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부흥운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fff5d2,#ccc4a8> 연대 | 부흥운동 | ||
660 ~ 663년 | 백제부흥운동 ( 도침 / 귀실복신 / 부여풍 / 흑치상지 & 사타상여 / 지수신 ) | |||
664년 | 사비산성 반란 | |||
822년 | | |||
900 ~ 936년 | 후백제 ( 견훤 ) | |||
1237년 | 이연년 형제의 난 | |||
*백제부흥을 표방하진 않았으나 백제 유민들의 분리주의를 이용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8080> 흑치상지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 <colbgcolor=#fff,#1f2023>백제멸망전 | 백제부흥운동 |
가족 | 증조부 흑치문대 · 조부 흑치덕현 · 아버지 흑치사차 아들 흑치준 · 딸 낙랑군부인 흑치씨 사위 물부순 | |
묘소 | 북망산 |
흑치상지 관련 틀 | |||||||||||||||||||||||||||||||||||||||||||||||||||||||||||||||||||||||||||||||||||||||||||||||||||||||||||||||||||||||||||||||||||||||||||||||||||||||||||||||||||||||||||||||||||||||||||||||||||||||||||||||||||||||||||||||||||||||||||||||||||||||||||||||||||||||||||||||||||||||||||||||||||||||||||||||||||||||||||||||||||||||||||||||||||||||||||||||||||||||||||||||||||||||||||||||||||||||||||||||||||||||||||||||||||||||||||||||||||||||||||||||||||||||||||||||||||||||||||||||||||||||||||||||||||||||||||||||||||||||||||||||||||||||||||||||||||||||||||||||||||||||||||||||||||||||||||||||||||||||||||||||||||||||||||||||||||||||||||||||||||||||||||||||||||||||||||||||||||||||||||||||||||||||||||||||||||||||||||||||||||||||||||||||||||||||||||||||||||||||||||||||||||||||||||||||||||||||||||||||||||||||||||||||||||||||||||||||||||||||||||||||||||||||||||||||||||||||||||||||||||||||||||||||||||||||||||||||||||||||||||||||||||||||||||||||||||||||||||||||||||||||||||||||||||||||||||||||||||||||
|
<colbgcolor=#000><colcolor=#fff> 흑치상지 黑齒常之 | |||
흑치상지 상상화 | |||
출생 | 630년[1] | ||
백제 서부(西部) | |||
사망 | 689년 11월 26일[2] (향년 59세) | ||
당나라 감옥 | |||
묘소 | 북망산(北邙山)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성씨 | 흑치(黑齒) | |
이름 | 상지(常之) | ||
부모 | 부친 흑치사차(黑齒沙次) | ||
자녀 | 아들 흑치준(黑齒俊) 딸 낙랑군부인 흑치씨 | ||
사위 | 물부순(勿部珣) | ||
신장 | 7척(172cm)[3] | ||
자 | 항원(恒元) | ||
백제 관직 | 달솔 겸 풍달군장(達率 兼 風達郡將) | ||
당 최종관작 | 좌무위위대장군 검교 좌우림위(左武威衛大將軍·檢校左羽林衛)[4] 연국공(燕國公) | ||
국적 | 백제 → 당나라 | }}}}}}}}} |
흑치상지 묘지명 |
[clearfix]
1. 개요
백제 말기의 백제부흥운동 지도자이자 당나라의 무장. 자는 항원(恒元). 흑치준의 아버지.
백제 서부(西部) 사람으로[5] 묘지명에는 흑치상지의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까지의 이름이 등장한다. 묘지명에 따르면 증조할아버지의 이름은 흑치문대(文大), 할아버지는 흑치덕현(德顯)[6], 아버지는 흑치사차(沙次)[7]이다. 묘지명에는 원래 부여씨로부터 나왔지만 흑치(黑齒)에 봉해져 자손들이 성씨로 삼으면서 흑치씨가 되었다고 한다.[8][9] 좌평을 역임하지 못했으니 최상위는 아니더라도 꾸준히 장관급을 배출한 차상위 귀족 집안이라 할 수 있다.
《삼국사기》 및 《구당서》나 《신당서》의 흑치상지 열전에는 흑치상지의 키가 7척[10]이고[11] 묘지명에는 "날래고 용감하면서도 지략을 가지고 있었으며 어려서부터 고상하고 기질, 정기가 민첩하고 뛰어났다. 기호, 욕망을 가볍게 여기면서 명예, 가르침을 중하게 여겼고 가슴 속에는 깊은 마음을 가져 끝을 알 수 없을 정도로 맑았으며 정감의 폭이 넓어 거리를 알 수 없을 정도로 원대하면서도 신중함, 성실함, 온화함, 선량함을 가졌고 그의 성품으로 친족들이 그를 존경하면서도 스승, 어른들이 그를 두려워했다."고 되어 있다.[12]
이다조[13]와 왕방익[14], 정무정[15]과 함께 배행검의 추천으로 발탁되었다.
2. 생애
어려서 소학(小學)에서 《춘추좌씨전》, 《한서》, 《사기》 등을 읽었고[16] 20세도 되지 않아 집안 대대로 맡아온 관행에 따라 달솔(達率)이 되었고[17] 풍달군장(風達郡將)[18]을 겸하게 되었는데 660년에 소정방이 백제를 멸망시키자 흑치상지는 당나라에 항복했다.하지만 소정방은 늙은 의자왕을 비롯하여 왕자, 태자를 가두고 군사를 풀어 백제인들을 학살하고 약탈을 자행했다. 이를 보다 못한 흑치상지는 주위에 있던 10여 명과 함께 숨어있다가 자신의 본부(서부)로 피신해 흩어진 사람들을 모아 임존성[19]을 지키면서 목책을 쌓고 견고하게 지켰다. 기록에 따르면 1달도 채 되지 않아 임존성에 귀부한 무리가 3만여 명이나 되었으며 소정방이 공격했지만 이를 상대로 승리해서 200여 개의 성을 빼앗았다고 한다.[20]
사타상여와 함께 험한 곳을 점거해 부흥군 지도자 귀실복신에게 호응했지만 663년 귀실복신이 풍왕과 대립하다가 처형되고[21] 풍왕이 불러들인 왜의 구원군마저 백강 전투에서 대패해 풍왕이 고구려로 달아나 부흥군의 거점은 사실상 임존성 하나만 남게 되었다. 그런데 흑치상지는 사타상여와 함께 자신의 무리를 인솔하여 당나라에 항복해버렸다.[22]
항복 당시 당나라군의 지휘관 유인궤는 흑치상지와 사타상여에게 무기와 식량을 주며 임존성을 공략할 것을 명했고 당나라에서 수군을 이끌고 왔던 손인사가 "그들이 무슨 야심이 있을 줄 알고 그들에게 무기에 식량을 대주겠는가? 한 번 배신한 놈들은 믿기가 힘들다."라며 반대하자 유인궤는 "내가 봐서 아는데 그들은 당나라에 대한 충심과 지모가 있어서 믿어주면 공을 세울 것이다. 그러니까 두 번 다시는 배신 못하게 도망칠 곳부터 없애버리는 것이 마땅하다."라고 대답하였다고 한다. 이에 흑치상지와 사타상여는 유인궤의 명을 수락해 지수신이 남아있는 임존성의 백제 부흥군을 공격했다.
묘지명에는 이후 664년에 절충도위가 되어 웅진성을 지키게 되자 수많은 사람들이 기뻐했고 672년에는 충무장군, 행대방주장사(行帶方州長史)가 덧붙여지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지절, 사반주제군사, 사반주자사[23]로 옮겼다가 상주국에 임명되었다고 되어있다. 670년 신라와 당 사이에 나당전쟁이 발발했고 흑치상지도 이 때 당나라 치하 웅진도독부의 신하로서 신라군과 싸웠을 것으로 추정되나, 결국 신라의 공세가 강화되어 웅진도독부도 안동도호부와 마찬가지로 한반도에서 쫓겨나 그 간판만 요동의 건안성으로 옮기면서 흑치상지도 백제 땅을 떠나야 했다.
당에서는 본적을 경조(京兆) 만년현에 받아 만년현인에 소속되었다. 지극히 공평한 것을 소임으로 삼으면서 사사로움을 잊는 것을 커다란 강령으로 삼았다고 하며 당고종이 이를 가상히 여겨 좌령군장군, 웅진도독부사마로 임명했고, 부양군 개국공 식읍 2천호를 덧붙여 봉해졌으며, 묘지명에는 당 고종이 그의 선함을 칭찬하며 지조(?)와 학식 있는 군자로 대우했다고 하는 등, 당에서의 인망이 높아졌다.
의봉(儀鳳) 2년(677년)에 토번이 당을 공격하자 유인궤의 부장으로써 조하도경략부사(洮河道經略副使)로서 참전한다. 의봉 3년(678년) 9월 12일에 당의 이경현, 유심례 등이 토번의 명장 가르친링에게 패하여 유심례가 전사, 이경현은 지금의 칭하이성 시닝(西寧) 부근의 승풍령이라는 고개에서 포위되었는데, 흑치상지가 밤에 결사대[24] 500명을 이끌고 토번군을 습격해 격파, 이경현을 구해낸다(승풍령 전투). 이 공로로 흑치상지는 좌무위장군, 하원군부사로 임명되었다. 조로 2년(680년) 가을 7월에도 하원을 노략질하는 토번의 가르친링을 다시 한 번 물리쳐 유인궤, 이경현의 대사(大使) 보직을 넘겨받게 되었으며, 개요 원년(681년) 여름 5월 21일에는 토번의 논찬파를 양비천에서 격파하고(양비천 전투) 양식, 가축 등을 거두어 돌아갔다. 흑치상지가 하원군에서 지내는 7년 동안 토번에서는 함부로 변경을 침범하지 못했다고 한다. 여기서 또 공을 세워 좌응양위대장군(左鹰揚衛大將軍)[25]으로 승진한다.
684년[26] 11월 4일에는 강남도대총관이 되어 서경업을 토벌한다.
수공 2년(686년), 돌궐의 힐질리시가한이 하동도(河東道)를 공격하자 흑치상지는 연연도부대총관(燕然道副大總管)이 되어 양정(兩井)에서 2천 기병을 거느려 돌궐군 3천을 상대로 승리한다.
수공 3년(687년)에 돌궐은 다시 당의 삭주(朔州)를 침공했는데, 흑치상지는 이때 연국공, 식읍 3천호 우무위위대장군(右武威衛大將軍)으로 임명된다. 그리고 신무도경략대사(神武道經略大使)로서 이다조(李多祚), 왕구언(王九言) 등을 부장으로 거느리고 돌궐과 전투, 황화퇴(黄花堆)에서 돌궐을 크게 쳐부수고 다시 40여 리를 뒤쫓아 돌궐을 사막 쪽으로 몰아내버렸다.
그런데 당시 우감문위중랑장(右監門衛中郞將)이던 찬보벽(爨宝璧)이 조정에 표를 올려 돌궐 잔당을 마저 칠 것을 청했고, 측천무후도 흑치상지에게 다시 항원군경략대사(懷遠軍經略大使)로써 찬보벽과 함께 군을 합쳐 함께 돌궐을 쫓게 했는데, 찬보벽은 공을 탐내어 흑치상지와의 사전 회의도 없이 홀로 진격해 당군 1만 3천 명이 궤멸당하는 피해를 입었다. 흑치상지가 당의 무장으로 복무하면서 있었던 처음이자 마지막 패전이었다. 이 패전 책임을 물어 찬보벽은 처형당하고 대장 흑치상지도 심문 받던 도중, 혹리 주흥(周興) 등이 흑치상지가 응양장군 조희절과 짜고 반역했다고 모함하는 바람에 투옥당하고, 689년 옥에서 스스로 목을 매어 죽었다.[27]
흑치상지가 죽은 뒤 아들 흑치준이 나서서 아버지를 구명하기 위해 노력한 끝에 흑치상지는 가까스로 역적의 누명을 벗고, 낙양의 북망산에 묻힐 수 있었다. 참고로 의자왕, 연남생 등 삼국통일전쟁기 인물 중 북망산에 묻힌 사람이 많다.
3. 평가
鶴唳風聲奔北日 학 울음 바람 소리에 북으로 달아나던 날
任存城主抗唐兵 임존성주는 당병에 항쟁했다네
曹蜍李志生猶死 조여(曹蜍)나 이지(李志) 같은 이는 살아서도 죽은 목숨[28]
福信雖亡擅美名 복신은 비록 망했지만 미명을 독차지했네.
남효온 《추강집》 권3 부여회고(扶餘懷古) 10수 중 아홉 번째
任存城主抗唐兵 임존성주는 당병에 항쟁했다네
曹蜍李志生猶死 조여(曹蜍)나 이지(李志) 같은 이는 살아서도 죽은 목숨[28]
福信雖亡擅美名 복신은 비록 망했지만 미명을 독차지했네.
남효온 《추강집》 권3 부여회고(扶餘懷古) 10수 중 아홉 번째
흑치상지는 《삼국사기》에 열전이 실린 백제인 중 한 명이다. 그것도 백제인 중엔 가장 먼저 나온다.[29] 이마저도 중국 기록의 복붙에 불과한 수준이다.
장수로서의 능력은 의심할 여지 없이 탑급이었다. 수당 쟁패기, 동돌궐, 서돌궐, 토욕혼, 토번, 백제에 이르기까지 50년 경력 동안 천하무적을 자랑하던 소정방이 낭패를 본 경험이 2번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흑치상지다.[30] 백제 부흥군으로서 뿐만 아니라 당~무주 정권의 대표 무장으로 꼽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에이스 노릇을 톡톡히 해냈다.[31]
7세기 후반 당나라의 주 전선이었던 돌궐과 토번, 그리고 서경업의 난 등 굵직한 전쟁마다 이름이 올라가 있다. 특히 가르친링으로 대표되는 각국의 반당파 무장들에게 당나라 장수들이 망신을 당했는데 그 가르친링이 최전성기였던 와중에도 흑치상지가 전선에 부임한 7년 동안은 토번이 설치지 못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32] 또한 태평광기 등에 실린 여러 가지 일화를 보면 보급, 경영, 행정에 관한 능력도 있었다. 백제에 있을 당시 일종의 지방영주 격 가문이었으니 어찌 보면 당연한 소양인 듯하다.
1929년 낙양 북망산에서 발견된 흑치상지의 묘지명에서는 "품성이 빼어나고 굳세면서 자질이 뛰어나 사리에 통달했으며, 힘으로는 무거운 빗장을 들어올릴 수 있었고 지혜로는 외적을 방비할 수 있었지만 자랑하거나 떠벌리지 않았다."거나 "오히려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것으로 드러내면서도 어리석은 것처럼 하면서 인격을 수양했으며, 그때 행실이 산처럼 똑바로 서서 모든 사람들이 그를 우러러보았다.", "어질면서도 간사하지 않고 위엄을 갖췄지만 다른 사람을 해지지 않고 상벌은 원칙에 따르면서 선을 권하고 악을 말리는 것에 어긋남이 없었으며, 오륜의 커다란 본보기를 이루고 삼군의 크나큰 복이 되어 병사들은 그의 명령을 함부로 어기지 않으면서도 아랫 사람들은 그 잘못을 용납받을 수 없었다.", "음악, 여색을 곁에 두지 않으면서 평상시 노리개를 가지고 즐기지도 않는 등 금욕적이었으며, 경서를 읽는 것을 즐기면서 예의를 중시하고 뛰어난 지략을 품었다."는 등으로 그의 행적을 찬미하고 있다.
구당서나 신당서에도, 자신의 말을 채찍으로 때린 병사를 처벌하자는 부하의 권고에 "내 개인의 말 때문에 관아의 병사를 매질할 수는 없다"며 넘어갔고, 군공으로 포상을 받으면 모두 부하 장교, 병사들에게 나누어 주어 자신에게 남기는 것은 별로 없었다는 일화도 적고 있다.
"흑치상지는 (당에) 항복을 했습니다. 그리고 이제까지 동료였고 한때는 그 지역에서, 당군에 대항해서 싸웠던 그 지역을 함락시키는 데 앞장을 선 것이죠. 그래서 마지막 흑치상지의 행동은 부흥군의 입장에서 보면 배신자입니다."
- 계명대학교 사학과 노중국 교수의 평, KBS 역사추적 '비운의 무장 흑치상지, 그는 배신자인가' 인터뷰 中[33]
- 계명대학교 사학과 노중국 교수의 평, KBS 역사추적 '비운의 무장 흑치상지, 그는 배신자인가' 인터뷰 中[33]
다만 흑치상지의 능력과는 별개로 그의 행적만큼은 노중국 교수의 평처럼 '배신자'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백제 부흥 운동 당시 흑치상지의 행적을 직접적으로 비유하자면 대한제국의 군인이 대한제국이 멸망한 후 일본의 작위를 받았다가 마음을 바꿔 의병(또는 독립군)을 이끌고 독립운동에 나섰다가 다시 일본군에 항복해 독립군 소탕에 앞장서서 일본군 장성으로 출세한 격이며, 무엇보다 본인도 한때 백제 부흥군이었으면서 백제 부흥군의 본거지로 그 자신이 처음 부흥운동을 일으킨 곳이었던 임존성을 자기 스스로 당의 지원을 받아 공격해서 함락시킨 것은 뭐라 쉴드를 칠 수도 없는 빼도 박도 못할 배신자+매국노 인증이라고밖에 할 수 없는 것이다.
삼국사기에 그의 열전이 실린 것에 대해 일제강점기 민족주의 사학자 단재 신채호는 이에 대해서도 "백제 부흥군을 지휘한 영웅인 귀실복신은 열전을 안 썼으면서 백제 부흥군을 배신하고 진압하기까지 한 흑치상지는 열전을 써 넣었다"며 까기도 했다.[34]
흑치상지를 옹호할 만한 부분도 있는데 그것은 바로 그가 살았던 시대가 너무 막장으로 흘러갔다는 점. 백제 말기 의자왕의 행적은 물론 현대에는 단순한 폭정이 아닌 왕권 강화의 일환이라는 나름 좋은 쪽의 재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지만, 어쨌든 서자 41명을 중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흥수와 성충 같은 옛 신료들의 숙청, 은고부인과 관련된 행적, 부여융에서 부여효로의 태자 교체 등 상당히 급진적이면서도 무리한 왕권 강화를 시도한 것 자체는 대체로 사실로 간주되고 있고 그 과정에서 생겨난 정치적 혼란은 물론 처음에 백제 땅에서 당의 점령지 처분이나 학살도 만만찮았지만 백제 부흥군 안에서도 정작 부여풍과 도침, 귀실복신 사이에 분열이 일어나 복신이 도침을 죽이고 복신이 다시 풍왕에게 죽는 등 거의 막장에 치닫는 부흥군의 내부 분열이 흑치상지의 눈에 아니꼽게 보였을 수도 있고 그것이 백제 부흥운동 자체에 대한 환멸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농후하다.[35]
물론 그렇다고 해서 부흥운동 자체를 비하하고 좌절한 나머지 백제 부흥 자체를 부정하고 그 진압에 나서고 만 흑치상지의 행동은 흑치상지 스스로가 가진 논리의 모순을 보여준다.
"정말 흑치상지는 주류 사회에 편입하지 못하고 그냥 용병으로써 이용만 당하다가 그냥 죽었다는 인상을 받게 되는데... 결론적으로 그렇잖아요. '이러자고 조국을 배신했을까?' 무상한 거예요."
- 류근 시인의 평. KBS 역사저널 그날 제105화(2016년 1월 3일자 방송분) 고대사 인물열전 '선택' 1편에서
- 류근 시인의 평. KBS 역사저널 그날 제105화(2016년 1월 3일자 방송분) 고대사 인물열전 '선택' 1편에서
다만 이러한 비판을 감안하더라도 상당히 파란만장한 인생을 살다 간 사람이기도 하다. 자신의 눈으로 나라가 망하는 걸 지켜보고, 부흥군에 가담했다가 변심해서 자신의 옛 동지를 자기 손으로 처단하고, 그 공으로 기껏 장교까지 임용되었다가 역모죄로 몰려 자살했으니. 당은 백제를 점령한 뒤 신라에 할양하지 않고 웅진도독부를 세워 백제 태자였던 부여융을 도독으로 삼아 통치하게 했는데 이것이 당의 괴뢰정권이긴 했으나 백제의 근본적인 멸망 원인이 당과의 단교였던 것으로 봤을 때 이는 당시 부흥운동의 실패 이후 신라에게 합병되지 않고 백제의 존속이라도 꾀할 수 있는 현실적인 유일한 방안이었다. 하지만 웅진도독부의 설치 목적이 단순히 백제 부흥이나 존속보다는 신라에 대한 견제용으로[38] 의자왕 이전의 독립국로써의 백제라기보다는 당의 일개 기미주로써의 성격이 강했기에, 진정한 의미의 백제 부활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더구나 신라가 나당전쟁을 시작하고 웅진도독부가 다스리던 옛 백제 땅에 대한 군사적 공세를 펼치면서 그런 식으로라도 백제를 존속시키려 했던 희망 자체가 물거품이 되었다.
백제 부흥은 물 건너 가고 당으로 건너가 토번이나 돌궐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는 등 무장으로써 어느 정도 정착할 수도 있었겠지만, 흑치상지가 섬겼던 군주가 하필이면 숙청 내지 무고를 적극 장려하며 자신의 정치권력에 이용해 먹었던 유명한 측천무후였다. 《신당서》에서는 흑치상지의 죽음을 전후해 숱한 번장들이 죽임을 당하는 기록이 쏟아지는데, 이민족으로써 출세했다 한들 중국에서 이민족 출신이라는 한계는 늘 흑치상지를 따라다녔던 것이다.[39] 전공을 세워 출세한다 해도 흑치상지는 당에서 죽는 순간까지 이방인일 뿐이었다고 할 수 있다.
백제 부흥보단 오히려 신라에 편입되었더라면 어떠했을까라고 하지만, 비교적 포용적이었던 문무왕은 몰라도 이후 왕위를 이어받은 신문왕이 펼친 중앙집권체제를 지향하는 개혁과 왕권 강화책 앞에서 숙청의 칼날을 피할 순 없었을 것이다.[40] 혹은 장보고처럼 당나라에 있다가 신라로 다시 돌아오는 방식이 있는데, 알다시피 장보고의 경우도 흥덕왕의 대대적인 지원을 받고 반란군을 진압하고 서남해안 일대 해적들을 소탕했으나 신무왕의 죽음으로 진골 귀족들과 서남지역 호족들이 결탁하여 비참한 최후를 당했다. 대체로 신라 정통론자들의 경우도 장보고와 비교를 하며 흑치상지를 까는 경향이 짙다.
은근히 일제 말의 홍사익 중장에 비유되기도 하는 모양. 홍정선의 중국기행(세계일보 연재)
4. 가족관계
- 증조부 흑치문대(黑齒文大): 생몰년도 미상.
- 조부 흑치덕현(黑齒德顯): 생몰년도 미상. 다른 이름 혹은 자(字)는 가해(加亥)
- 부친 흑치사차(黑齒沙次): 생몰년 미상. 흑치상치의 출생년(630년)을 볼 때, 늦어도 7세기경 초반에 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름의 이표기는 사자(沙子).
- 아들 흑치준(676~706)
- 딸 낙랑군부인(樂浪郡夫人) 흑치씨: 흑치상지의 둘째 딸로,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다. 후일 백제 유민 출신인 물부순과 결혼해 장남 물부흔(勿部昕), 차남 물부간(勿部暕), 사남 물부중용(勿部仲容) 등 4남 1녀를 두었다고 한다.
- 사위 물부순
낙랑군부인 흑치씨가 둘째 딸[中女]인 점을 보면 딸이 3명 이상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5. 대중매체에서
- 일제강점기의 문인 현진건이 흑치상지를 주인공으로 하는 동명의 소설을 〈동아일보〉에 연재하다가 조선총독부 검열로 중지당한 일이 있다.[41] 소설 흑치상지 연재의 좌절은 현진건을 죽음으로 몬 사건이기도 한데, 검열 이후 상심한 현진건은 폭음을 더욱 가속해 결국 장결핵으로 운명하고 만다.
- 게임 〈삼국지조조전 Online〉에서는 결사계백의 패라는 계보의 미등장 데이터로 남았다. 병과는 경기병. 능력치는 무력 87, 지력 68, 통솔 92, 민첩 77, 행운 85. 본래 플레이어블로 등장할 예정이었다가 제작진이 한국사 고대무장이 출시되면 능력치 논란이 일어날 것을 우려해 결국 일부러 등장시키지 않았다. 데이터상의 장수 특성은 연속공격 강화 15%/주위방해로 굉장히 좋지 않았다. 이렇게 나와봤자 안 그래도 경기병계는 장료, 관영, 태사자 등 네임드 장수가 집중된 병종이라 이런 장수를 쓸 이유가 성능면에서는 전혀 없기 때문에 섬멸전이나 경쟁전 등 여러 콘텐츠에서 고인 확정이었을 것이다. 다만 이건 극초창기에 이득규 개발자가 임의로 부여한 것이고 만약 정식 등장했다면 항우 때 그랬던 것처럼[43] 좋은 전용 특성으로 바뀌어 나왔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 1992년 KBS 드라마 〈삼국기〉에서는 실제 나이를 무시하고 무왕 재위 초반 시절부터 등장해 계백, 강달, 임자 등과 동기로 나온다. 때문에 의자왕 재위 시절에도 중견 무장으로 활동하며 648년 전역에서 의직 대신 사령관으로 나와 김유신에게 털리는 굴욕을 당한다.
- 2007년 KBS 드라마 〈대조영〉에서는 배우 최상훈이 연기했다. 망국의 유민 출신인 자신의 처지를 알고 있기에 같은 망국 유민인 대조영을 도와주려 애쓰지만 후에는 측천무후에게 숙청당하면서 최후를 맞았다. 다만, 기록에서는 옥에 갇혀서 스스로 목을 매었다고 한 것과는 달리 드라마에서는 다른 번장들과 함께 참형에 처해지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 《Why? 한국사 시리즈》 중 영웅 이야기 편에서도 인상적으로 다루어진 인물이다. 영웅인지 배신자인지에 대한 평가가 갈린다고 나오기는 했지만 당나라의 장수가 되어 스스로 부흥군을 칠 때 눈물을 흘리며 미안해하거나 측천무후 때 죽은 것도 참으로 억울한 일이었다는 등 은근히 비운의 영웅 쪽으로 밀어주는 면이 있고 인물상 자체는 고결하게 묘사되었다. 부흥군이 궁지에 몰려 첫 근거지였던 임존성만 남았을 때 지수신과 나눈 것으로 나오는 대화는 이렇다.
지수신: 장군, 끝까지 싸워 백제인의 기개를 보여 줍시다.
흑치상지: 장수로서 나라를 지키지 못했으니 그저 부끄러울 뿐이오. 과연 우리가 버틸 수나 있겠소?
지수신: 그게 무슨 말씀이시오? 계백 장군은 5천의 군사로 5만의 신라군과 싸웠소. 구차하게 사느니 차라리 싸우다 죽어야지요.
흑치상지: 이 세상에 구차한 목숨이 있겠소? 미물이 살아가는 것도 자연의 섭리이거늘...
지수신: (문을 나서려는 흑치상지에게) 이제 와서 백제를 저버리겠다는 말씀이오, 장군?
흑치상지: 백제인으로 태어나 어찌 이 땅을 부정할 수 있겠소. 우리 집안은 대대로 달솔을 지냈소. 다만 이것이 하늘의 뜻은 아닌지...
지수신: 장군!
흑치상지: 백성과 병사들을 헛된 죽음으로 내모는 것이 옳은 길인지 뒷날을 기약하는 것이 옳은지 고민할 뿐이오.
흑치상지: 장수로서 나라를 지키지 못했으니 그저 부끄러울 뿐이오. 과연 우리가 버틸 수나 있겠소?
지수신: 그게 무슨 말씀이시오? 계백 장군은 5천의 군사로 5만의 신라군과 싸웠소. 구차하게 사느니 차라리 싸우다 죽어야지요.
흑치상지: 이 세상에 구차한 목숨이 있겠소? 미물이 살아가는 것도 자연의 섭리이거늘...
지수신: (문을 나서려는 흑치상지에게) 이제 와서 백제를 저버리겠다는 말씀이오, 장군?
흑치상지: 백제인으로 태어나 어찌 이 땅을 부정할 수 있겠소. 우리 집안은 대대로 달솔을 지냈소. 다만 이것이 하늘의 뜻은 아닌지...
지수신: 장군!
흑치상지: 백성과 병사들을 헛된 죽음으로 내모는 것이 옳은 길인지 뒷날을 기약하는 것이 옳은지 고민할 뿐이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8080> 흑치상지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 <colbgcolor=#fff,#1f2023>백제멸망전 | 백제부흥운동 |
가족 | 증조부 흑치문대 · 조부 흑치덕현 · 아버지 흑치사차 아들 흑치준 · 딸 낙랑군부인 흑치씨 사위 물부순 | |
묘소 | 북망산 |
삼국사기(三國史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1권 「신라 1권 (新羅 一)」 | 2권 「신라 2권 (新羅 二)」 | |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 ||
3권 「신라 3권 (新羅 三)」 | 4권 「신라 4권 (新羅 四)」 | 5권 「신라 5권 (新羅 五)」 | |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 |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 8권 「신라 8권 (新羅 八)」 | 9권 「신라 9권 (新羅 九)」 | |
김법민 |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 |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 ||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 ||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 |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 고주몽 · 고유리 |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 |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 |
고궁 · 고수성 |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 |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 |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 고원 · 고건무 | |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 ||
고장 |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 ||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 |||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 |||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 |||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 |||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 |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 부여의자 | |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1] 서기 688년인 당나라 수공 3년 직후인 689년에 사망했고 나이가 60세라고 하니 630년생이 된다. (垂拱之季, 天命將革. 骨卒祿狂賊也, 旣不覩其微, 徐敬業逆臣也, 又不量其力. 南靜淮海, 北掃旄頭, 並有力焉, 故威聲大振. 制曰, 局度溫雅, 機神爽晤, 夙踐仁義之途, 聿蹈廉貞之域. 言以昭行, 學以潤躬, 屢摠戎麾, 每申誠效. 可封燕國公, 食邑三千戶. 仍改授右武威衛大將軍·神武道經略大使, 餘如故. 於是, 董玆哮勇, 剪彼凶狂, 胡馬無南牧之期, 漢使靜北遊之望. 靈夏衝要, 妖羯是瞻, 君之威聲, 無以爲代. 又轉爲懷遠軍經略大使, 以遏游氛也. 屬禍流群惡, 疊起孤標, 疑似一彰, 玉石斯混. 旣從下獄, 爰隔上穹, 義等絶頏, 哀同仰藥. 春秋六十.)[2] 음력 10월 9일.[3] 삼국사기 및 구당서와 신당서에 7척이라 나온다. 7척은 당척인 24.5cm로 환산하면 172cm에 해당하는 키다.[4] 좌무위위는 남아금군에서 좌위/우위 다음 부대인 좌효위의 개칭이다. 우림위는 북아금군, 검교는 명예직이거나 대리, 감사 등을 의미[5] 서부란 사비성 안의 5부 가운데 하나를 말한다. 백제에서는 수도를 5부(요즘으로 치면 서울 무슨 구)로 나누고 지방을 다시 5방(요즘으로 치면 무슨 도)으로 나누었다. 기록에서 어디 사람이라고 하는 경우 그 어디에서 태어났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고 주로 당시 자신의 호적이 등록된 곳, 요즘의 주민등록상의 본적지 주소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당나라가 백제를 멸망시키던 즈음에는 백제의 광역지방행정단위인 5방을 5부라고 표현한 기록이 더 많다. 따라서 이를 사비 도성 내의 5부가 아닌, 백제 5방에서의 서방(역광성)으로 볼 수도 있다. 특히 서방 지역 출신으로 봤을 때 그의 주요 활동지였던 임존성(任存城) 역시 서방 지역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6] 흑치준 묘지명에는 이름이 흑치가해(加亥)로 기록되었다. 한자 加에 대응되는 순우리말이 '더'라는 점을 고려하면 같은 이름을 달리 표기한 것일 수 있으며, 덕현과 가해 둘 중 하나가 별칭 혹은 자(字)였을 가능성도 있다.[7] 흑치준 묘지명에 따르면 흑치사자(沙子). 물론 같은 이름의 이표기에 불과하다.[8] 정확한 위치는 불명이나 《여씨춘추》, 《산해경》, 《회남자》 등 중국 문헌에 등장하는 전설 속의 나라 흑치국(黑齒國)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흑치국은 전설에 따르면 하나라 우왕의 자취가 미친 나라들 중 동쪽 끝자락에 위치했다고 한다. 중국 전설에서 해가 뜨는 곳으로 언급되는 '부상국(扶桑國)'이 일본의 별칭으로 쓰인 것처럼, '흑치' 역시 백제 내의 한 지역을 지칭하는 표현으로서 고전으로부터 차용되었을 것이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 백제 멸망 후 당나라가 설치한 웅진도독부의 우이현(嵎夷縣)이 있다.[9] 이도학은 흑치국을 지금의 필리핀으로 비정하고 백제가 동남아시아까지 지배권을 행사한 증거라고 보았으나, 백제가 동남아시아를 지배했다는 문헌학·고고학적 근거가 현재로서 전무하기 때문에 신빙성이 떨어진다. 설령 실제 흑치국이 동남아시아에 있었다 한들 흑치씨 가문이 봉해졌다는 백제의 흑치 지방은 흑치국으로부터 이름만 따온 것일 가능성이 높다. 한편 노중국과 예산 지역의 향토 사학자들은 흑치를 '검은니'의 훈차로 보고 백제 금물현(今勿縣)이 있던 지금의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고덕면·봉산면 및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면 일대로 비정하였다. 이도학은 자신의 저서 '백제 사비성 시대 연구'에서 "그런 식으로 해석하면 한반도에서 흑치 아닌 곳이 없을 것"이라고 노중국의 설을 비판했다.[10] 당나라 척인 24.5cm로 계산하면 172cm가 된다.[11] 한국의 KBS 역사추적 팀이 흑치상지 묘지명에 대해 취재하던 도중 들은 것으로 1929년 흑치상지와 아들 흑치준 두 사람의 묘지명이 뤄양의 북망산에서 함께 발굴될 당시 묘지명 부근에서 머리뼈가 크고 기골이 장대한 유골도 함께 수습되었는데 묘지명만 남고 유골은 수습하지 못해 지금은 사라져 버렸다.[12] 묘지명의 특성상 이런 식으로 개인의 일생이 수식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은 감안하고 읽어야 한다.[13] 말갈계 고구려 출신[14] 당고종의 황후인 폐후 왕씨의 일족.[15] 고구려-당전쟁에 참전한 정명진의 아들.[16] 흑치상지 묘지명에서는 "좌구명(左丘明)이 이를 '부끄럽다' 하였고 공자도 역시 '부끄럽다' 하였으니 진실로 나의 스승들이다. 이보다 나은 사람들이 세상에 얼마나 될까?"라고 감상평을 남겼다고 적고 있는데, 해당 부분은 논어 공야장편 25장에 나오는 문구를 인용한 것으로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번지르한 말, 꾸민 얼굴빛, 과한 공손함을 좌구명은 부끄럽게 여겼다. 나도 이를 부끄럽게 여긴다. 원한을 감추고 그 사람과 친하게 지내는 것을 좌구명은 부끄럽게 여겼다. 나도 이를 부끄럽게 여긴다.' 하셨다."이다. 후술할 흑치상지의 인생을 보면 마치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고 회상하는 듯한 묘한 부분이다.[17] 묘지명에는 병부의 일을 맡았다고도 한다.[18] 풍달군은 백제 유민 진법자(陳法子, 615~690)가 군장을 지낸 품달군(禀達郡)과 같은 곳으로, 그 위치는 현재까지도 미상이다. 이병도는 풍달군의 풍(風) 자에 주목해 바람이라는 단어와 가장 비슷한 이름의 발라군(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을 풍달군으로 비정했는데 이병도의 다른 추정이 그렇듯 지나치게 음상사에 치중한 연구이므로 현대에는 무시되는 설이고, 이도학은 백제의 서부 어디쯤 있었을 것이므로 충청남도 안에서 찾아야 한다고 했다. 그 중에서도 임존성이 있었던 예산군 대흥면 부근으로 비정하는 견해가 있다.[19] 任存城, 지금의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20] 다만 이는 흑치상지가 모두 이룬 것이라기보다는 흑치상지가 소속된 백제 부흥군의 전성기 때 세력 규모와 백제 전 영토와 연관지은 수식어로 해석하는 편이 합리적이다. 백제 멸망 당시 총 200성이 집계되었다고 전하기 때문이다.[21] 김정산의 소설 삼한지에는 흑치상지가 풍왕의 명으로 귀실복신의 목을 직접 친 장본인으로 각색, 묘사된다.[22] 이도학은 당시 당나라에 포로로 잡혀갔다가 당나라로부터 새로운 백제 왕으로 임명되어 귀국한 백제의 왕자 부여융이 흑치상지의 회유에 나섰을 것으로 보았다.[23] 당이 옛 백제 땅에 두었던 웅진도독부 산하의 5개 주 가운데 하나다.[24] 《중국 속 고구려 왕국, 제》의 저자 지배선 교수는 흑치상지가 승풍령에서 지휘한 결사대는 과거 흑치상지를 따르던 백제인 병졸 출신이었을 것으로 추정했는데, 뛰어난 이민족 무장을 적극적으로 번장(番將)으로 기용하던 당에서 번장으로 임명되는 경우 으레 자신과 동족인 자들을 모아 부대로 거느리기 마련이며, 밤에 몰래 이루어지는 야간기습작전의 경우 웬만큼 손발이 맞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렵다는 점을 그 이유로 흑치상지와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병사들이었기에 작전이 가능했을 것으로 보았다.[25] 좌응양위=좌무위에서 개칭[26] 이 해에만 연호가 세 번이 바뀌었다. 사성(嗣聖), 문명(文明), 광택(光宅) 순으로. 사실 측천무후는 재위 중에 연호를 상당히 자주 바꾼 편이었다.[27] 참고로 연헌성도 비슷하게 죽고 아들에게 복권당했다. 원래의 조국을 버리고 떠난 이민족 인사들의 최후인가[28] 조여와 이지는 모두 서진 때 사람들로, 후한 때 사람인 조윤이 조여의 할아버지이다. 두 사람 모두 왕희지에 견줄 명필로 이름 높았지만 인품이 워낙 엉망이라 왕희지와는 달리 그들이 쓴 서예 작품은 후세 사람들에게 전해지지 못했다고 하며, 두 사람 모두 소인배의 상징으로 쓰였다. 당나라에 항복한 사람들은 비록 목숨은 부지했지만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말로 가만 보면 당에 항복한 자들을 조여나 이지에 빗대어 에둘러 까는 시이다.[29] 조선 세조 때 무려 김유신, 김인문, 을지문덕과 함게 배향되기도 했다. 의외로 많이 대접받은 편이다.[30] 또 하나는 연개소문[31] 당나라 정권에서는 당시 한국계, 그 중에서도 고구려계 무장들이 상당수 활약하여 고위 장성에 올랐는데 7세기 한국계 번장 중에서는 단연 흑치상지가 돋보인다.[32] 당시 당나라 군부의 대표였던 왕효걸 역시 안서4진을 수복하는 성과를 올리지만 대비천에서 가르친링에게 포로로 잡히고 소라한산에서 대군을 말아먹는 등 명장의 반열에 이름을 올리기에는 뭔가 좀 아쉽다.[33] 이도학은 흑치상지를 비판한다면 백제부흥군의 거물이었던 귀실복신을 의심해서 죽인 부여풍도 비판받아 마땅한데 왜 부여풍을 비방하는 사람은 없냐며 흑치상지에 대해 옹호하는 편. 이도학은 흑치상지의 평전을 쓰기도 했다.[34] 다만 안시성주의 사례에서 보이듯 단순히 이름을 정확히 몰라서 못 썼다고 옹호할 건덕지가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귀실복신의 경우는 중국의 《구당서》나 《신당서》, 《자치통감》은 물론 《삼국사기》에서도 간간이 이름이 보이고 있기에, 본기의 내용을 거의 복붙하다시피한 을파소나 명림답부, 중국측 열전의 내용을 복붙한 흑치상지의 경우에서도 보이듯 쓰려면 복붙을 해서라도 쓸 수도 있었고, 실제로 고구려의 명림답부나 을파소는 본기 내용을 복붙해서 열전을 썼다. 부흥운동을 주도한 충신이기는 했지만 일단 주군인 풍왕을 무시하고 전횡을 부린 점이 유학자인 김부식에게는 거슬렸던 모양.[35] 일제강점기에도 처음에는 항일독립운동, 민중계몽운동에 나섰다가 동지들의 불화나 민중의 모순된 모습을 보고 실망, 좌절하고 자포자기한 나머지 변절해 버린 유형의 친일파들이 상당히, 아니 거의 대부분이라고 할 정도로 많다. 친일파의 대명사로 꼽히는 이광수나 윤치호, 최남선 역시 그런 부류였으며, 윤치호는 말할 것도 없다.[36] 다만 이것도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있는데, 본문의 사례는 주로 고구려 유민들의 경우가 해당하고, 그래서 탄압을 피해 더욱 가열차게 탈출한 유민들이 발해의 건국 및 패서지역의 자치구에 일조하게 된다. 반면 백제 유민들은 대부분 고구려의 건안성 지역에 일종의 자치국인 소백제가 설치되면서 또 이치되었고, 발해의 요동 정벌 때 흡수된 걸로 추정된다.[37] 당시 삼국을 침공한 수, 당군의 지휘관들 출신을 보면 대부분 한족은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실 당은 황실부터가 100% 한족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고구려 원정 당시의 철륵인 번장 글필하력이나 돌궐인 번장 아사나사이, 나당전쟁 때의 말갈인 번장 이근행 등.[38] 신라가 고구려 왕족 안승과 그가 데려온 고구려 유민들을 옛 백제 땅인 익산에 이주시켜 보덕국을 세우도록 지원한 것이 백제 유민에 대한 견제에 있었듯이.[39] 흑치상지와 마찬가지로 고구려 멸망 뒤에 당 조정에서 관직 생활을 한 연헌성(연개소문의 손자로 연남생의 아들)이, 문무관 중에 활을 잘 쏘는 사람 5명을 뽑아 상을 주려는 측천무후에게 내사(內史) 장광보(張光輔), 우옥검위대장군(右玉鈐衛大將軍) 설토마지(薛吐摩支) 등이 모두 헌성 본인을 추천하자 "폐하께서 활 잘 쏘는 이를 고르신다 하지만 그들이 모두 중국인(한족)이 아니니, 대당의 관리(한족)들이 앞으로 활쏘기를 수치스러워 할까 두렵습니다."라며 물러선 적이 있다. 심지어 측천무후 사후인 당현종 때조차, 고구려 유민 출신의 명장 고선지가 상관인 부몽영찰(이후 마영찰)을 거치지 않고 승전을 직접 황제에게 보고했다는 이유로 부몽영찰로부터 "개 배알이나 삶아 처먹을 고려 놈아!"라는 모욕을 들어야 했다. 이미 고구려가 멸망하고 백 년 가까이 지난 시점이고, 고선지는 아버지 때부터 당 조정의 무장으로 복무하던 인물로 민족의식이나 국가의식 따위는 거의 희박하다 못해 아예 없었을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비유하면 일제 시대 일본군내 조선인 장교가 상관으로부터 "김치 냄새나 풍기는 조선 놈아!" 소리를 들은 것과 같다. 정작 부몽영찰도 이민족 출신이었단 점만 빼면 대만인 일본군 장교인 상관이 조선인 일본군 장교인 부하를 이민족이라고 깐 셈이다[40] 물론 이건 본인이 출세를 지향하지 않고 은거해서 평범하게(혹은 여타 평민들처럼 고생하며) 사는 방법도 있었다. 특히 패서지방 같은 곳은 고구려계의 자치가 강했고 강원도쪽 같은 변방은 산골짜기가 많으며 탐라국은 섬이면서 나름 자치도 이루어지는 봉신국이었으니만큼 짱박히려면 괜찮은 장소가 없진 않았다. 다만 그 뛰어난 능력에도 불구하고 생활수준의 급전직하를 감안해야겠지만... 아닌 게 아니라 욕심 같은 거 진작에 포기하고 워낙 조용히 살아 기록에도 얼마 안 남은 항장들도 많다(지수신이 말년 기록이 안 남은 걸로 보아 어떻게든 은거에 성공했다고 보기도 한다). 또한 전 동맹국이었던 왜국으로 튀는 선택지가 제시되었을 수도 있으나 이는 해로를 통해야 했으니 신라 정부에서 허락해줄지부터가 불분명했다(유민 지도자이자 명장 출신인 만큼 왜국과 미묘한 관계였던 신라에서는 당연히 거부했을 가능성이 높다). 고구려 유민의 일부가 이주하기도 했던 돌궐은 백제가 망했을 때는 이미 당나라에 달달 털려 종속된 상태였고(이 때문에 고구려 또한 급속히 위기에 처하게 된다) 나중에 이적하려 했어도 초원은 대혼돈기가 거듭되어 유민 출신들이 평화롭게 살기엔 영 안 좋았던 데다(이 때문에 돌궐로 갔던 고구려 유민들은 다시 당으로 간다) 흑치상지가 죽기 직전에나 제2제국을 건국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기후부터 천지차이인 유목민족의 세계에 농경민족 출신 이방인이 적응한다는 것부터가 거의 불가능하게 느껴졌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럴듯한 대안이 되어줄 수도 있었던 발해는 안타깝게도 흑치상치가 죽은 뒤에나 건국된다(그나마 건안성으로 이치된 웅진도독부의 백제 유민들은 발해에 흡수된 것으로 추정된다).[41] 이에 대해 ‘처음에는 흑치상지가 이런 인물인줄 모르고 시작했다가 자료 수집 부실 등의 문제로 뒤늦게 흑치상지의 실체를 알고 작가가 중단해 버렸던게 아니냐’는 추측이 본 문서에 적혀있기도 했다. 그러나 해당 소설을 면밀히 분석해보았다면 이는 얼토당토 않은 추측이다. 현진건은 이 소설에서 백제의 복식까지 면밀히 고증해 묘사하는 한편, 시작 장면에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에만 등장하는 ‘임자’라는 인물(김유신과 내통한 백제인)을 등장시킨다. 그가 얼마나 사전조사를 충실히 했는지 알 수 있는 대목. 이렇게 삼국사기 열전 한 귀퉁이에 등장하는 인물1까지 묘사한 현진건이 같은 삼국사기 열전에 등장하는 흑치상지의 전 생애에 대한 길지도 않은 기사를 숙지하지 않은 채 그에 관한 소설을 집필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다만 소설이 미완으로 종결된 까닭에, 현진건이 과연 흑치상지의 투항과 배신, 당에서의 행적을 어떻게 처리하려고 한 것인지는 영원히 수수께끼로 남게 되었다. 아마도 현진건은, 흑치상지가 1. 현실과의 타협 후의 내적갈등을 겪으며 괴로워함, 2. 백제가 멸망했다는 현실하에서 그나마 가능한 옵션으로서 웅진도독부를 통해, 또는 당나라 내에서 백제 재건을 도모하려 함, 이 두 가지 방향 중 하나를 염두에 두고 있었을 수 있다. 남아있는 소설 앞부분의 치밀한 퀄리티로 볼 때 현진건이 이 소설을 필생의 역작으로 준비한 것만은 사실로 보인다.[42] 바람의나라 백제 신규 업데이트로 탄생한 보스 몬스터들인 자명랑, 해상왕장벽거, 흑치상지는 모두 유저들이 공모전으로 낸 이름들이다. 관미성 동쪽의 보스이자 서쪽의 준보스인 기요마사만 운영자들이 지어낸 이름인데 그 이유는 공모전으로 당첨된 이름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창씨개명 당시 이름이었던 다이쥬였고 이것이 논란이 되어 바꾸게 되었다.[43] 항우는 정식출시 이전 원래 데이터에서는 기마공격 강화 무시, 일기당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