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I급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 포유류 | <colbgcolor=#fff,#1c1d1f>늑대† · 대륙사슴† · 무산쇠족제비 · 점박이물범 · 반달가슴곰 · 붉은박쥐 · 사향노루 · 산양 · 수달 · 스라소니† · 여우† · 작은관코박쥐 · 표범† · 호랑이† | |
조류 | 검독수리 · 고니 · 넓적부리도요 · 노랑부리백로 · 느시 · 두루미 · 먹황새 · 뿔제비갈매기 · 저어새 · 참수리 · 청다리도요사촌 · 크낙새† · 호사비오리 · 혹고니 · 황새 · 흰꼬리수리 | ||
파충류 | 비바리뱀 | ||
양서류 | 수원청개구리 | ||
어류 | 감돌고기 · 꼬치동자개 · 남방동사리 · 모래주사 · 미호종개 · 얼룩새코미꾸리 · 여울마자 · 임실납자루 · 좀수수치 · 퉁사리 · 흰수마자 | ||
곤충 | 붉은점모시나비 · 비단벌레 · 닻무늬길앞잡이 · 산굴뚝나비 · 상제나비 · 수염풍뎅이 · 장수하늘소 · 큰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 | ||
기타 무척추동물 | 귀이빨대칭이 · 나팔고둥 · 남방방게 · 두드럭조개 | ||
식물 | 광릉요강꽃 · 금자란 · 나도풍란 · 만년콩 · 비자란 · 암매 · 죽백란 · 제주고사리삼, · 탐라란 · 털복주머니란 · 풍란 · 한라솜다리 · 한란 |
- [ II급 ]
- ||<width=15%> 포유류 ||<colbgcolor=#fff,#1c1d1f>노란목도리담비 · 북방물개 · 삵 · 큰바다사자 · 토끼박쥐 · 하늘다람쥐 ||
†:대한민국에 더 이상 서식하지 않는 종 |
토끼박쥐(갈색긴귀박쥐) Brown long-eared bat | |
| |
학명 | Plecotus auritus Linnaeus, 1758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포유강(Mammalia) |
목 | 박쥐목(Chiroptera) |
과 | 애기박쥐과(Vespertilionidae) |
속 | 토끼박쥐속(Plecotus) |
종 | 토끼박쥐(P. auritus) |
멸종위기등급 | |
|
1. 개요
애기박쥐과 토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2. 특징
토끼처럼 기다란 귀가 특징이다. 몸길이가 4.5~4.8cm밖에 되지 않는 아주 작은 박쥐인데 귀 길이가 3.3~3.9cm나 된다. 유럽 러시아의 북쪽과 그리스, 스페인, 이탈리아의 남부 일부 지역과 북유럽 북부 지역을 제외한 모든 유럽 지역에서 서식한다.대한민국에서는 산간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는 보호종이다.
대한민국의 토끼박쥐는 auritus 종인지 아니면 오그네프긴귀박쥐라고 불리는 ognevi 종인지 불분명한 상황이다. 두 종 모두 최소관심 등급으로 세계적으로는 멸종위기종에 속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