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7-10 22:58:35

부여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제후왕 및 후작
우현왕 좌현왕 불사후 면중후
부여기 부여곤지 부여례 목간나
도한왕 아착왕 매로왕 불사후
저근 부여고 부여력 부여고
매라왕 벽중왕 불중후
사법명 찬수류 해예곤
섭정 비정통
전지왕 섭정 찬탈 비정통 비정통
부여훈해 부여설례 진이왕 부여태
부흥운동 대방군왕 (멸망이후)
제32대 국왕 대방군왕 대방군왕
풍왕 부여융 부여경
문헌 상 언급
음태귀수왕 덕좌왕 호왕 진왕
}}}}}}}}}



백제국 제후왕
작위 <colbgcolor=white,#191919> 불사후(弗斯侯)
직위 관군장군(冠軍將軍)
성씨 부여(扶餘)
례(禮)
생몰연도 미상[1]

1. 개요

백제의 왕족.

2. 생애

472년 용양장군 대방태수 사마(龍驤將軍帶方太守司馬) 장무(張茂)와 함께 북위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이때 관직은 관군장군 부마도위 불사후 장사(冠軍將軍駙馬都尉弗斯侯長史)였는데, 왕의 사위(공주의 남편)에게 부마도위라는 직책이 주어지기 때문에 그는 개로왕의 딸[2]과 결혼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현존하는 기록 중 백제 왕족끼리 근친혼이 기록된 사실상 유일한 사례이다.

3. 기타

부여례가 언제 사망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490년 동성왕 대 불사후(弗斯侯)에 부여고(扶餘固)가 임명된 점을 미루어보면 490년 이전에 사망했거나 불사후 직위에서 물러난 것으로 추정된다.


[1] 490년 부여고(扶餘固)가 불사후로 임명된 점을 보면, 늦어도 490년 이전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 북위에 같이 파견된 개로왕의 공주가 있기 때문에 그녀와 동일인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