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26 삼척 초당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창덕궁 다래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326 검은머리물떼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51 검은목두루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51 당진 면천 은행나무 | }}}}}}}}}}}} |
1. 개요
충청남도 부여군의 석성동헌 앞에 서 있는 탱자나무 노거수.2024년 8월 7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예고된 뒤 2024년 10월 31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2. 상세
석성동헌[1]앞에 서 있는 나이 약 400살에 높이 4.8m,수관폭 6.8m 가량의 탱자나무 노거수로 밑둥에서부터 크게 두 가지로 갈라졌고 한쪽 가지는 땅에 닿은 독특한 수형이다.탱자나무는 울타리의 용도로 주로 쓰였으며 열매는 일부 약재로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이 석성동헌 탱자나무는 동헌의 건립 당시 기념식수로 심겨진 것이라고 전한다.[2]
1979년 군지정 보호수로 지정되어 수형,크기,수령 등에서 뛰어난 나무로 평가받아 오다 2024년 8월 군산 하제마을의 팽나무와 함께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되었다.그리고 10월 31일 하제마을 팽나무와 함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전국 각지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탱자나무 노거수 3건과 여러 시도지정 기념물,보호수 탱자나무 노거수가 있으나 이들의 수가 그리 많은 편이 아니며 그 중에서도 특히 수세가 왕성하고 여러 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노거수이다.
3. 사진
4. 여담
- 2024년 10월 31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4번째 천연기념물 탱자나무가 되었다.
- 인근에는 사적 석성산성과 현내리 삼층석탑 등의 문화재가 있다.
[1] 부여 석성면의 지방 청사로 사용되던 조선시대 건물로 1987년 시도지정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2] 이에 대한 의도는 확실히 전하지 않으나 청백리 정신을 기르기 위한 것이라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