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18대 전지왕조 | 상좌평 | 부여신 |
제19대 구이신왕조 | |||
제20대 비유왕조 | 상좌평 | 해수 | |
제21대 개로왕조 | 상좌평 | 부여문주 | |
제26대 성왕 | 상좌평 | 사택기루 | |
제31대 의자왕조 | 대좌평* | 사택지적 | 사택천복 | |
* [ruby(대좌평, ruby=大佐平)]은 일반적으로 [ruby(상좌평, ruby=上佐平)]과 동일한 직위로 추정. | |||
}}}}}}}}} |
백제 상좌평 부여신 | 扶餘信 | |||
<colbgcolor=#00A6A9> 출생 (음력) | 연도 미상 | ||
백제 위례성 추정 (現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 |||
사망 (음력) | 429년 10월 (향년 미상) | ||
백제 위례성 추정 (現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 |||
재임기간 (음력) | 백제 상좌평 | ||
408년 1월 ~ 429년 10월 (21년 9개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6A9><colcolor=#ffffff> 성씨 | 부여(扶餘) | |
이름 | 신(信) | ||
부모 | 부왕 아신왕 모후 미상 | ||
형제자매 | 이복형 전지왕 누이[1] 부여신제 | ||
직위 | 상좌평(上佐平) | }}}}}}}}} |
1. 개요
아신왕의 아들이자 전지왕의 이복동생. 백제의 초대 상좌평이기도 하다.2. 생애
삼국사기에 따르면 407년 2월 내신좌평[2]에 임명되었다. 이 때 전지왕은 해수를 내법좌평, 해구를 병관좌평으로 임명했는데, 해씨 일족과 함께 고위직에 임명된 점을 보면 전지왕의 최측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3]이듬해인 408년 1월 전지왕이 좌평들을 통솔하는 상좌평(上佐平)이 신설하면서 이에 임명되였다. 이후 21년간 재임하다가 비유왕 시기인 429년 10월에 사망했다. 사후 상좌평직은 해수가 맡게 된다.
3. 기타
[1] 친누이인지 이복누이인지 알 수 없다.[2] 백제의 최고관등인 좌평 중에서도 수석좌평이다.[3] 부여신은 전지왕이 왜에서 돌아와 왕으로 즉위하는 데 공이 있었을 것이라 추측되며 또한 외척이 된 해씨 세력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을 것이다.[4] 21년 9개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