. Houghton Mifflin. ISBN 978-0-618-12762-7. Retrieved 29 May 2011.[14] Willgohs, J. F. (1961). The white-tailed eagle Haliaëtus albicilla albicilla (Linné) in Norway. Norwegian Universities Press.[15] Mori, S. (1980). Breeding biology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Hokkaido, Japan. Japanese Journal of Ornithology, 29(2–3), 47–68.[16] Brown, L.H.; Amadon, D. (1968). Eagles, hawks and falcons of the world. Volume 1. Hamlyn Publishing Group.[17] 사실 폴란드 망명정부와의 정통성 싸움 중이었던 터라, 다른 방안이 없긴 했다. 그 상황에서 낫과 망치 등을 써버리면 소련의 위성국에 불과한 자신들 처지를 광고하는 것밖에 되지 않는지라...[18] 여담으로 육경은 그보다 앞선 2005년에 참수리 문장으로 바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