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28:36

정연(통일신라)

鄭年
생몰년도 미상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에서4. 둘러보기

1. 개요

신라의 무장으로 장보고의 어릴 적 친구이자 부하. 정련(鄭連)이라고도 기록됐다. 한글로는 (해 년)의 읽는 법에 따라 정년, 정연의 두 표기가 있다. 사실 1글자 이름이면 관습적으로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아 정년이라 표기되는 게 보통인데 정연이라는 이름으로도 퍼져서 두 표기가 혼재되어 있다.

2. 생애

고향은 알려져 있지 않은데 장보고청해진에서 강력한 세력을 이룬 뒤에도 정년을 따로 친구(友)로 삼국사기에서 기록하는 등 장보고와 동향 사람인 것으로 보이며, 이외에는 별다른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평범한 지방 평민 집안 출신으로 추정된다. 장보고와 같이 젊은 시절 신라를 떠나 당나라 군대에 들어가 무령군소장(武寧軍小將) 벼슬을 받고 이사도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다.

창술이 뛰어나 장보고와 함께 당할 자가 없다고 알려졌으며 수영을 매우 잘 했고, 용맹함과 씩씩함은 장보고보다 오히려 뛰어났다고 한다. 장보고와는 친밀한 관계였는데 정년이 장보고를 형으로 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성격 차이로 잘 맞지 않아 항상 서로 지지 않으려 했고 나중에 어느 순간에는 만나면 서로 죽일지도 모르는 원수지간이 되었다고 한다. 또는 당나라에 있을 때 서로 사이가 나빠져 정년은 당나라에 남고 장보고는 신라로 향했다고도 한다.

하지만 나중에 일이 꼬여서 중국에서 관직에서도 떨어지고 초라해진 상황이 된 정년은 청해진에 가서 장보고에게 걸식하려고 마음을 먹는데, 정년이 청해진에 간다고 하자 주변 사람들이 장보고가 너를 죽일지도 모른다고 말릴 정도로 그때까진 사이가 안 좋았던 것으로 삼국사기에서 묘사된다. 그럼에도 정년은 죽어도 고향 땅에서 죽는 게 낫다고 기어코 청해진으로 향한다. 그런데 정년의 생각과 달리 의외로 장보고는 정년을 환대했고, 이후 서로 화해하고 정년은 장보고 밑에서 장수로 활약하게 된다. 신라 서라벌 정계에서 김우징이 권력싸움에서 패배해 청해진으로 도망쳐왔을 때 김양, 염장 등과 함께 군사 1만을 이끌고 대장군 김흔 등이 지휘하는 신라 중앙군 10만대군을 달벌대전에서 격파하여 김우징(이후 신무왕)의 즉위를 도왔다. 당나라 측 기록 번천문집에 의하면 장보고 이후 장보고를 대신하게 했다고 해 청해진을 일시적으로 담당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장보고 사후에는 신라 조정에 귀순하였고 이후 기록에서 자취를 감췄다. 아마도 제일 큰 후원자인 장보고가 사망하였으니 그리 오래 버티지는 못했을 것이다.[1]

3. 대중매체에서

3.1. 장보고전

큰 특징 없는 청해진군의 장수로 미션에서 몇 번 등장한다.

3.2. 드라마 해신의 정연

김흥수가 연기했다.

장보고의 고향 후배로 등장하며, 사석에서는 장보고를 성(형)으로 부르는 의형제 비슷한 캐릭터다. 드라마에서는 장보고와 함께 자미부인의 영지에 딸린 방마장 노예로 일하다가 당나라로 탈출했다는 설정이 붙었다. 해신의 정연은 대체로 장보고와 친하지만 성격은 정연 쪽이 과격한 편이며, 장보고와 대립하는 역할은 염장이 가져가서 드라마가 끝날 때까지 쭉 장보고를 따른다. 마지막에 장보고가 염장에게 암살당했을 때는 청해진을 점령하러 온 김양의 관군에게 항복을 거부하고[2] 끝까지 싸우다 수적 열세를 이기지 못하고 장렬히 죽는다. 원작 소설에서는 정연은 김양이 죽을 때까지 가끔씩 나와 그를 괴롭히는 것으로 나오지만, 드라마인 만큼 장렬한 최후가 더 인상에 남았을 것이다. 실제 역사상에서도 정연은 장보고가 사라진 이상 그리 오래 살지는 못했을 것이다.

3.3. 바다의 전설 장보고 등장인물 정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연(바다의 전설 장보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와이파이 한국인

해상왕 장보고 1화부터 장보고의 친구로 나온다.성우는 조민수

4. 둘러보기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ff,#101010> 권 1
신라
김유신 ·
신라
장보고 (정연) ·
신라
침나 (소나) ·
고구려
부분노 ·
고구려
을지문덕 ·
고구려
안시성주 ·
백제
흑치상지 ·
고려
유금필 ·
고려
강감찬 ·
고려
양규 ·
고려
윤관
권 2
고려
오연총 ·
고려
김부식 ·
고려
조충 ·
고려
김취려 ·
고려
박서 (송문주) ·
고려
김경손 ·
고려
이자성
권 3
고려
김방경 ·
고려
한희유 ·
고려
원충갑 ·
고려
안우 (김득배 / 이방실) ·
고려
정세운 ·
고려
정지
권 4
고려
최영 ·
조선
이지란 ·
조선
최윤덕 ·
조선
이종생 ·
조선
어유소 ·
조선
이순신 ·
조선
권율
권 5
조선
곽재우 ·
조선
정문부 ·
조선
황진 ·
조선
휴정 (유정 / 영규) ·
조선
정기룡 ·
조선
김시민
권 6
조선
이정암 ·
조선
임중량 ·
조선
김덕령 ·
조선
정충신 ·
조선
김응하 (김응해) ·
조선
임경업 ·
조선
정봉수 ·
조선
류림 (류형)
참고 : 윗첨자의 경우에는 독립적인 열전으로 기록된 것이 아니라 해당 인물의 열전 속에서 함께 설명되는 인물들이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개인의 무력은 장보고보다 강했을지도 모르지만 청해진의 사령관을 지속적으로 맡을 정도의 인망이나 카리스마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2] 김양이 보낸 사신을 죽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