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8dc73f> 성균관 건축물을 구역별로 나눈 지도 |
[clearfix]
1. 개요
성균관의 건축물에 대해 다룬 문서이다.참고로 위에 올라와 있는 성균관 지도의 시설들은 2013년 5월 현재 제한적으로 관람 가능하다. 개방 시간은 오전 9시부터 하절기에는 6시까지, 동절기에는 5시까지.[1] 입장료는 따로 없기에 성균관대학교 학생들이 통학 지름길로도 사용하고 있다.[2]
2. 출입문
2.1. 신삼문(神三門)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대한민국 보물 제141호 | |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동무·서무·삼문·명륜당〉 서울 文廟 및 成均館 〈大成殿·東廡·西廡·三門·明倫堂〉 Munmyo Confucian Shrine and Seonggyungwan National Academy, Seoul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1 (명륜3가 53) |
분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성균관 |
시설 | 5동 |
지정연도 | 1963년 1월 21일 |
건축시기 | 1602년(선조 35년) |
<colbgcolor=#8dc73f> 신삼문 |
문묘의 정문으로 대성전 남쪽에 위치하며 대성전과는 신도(神道)로 이어져 있다. 성현들의 넋이 드나든다고 해서 신문(神門)이라 불리는데 외삼문(外三門)이라고도 한다. 태조 7년(1398년)에 창건된 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선조 37년(1604년)에 중건했다. 정면 3칸에 측면 2칸의 평삼문(平三門)이고 좌우로는 문묘 외곽을 두르는 담장과 연결되어 있다. 정면의 돌계단을 통해 기단에 오르내리도록 되어 있다. 석전대제 때에만 좌우문이 개방된다.
2.2. 동말문(東末門) · 서말문(西末門)
<colbgcolor=#8dc73f> 동말문 · 서말문 |
2.3. 동삼문(東三門)
<colbgcolor=#8dc73f> 동삼문 |
2.4. 대문(大門)
<colbgcolor=#8dc73f> 대문 |
閒人勿入 / 볼일 없는 사람은 들어오지 말라.
2.5. 전향문(前香門) · 후향문(後香門)
<colbgcolor=#8dc73f> 전향문 · 후향문 |
3. 제향 영역
3.1. 대성전(大成殿)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대한민국 보물 제141호 | |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동무·서무·삼문·명륜당〉 서울 文廟 및 成均館 〈大成殿·東廡·西廡·三門·明倫堂〉 Munmyo Confucian Shrine and Seonggyungwan National Academy, Seoul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1 (명륜3가 53) |
분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성균관 |
시설 | 5동 |
지정연도 | 1963년 1월 21일 |
건축시기 | 1602년(선조 35년) |
<colbgcolor=#8dc73f> 대성전 |
공자를 비롯한 유교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문묘 행사를 거행하는 곳이다. 태조 7년(1398년)에 창건된 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선조 35년(1602년)에 중건했다. 현판은 한호(韓濠)가 썼다. 정면 5칸에 측면 4칸으로 정면 1칸을 퇴칸으로 개방하여 향사시의 동선으로 사용한다. 기단에는 양 측면으로 계단이 있고 또한 전면에도 동서로 계단이 있는데, 이 가운데 서쪽은 빈계(賓階)라 하여 신삼문에서 신도(神道)를 타고 들어온 성현들의 넋이 오르는 계단이고 동쪽은 조계(阼階)라 하여 향사시 제관들이 오르는 계단이다. 처음에는 대성인(大聖人)을 모신 곳이라 해서 대성전(大聖殿)이라 했는데, 중국 사신이 공자는 온갖 학문을 집대성(集大成)했으므로 대성전(大成殿)이라 부르는 것이 맞다 해 바뀌었다.
3.2. 동무(東廡) · 서무(西廡)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대한민국 보물 제141호 | |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동무·서무·삼문·명륜당〉 서울 文廟 및 成均館 〈大成殿·東廡·西廡·三門·明倫堂〉 Munmyo Confucian Shrine and Seonggyungwan National Academy, Seoul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1 (명륜3가 53) |
분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성균관 |
시설 | 5동 |
지정연도 | 1963년 1월 21일 |
건축시기 | 1602년(선조 35년) |
<colbgcolor=#8dc73f> 동무 · 서무 |
중국 94현과 한국 18현의 위패를 모시던 공간으로 대성전 뜰의 동서에 위치한다. 태조 7년(1398년)에 창건된 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선조 37년(1604년)에 중건했다. 1949년 유림 대회의 결정으로 한국의 18현을 대성전으로 올리고 중국의 94현은 땅에 매안(埋安)하여 현재 동무와 서무는 비어 있다. 각각 정면 11칸에 측면 2칸으로 정면 1칸을 퇴칸으로 개방하여 향사시의 동선으로 사용한다.
3.3. 대성전 은행나무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 ||||
36호 | ← | 37호 | → | 38호 |
수유동 분청사기 가마터 | 성균관 대성전 은행나무 | 서울광장 지하배수로 |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37호 | |
성균관 대성전 은행나무 成均館 大成殿 銀杏나무 | |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179-1외 8필지 |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생물상 |
수량 / 면적 | 은행나무 2주(株) |
지정연도 | 2014년 5월 1일 |
소유자 (소유단체) | 국유 |
<colbgcolor=#8dc73f> 대성전 은행나무 [3] |
대성전 앞에 있는 은행나무 두 그루이다. 수령은 대략 400년 ~ 500년 정도이다.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37호로 지정받았다.
3.4. 동고(東庫)
<colbgcolor=#8dc73f> 동고 |
width=220 |
3.5. 묘정비(廟庭碑)
<colbgcolor=#8dc73f> 묘정비 |
3.6. 제기고(祭器庫)
<colbgcolor=#8dc73f> 제기고 |
3.7. 수복청(守僕廳)
<colbgcolor=#8dc73f> 수복청 |
3.8. 전사청(典祀廳)
<colbgcolor=#8dc73f> 전사청 |
3.9. 포주(庖廚)
<colbgcolor=#8dc73f> 포주 |
4. 강학 영역
4.1. 명륜당(明倫堂)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대한민국 보물 제141호 | |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동무·서무·삼문·명륜당〉 서울 文廟 및 成均館 〈大成殿·東廡·西廡·三門·明倫堂〉 Munmyo Confucian Shrine and Seonggyungwan National Academy, Seoul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1 (명륜3가 53) |
분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성균관 |
시설 | 5동 |
지정연도 | 1963년 1월 21일 |
건축시기 | 1602년(선조 35년) |
<colbgcolor=#8dc73f> 명륜당 |
성균관 유생들의 교육을 위한 강당이자 과거 시험장으로 대성전 북쪽에 위치한다. 태조 7년(1398년)에 창건된 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선조 39년(1606년)에 중건했다. 현판은 명의 사신 주지번(朱之蕃)이 썼다. 본당은 정면 3칸에 측면 3칸으로 맞배지붕이며, 좌우 익사는 정면 3칸에 측면 2칸으로 팔작 지붕이다. 기단에는 본당 앞으로 월대가 있고 좌우 익사 및 월대 정면과 좌우의 돌계단을 통해 기단에 오르내리도록 되어 있다. 그 독특한 생김으로 말미암아 사실상 성균관의 마스코트와도 같은 건물로, 천 원짜리 지폐 앞에도 그려져 있다. 내부에 걸린 현판 중에는 박문약례(博文約禮)라는 현판이 있는데, 이것은 공자의 77세손으로서 제32대 연성공(衍聖公)이자 초대 대성지성선사봉사관(大成至聖先師奉祀官)을 지낸 공덕성(孔德成)의 글씨이다.
4.2. 동재(東齋) · 서재(西齋)
<colbgcolor=#8dc73f> 동재 · 서재 |
4.3. 문묘 은행나무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26 삼척 초당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창덕궁 다래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326 검은머리물떼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51 검은목두루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51 당진 면천 은행나무 | }}}}}}}}}}}}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
53호[4] | ← | 59호 | → | 60호 |
진도의 진도개 | 서울 문묘 은행나무 | 고양 송포 백송 |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59호 | |
서울 문묘 은행나무 서울 文廟 銀杏나무 Ginkgo Tree of Munmyo Confucian Shrine, Seoul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31 (명륜3가, 유림회관) |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종교 |
시설 | 1주 |
지정연도 | 1962년 12월 7일 |
소유자 (소유단체) | 문화재청 |
관리자 (관리단체) | 서울특별시 |
<colbgcolor=#8dc73f> 문묘 은행나무 |
행단(杏壇)[5]을 상징하는 두 그루의 은행나무로 명륜당 뜰에 위치한다. 중종 14년(1519년)에 대사성을 지낸 윤탁(尹卓)이 심었으며, 나이는 500살 정도로 추정된다. 높이는 26m이고 가슴 높이의 둘레는 12m에 달하는 웅장한 나무로 발달이 왕성하고 그 중에서도 동쪽의 나무는 6.25 전쟁으로 포탄을 맞아 가지가 일곱으로 갈라졌지만 가까스로 상처가 회복되었다고 한다. 명륜당에서 봤을 때 서쪽에 있는 나무는 천연기념물 제59호로 지정받았다.
4.4. 존경각(尊經閣)
<colbgcolor=#8dc73f> 존경각 |
4.5. 육일각(六一閣)
<colbgcolor=#8dc73f> 육일각 |
4.6. 식당(食堂)
<colbgcolor=#8dc73f> 식당 |
4.7. 비복청(婢僕廳)
<colbgcolor=#8dc73f> 비복청 |
5. 관리 영역
5.1. 정록청(正錄廳)
<colbgcolor=#8dc73f> 정록청 |
5.2. 서리청(書吏廳)
<colbgcolor=#8dc73f> 서리청 |
5.3. 직방(直房)
<colbgcolor=#8dc73f> 직방 |
5.4. 고직사(庫直舍)
<colbgcolor=#8dc73f> 고직사 |
5.5. 향관청(享官廳)
<colbgcolor=#8dc73f> 향관청 |
5.6. 동월랑(東月廊) · 서월랑(西月廊)
<colbgcolor=#8dc73f> 동월랑 · 서월랑 |
6. 외부 부속 건물
6.1. 탕평비(蕩平碑)
<colbgcolor=#8dc73f> 탕평비 |
周而弗比 乃君子之公心 比而不周 寔小人之私心 / 두루 사귀되 가리지 않음은 곧 군자의 공심(公心)이고, 가려 사귀되 두루치 않음은 바로 소인의 사심(私心)이다.
6.2. 하마비(下馬碑)
<colbgcolor=#8dc73f> 하마비 |
大小人員 過此者 皆下馬 / 크건 작건 이곳을 지나는 자는 모두 말에서 내리라.
6.3. 하련대(下輦臺)
<colbgcolor=#8dc73f> 하련대 |
6.4. 비천당(丕闡堂)
<colbgcolor=#8dc73f> 비천당 |
6.5. 유림회관(儒林會館)
<colbgcolor=#8dc73f> 유림회관 |
6.6. 성균관 · 성균관대학교 정문
<colbgcolor=#8dc73f> 성균관 · 성균관대학교 정문 |
서울특별시 산하의 서울역사박물관의 조사에 따르면, 대성문은 경희궁의 개양문으로 확인되었다.[6] 일제강점기 시절 경희궁 전각이 매각되면서 서본원사, 경성방송국을 떠돌다 성균관대학교 정문으로 사용되었고, 1970년대 서울신라호텔로 매각되었다고 구전되나 지금은 그 행방을 찾을 수 없다.
[1] 과거에는 아예 문을 걸어잠그고 일반인의 출입을 막은 적도 많았다. 2005년까지는 성균관 유생들의 대를 잇는 의미에서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학생들의 성균관 동재, 서재를 기숙사로서 사용하고 있었으나 2005년 1월 종로구청의 민간인 퇴거 명령 이후로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2] 유림회관 옆으로 들어와서 성균관을 통과하면 국제관 앞으로 바로 나온다.[3]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4] 54호 〈해남학도래지〉와 58호 〈어의궁의은행나무〉는 보존가치를 상실했다는 이유로, 55호 〈해남학번식지〉 · 56호 〈웅기앞바다난도의바다쇠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등서식지〉 · 57호 〈진천보의담비(잘)서식지〉는 미수복 지역에 위치한다는 이유로 해제되었다.[5] 과거 공자가 은행나무 밑에 단을 만들어두고 그곳에서 제자들을 양성했다는 고사에서 비롯된 단어.이 단어 때문에 은행나무가 유독 학교 같은 교육 시설에 많이 심긴 이유가 되었다.[6] 아니라는 설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경희궁 개양문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