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20:01:19

첨해 이사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남해 차차웅 유리 이사금 탈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파사 이사금 지마 이사금 일성 이사금
<rowcolor=#fbe673>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벌휴 이사금 내해 이사금 조분 이사금 첨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미추 이사금 유례 이사금 기림 이사금 흘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내물 마립간 실성 마립간 눌지 마립간 자비 마립간
<rowcolor=#fbe673>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소지 마립간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
<rowcolor=#fbe673>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진지왕 진평왕 선덕여왕 진덕여왕
<rowcolor=#fbe673>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태종 무열왕 문무왕 신문왕 효소왕
<rowcolor=#fbe673>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성덕왕 효성왕 경덕왕 혜공왕
<rowcolor=#fbe673>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선덕왕 열조 원성왕 소성왕 애장왕
<rowcolor=#fbe673>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헌덕왕 흥덕왕 희강왕 민애왕
<rowcolor=#fbe673>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신무왕 문성왕 헌안왕 경문왕
<rowcolor=#fbe673>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헌강왕 정강왕 진성여왕 효공왕
<rowcolor=#fbe673>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신덕왕 경명왕 경애왕 경순왕
}}}}}}}}}}}}


신라의 왕자
[[틀:신라의 왕자/혁거세 거서간 ~ 문흥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be673;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21970, #7C2A8D 20%, #7C2A8D 80%, #621970);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유리 이사금 · 일지 갈문왕 · 박나로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석골정 · 이칠 갈문왕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미추 이사금 · 김말구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지증왕 · 김아진종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후 · 추존 왕비 · 태자
왕자 : 혁거세 거서간 ~ 문흥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왕녀 : 혁거세 거서간 ~ 진안 갈문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 이름이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인물만 기재
※ 『화랑세기』 에만 등장하는 경우는 제외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 제12대 국왕
첨해 이사금 | 沾解 尼師今
출생
(음력)
180년대 이후[1]
사로국 서라벌
사망
(음력)
262년 2월 5일[A] (향년 70~80대 추정)
사로국 서라벌
능묘 미상
재위기간
(음력)
신라 제12대 국왕
247년 5월 ~ 262년 2월 5일[A] (14년 9개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경주 석씨
첨해(沾解) / 치해(治解)
부모 부왕 세신 갈문왕[4]
모후 옥모부인 김씨
형제 석조분
왕호 첨해 이사금(沾解 尼師今)
별호 치해 이질금(治解 尼叱今) }}}}}}}}}

1. 개요2. 생애3. 기타4. 《삼국사기》 기록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신라의 제12대 군주로 칭호는 이사금.

성씨는 석씨로 아버지는 벌휴 이사금(제9대)의 장남 석골정, 어머니는 구도 갈문왕의 딸인 김씨 옥모부인이다. 전왕 조분 이사금(제11대)의 친동생.

2. 생애

첨해 이사금(沾解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조분왕(助賁王)의 친동생이다.
沾解尼師今立 助賁王同母弟也
원년(서기 247) 가을 7월, 시조묘에 참배하고, 아버지 골정(骨正)을 세신갈문왕(世神葛文王)으로 봉하였다.
元年 秋七月 謁始祖廟 封父骨正爲世神葛文王

즉위하고 두 달 만인 247년 7월에 아버지 석골정을 세신 갈문왕에 봉했다. 그런데 신라시호 개념은 진흥왕(제24대) 때나 들어오는지라 이전까지 모든 갈문왕명은 물론, 왕명은 모두 실명+이사금/갈문왕의 형태였다는 점에서 별도의 시호를 부여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만약 '세신'이 음차가 아닌 훈차라면 세상의 신이라는 뜻이 되는데 사실일 경우 자신을 신격화한 것으로 보인다. 일단 유례 이사금(제14대)을 [ruby(世, ruby=누)]리지 이사금이라고도 하고, 혁거세 거서간의 이름이 [ruby(赫, ruby=붉)]어[ruby(世, ruby=뉘)]로 해석되는 걸 보면 '세'(世)는 음차가 아닌 훈차로 쓰인 것이 맞는 듯 하다.
사관이 논평한다.
한(漢)나라 선제(宣帝)가 즉위하니 담당 관리가 아뢰었다. “다른 사람의 뒤를 이은 사람은 그의 아들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기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낮추어야 하고 제사 지낼 수 없습니다. 이는 조종(祖宗)을 높인다는 뜻입니다. 이런 까닭에 황제의 생부를 친(親)이라 하고 시호를 '도'(悼)라 하며, 생모를 '도후'(悼后)라 하여 제후나 왕의 지위에 맞게 하여야 합니다.”
이는 경전의 뜻에 맞는 것으로 만세(萬世)의 법이 되었다. 그러므로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와 송(宋)나라의 영종(英宗)은 이를 본받아 그대로 행하였다. 신라에서는 임금의 친척으로 왕통을 이은 임금이 자기의 아버지를 왕으로 받들어 봉하지 않음이 없었다. 이뿐만 아니라 자기의 장인까지 왕으로 봉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는 예법에 맞지 않는 일이니, 절대 본받을 만한 것이 못된다.
論曰 漢宣帝卽位 有司奏 爲人後者爲之子也 故降其父母不得祭 尊祖之義也 是以帝所生父稱親 諡曰悼 母曰悼后 比諸侯王 此合經義 爲萬世法 故後漢光武帝宋英宗 法而行之 新羅自王親入繼大統之君 無不封崇其父稱王 非特如此而已 封其外舅者亦有之 此 非禮 固不可以爲法也

같은 석골정의 아들인 조분 이사금은 아버지 골정을 갈문왕에 봉하지 않았다. 이는 조분이 골정의 아들로서가 아니라 사촌 내해 이사금(제10대)의 사위로서 왕위를 상속했음을 의미한다. 형 조분은 아버지를 갈문왕에 봉할 필요가 없었고, 동생 첨해는 그럴 필요가 있었다는 말이다. 조분의 사후에 왕위를 이을 수 있었던 사람은 조분의 동생 석첨해, 아들 석유례, 맏사위 석우로, 둘째 사위 김미추였다. 석유례, 석우로, 김미추는 석조분보다 한 항렬이 낮지만 석첨해는 석조분과 항렬이 같았고, 그렇다면 석첨해가 석유례, 석우로, 김미추보다 나이가 많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신라에서는 유리 이사금(제3대)의 유언에 따라 아들들과 사위들 중 나이가 가장 많은 사람이 군주가 되었기 때문에 석첨해가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첨해는 군주의 아들이나 군주의 사위가 아니었기에 아버지를 갈문왕으로 추증한 것이고, 형 석조분은 이미 내해 이사금의 사위였기에 그러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이는 지극히 고려 왕조의 관점에서 논평한 것으로 벌휴 이사금은 즉위한 후 아버지 석구추를 별도로 추봉하지 않았고, 석이매의 아들인 내해 이사금 또한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첨해 이사금이 부친인 석골정을 추봉한 것은 아버지여서가 아닌 다른 목적이 있어서라고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신라에서 거의 유일하게 시호 개념이 적용된 명칭이라 단순한 추봉 목적이라고 보기에는 여러모로 전형적이지 않은 측면이 있다.

첨해 이사금 즉위 초기에 있었던 명장 석우로의 죽음에는 매우 석연치 않은 부분이 존재하는데 당시 신라 최고의 왕족인 석우로가 의 사신에게
"너희 왜의 임금을 붙잡아다 소금굽는 노비로 삼고 왕비는 짓는 노비로 삼겠다."
는 말을 술김에 한 탓에 분노한 왜군이 쳐들어와 첨해 이사금이 우유촌으로 피난을 갈 정도로 신라군이 패배했고 이에 석우로가 실언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며, 왜군 진영에 별다른 호위도 없이 단신으로 가서 사과를 하는데 왜에서는 석우로를 붙잡아다 화형시켰다고 한다. 왜군들이 석우로를 붙잡아다 장작에 올려놓고 태워 죽여서 아주 재로 만들어버렸는데 신라의 병권을 책임졌던 장수에다 왕위에 매우 가까웠던 최고 석씨 왕족이 왜군 진영에 단신으로 갔다가 불에 타 죽고 말았는데도 문제는 첨해 이사금이 왜에 대해 따로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첨해 이사금은 군공 등 업적이 뛰어나고 힘도 자신을 위협할 정도로 크며 왕위 계승권 측면에서도 자기보다 정통성이 높은 석우로가 왜인이라는 제3자들에 의해 제거되기를 원했다는 것일 가능성도 있다. 다른 문제로 《삼국사기》 <석우로 열전>에는
우로가 대접을 맡았다. 손님과 희롱하여 말하기를 “조만간에 너희 왕을 소금 만드는 노예로 만들고 왕비를 밥짓는 여자로 삼겠다.”고 하였다. 왜왕이 이 말을 듣고 노하여 장군 우도주군(于道朱君)을 보내 우리를 치니, 대왕이 우유촌(于柚村)(현재의 울진으로 추정)으로 나가 있게 되었다. 석우로가 말하기를 "지금 이 환난은 내가 말을 조심하지 않은데서...(중략) 석우로의 아내가 국왕에게 청하여 사사로이 사신에게 음식을 대접했다. 그가 몹시 취하자 장사를 시켜 마당으로 끌어내 불태워 전일의 원한을 갚았다.

라고 되어 있으며 《일본서기》에도 유사한 기록이 있는데
신라 왕을 포로로 삼고, 해변으로 와서 무릎을 뽑고 돌 위에 포복시켰다. 조금 있다가 베어서 모래 속에 묻었다. 한 사람을 남겨 신라에 있는 대사로 하고 돌아갔다. ... 죽은 왕의 처와 신라인이 공모하여 대사를 죽이고 왕의 시신을 꺼내 다른 곳에 묻었다.

라고 되어 있다. 문제는 왜군이 신라를 쳐서 첨해 이사금이 우유촌으로 나가 있어야 할 상황까지 몰렸다는 점이다. 《삼국사기》에서는 첨해 이사금이 우유촌으로 간 것을 출거(出居)라고 표현하는 것을 볼 때 군대를 이끌고 맞서 싸우기 위한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라군이 패전했거나 상황이 열세에 몰리자 첨해 이사금이 우유촌으로 피난을 갔고, 석우로가 개전의 책임을 지고 살해당했을 수 있다. 《일본서기》기록에서는 '신라 왕'이라 적혀 있으나 석우로의 지위 이후[5] 기록의 유사성으로 보아 실제로는 석우로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첨해 이사금 때의 일은 아니고, 다음 왕 미추 이사금(제13대) 시대의 일화지만 석우로가 왜인들의 손에 살해당한 후 석우로의 아내와 아들이 왜국 대사가 신라에 와 있을 때 에 취하게 만들고 불태워 목숨을 빼앗음으로써 원수를 갚았지만 분노한 왜군이 다시 대대적으로 쳐들어와 금성을 포위했다가 소득없이 돌아가기도 했다.

첨해 이사금의 재위 기간은 14년 정도인데 신라의 초기 왕치고는 짧은 편이다. 그의 재위 기간에 기근이 심해서 명산을 찾아다니며 기우제를 지내기도 했고, 도적이 들끓었다. 가 내릴 때는 또 큰 비가 내려 이 40군데나 무너졌다는 기사도 있다.

외국과의 관계에서, 선왕 조분 이사금 때 최초로 맞붙었던 고구려와는 일단 사신을 보내 화친했다. 그러나 백제와는 자주 충돌했는데 즉위 9년(255년)에 백제가 변경에 침입했지만 격퇴했으며 즉위 15년(261년)에는 달벌(현재의 대구광역시)에 성을 쌓았다고 되어 있다.

다만 백제 충돌 및 달벌성 구축은 고고학적 분석 결과로 인해 기년 자체는 정면 부정된 상황이다. 일단 서기 255년 백제는 겨우 한강 유역이나 추스르는 단계로 경기도도 아직 제패하지 못하고 허덕이던 단계였기에, 백제가 충북 일대 진한 혹은 신라 변경에 침입하려면 목지국을 수장국 자리에서 끌어내린 기원280년대 이후에서나 가능하다. 한편 달벌성 구축은 고고학적으로는 3세기 후반 ~ 4세기 초반이 유력한데, 일단 《삼국사기》 신라 관련 기록은 후대 임금들 기록을 가져다가 앞선 임금들에게 갖다붙인 게 많은 걸로 의심되는 초기 백제 관련 기록과는 달리, 기년만 문제 있을 뿐 해당 임금들에게 배치된 기사들의 신빙성 자체는 높게 평가된다. 때문에 첨해 이사금의 실제 재위기간은 고고학적으로 진한 일대에 대한 장악력이 이전 시기보다 꽤 높아지는 3세기 후반 ~ 4세기 초반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경주 월성의 남쪽에 따로 남당(南堂)을 세우고, 정사는 여기에서 보았다고 한다. 한편 부도(夫道)라는 사람이 집이 가난했지만 아첨하지 않고 글쓰기와 계산을 잘 해 그에게 왕실 보물 창고인 물장고(物藏庫) 관리를 맡겼다고 한다.
冬十二月二十八日 王暴疾薨
겨울 12월 28일, 임금이 갑자기 병이 나서 돌아가셨다. - 《삼국사기
 
보통 《삼국사기》에서는 왕의 사망 기사에서 '왕이 죽었다[王薨]'라고 끝내는 경우가 다반사지만[6] 첨해 이사금은 굳이
'왕이 갑자기 병에 걸려 죽었다[王暴疾薨]'
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정말로 돌연사일 수도 있겠지만 다음 왕이 본인의 사위가 아니라 형 조분 이사금의 사위인 김미추라는 점에서 아무래도 석우로가 왜군에게 잡혀 화형당해 죽도록 방치하고, 왜국에 별달리 항의나 보복하려고 하지도 않은 첨해 이사금의 비이성적인 행동에 분개한 석씨 왕족과 조분 이사금의 사위였던 김미추가 힘을 합세해 반정을 일으켜 첨해 이사금을 제거했다고 보는 게 학계의 유력한 해석이다. 아니면 왜와 백제의 공격이 거세지는 와중 첨해 이사금의 책임론이 부각되어 이를 근거로 원래 조분 이사금 사후 왕위 계승 서열 2위였던 김미추 등의 김씨 계열이 반정을 주도했을 여지도 있다.

3. 기타

고고학적인 건국 기년은 기원후2세기 후반으로 추정되며, 내물 마립간 재위 중기 이전은 인위적인 기년 인상이 매우 유력하다. 고로 첨해 이사금 또한 삼국사기상 기년보다는 훨씬 후대 인물로 추정된다. 일본서기 이주갑인상에 따르면 흘해 이사금은 320년생인데, 학계에서는 흘해 이사금이 4세기 초반에 태어났다고 보고 있다.

흘해 이사금은 모계로 혁거세-남해-아효부인-구추-벌휴-골정-골정의 딸-아이혜부인-명원부인-흘해로 혁거세의 9대손인데, 역산하면 혁거세의 9대조모는 130~140년대생이라 유추할 수 있다. 혁거세가 2세기 중후반에 사로국을 건국했으므로 혁거세의 9대손임은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7] 첨해 이사금은 골정의 차남으로 혁거세-남해-아효부인-구추-벌휴-골정-첨해로 혁거세의 6대손이기 때문에 3세기 후반~4세기 초반에 활동한 인물로 추정된다.

첨해-미추-유례-기림-흘해-내물로 즉위했다는 기사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6세기까지 신라의 왕은 6부 대표를 포함한 여러 간=왕들의 대표에 지나지 않았으며, 6세기 중반 국내 문제 해결을 위해 7명의 왕이 모여 논의했다는 금석문으로 보아 6부의 대표뿐만 아니라 일정 이상의 세력을 가진 간 등도 왕이라 불릴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조분과 첨해가 친형제라 하더라도 조분과 첨해는 동시대에 왕이라 불리며 같이 활동하는 것이 가능했다.

일본서기 이주갑인상에는 320년 우로와 파사 이사금이 신라왕 우류조부리지간, 신라왕 파사매금으로 나오는데,[8] 학계에서는 파사 이사금의 활동이 고고학적으로 4세기 초중반에 일어난 일이라 보고 있기에 파사-지마, 일성-아달라 또한 4세기 초반~중반에 활동한 인물로 여겨진다. 그리고 미추의 친동생 말구의 아들이 내물 마립간으로 330~340년대생이라 미추는 310~320년대생일 가능성이 높다. 즉 미추는 흘해와 가까운 나이이며, 기림의 아버지 걸숙이 명원부인의 형제이므로 기림 또한 흘해와 비슷한 나이일 가능성이 높다. 고고학적으로 김씨 족단이 사로국에 출몰한 시기는 4세기 초반 이전으로 올라가지 않으며, 미추의 주 활동은 4세기 중반임이 유력시되기 때문에 미추는 4세기 초반에 태어나 4세기 중반에 활동한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

4세기 초반에서 후반까지 파사-지마, 일성-아달라, 유례, 기림, 우로-흘해, 미추-내물의 3성 왕조는 동시대에 병존했으며, 이들이 모두 왕이라 불린 점에서 4세기 신라에서 왕이라 불릴 수 있는 인물이 매우 많았음을 알 수 있다. 박제상이 삽량주(양산)를 근거지로 둔 간이었다는 것으로 보아 사로국 내가 아닌 지방이 근거지라도 간으로 불릴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 신라 초기 기사에는 '이벌찬 누구누구가 활동했다'가 매우 강조되는데 신라 초기 왕들이 직접 친정을 나서는 모습도 많기 때문에 내물 이전 16왕 외에도 이벌찬 관등이었던 사람들도 다 왕이었던 걸로 보이며, 신라 초기 이찬, 잡찬, 파진찬, 아찬, 일길찬, 사찬, 급찬도 찬(飡)이 간(干)으로도 불렸다는 기사를 고려하면 이들도 간이 맞았던 걸로 보인다.

6세기 이전까지 이벌찬~급찬까지는 다소의 서열 차이는 있었지만 6세기 이후처럼 골품제에서 진골~6두품의 관등을 뜻하기보다는 간의 '역할'을 뜻하는 단어에 가까웠으며 진골과 6두품의 차이도 뚜렷하지 않았다.[9][10] 중앙집권과 거리가 멀어 3성 안에서도 여러 지파가 동시에 왕이라 여겨진 4세기 신라 사회의 특성을 감안하면 모든 간이 왕이라 불리지는 않았겠지만 일정 이상 세력을 가진 간은 왕이라 불렸다 볼 수 있다.

후대 신라 왕조가 역사서를 편찬할 때 4세기 후반 내물 마립간 이전 16명의 왕을 선택한 기준은 주로 두 가지다. 첫 번째는 당연히 간(왕)들 중에서도 손꼽히는 유력자이며, 신라 초기 역사에서도 특히 중요한 인물들일 것. 초대 혁거세 거서간은 건국자니 말할 필요도 없고, 남해 차차웅, 유리 이사금, 벌휴 이사금은 3세기 중후반 석씨 왕조의 출몰과 관련된 인물들이며,[11] 벌휴의 손자 내해 이사금, 조분 이사금, 첨해 이사금은 3세기 후반~4세기 초반 신라가 본격적인 확장을 시작할 때의 인물들이다.

4세기 초반부터 중반까지 파사 이사금, 지마 이사금, 일성 이사금, 아달라 이사금이 등장하고, 벌휴의 손자인 기림 이사금흘해 이사금, 이들과 나이가 비슷한 미추 이사금, 족보가 불명이나 시기상 내해-조분-첨해(6대손)과 미추-기림-흘해(9대손) 사이임은 확실해 보이는 유례 이사금은 4세기 초반에서 중반까지 신라의 진한 정복, 가야 정복, 마한 확장으로 인해 백제, 가야, 왜와 본격적으로 충돌하는 등 신라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를 살았던 인물들이다. 16명 중에 8명이 4세기 초반~중반에 주로 활동한 인물들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이들의 중요성이 드러난다.

두 번째는 당연히 신라 김씨 왕조, 정확히는 복호계 김씨 왕조와 관련된 인물들일 것. 4세기는 신라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였던 만큼 8명 외에도 왕들이 매우 많았는데, 이들만 선택되었다는 것은 사서를 편찬한 복호계 김씨 왕조와 족보상 깊은 관련을 가진 인물들일 가능성이 높다.

4세기 초반 미추는 이복 누나 옥모부인 김씨의 친손녀인 광명부인 석씨와 혼인하였다. 사서에서는 옥모부인&골정-조분-광명부인으로 나오는데 골정-골정의 딸-아이혜부인-명원부인-흘해(320년생)를 고려하면 4세기 초반에 금릉동에서 사로국에 이주한 김씨 족단의 옥모부인 김씨가 골정과 혼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골정의 처 옥모부인과 미추의 누나 옥모부인은 동명이인으로 보이며, 광명부인의 장녀 보반부인이 380년대~393년에 세 아들을 낳은 것과, 차녀 아류부인의 딸 차로부인이 광명부인의 장남 눌지 마립간과 410년대에 혼인한 것으로 보아 광명부인은 실제로는 340년대생이며, 310~320년대생인 미추의 딸뻘로 추정된다.[12]

옥모부인 김씨는 320년에 흘해를 낳은 명원부인과 가까운 나이로 보이며, 조분과 관련된 인물이며 미추가 딸뻘인 '누나의 친손녀'와 혼인했다면 옥모부인 김씨는 기림 이사금의 아버지 걸숙과 혼인했고, 광명부인 석씨는 기림 이사금의 딸로 추정된다. 명원부인의 복수 일화를 보면 명원부인에게는 실제로 매부가 있었던 걸로 보이기에, 광명부인의 외조부 또는 미추의 전처가 명원부인의 조카라서 광명부인이 명원부인의 여동생으로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니면 둘 다였을 수도 있다.

4세기 신라 왕들 중에서 처자식에 대한 기록이 아예 없는 인물은 첨해, 유례, 기림, 흘해이며 특히 유례는 아버지가 석씨, 어머니가 박씨라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 시대상 혁거세의 7~8대손인 석씨로 추정될 뿐. 하지만 4세기 신라의 정복과 백제, 왜 전쟁에서 큰 군공을 세운 많은 간(왕)들도 이름을 올리지 못한 상황에서 단순히 4세기 유명한 간이었다고 첨해, 유례, 기림, 흘해를 올린 것 같지는 않다. 따라서 첨해, 유례, 기림, 흘해는 복호계 김씨의 직계 조상일 가능성이 높다. 신라 사서에서 5세기 눌지계를 복호계보다 강조한 점과, 미사흔계도 거칠부 등 존재감이 낮지 않았기 때문에 복호계가 아니라도 눌지계나 미사흔계의 조상이었을 것이다.

눌지계는 구도&술례부인 박씨(이칠 갈문왕의 딸)-미추&광명부인-내물&보반부인(미추&광명부인의 딸)-눌지&차로부인(실성&아류부인의 딸)-자비&김씨(복호의 딸)&김씨(미사흔의 딸)-소지(미사흔의 외손자)&김씨(복호의 아들 습보의 딸)&선혜부인(미사흔의 아들 내숙의 딸)이다.

복호계는 내물&보반부인-복호&???-습보&조생부인-지증왕&연제부인 박씨이다. 연제부인 박씨는 487년 전후에 혼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지증왕은 437년생이기 때문에 연제부인은 지증왕의 후처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복호의 부인, 조생부인, 지증왕의 전처, 연제부인의 어머니가 불명이다.

미사흔계는 내물&보반부인-미사흔&박제상의 차녀-내숙-물력-거칠부로 내숙의 부인과 물력의 부인이 불명이다. 그리고 박제상은 파사의 4대손으로 파사-???-아도-물품-제상인데 모계는 상고할 수 없으며, 아도가 파사의 손자인 건 맞지만 지마의 아들인지는 불확실하다.

지증왕 이래 신라의 왕조는 복호의 손자 지증왕과 연제부인 박씨의 후손으로 이어지며, 이는 아달라의 후손이자 원성왕헌강왕의 사위와 외손자인 후기 박씨 왕조도 예외는 아니다.[13] 이런 정황을 놓고 봤을 때 처자식에 대한 기록이 실전된 첨해, 유례, 기림, 흘해는 후손이 복호계, 연제부인의 선조, 아달라의 후손인 박경휘의 조상 중 적어도 한둘 이상에 속했을 가능성이 높다.

4.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삼국사기》 <첨해 이사금 본기>

一年夏五月 첨해 이사금이 즉위하다
一年秋七月 시조묘에 배알하고 아버지 골정을 세신 갈문왕으로 봉하다
二年春一月 이찬 장훤을 서불한으로 삼다
二年春二月 고구려에 사신을 보내다
三年夏四月 왜인이 서불한 우로를 죽이다
三年秋七月 궁의 남쪽에 남당을 짓고 양부를 이찬으로 삼다
五年春一月 남당에서 첫 정무를 보고 부도를 아찬으로 삼다
七年夏四月 용이 궁의 동쪽 연못에 나타나다
九年秋九月 일벌찬 익종이 백제와 싸우다가 죽다
九年冬十月 백제가 봉산성을 공격했으나 함락시키지 못하다
十年春三月 동해에서 큰 물고기 세 마리가 나오다
十年冬十月 일식이 일어나다
十三年秋七月 가뭄과 흉년으로 도적이 많다
十四年 큰 비가 내려 산이 무너지다
十四年秋七月 살별이 동쪽에 나타났다가 사라지다
十五年春二月 달벌성을 쌓고 내마 극종을 성주로 삼다
十五年春三月 백제가 사신을 보내 화친을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않다
十五年冬十二月二十八日 왕이 갑자기 병이 나서 죽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5px"
선도성모 은열왕 문열왕 감문왕 문의왕 장무왕 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 청평군 박민 세조 알지왕 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
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 일지왕 태조 성한왕 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 김아도 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 마제왕
 
 
 
 
 
 
아도왕 세신왕 이칠왕 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
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 내음왕 석우로 광명부인
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
 
 
김미사흔 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
 
 
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 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
 
 
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 동륜왕 만천왕 聖25
진지왕
 
 
김만명
 
 장인
 
 
 
 
 
 
 
 
 
마야부인
김행의
聖26
진평왕
진정왕 진안왕
문흥왕 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 비담 聖28
진덕왕
김알천 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 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 무열왕의 딸
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
김사소 효상태자 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 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 혜충왕 헌평태자 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 익성왕 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 ? 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 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 ? 眞48
경문왕
혜성왕 문성왕태자 문성왕의 딸
 
 
 
 
 
 
 
선성왕 흥렴왕
박정화 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의흥왕
 
양부 
 
 
 
 
 
 
 
朴53
신덕왕
김의성 김계아 眞52
효공왕
김억렴 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 박언침 마의태자
{{{#!wiki style="margin:-5px -10px"[왕조 보기]
[朴] 밀양 박씨 왕조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昔] 경주 석씨 왕조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추존 국왕 및 왕족
[범례]
세로선(│) : 부자, 사위관계 /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 혼인관계: 붉은 두줄#= }}} }}}}}}}}}}}}




[1] 다만 추측할 뿐이다. 형인 조분 이사금의 생년이 불분명하므로 이도 추측이다.[A] 음력 261년 12월 28일[A] [4] 벌휴 이사금(제9대)의 장남 석골정이다.[5] 당시 석우로의 지위는 최고위직인 '서불한'(이벌찬)에 왕족이자 선왕 조분 이사금의 사위였다. 왕과 가까운 왕족들이 갈문왕의 칭호를 받는 경우가 많았던 점을 미루어보면 기록에 안 남아있을뿐 석우로도 왕의 칭호를 받았을 수도 있다. 그게 아니면 단순히 일본 측에서 왕으로 착각한 것일 수도 있다.[6] 이후 '왕의 시호를 뭐라 정했고 어디다가 장사지냈다'는 기록이 이어진다.[7] 흘해의 어머니 명원부인이 아버지 우로의 누이 아이혜부인의 딸로 3촌 조카이기 때문에 흘해의 항렬이 더 벌어진 것이다. 따라서 우로와 흘해는 30~40대 정도의 나이 차이가 날 가능성이 높다.[8] 파사는 200(320)년 10월 3일, 우로는 12월 14일 기사라 달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9] 6두품 6성은 3성 족단을 제외한 사로국 6촌=6부에 속한 일족들이 진흥왕 시대 신라에서 성씨를 사용하게 되면서 진흥왕이 각 부마다 일괄적으로 사성한 성이며, 건국 당시 6촌 촌장의 후손으로 전해지는 6성 일부는 통일신라 시대에도 일부는 진골 관등을 사용하는 등 진골 취급을 받기도 했다.[10] 원래는 이찬이 최고 관등이었지만 후에 이벌찬 관등이 새로 생겼다고 하는데, 신라 초기 이벌찬이 군사 업무를 주관하는 모습과 3세기 중후반부터 신라가 정복을 본격화하는 것을 고려하면 3세기 중후반 최고 지휘관으로서 신설된 관등으로 보이며, 대아찬은 525년에 처음 등장하기 때문에 6세기 진골과 6두품이 분리되면서 신설된 관등으로 보인다.[11] 탈해 이사금은 시기를 고려하면 석씨 족단이 동해 바다를 타고 내려가 김해 일대에 정착한 인물이고, 벌휴 대에 금관국수로왕김해 대성동 고분군 세력을 중심으로 건국되면서 파워 게임에서 밀려나 사로국에 갔던 것으로 보인다. 탈해가 4대 왕이라는 사서의 기록은 김알지처럼 석씨 족단 시조의 의미가 강하다. 탈해와 동시대 인물인 성한왕이 3세기 초중반 금릉동에 마한 거수국을 건국했는데 신화에서 알지가 탈해의 양자라 기록한 점에서도 드러난다.[12] 미추의 조카 내물과 이복 종손 실성도 330~340년대생, 350년대생이기 때문에 보반부인, 아류부인이 딸뻘로 보인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실성의 딸 치술부인이 박제상의 부인인데, 박제상은 360~370년대생으로 추정되며 치술부인의 어머니에 대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치술부인은 실성의 전처의 딸로 보인다.[13] 원성왕은 내물의 후손임은 확실하며, 지증왕의 3남 진종의 후손으로도 전해진다. 원성왕이 지증왕의 후손이 아니라도 정황상 복호계일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