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노래 임진강(림진강)에 대한 내용은 임진강(노래) 문서
, 역명에 대한 내용은 임진강역 문서
참고하십시오.세계의 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한반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colbgcolor=#006fb9><colcolor=#fff> 한반도 | ||
한강 수계 | 한강 · 경안천 · 고덕천 · 공릉천 · 굴포천 · 남한강 · 동강 · 반포천 · 복하천 · 북한강 · 서강 · 섬강 · 소양강 · 안양천 · 양재천 · 왕숙천 · 임진강 · 주천강 · 창릉천 · 청계천 · 청미천 · 탄천 · 평창강 · 한탄강 · 홍제천 · 홍천강 · | ||
낙동강 수계 | 낙동강 · 금호강 · 길안천 · 남강 · 내성천 · 밀양강 · 병성천 · 서낙동강 · 신천 · 양산천 · 임천강 · 주천강 · 팔거천 · 황강 · 회천 | ||
금강 수계 | 금강 · 갑천 · 논산천 · 달천 · 대전천 · 무심천 · 미호강 · 정안천 | ||
영산강 수계 | 영산강 · 광주천 · 황룡강 | ||
섬진강 수계 | 섬진강 · 보성강 · 요천 | ||
대동강 수계 | 대동강 · 보통강 · 재령강 | ||
압록강 수계 | 압록강 · 장자강 | ||
기타 | 남대천 · 대령강 · 대종천 · 동진강 · 두만강 · 례성강 · 만경강 · 산지천 · 삽교천 · 성천강 · 수영강 · 수원천 · 안성천 · 온천천 · 왕피천 · 천안천 · 청천강 · 탐진강 · 태화강 · 형산강 · 흑림강 · 황구지천 · 회야강 ·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colbgcolor=#006fb9><colcolor=#fff> 아시아 | ||
중국 | 황하 · 황수이강 · 웨이허강 · 펀허강 · 호타하 · 장강 · 야룽강 · 민강 · 자링강 · 한수 · 회하 · 황푸강 · 주강 · 타림강 · 하이허강 · 요하 · 송화강 · 눈강 · 목단강 · 헤이룽강 | ||
일본 | 지쿠고강 · 요시노강 ·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나가라강 · 구즈류강 · 기소강 · 덴류강 · 후지강 · 사가미강 · 아라카와강 · 도네강 · 시나노강 · 아가노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강 · 사로베츠강 | ||
대만 | 지룽강 · 아이허 | ||
동남아시아 |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에야와디강 · 똔레쌉 · 똔레산강 · 카푸아스강 · 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 ||
남아시아 | 갠지스강 · 인더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 ||
서아시아 |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 ||
중앙아시아 | 추강 · 일리강 | ||
카프카스 쿠라강 · 테차강 · 알라자니강 · 엔구리강 · 리오니 강 | |||
북아시아 · 몽골 |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유럽 |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강 · 마른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강 · 론강 · 가론강 · 에브로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강 · 엘베강 · 오데르강 · 비스와강 · 이손초강 · 부크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강 · 다우가바강 · 드니프로강 · 네바강 · 모스크바강 · 바트강 · 베저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강 · 옴강 · 레크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강 · 남부크강 · 사바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강 · 블타바강 · 빌렌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강 · 마리차강 · 머지강 · 메드웨이강 · 세번강 · 트렌트강 · 네카어강 · 모젤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강 · 도루강 · 후카르강 · 알리에강 · 도르도뉴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타인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아프리카 | |
나일강 · 오렌지 강 · 나이저강 · 산카라니강 · 바니강 · 잠베지강 · 콩고강 · 투겔라강 · 오카방고강 · 메제르다강 · 인키시강 · 산쿠루강 · 카사이 강 · 움폴로지 강 · 움짐쿨루 강 · 아와시강 · 제네일강 · 소바트강 · 마레브강 · 웨비 주바강 · 흑나일강 · 청나일강 · 백나일강 · 바니강 · 감비아 강 · 세네갈강 · 쉐벨강 · 바로강 · 림포포강 · 쿠네네강 · 유멘지강 · 베시보카강 · 베누에강 · 마남볼로강 · 마니아강 · 망고키강 · 마하지로강 · 음타타강 · 우방기 강 · 웨드몰우야강 · 사나가 강 · 샤리강 · 로곤강 · 팬데강 · 오순강 · 이모강 · 베냉강 · 이호시강 · 쿠안자 강 · 크로스강 · 크왕고강 · 아바강 · 세이브강 · 볼타강 · 사비강 · 카제라강 · 올리펀츠강 · 레드 볼타강 · 코모에강 · 루앙와강 · 코마티강 · 오구에강 · 그루트강 · 유엘르강 · 조만다오강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아메리카 | |
세인트로렌스강 · 세인트모리스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아칸소강 · 허드슨강 · 애서배스카강 · 포위니고우강 · 비버강 · 가즈강 · 콜링강 · 매켄지강 · 스네이크강 · 서스캐처원강 · 서스쿼해나강 · 포토맥강 · 델라웨어강 · 해리슨강 · 프레이저강 · 콜로라도강 · 콜럼비아강 · 유콘강 · 리오그란데강 · 아마존강 · 벨리제강 · 오리노코강 · 마그달레나강 · 마데이라강 · 상프란시스쿠강 · 아푸레강 · 카로니강 · 카우카강 · 아라우카강 · 토칸틴스강 · 네그루강 · 혼도강 · 발사스강 · 코아토사코알코스강 · 믹스테코강 · 옐로스톤강 · 사말라강 · 칙소이강 · 우수미친타강 · 메타강 · 비오비오강 · 마라논강 · 마이포강 · 마포초강 · 이타타강 · 우카얄리강 · 라플라타강 · 트루폴트루폴강 · 톨텐강 · 마울레강 · 파라나강 · 친치페강 · 파라과이강 · 레르마강 · 스와니강 · 로아강 · 샌페드로강 · 베르가라강 · 부에노강 · 도라도강 · 필코마유강 · 살라도강 · 둘체강 · 페티코디악강 · 리메이강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남극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오세아니아 | |
머레이강 · 달링강 · 허트강 · 머럼비지강 · 브리즈번강 · 와레고강 · 랑가티케이강 · 왕가누이강 · 통가리로강 · 와이아푸강 · 카와라우강 · 카와티리강 · 마타우강 · 와이로아강 · 와이아우강 · 와이마카리리강 · 와이카토강 · 침부강 · 투아강 · 키코리강 · 라무강 · 호키티카강 · 히피 강 · 벌러강 · 폭스강 · 핀콜강 · 야테강 · 푸리나강 · 푸라리강 · 와투트강 · 애들러강 | |||
남극 | |||
오닉스강 · 알프강 | }}}}}}}}}}}} |
🌊 한강의 지류 |
|
국가하천 임진강 臨津江 | Imjingang River | |
<colcolor=#fff> 위치 | <colbgcolor=#fff,#383838> 북한 └ 강원도 └ 황해북도 └ 개성시 대한민국 └ 경기도 (파주시 · 연천군) |
수계 | 한강 수계
|
발원 | 강원도 법동군[1] 룡포리 두류산 ( 함경남도 문천군 풍상면 용포리) |
하구 | 개성시 판문구역 림한리 ( 경기도 개풍군 임한면 정곶리)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
유입 | 한탄강 |
유출 | 한강 |
유로연장 | 273.50㎞ (170 mi) |
유역면적 | 3,185.60㎢ (1,230 sq mi) |
유량 | |
하중도 | |
하천코드 | 1005980 |
[clearfix]
1. 개요
림진강 맑은 물은 흘러 흘러 내리고
뭇새들 자유로이 넘나들며 날건만
내 고향 남쪽 땅 가고파도 못가니
림진강 흐름아 원한 싣고 흐르느냐
강 건너 갈밭에선 갈새만 슬피 울고
메마른 들판에선 풀뿌리를 캐건만
협동벌 이삭 바다 물결 우에 춤추니
림진강 흐름을 가르지는 못하리라[2][3]
박세영 - 림진강
뭇새들 자유로이 넘나들며 날건만
내 고향 남쪽 땅 가고파도 못가니
림진강 흐름아 원한 싣고 흐르느냐
강 건너 갈밭에선 갈새만 슬피 울고
메마른 들판에선 풀뿌리를 캐건만
협동벌 이삭 바다 물결 우에 춤추니
림진강 흐름을 가르지는 못하리라[2][3]
박세영 - 림진강
임진강(臨津江)은 한반도 중부에 위치한 강이다. 북한의 강원도 법동군 룡포리 두류산[4]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군사분계선을 넘어 연천군을 거쳐서 파주시 교하 지역[5]과 김포시 하성면, 북한의 개성시와 접해있는 하구에서 한강으로 합류한 후(조강), 황해(강화만[6])로 흘러 나간다.
본류인 한강과 거의 바다 직전에서 만나기 때문에 사실상 한강과는 별개의 강이지만, 종점이 파주로 되어 있는 환경부 고시로는 종점이 김포인 한강의 제1지류로 처리한다.[7] 임진강이 합류한 뒤의 김포반도와 개풍군 사이를 흐르는 구간을 조강이라고도 부른다.
북한에서는 두음 법칙을 적용하지 않아 '림진강'이라고 적고 읽는다. 남북한에 걸친 강이라 구글 지도에서도 임진강, 림진강 둘 다 검색이 된다.
유역 동쪽으로 아호비령산맥이 뻗었고, 유역 서쪽으로 지류들이 흐른다. 주요 지류는 강원도 고미탄천(古味呑川: 114km), 경기도 평안천(平安川: 81km)·한탄강(漢灘江: 130km) 등이고, 5km 이상인 지류는 250여 개이다. 환경부 수상교통의 요지로 6.25 전쟁 이전에는 고랑포까지 배가 다녔고 작은 배는 안협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었다.
기록에 따르면 삼국시대는 임진강을 대수[8] 또는 칠중하(七重河)라 하였고, 경기도에 고구려 칠중현(七重縣)의 치소(治所)인 파주 칠중성(城)이 있었다.[9]
임진강은 예부터 한강 유역과 패서 지역간의 자연 경계의 역할을 하였다. 원삼국시대에는 마한 세력과 한사군의 경계선으로 추정 중이며 4세기~5세기 무렵에는 백제와 고구려, 6~7세기에는 신라와 고구려의 대치선이었고 통일신라 시대에도 임진강을 경계로 한주와 패강진을 분리해 전자에는 밀도 높은 직할 통치를 실시한 반면 후자에는 느슨한 통치망만 설치했다. 이후에도 임진왜란이나 6.25 전쟁의 주요 전장이었으며 군사분계선도 임진강 근교를 지난다.
임진강 일대는 백제의 발원지로 유력시되는데, 2세기 무렵 임진강 일대에서 나타나 3세기에 대방군의 존재로 인해 한강 이남으로 내려간 고구려계 집단을 초기 백제로 추정하고 있다. '자연 경계'라는 특징이 다시금 생각나는 점이다.
2. 군사분계선의 강
과거 김신조 청와대습격사건, 임진강 무장공비 침투 사건과 임월교 무장공비 침투 사건, 필승교 무장공비 침투 사건, 벼락바위 완전작전 등 실제 북한의 공비들이 임진강을 통해 침투하여 국군과 교전을 벌인 지역이니 만큼 파주시 장단면 ~ 문산읍 내포리까지는 1사단 15보병여단이 파주시 탄현과 교하 부근에는 9사단 29보병여단과 30보병여단이 위 철책을 방어하고 있다.[10] (김신조 청와대습격사건 당시 임진강 일대 부근에는 과거 미군이 강안 경계를 하였는데 김신조 일당이 임진강을 남하할 때는 비교적 경계에 소홀했던 미군 관할 지역으로 우회하였기에 성공했다는 말이있다.)임진강은 미국 합동참모본부가 공식문서로 발표한 1966년 10월 5일부터 1969년 12월 3일까지 1,128일 동안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인 제2의 한국전쟁(The Second Korean War)의 무대 중 하나였다. 주한미군은 휴전협정 이후 53~66년까지 DMZ에서 전사자가 8명에 불과했지만 베트남전이 발발하고 베트남전이 한창이던 67~69년 사이에 북한은 미국의 관심을 두 방향으로 돌리기 위해 북한군 특작부대 침투조들을 DMZ 부근에 침투시켜 아군측 병력을 상대로 저강도 분쟁을 벌였었다. 물론 미국도 가만히 있지는 않았고 경기도 파주 동파리 소재 캠프 싯먼에 고급전투훈련 훈련교육대를[11]조직하고 미2사단 소속 전투병들과 카투사[12]들이 주축이 되어 임진스카우트 (Imjin Scouts)를 조직하고 군사분계선 이남, 임진강 이북 지역과 철원계곡 비무장지대에서 수색정찰 임무를 수행하며 북한군과 교전을 벌였었다. 이를 제2의 한국전쟁이라고 부르며. 이 당시 한국군은 299명이 전사하고 559명이 부상을 입었고. 주한미군은 전사 75명, 111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북한군도 역시 397명이 죽었고 12명이 생포됐다. 또 이중에 33명은 귀순했고. 무장간첩이 2462명 체포됐다. 이 때문에 주한미군은 1968년 4월부터 1973년까지 임진강 이북에서 근무한 전투병에 한해 교전수당을 지급해 사실상 전쟁 기준을 적용했다. 1971년 닉슨독트린에 의거해 미7사단이 본토로 철수하며 미2사단이 파주에서 동두천으로 이전하자 미2사단 대간첩중대가 해체되고 해당 임무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기동타격대(QRF)로 이양됐다. 임진스카우트 DMZ 임무는 기존의 전투부대들이 동두천과 파주를 오가면서 1991년 10월 1일까지 지속됐다. 하지만 1990년대 초 조성된 화해 무드를 타고 판문점 일대의 수색정찰 임무를 한국군 1사단과 JSA 경비대대가 맡으면서 미2사단 임진스카우트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북한령에서 흘러내려오는 임진강은 연천군 태풍전망대 바로 북쪽에서 잠깐 군사분계선을 따라 흐른 직후 군사분계선을 넘어 남한령으로 완전히 내려온다. 이후 남한령을 흐르다가 한강 하구에서 한강과 합류해 다시 군사분계선을 따라 흐른다.
38선 근처에 위치해 있으면서 방어상으로 유리한 지형이라는 점 때문에 6.25 전쟁 당시 격전지가 되었던 강이다. 특히 북쪽에서 내려오는 공산군의 공세를 저지하고 서울을 사수해야 하는 유엔군의 입장에서 더 중요한 요충지였으며, 1951년 6월 이후 전선이 고착화되고 양측의 휴전협상이 시작되었을 때에도 유엔군은 서울 사수에 가장 필요한 임진강을 확보하고 나서야 휴전협상에 들어갔다. 그리고 휴전협상 중간에 유엔군이 추가로 일부 북진하면서 유엔군이 임진강 북안에 교두보를 확보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휴전이 이루어졌다.
대한민국 실효 통치 영역 중 임진강 이북에 설치된 역은 경의선 도라산역뿐이다.
3. 시설
3.1. 교량
이 강의 남북을 잇는 다리는 경의선 임진강철교가 상행과 하행 2개 있었으나 6.25 전쟁 때문에 파괴되었고, 휴전협정 이후 포로교환을 위해 자유의 다리가 임시로 건설되었었다. 현재는 임진강철교의 하행선만 복구되었으며, 통일대교와 전진교 등 다리가 여럿 건설되어 있다. 파주시 일대의 다리들은 서안 혹은 북안이 민통선 내에 속해 있어 이용시 관할 군부대의 검문검색을 거쳐야 한다. 연천군에 위치한 교량들은 연천군이 임진강을 낀 만큼 자유롭게 통행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이 관할하는 임진강의 최상류 민통선 이남 교량은 연천군 왕징면에 위치한 북삼교다.임진각국민관광지에 관광전시물로 활용하기 위해 복원한 자유의 다리가 2개 있으나,[13] 관광전시용일 뿐 실제로 임진강을 건너기 위한 용도는 아니다.
한국 전쟁 당시에도 격전지였던 만큼
3.2. 하구둑
임진강 하구의 서안은 북한이, 동안은 남한이 행정권을 행사하기 때문에 하구둑을 지을 수 없어서 황해 바닷물이 역류하는 문제가 있다. 한강은 김포대교 인근에 신곡수중보가 있어서 바닷물의 역류를 막을 수 있다. 그래서 그 바닷물은 전부 임진강으로 쏠린다. 한강도 신곡수중보, 잠실수중보 건설 이전에는 팔당댐까지 바닷물이 역류했다!하루에 두 번 조수간만의 차에 따라 바닷물이 역류하거나 강물이 내려가거나 하는데, 심하게 역류하면 파주시를 지나 연천군까지 바닷물이 올라온다. 통일대교나 전진교 부근에서 임진강을 보면 바닷물이 역류해서 상류로 올라가는게 보인다.
3.3. 저수 시설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에 군남댐이 있다. 상류에는 북한 황해북도 토산군 황강리에 황강댐이 존재한다.4. 관광
피서를 가는 행락객들이 늘어나는 추세다. 북한과 가까운 전방지역이긴 하나 오두산 전망대, 태풍 전망대 등은 안보 견학 관광지로 인기가 있고, 임진강 주상절리대와 한탄강 지질공원을 따라 강변 캠핑이 인기가 있다. 파주시와 연천군 등지에서도 적극적으로 관광자원으로 밀고 있는 지역. 연중 각종 축제가 개최되고, 2018년 현재는 감악산 출렁다리 등이 관광지로 인기가 있다. 아무래도 군사지역으로서 민간개발이 많이 안 이뤄져서 자연 풍경이 잘 보존되어 있고, 최근 수도권 고속도로의 확충으로 서울특별시에서의 접근성이 크게 늘어난 점이 있다.5. 사고
- 2005년에는 강변에서 전술 훈련 중이던 JSA 경비대대 부대원들이 급류에 휘말려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포탄 낙하 상황이 주어지자 길 옆으로 몸을 피하다가 병장 한 명이 실족하여 임진강에 빠졌는데, 이를 구하러 중대장, 소대장, 병사 3명[14]까지 총 5명이 들어갔으나 중대장과 이병만 가까스로 살아나오고 나머지 3명과 처음 물에 빠진 병장 1명을 포함한 4명은 그대로 목숨을 잃고 말았다.
6. 둘러보기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bgcolor=white,black> 황해로 흐르는 하천 | |
<rowcolor=white> 본류 | 지류 | |
<colbgcolor=#cccccc,#333333><colcolor=black,white> 대동강 | 남강 · 보통강 · 합장강 · 비류강 · 재령강 · 황주천 | |
압록강 | 장자강 · 삼교천 · 자성강 · 장진강 (부전강) · 충만강 · 허천강 · 리명수 | |
청천강 | 대령강 · 구룡강 | |
례성강 | 구연천 · 지석천 | |
폭포 | 동림폭포 · 박연폭포 | |
기타 | 달천강 (안악 / 정주) · 남대천 (장연) · 림진강 | |
동해로 흐르는 하천 | ||
본류 | 지류 | |
두만강 | 보을천 · 회령천 · 오룡천 · 아오지천 · 서두수 (박천수 / 대박천수 / 동계수) | |
성천강 | 흑림강 · 호련천 | |
룡흥강 | 덕지강 · 단속천 · 입석천 | |
기타 | 금진강 · 남대천 (길주 / 단천 / 이원 / 북청 / 안변) · 북대천 · 수성천 · 어랑천 | |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1]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 전에는 함경남도 소속이었다. 따라서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을 인정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이북 5도 체계 하에서는 여전히 함경남도 소속이다. 별거 아닌거 같아보여도 무려 함경도의 물이 파주까지 내려오는 것. 심지어 발원지인 두류산은 산을 기준으로 대동강의 지류인 남강 수계와 분수령을 이루고 있으며, 행정구역 상으로는 평안남도 양덕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한끗차이로 대동강과 한강으로 흘러갈 강물이 나뉘는 것.[2] 모두 2절(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절(연)은 박세영이 고향인 남한을 그리워하는 내용이지만, 서울 성동구 태생의 월북 작가이다. 작가의 실제 심리가 반영된 것일 수도 있다. 2절은 사회주의 체제인 북한이 남한보다 경제 사정이 우월하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사실 1950년대엔 정말로 북한이 더 잘 살았긴 했다. 남한이 북한을 경제적으로(수치상으로) 앞지른 건 1974년부터다.[3] 2절이 너무 노골적인 북한 체제 찬양이기 때문에 남한에서 부를때는 ‘메마른’을 ‘내마음’으로 바꿔 부를 때가 많다.[4] 이북 5도 행정구역상으로는 함경남도 문천군 풍상면 용포리[5] 교하(交河)는 임진강과 한강이 해당 지역에서 만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고려 시대에 고려 정부가 몽골 제국의 침공에 강화도로 피난하였을 때 강화도 일대와 교하, 일산 일대를 일부 간척한 것 때문에 현재 한강의 유로는 과거의 모습에서 바뀐 것이다.[6] 이 강화만에서 예성강이 합류한다.[7] 북한강에 이어 유로연장과 유역면적 모두 한강의 두번째 제1지류이다.[8] 패수와 대수 할때 그 대수이다. 온조 신화에 등장하는 명칭이기도 하다[9] 파주문화원 칠중성 전투 문서 참고.[10] 자유로를 통해 파주 지역을 거친다면 장병들이 근무 서는 모습을 간혹 볼 수 있다.[11] (Advanced Combat Training Academy, ACTA)[12] 임진스카우트는 주한미군의 특공대 조직이었지만 비무장지대 특성상 카투사들의 역할과 비중이 막중했다. 북한군 포로를 심문하거나 대성동 주민 및 한국군 부대와 접촉 과정에서 카투사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였다.[13] 하나는 2000년에 복원한 자유의다리, 다른 하나는 2016년 12월에 옛 자유의 다리 위치에 복원한 독개다리 스카이라인 내일의 기적소리다.[14] 병장, 일병, 이병이다.
이 문서는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수정 로그 삭제로 인해 과거 로그의 일부가 누락된 문서이며, 문서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나무위키:로그 누락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다실 때는, 문서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수정 로그 삭제로 인해 과거 로그의 일부가 누락된 문서이며, 문서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나무위키:로그 누락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다실 때는, 문서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분류:로그 누락 문서]]
를 달아 주세요.로그가 누락된 본 문서의 기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