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사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EE,#666> BC 108 | 진번군1 | 낙랑군 | 임둔군 | 현도군2 |
BC 82 | 낙랑군3 | 현도군4 | |||
BC 75 | 남부도위 | 동부도위 | (흥경 이현) | ||
AD 30 | 폐지 | (무순 이현) | |||
AD 204 | 대방군 | ||||
AD 314 | (낙랑군 313년, 대방군 314년, 현도군 315년 요서 이현) | ||||
1 삼국유사에서는 평나군 2 현도군은 기원전 107년 설치되었음. 3 삼국유사에서는 평주도독부 4 삼국유사에서는 동부도위부 | |||||
※둘러보기 : 틀:원삼국시대 한반도 세력 | }}}}}}}}} |
1. 개요
帶方郡서기 3세기 초반 요동의 권력자였던 공손강(동연 제2대 수장)이 낙랑군의 남부를 분할, 독립시킨 군현이었다. 원래 낙랑군 25현 중 하나인 대방현이 어원이다.
2. 역사
2.1. 설치 이전
위만조선이 복속시켰던 진번국의 땅이었으며 한사군 중 진번군이 설치되었던 곳이다. 그러나 기원전 82년 진번군과 임둔군이 폐지되어 각각 낙랑군과 현도군에 통합되었고, 진번군의 자리에는 낙랑군의 남부도위가 설치되었다.2.2. 동연
서기 2세기 후반이 되어 주변 세력들의 압박을 받자 204년 요동의 지배자 공손강이 후한 헌제 건안 연간(196년 ~ 220년) 무렵 낙랑군 둔유현(황해도 황주) 이남의 땅을 분할시켜 대방군을 설치했다.[1] 군치는 대방현으로 현재의 황해도 봉산군 지탑리 당토성에 위치했던 것으로 여겨지는데, 여기서 북으로 4km 떨어진 태봉리 (현 구령리) 고분 조사 과정에서 대방태수 장무이(張撫夷) 묘라고 적힌 무덤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후한 말 군벌 세력이었던 공손강은 자립하면서 한반도 제종족에 대한 영향력을 넓히려고 했다. 당시 한반도 제종족의 세력이 커지면서 낙랑군의 영역과 군사력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었고, 점점 낙랑군이 반 독립화하던 중이었는데, 공손강의 대방군 신설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려던 목적으로 보인다. 자신의 세력 기반을 넓히기 위해, 반 독립화하는 낙랑군을 견제하기 위해[2] 대방군을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당시 한반도 제종족에 대한 영향력을 넓힐 수 없었다는 점과 낙랑군의 교역 확대를 이루지 못한 것은 지방 정권이던 공손씨 정권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2.3. 조위 시대
238년 위나라의 사마의는 공손씨 세력을 멸망시키고, 해로를 통해 낙랑군과 대방군을 접수하였다. 이후 위나라는 삼한의 신지들에게 읍군, 읍장의 지위와 의책을 하사하는 등 공손씨 세력이 이루지 못한 한반도 제종족에 대한 영향력과 교역의 확대를 이루기 위한 노력을 했다. 하지만 위나라는 한반도를 조위•촉한•동오간의 항쟁속에서의 우위를 점거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생각했기 때문에 크게 바뀐 것은 없었다.왜국(야마타이국)의 여왕 히미코 일행이 위나라에 조공을 하러 가며 대방군을 지났다. 이 때의 대방태수 유하는 나시메와 츠시고리 일행을 위나라의 수도까지 호송했다. 유하의 후임으로 보이는 대방태수 궁준과 교위 제준 등은 왜국에 가서 위나라의 조서와 하사품을 내리고 돌아왔다.
한편 부종사 오림은 진한의 8개국을 낙랑군 소속으로 넣으려고 했는데 통역 실수로 인해 한인(韓人)들이 격분해 삼한의 세력들이 대방군을 공격하는 기리영 전투가 일어났다. 대방태수 궁준과 낙랑태수 유무가 이들을 토벌했는데, 궁준은 전사했지만 한을 멸망시켰다.[3] 이것을 백제 제8대 고이왕 13년(246년)의 기록[4]과 결부시키기도 하나, 시기가 다르고, 침략 대상이 다르다는 점에서 아닌 듯 하다. 이 시기에 “남대방군”이 남원시에 설치되었다고 일부 사서에 적혀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문단을 참조.
2.4. 서진 시대
서진의 세조 무황제 사마염은 274년 낙랑군과 대방군을 평주 동이교위에 소속시키며 강력한 동방 정책을 구사하려고 했다. 동이교위가 동방 정책의 중심이 되면서 낙랑군, 대방군, 현도군은 점점 세력이 쇠락해갔으며, 그 사례로 한반도 남부의 마한과 진한은 더이상 한사군을 통해 중국과 교류를 하지 않고 중국 본토의 서진에 직접 나아가 통교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서진의 적극적인 동방 정책은 무제의 삼국통일 이후 5호16국시대가 시작되면서 허사가 되었다.이 시대에 대방태수로 추정되는 대방왕이 딸 보과(寶菓)를 백제 제9대 책계왕[5]에게 시집보냄으로써 혼인동맹을 맺었다. 후에 고구려의 제13대 서천왕이 대방군을 침입하자 책계왕이 이를 구원했다.
2.5. 멸망(폐현)
그러나 중원이 점차 혼란기에 접어들면서 한반도에 개입할 여력이 사라졌고, 특히 311년 고구려의 제15대 미천왕이 이들과 중원 왕조 간의 연결 고리였던 서안평을 접수해 낙랑군과 대방군을 월경지로 고립시키면서 위기가 고조되기 시작했다. 끝내 314년 미천왕에 의해 점령당하면서 결국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그러나 낙랑군, 대방군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오던 한성백제는 낙랑인과 대방인을 적극적으로 수용했고, 대량으로 흘러들어온 신진 문물을 바탕으로 백제의 문화가 크게 발달하게 되었다. 훗날 백제가 일본으로 문화를 전파할 기틀을 이때 마련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이들이 한반도 역사에 끼친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다.이후 모용선비족의 전연에 의해 대방군이 요서의 대릉하 유역에 교치되기도 했으나 남북조시대인 430년대 북위가 폐지했다.
3. 대방군 황해도비정 식민사학설과 대방군=남원설
대방군을 황해도 유역에 비정하는 행위는 조선역사편수회에서 만든 지도를 재탕하는 것이기 때문에 식민 사학이라는 주장이 있는데 사실은 고려 ~ 조선 전기 때 대방군의 위치를 전북 남원으로 비정했다.남원부(南原府)는 원래 백제(百濟)의 고룡군(古龍郡)인데, 한나라 건안 연간에 대방군(帶方郡)이 되었고, 조위 때는 남대방군(南帶方郡)이 되었다.
《고려사》 <지리> -전라도 남원부-
《고려사》 <지리> -전라도 남원부-
본래 백제의 고룡군(古龍郡)이었는데, 후한(後漢) 건안(建安) 때 대방군(帶方郡)이 되었고, 조위(曹魏) 때 남대방군(南帶方郡)이 되었다.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지리지> -전라도 남원 도호부-
이러한 인식 때문에 고려 말때는 남원부를 대방군으로 명명하기도 했다.《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지리지> -전라도 남원 도호부-
그러나 이는 《삼국지》 <위서(위지)> -동이전-의 내용을 인용할 때 잘못 옮기는 바람에 생긴 오해이다.
환제(桓), 영제(靈)말기에 한(韓), 예(濊)가 강성하므로, 군현(郡縣)이 능히 바로잡지 못했기에 백성 다수가 한국(韓國)으로 유입되었다. 건안(建安) 중에 공손강이 둔유현(屯有縣) 이남의 황무지를 맡아 대방군으로써 다스렸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
《삼국유사》등이 《삼국지》 <위지> -동이전-의 내용을 참고할 때 한(韓)의 기록에 적힌 내용이므로 둔유현(屯有縣)을 마한으로 인식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사실 둔유현은 낙랑군에 속한 지역을 말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둔유현 이남에 존재했던 황무지의 위치는 낙랑의 남쪽, 즉 황해도 일대로 추정되어진다.[6][7]《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
따라서 황해도 일대 = 대방군의 위치 비정은 식민 사학에 세뇌당한 사례이기보다는 오히려 잘못된 역사 인식을 극복한 사례로 추정된다.
4. 역대 대방군 태수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기록된 대방왕을 대방태수로 보기도 한다.[8]- 조위 시기(238년~265년)
- 멸망 이후
- 장무이(張撫夷): 1911년 황해도 봉산군에서 그의 묘가 발굴되었다. 장무이묘의 축조가 무신년(戊申年)에 이루어졌다는 문자벽돌이 발견됨에 따라 288년에 축조되었다는 해석이 있었으나, 추후 발굴 결과의 재검토로 대방군의 멸망 이후 고구려로 망명한 인사의 4세기 대(348년 추측) 고구려 양식 무덤으로 보는 설이 더 우세해졌다.
5. 기타
- 대방군은 낙랑군 남부도위의 소관이었던 대방현, 열구현, 남신현, 장잠현, 제해현, 함자현, 해명현의 7현을 관할하였고 치소는 대방현에 두었다. 현 황해 봉산군 문정면에 있는 당토성이 대방군의 치소로 추정된다.
- 2세기 중후반부터 임진강 유역에 있던 고구려계 집단이 3세기 중반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토성 일대로 남하하는데, 이들이 선주민이었던 토돈분구묘제 집단과 연합하면서 백제가 성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방군이 고구려계 세력의 남하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정된다.
- 중국에서는 역대 백제 왕이 조공해 오면 '대방군왕' 작위를 보냈다. 위와 같이 백제 초기 건국과정에서 대방과 연관성이 있기도 했고, 근초고왕이 다스리던 백제의 전성기에는 대방군의 옛 땅인 황해도 지역을 실제로 지배하기도 했다. 이후 고구려에 빼앗겼지만, 백제 입장에서 고구려는 북벌해서 무찌르고 땅을 되찾아야 하는 대상이었기 때문에, 계속 중국이 백제를 대방과 연관지어주는 것을 부정할 이유는 없었다.[9]
- 중국 삼국시대에 기록된 <위지> '한전'(魏志 韓伝)의 기록으로 임나일본부설의 근거가 될 때 등장하는 나라다.韓在帯方之南 東西以海為限南與倭接 方可四千里 有三種一曰馬韓二曰辰韓三曰弁韓 辰韓者古之辰國也해석하면 한(韓)은 대방의 남쪽으로 접하고 있고, 동과 서로는 바다가 있으며, 남으로는 왜와 접한다.
동과 서로는 바다가 접한다고 적혀 있지만, 남쪽에 대한 묘사는 왜국과 접한다고 적혀 있다.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하는 일본 학자들에겐, 韓의 남쪽에 왜국과 육지로 연결되어 있다는 근거가 된다고 말하고 있다. 즉 왜의 세력이 한반도 남부에 미친다는 근거로 일본 학자들은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한다.
6. 둘러보기
원삼국시대 한국사 세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진번국 | 고조선 단군조선 | 예맥 구려국 | 동옥저 | 임둔국 | 부여 | 한 / 진 | 주호국 | ||
고조선 위만조선 | ||||||||||
진번군 | 낙랑군 | 예맥계 소국 비류국 | 현도군 | 임둔군 | 마한 | 변한 | 진한 | |||
낙랑군 | 현도군 | |||||||||
남부도위 | 동부도위 | |||||||||
고구려 | 옥저 낙랑국 | 동예 위말갈 | ||||||||
대방군 | 고구려 | }}}}}}}}} |
[1] 대방·열구(列口)·남신(南新)·장잠(長岑)·제해(提奚)·함자(含資)·해명(海冥)[2] 대방태수가 백제 제9대 책계왕에게 자신의 딸을 보내 혼인동맹을 한 것도, 공손도가 후한의 낙랑태수 파견을 막은 것도 낙랑군을 견제하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3] 과장된 표현이다. 마한이 완전히 멸망했다는 것이 아니라 소국 하나 혹은 여러 개를 멸망시켰다고 본다. 현재는 선빵을 날린 국가가 마한 북부의 소국인 신분활국이라는 설이 힘을 얻고 있다.[4] 가을 8월, 위(魏)나라 유주자사(幽州刺史) 관구검(毌丘儉)이 낙랑태수(樂浪太守) 유무(劉茂)와 삭방태수(朔方太守 : 대방태수를 잘못 기록한 듯) 왕준(王遵)과 함께 고구려를 쳤다. 임금이 그 틈을 타서 좌장 진충을 보내 낙랑 변경을 습격하여 백성을 잡아왔다. 유무가 소식을 듣고 분노하니, 임금이 침범당할까 두려워 백성들을 돌려보냈다. 《삼국사기》 권 24 <백제본기> 고이왕 13년[5] 낙랑군의 침입으로 전사했다.[6] 조선시대 후기에도 한사군은 한강을 내려온 적이 없는데 남대방군이 남원에 있었다는 주장의 출처에 의문을 가지는 기록들이 보인다.[7] 오히려 식민 사학자는 대방군의 위치를 한강으로 단정지어버리고, 황해도에서 나오는 대방군 관련 유물을 무시하는 행동을 보였다.[8] 책계왕(? ~ 298년)에게 딸 보과부인을 시집보낸 점으로 볼 때 서진 시기 인물로 추정된다.[9] 비슷하게 중국은 고구려왕에 요동군왕, 신라왕은 낙랑군왕 작위를 보냈다. 각자 건국 과정에서 연관이 있었던 지역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