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15:20:07

사반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온조왕 다루왕 기루왕 개루왕
<rowcolor=#fbe673>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초고왕 구수왕 사반왕 고이왕
<rowcolor=#fbe673>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책계왕 분서왕 비류왕 계왕
<rowcolor=#fbe673>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근초고왕 근구수왕 침류왕 진사왕
<rowcolor=#fbe673>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아신왕 전지왕 구이신왕 비유왕
<rowcolor=#fbe673>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개로왕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rowcolor=#fbe673>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무령왕 성왕 위덕왕 혜왕
<rowcolor=#fbe673> 제29대 제30대 제31대
법왕 무왕 의자왕
}}}}}}}}}}}}

사반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백제의 왕자
[[틀:백제의 왕자/온조왕 ~ 진사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006666;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AB2D, #4CCB3B 20%, #4CCB3B 80%, #3DAB2D);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왕 · 태자
왕자 : 온조왕 ~ 진사왕 · 아신왕 ~ 의자왕
? 아들인지 논란이 있는 경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1대 2대 3대 4대
초고왕 구수왕 사반왕 비류왕
<rowcolor=#fbe673> 5대 6대 왕권 장악
근초고왕 근구수왕 초고왕계 왕권 확립 }}}}}}}}}
백제 제7대 국왕
사반왕 | 沙伴王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출생
(음력)
연대 미상
백제 위례성
(現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일대)
사망
(음력)
234년 추정 (향년 불명)
백제 위례성
(現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일대)
능묘 미상
재위기간
(음력)
백제 제7대 국왕
234년 (1년 미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성씨 부여(扶餘)
사반(沙伴) / 사비(沙沸) / 사이(沙伊)[1]
부왕 구수왕(仇首王)
왕호 사반왕(沙伴王) }}}}}}}}}

1. 개요2. 이름3. 생애4. 《삼국사기》 기록5. 기타6. 같이 보기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백제의 제7대 군주이자 건길지. 제6대 구수왕의 장남. 즉위 직후 폐위당한 것으로 보이는데 발해성왕, 신라애장왕, 고려헌종창왕, 조선단종의 대선배급 이력을 가진 군주이다.

2. 이름

이름인 사반(沙伴)/사비(沙沸)에서 '사'(沙)는 고유어 새(로운 것)을 표기할 때 자주 쓰던 글자이고, '반'(伴)과 '비'(沸)는 상고한어에서 각각 *par[2], *pɯd[3]로 발음되었던 점을 생각하면 고유어로 새벌이라고 읽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벌은 인명보다는 지명에 적합한 명칭인 것이 특이한 점. 그러나 세계적으로 지명을 인명에 사용한 사례가 많은지라 그리 이상한건 아니다.

소을부리(所乙夫里), 소비(所非), 소부리(所夫里), 사비성(泗沘城) 등을 보면 '부리'의 어형이 '비'로 축약되는 형상이 있다. 적(赤), 즉 붉다는 뜻의 삼국시대 말로 '사파을'(沙巴乙), '사비'(沙非)가 존재하는데, 현대 국어의 "새빨갛다"와 "시뻘겋다"의 어원으로 보이며, 사반왕의 이름과 연관이 있다는 설도 있다.

3. 생애

구수왕의 장남으로 234년에 즉위했으나 나이가 어리고 정사를 처리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금방 고이왕에 의해 폐위당했는데 사실 정확한 재위 기간은 불명확하나 즉위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폐위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이왕은 기록상으로는 사반왕의 작은할아버지에 해당하며 이 기록이 사실이라면 방계 왕족의 왕위 찬탈에 불과하겠으나 그럴 개연성은 적다. 《삼국사기》에서는 아예 왕 취급도 해주지 않으며 사반왕을 위한 별도의 단락도 없이 이 대목에서만 나온 후 구수왕에서 고이왕으로 바로 넘어간다.

온조(溫祚)계 왕족 출신이며 초고왕계 세력에 속해 있는데 사반왕 대에 이르러 초고왕계가 약해지며, 이로 인해 고이왕이 즉위한 것으로 보는 학설이 있다. 제대로 된 기록이 없어 고이왕이 즉위한 이후 사반왕이 언제 승하했는지는 알 수 없다. 《삼국유사》에는 이설로 239년(《삼국사기》 기년상 고이왕 6년) 사망하고 고이왕이 뒤이어 왕위에 올랐다는 이야기가 언급되어 있다. 초고왕계를 완전히 다시 세운 근초고왕이 사반왕의 아들이 아니라 비류왕의 아들로 되어 있는 걸로 봐선, 근초고왕은 같은 초고왕계라 하더라도 적어도 사반왕의 후예는 아닐 가능성이 높다.
사비왕(沙沸王) 【사이왕(沙伊王)이라고도 한다.】구수왕(仇首王)이 돌아가시자 대를 이어 왕위에 올랐지만, 너무 어려서 정사를 볼 수가 없었다. 그래서 곧 폐위시키고 고이왕(古爾王)을 왕으로 삼았는데, 혹은 경초(景初) 3년 기미[4](서기 239년)에 왕이 세상을 떠나자 고이왕이 왕위에 올랐다고도 한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 제2 -남부여ㆍ전백제ㆍ북부여-

삼국유사에서는 239년에 사망하고 고이왕이 즉위했다는 이설이 기록되어 있다.

4.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사반왕은 삼국사기 본기 군주 순서에 없다. 구수왕 다음 기록이 고이왕 기록이라서 《삼국사기》에서 사반왕을 보려면 <고이왕 본기>의 첫 부분을 찾아야 한다.
一年 고이왕이 즉위하다
고이왕(古爾王)은 개루왕의 둘째 아들이다. 구수왕이 재위 21년에 사망하자, 그의 맏아들 사반이 왕위를 이었으나 나이가 어려 정사를 잘 처리하지 못하였으므로 초고왕의 동복(同腹) 아우 고이가 왕위에 올랐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고이왕-

위 항목에서 나오는 사반이 《삼국사기》에 기록된 사반왕에 대한 유일한 기록이다. 덕분에 재위 기간이 짧은 백제의 여러 왕들 나무위키 문서에서 사반왕보다는 낫다는 식의 구절이 적혀 있다. 다만 재위 기간이 짧기는 해도 후손은 남겼는데, 《신찬성씨록》에 반비씨(半毗氏)라는 가문이 사반왕을 시조로 받드는 가문으로 적혀 있다.

5. 기타

  • 제11대 비류왕이 구수왕의 2남으로 기록되어 있어 기록상으로는 사반왕의 동생이 된다. 다만 비류왕의 나이와 행적은 사반왕보다 수십 년 늦기 때문에, 사실과 다를 가능성이 크다.[5]
  •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 중 우리나라 역사상 어린 왕이 폐위된 첫번째 사례다. 비슷한 케이스로 신라 애장왕,[6] 고려 헌종. 그리고 제일 유명한 조선 단종이 있다.

6. 같이 보기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명성왕
비류국
비류왕
덕좌왕
장남
13대
근초고왕
12대
계왕
14대
근구수왕
섭정
훈해왕
찬탈
설례왕
부여신제
19대
구이신왕
부여주
순타태자
26대
성왕
(?)
부여법사
28대
혜왕
(?)
아좌태자
29대
법왕
30대
무왕
부여교기
32대
풍왕
부여선광
부여문사 부여문선 부여덕장
부여사
부여창성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부녀,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


[1]삼국유사》.[2] 사실 이건 원시한장어 재구음이다. 상고한어에서 중고한어로 넘어갈 때 대부분의 -r이 -n으로 바뀌었는데 이 한자도 그때 변한 것인지는 불명.[3] 여기서 -d는 전호현상으로 인해 고유어에서는 -l로 발음된다.[4] 원문은 낙초 2년 기미(樂初二年己未)로 되어 있다. 위명제(226~239) 시기에 쓰인 연호 '경초'의 오기로 추정된다.[5] 당장에 구수왕의 유복자라서 235년생이라 쳐도 즉위 당시 무려 70세 가까이 되는 노인인데 그 상태로 40년이나 재위했다. 즉 기록상으로는 사망 당시 109세 정도인데 당연히 불가능할 일이다.[6] 다만 애장왕은 즉위 당시는 어린 왕이었으나 폐위될 당시 나이가 22세로 성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