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연각 24 공신 | ||||
{{{#!wiki style="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margin: 0 -10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 조국공 장손무기 | 하간왕 이효공 | 내국공 두여회 | 정국공 위징 |
양국공 방현령 | 신국공 고사렴 | 악국공 울지경덕 | 위국공 이정 | |
송국공 소우 | 포국공 단지현 | 기국공 유홍기 | 장국공 굴돌통 | |
운국공 은개산 | 곽국공 시소 | 비국공 장손순덕 | 운국공 장량 | |
진국공 후군집 | 담국공 장공근 | 노국공 정지절 | 영흥군공 우세남 | |
유국공 유정회 | 거국공 당검 | 영국공 이적 | 호국공 진숙보 | }}}}}}}}}}}}}}} |
<colbgcolor=#a48252,#a48252><colcolor=#fff> 하간원왕(河間元王) 李孝恭 | 이효공 | |
시호 | 원(元) |
작호 | 조군왕(趙郡王) → 하간군왕(河間郡王) |
본관 | 농서 이씨 |
휘 | 효공(孝恭) |
형제 | 이침(李琛) |
부친 | 이안(李安) |
조부 | 이울(李蔚) |
생몰 | 591년 ~ 640년 |
1. 개요
당나라의 황족이자 명장. 능연각 24 훈신 중 유일한 황족이다.2. 생애
이효공은 대업 13년(617년) 이연이 장안을 평정한 뒤 좌광록대부(左光祿大夫)로 임명되었고 머지않아 산남도초위대사(山南道招慰大使)에 임명되었다. 이후 이연은 618년 당나라를 건국하고 제위에 오르니 이가 초대 황제인 고조였다. 금주(金州)에서 파촉으로 출정하여 성대한 예의로 관원들을 초유했고 30개에 달하는 주를 손에 넣었다. 이후 주찬을 토벌할 때 출정하여 주찬의 군대를 물리쳤는데, 이효공의 휘하 장수들이 말했다.주찬의 무리는 사람을 잡아먹는 도적으로 모두 해가 될 것이니 그들을 생매장하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이효공은 장수들을 제지하며 말했다.
그럴 수 없소! 여기서부터 동쪽은 모두 적의 영역인데 만약 주찬의 무리를 생매장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면 어찌 항복하는 자가 생겨나겠소?
이효공은 주찬의 부하들을 용서하고 죽이지 않았으며, 이효공이 격문을 전하는 곳마다 모두 항복했다.무덕 3년(620년) 신주(信州) 총관으로 제수되고 조군왕(趙郡王)으로 진봉되었으며, 강릉(江陵)을 점령한 소선을 토벌할 계책을 고조에게 바쳤다. 이윽고 신주의 명칭을 기주(夔州)로 고치면서 이효공은 기주 총관이 되었으며, 선박을 건조하고 수전을 훈련했다. 또한 파촉(巴蜀) 지역의 수령 자제들을 초유하여 재능에 따라 추천, 발탁하겠다고 공언하면서 실제로는 그들을 볼모로 삼았다. 한편 개주만(開州蠻)의 수령 염조칙(冉肇則)이 반기를 들고 기주를 침공하자 이효공은 염조칙과 교전에 나섰지만 패배했고 이정이 8백의 군사를 이끌고 염조칙의 군영을 무너트린 뒤 험준한 곳마다 복병을 두고 진 앞에서 염조칙을 죽였다.
무덕 4년(621년), 이정이 다시 소선을 공략할 10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고조는 이정의 제안을 받아들여 이정을 행군총관(行軍總管)으로 삼고 이효공의 행군장사를 겸임하게 했다. 또한 이효공이 대규모 전쟁을 지휘한 적이 없다는 점을 고려해 3군의 중책을 모두 이정에게 맡겼다. 8월, 이정의 군대가 기주(夔州)에 집결했다. 이때 소선은 가을 장마로 인해 강물이 불어나고 장강삼협이 험준하다고 생각하여 이정이 진군을 할 수 없다고 단언하고 군대를 쉬며 방비를 하지 않았다. 9월, 이정이 진군을 시작하고 거의 장강삼협에 도달하기 직전이 되었을 때 장수들은 모두 물이 빠지기를 기다렸다가 다시 진군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정이 말했다.
병법은 귀신처럼 빠른 움직임을 귀하게 여기므로 기회를 놓쳐선 아니되오. 지금 막 군대가 집결했지만 소선은 아직 이를 모르고 있는데, 만약 강물이 급격히 불어난 틈을 타서 강릉성 아래로 갑자기 나타난다면 이것은 이른바 빠른 천둥소리에 귀를 막을 겨를이 없는 것이니, 바로 병가의 상책이오. 설령 소선이 우리가 출병했다는 사실을 알고 황급히 군대를 소집했다 하더라도 적에게 대적할 방도가 없으니, 이렇게 하면 틀림없이 소선을 사로잡을 수 있을 것이오.
이효공은 이정의 의견을 받아들여 이릉(夷陵)까지 진군했다. 한편 소선의 장수 문사홍(文士弘)이 수만의 정병을 이끌고 청강(淸江)에 주둔하자, 이효공은 문사홍을 치려고 했다. 그러자 이정이 말했다.
문사홍은 소선의 용맹한 장수로 사졸들도 용맹합니다. 지금 소선은 형문(荊門)이 막 함락되자 정예 병력을 모두 보내 출전했지만, 이는 패전한 군대를 구원하려는 것으로 아마 그들에 맞서지 못할 것 같습니다. 마땅히 남안(南岸)에 정박하여 적군과 교전하지 말도록 하고 그들의 사기가 떨어지기를 기다린 뒤에 분격하여 그들을 물리치는 것이 옳습니다.
이효공은 이정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고 이정을 군영의 수비에 남겼으며, 직접 군대를 이끌고 문사홍과 교전했다. 그러나 이효공은 이정의 예측대로 패배하여 남안(南岸)으로 달아났으며, 문사홍은 승세를 몰아 사방으로 약탈을 벌였고 병사들이 약탈한 재물을 등에 졌다. 이정은 문사홍의 군사들이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고 즉각 군대를 이끌고 이들을 공격했으며, 문사홍은 400여 척의 배를 빼앗겼고 참수되거나 익사한 병사들이 1만 명이나 되었다.
뒤에 형상도(荊湘道) 행군총관으로 임명되어 수륙 12개 군을 이끌고 협주(硤州)에서 출발하여 강릉(江陵)으로 진군했다. 또한 노획한 전함들을 장강에 방치했는데, 장수들이 이효공에게 말했다.
적의 전함을 노획하면 마땅히 그 힘을 빌려야지, 왜 버리는 것입니까? 적을 도우는 것이 아닙니까?
그러자 이효공이 말했다.
그렇지 않소. 소선이 다스리는 지역은 남쪽으로 영남(嶺南)에 이르고 동쪽으로 동정호(洞庭湖)에 이르며, 지세가 험준하고 병사들이 많소. 만약 성을 공격해도 함락하지 못하고 원병이 다시 도착하면 우리는 안팎으로 적의 공격을 받아서 진군을 하지 못할 것인데, 비록 배가 있어도 무슨 소용이 있겠소? 지금 소선의 밑에서 강을 따라 수비하는 병사들은 갑자기 많은 배들이 어지럽게 내려가는 것을 보고 틀림없이 소선이 패배했다는 것을 알고 감히 군대를 움직이지 못하고 그저 이리저리 정탐만 하여 움직임이 열흘에서 한달이나 정체되었소. 우리가 이 기회를 이용해 그들의 구원을 지연시킨다면 틀림없이 소선을 이길 수 있을 것이오.
한편 소선의 구원병은 파릉(巴陵)에 도착하여 이효공이 노획한 전함을 쉽게 버린 것을 보고 과연 의구심이 생겨서 감히 진군하지 못했다. 결국 소선은 안팎으로 곤란해져서 항복했다. 고조는 이효공의 공을 매우 기뻐하여 그를 형주 대총관(荊州大總管)으로 삼고 화공에게 그림을 그리게 했다. 이효공은 형주로 부임하여 둔전을 실시하고 동야(銅冶)를 설치했다.
무덕 6년(623년), 이효공은 양주도행대 상서좌복야(襄州道行台尙書左僕射)로 임명되었다. 당시 형양 지역이 비록 안정되었다고 해도 영표가 아직 평정되지 않았는데, 이효공은 영표로 사람을 보내 그들을 위무했고 영남의 49개 주가 모두 당나라에 귀순했다.
한편 보공석이 당나라에 대항하여 강동에서 반란을 일으켜 수양(壽陽)을 침공하자, 이효공을 행군원수(行軍元帥)로 삼아 보공석의 토벌을 명했으며, 이정, 이세적, 황군한(黃君漢), 장진주(張鎭州), 노조상(盧祖尙)이 모두 이정의 지휘를 받았다. 출발하기 전에 이효공은 장병들과 연회를 열면서 물을 가져오도록 했는데, 이효공의 잔에 있던 물이 갑자기 피로 변해서 연회에 참석했던 이들이 모두 크게 놀랐다. 하지만 이효공은 태연했고 사람들을 달래며 말했다.
화복이란 실체가 없고 단지 사람이 부르는 것이오. 나 스스로 남에게 폐를 끼친 적이 없는데, 공들은 왜 이렇게 나를 걱정하는 것이오! 보공석은 그 죄악이 극악무도하여 지금 조정의 책략을 받아 그를 토벌하려고 하는데, 사발에 담긴 피는 바로 보공석이 살해당할 것이라는 징조요.
이에 이효공은 잔을 모두 비우고 연회를 파했다.
무덕 9년(626년), 양주(揚州)의 어떤 백성이 이효공이 반역을 모의했다고 무고하자, 무사확을 양주 대도독부 장사로 삼고 이효공을 조정으로 소환했다. 이효공은 어사로부터 역모에 대한 추궁을 받았으나 관련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아서 사면되었으며, 종정경(宗正卿)으로 임명되고 실봉 1,200호를 받았다.
태종이 즉위한 후 이효공은 예부상서(禮部尙書)로 임명되고 하간군왕(河間郡王)에 봉해졌으며, 관주(觀州) 자사로 제수되고 장손무기 등과 함께 대대로 자사직을 이어받았다.
정관 14년(640년), 이효공은 술을 마시던 도중 갑작스럽게 병을 걸려 세상을 떠났다. 태종은 직접 소복을 입고 거애하며 눈물을 흘렸다. 이효공은 사공(司空), 양주 도독으로 추증되고 헌릉(獻陵)에 배장되었으며, 원(元)이라는 시호를 받고 고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3. 가족관계
- 증조부 태조(太祖) 이호(李虎)
- 조부 채열왕(蔡烈王) 이울(李蔚) - 북주에서 삭주(朔州) 총관, 자사를 지냈다. 당나라 건국후 채왕에 봉해졌다.
4. 여담
5. 둘러보기
구당서(舊唐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 1권 「고조기(高祖紀)」 | 2·3권 「태종기(太宗紀)」 | 4·5권 「고종기(高宗紀)」 | |||
이연(李淵) | 이세민 | 이치 | ||||
6권 「측천황후기(則天皇后紀)」 | 7권 「 중종·예종기(中宗睿宗紀)」 | 8·9권 「현종기(玄宗紀)」 | ||||
무조 | 이현(李顯) · 이단 | 이융기 | ||||
10권 「숙종기(肅宗紀)」 | 11권 「대종기(代宗紀)」 | 12·13권 「덕종기(德宗紀)」 | ||||
이형(李亨) | 이예(李豫) | 이괄 | ||||
14·15권 「순종·헌종기(順宗憲宗紀)」 | 16권 「목종기(穆宗紀)」 | 17권 「경종·문종기(敬宗文宗紀)」 | ||||
이송 · 이순(李純) | 이항 | 이심(李湛) · 이앙 | ||||
18권 「무종·선종기(武宗宣宗紀)」 | 19권 「의종·희종기(懿宗僖宗紀)」 | 20권 「소종·애제기(昭宗哀帝紀)」 | ||||
이염(李瀍) · 이침(李忱) | 이최 · 이현(李儇) | 이엽 · 이축 | ||||
※ 21권 ~ 50권은 志에 해당. 구당서 문서 참고
}}}}}}}}}}}} - [ 열전(列傳) ]
- ||<-6><tablewidth=100%><tablebgcolor=#a48252> 51·52권 「후비전(后妃傳)」 ||
태목황후 · 문덕황후 · 서혜 · 왕폐후 · 소양제 · 화사황후 · 위황후 · 상관소용 · 숙명황후 · 소성황후 · 왕폐후 · 정순황후 · 양귀비
원헌황후 · 장황후 · 장경황후 · 예진황후 · 정의황후 · 소덕황후 · 장헌황후 · 의안황후 · 효명황후 · 공희황후 · 정헌황후 · 적선황후53권 「이밀전(李密傳)」 54권 「왕세충등전(王世充等傳)」 이밀 ,선웅신, 왕세충 · 두건덕 55권 「설거등전(薛舉等傳)」 설거 ,설인고,· 이궤 · 유무주 ,원군장, · 고개도 · 유흑달 ,서원랑, 56권 「소선등전(蕭銑等傳)」 소선 · 두복위 · 보공석 ,감릉 왕웅탄, · 심법흥 · 이자통 ,주찬 임사홍 장선안, · 나예 · 양사도 ,유계진 이자화, 57권 「배적등전(裴寂等傳)」 배적 · 유문정 ,이맹상 진행사 유세룡 조문각 장평고 이사행 이고천 허세서 유사립 전구농 번흥 공손무달 방경운 장장경 이안원, 58권 「당검등전(唐儉等傳)」 59권 「굴돌통등전(屈突通等傳)」 당검 · 장손순덕 · 유홍기 · 은개산 · 유정회 · 시소 · 무사확 굴돌통 · 임괴 · 구화 · 허소 · 이습지 · 강모 60권 「종실전(宗室傳)」 이효기 · 이신통 · 이신부 · 이숙량 · 이침(李琛) · 이효공 · 이원(李瑗) · 이도현 · 이도종 · 이박예 61권 「온대아등전(溫大雅等傳)」 62권 「이강등전(李綱等傳)」 63권 「봉륜등전(封倫等傳)」 온대아 · 진숙달 · 두위 이강(李綱) · 정선과 · 양공인 · 황보무일 · 이대량 봉륜 · 소우 ,소예 소균 소관 소업, · 배구 · 우문사급 64권 「고조22자전(高祖二十二子傳)」 이건성 · 이현패 · 이원길 · 이지운 · 이원경(李元景) · 이원창 · 이원형 · 이원방 · 이원례 · 이원가 · 이원칙 · 이원의 · 이원궤 · 이봉(李鳳) · 이원경(李元慶) · 이원유 · 이원명 · 이영기 · 이원상 · 이원효 · 이원영 65권 「고사렴등전(高士廉等傳)」 66권 「방현령등전(房玄齡等傳)」 67권 「이정등전(李靖等傳)」 고사렴 · 장손무기 방현령 · 두여회 이정(李靖) · 이세적 68권 「울지경덕등전(尉遲敬德等傳)」 69권 「후군집등전(侯君集等傳)」 70권 「왕규등전(王珪等傳)」 울지경덕 · 진경 · 정지절 · 단지현 · 장공근 후군집 · 장량 · 설만철 왕규 · 대주 · 잠문본 · 두정륜 71권 「위징전(魏徵傳)」 72권 「우세남등전(虞世南等傳)」 73권 「설수등전(薛收等傳)」 위징 우세남 · 이백약 · 저량 설수 · 요사렴 · 안사고 · 영호덕분 · 공영달 74권 「유계등전(劉洎等傳)」 75권 「소세장등전(蘇世長等傳)」 유계 · 마주 · 최인사 소세장 · 위운기 · 손복가 · 장현소 76권 「태종제자전(太宗諸子傳)」 이승건 · 이관(李寬) · 이각(李恪) · 이태 · 이우(李祐) · 이음 · 이운(李惲) · 이정(李貞) · 이신(李愼) · 이효(李囂) · 이간(李簡) · 이복 · 이명 77권 「위정등전(韋挺等傳)」 78권 「우지녕등전(于志寧等傳)」 위정 · 양찬 · 유덕위 · 염입덕 ,염입본, · 유형 · 최의현 우지녕 · 고계보 · 장행성 79권 「조효손등전(祖孝孫等傳)」 80권 「저수량등전(褚遂良等傳)」 조효손 · 부인균 · 부혁 · 이순풍 · 여재 저수량 · 한원 · 내제 · 상관의 81권 「최돈례등전(崔敦禮等傳)」 최돈례 · 노승경 · 유상도 · 이경현 · 이의염 ,손처약, ,악언위, ,조인본, 82권 「허경종등전(許敬宗等傳)」 83권 「곽효각등전(郭孝恪等傳)」 허경종 · 이의부 곽효각 · 장검 · 소정방 · 설인귀 · 정무정 ,정명진, ,장사귀, ,조도흥, 84권 「유인궤등전(劉仁軌等傳)」 85권 「당림등전(唐臨等傳)」 유인궤 · 학처준 · 배행검 당림 · 장문관 · 서유공 86권 「고종·중종제자전(高宗中宗諸子傳)」 이충(李忠) · 이효(李孝) · 이상금 · 이소절 · 이홍 · 이현(李賢) · 이중윤 · 이중복 · 이중준 · 이중무 87권 「배염등전(裴炎等傳)」 88권 「위사겸등전(韋思謙等傳)」 배염 · 유의지 · 위현동 · 이소덕 위사겸 · 육원방 · 소괴 89권 「적인걸등전(狄仁傑等傳)」 90권 「왕급선등전(王及善等傳)」 적인걸 · 왕방경 · 요숙 왕급선 · 두경검 · 주경칙 · 양재사 · 이회원 · 두로흠망 91권 「환언범등전(桓彥範等傳)」 92권 「위원충등전(魏元忠等傳)」 환언범 · 경휘 · 최현위 · 장간지 · 원서기 위원충 · 위안석 · 소지충 ,종초객 기처눌, 93권 「누사덕등전(婁師德等傳)」 94권 「소미도등전(蘇味道等傳)」 누사덕 · 왕효걸 · 당휴경 · 장인원 · 설눌 · 왕준 소미도 · 이교 · 최융 · 노장용 · 서언백 95권 「예종제자전(睿宗諸子傳)」 이헌 · 이총 · 이범 · 이업 · 이융제 96권 「요숭등전(姚崇等傳)」 97권 「유유구등전(劉幽求等傳)」 요숭 · 송경 유유구 · 종소경 · 곽원진 · 장열 98권 「위지고등전(魏知古等傳)」 99권 「최일용등전(崔日用等傳)」 위지고 · 노회신 · 원건요 · 이원굉 · 두섬 · 한휴 · 배요경 최일용 · 장가정 · 소숭 · 장구령 · 이적지 · 엄정지 100권 「윤사정등전(尹思貞等傳)」 윤사정 · 이걸 · 해완 · 필구 · 소향 · 정유충 · 왕지음 · 노종원 · 이조은 · 배최 · 왕구 101권 「이예등전(李乂等傳)」 102권 「마회소등전(馬懷素等傳)」 이예(李乂) · 설등 · 위주 · 한사복 · 장정규 · 왕구례 · 신체부 마회소 · 저무량 · 유자현 · 서견 · 원행충 · 오긍 · 위술 103권 「곽건관등전(郭虔瓘等傳)」 104권 「고선지등전(高仙芝等傳)」 곽건관 · 곽지운 · 왕군착 · 장수규 · 우선객 · 왕충사 고선지 · 봉상청 · 가서한 105권 「우문융등전(宇文融等傳)」 106권 「이임보등전(李林甫等傳)」 우문융 · 위견 · 양신긍 · 왕홍 이임보 · 양국충 · 장위 · 왕거 · 왕모중 107권 「현종제자전(玄宗諸子傳)」 이종(李琮) · 이영(李瑛) · 이염(李琰) · 이요 · 이완 · 이거(李琚) · 이일(李一) · 이수(李璲) · 이교 · 이민 · 이린(李璘) · 이모 · 이분 · 이기(李琦) · 이환(李環) · 이황 · 이빈 · 이규(李珪) · 이공(李珙) · 이진(李瑱) · 이선(李璿) · 이경(李璥) 108권 「위견소등전(韋見素等傳)」 109권 「풍앙등전(馮盎等傳)」 위견소 · 최원 · 최환 · 두홍점 풍앙 · 아사나사이 · 글필하력 · 흑치상지 · 이다조 · 이사업 · 백효덕 110권 「이광필등전(李光弼等傳)」 111권 「최광원등전(崔光遠等傳)」 이광필 · 왕사례 · 등경산 · 신운경 최광원 · 방관 · 장호 · 고적 · 창최 112권 「이고등전(李暠等傳)」 113권 「묘진경등전(苗晉卿等傳)」 이고(李暠) · 이린(李麟) · 이국정 · 이환(李峘) · 이거(李巨) 묘진경 · 배면 · 배준경 114권 「노경등전(魯炅等傳)」 115권 「최기등전(崔器等傳)」 노경 · 배융 · 내진 · 주지광 최기 · 조국진 · 최관 · 경괄 · 위원보 · 위소유 · 위백옥 · 이승 116권 「숙종·대종제자전(肅宗代宗諸子傳)」 이계(李係) · 이담(李倓) · 이필 · 이근(李僅) · 이간(李僴) · 이정(李侹) · 이영(李榮) · 이광 · 이수(李倕) · 이사 · 이소(李佋) · 이동(李侗) · 이희 · 이막 · 이하(李遐) · 이술 · 이유(李逾) · 이연(李連) · 이형(李迥) · 이구(李遘) · 이내 · 이신(李迅) · 이선(李選) · 이소(李溯) · 이조 · 이섬 · 이운(李運) · 이우(李遇) · 이휼 · 이통 · 이규(李逵) · 이일(李逸) 117권 「엄무등전(嚴武等傳)」 118권 「원재등전(元載等傳)」 엄무 · 곽영예 · 최녕 · 엄진 · 엄여 원재 ,왕앙, ,이소량, · 왕진 · 양염 · 여간 · 유준 119권 「양관등전(楊綰等傳)」 120권 「곽자의전(郭子儀傳)」 121권 「복고회은등전(僕固懷恩等傳)」 양관 · 최우보 · 상곤 곽자의 복고회은 · 양숭의 · 이회광 122권 「장헌성등전(張獻誠等傳)」 장헌성 · 노사공 · 곡환 · 진한형 · 양조성 · 번택 · 이숙명 · 배주 123권 「유안등전(劉晏等傳)」 124권 「설숭등전(薛嵩等傳)」 125권 「장일등전(張鎰等傳)」 유안 · 제오기 · 반굉 · 왕소 · 이손 설숭 · 영호창 · 전신공 · 후희일 · 이정기 장일 · 유종일 · 소복 · 유혼 126권 「이계등전(李揆等傳)」 127권 「요령언등전(姚令言等傳)」 이계(李揆) · 이함(李涵) · 진소유 · 노악 · 배서 요령언 · 장광성 · 원휴 · 교림 · 장섭 · 장진 · 홍경륜 · 팽언 128권 「단수실등전(段秀實等傳)」 129권 「한황등전(韓滉等傳)」 130권 「왕여등전(王璵等傳)」 단수실 · 안진경 한황 · 장연상 왕여 · 이비(李泌) · 최조 · 관파 131권 「이면등전(李勉等傳)」 132권 「이포옥등전(李抱玉等傳)」 이면 · 이고(李皋) 이포옥 · 이포진 · 왕건휴 · 노종사 · 이봉(李芃) · 이징(李澄) 133권 「이성등전(李晟等傳)」 134권 「마수등전(馬燧等傳)」 이성 마수 · 혼감 135권 「노기등전(盧杞等傳)」 노기 · 백지정 · 배연령 · 위거모 · 이제운 · 이실 · 위집의 · 왕숙문 · 정이 · 황보변 136권 「두참등전(竇參等傳)」 두참 · 제영 · 유자 · 노매 · 최손 · 제항 137권 「서호등전(徐浩等傳)」 서호 · 조연 · 유태진 · 이서 · 소설 · 우소 · 최원한 · 우공이 · 여위 · 정운규 · 이익 · 이하(李賀) 138권 「단수실등전(段秀實等傳)」 139권 「육지전(陸贄傳)」 140권 「위고등전(韋臯等傳)」 조경 · 위륜 · 가탐 · 강공보 육지 위고 · 장건봉 · 노군 141권 「전승사등전(田承嗣等傳)」 142권 「이보신등전(李寶臣等傳)」 143권 「이회선등전(李懷仙等傳)」 전승사 · 전홍정 · 장효충 이보신 · 왕무준 · 왕정주 이회선 · 주도 · 유평 · 정일화 · 이전약 144권 「상가고등전(尚可孤等傳)」 상가고 · 이관(李觀) · 대휴안 · 양혜원 · 이원량 · 한유괴 · 가은림 · 두희전 · 울지승 · 형군아 · 양조성 · 장경칙 145권 「유현좌등전(劉玄佐等傳)」 유현좌 · 동진 · 육장원 · 유전량 · 이충신 · 이희열 · 오소성 146권 「설파등전(薛播等傳)」 설파 · 포방 · 이자량 · 이설 · 엄수 · 소흔 · 두아 · 왕위 · 이약초 · 우흔 · 노징 · 양풍 · 정원 · 두겸 · 양조성 · 설비 147권 「두황상등전(杜黃裳等傳)」 148권 「배기등전(裴垍等傳)」 두황상 · 고영 · 두우 배기 · 이길보 · 이번 · 권덕여 149권 「우휴열등전(于休烈等傳)」 우휴열 · 영호환 · 귀숭경 · 유후인 · 해척 · 장천 · 장예 · 유등 · 심전사 150권 「덕종·순종제자전(德宗順宗諸子傳)」 이의(李誼) · 이심(李諶) · 이량 · 이상(李詳) · 이원(李謜) · 이겸 · 이인(李諲) · 이계(李誡) · 이악 · 이함(李諴) · 이경(李經) · 이위(李緯) · 이종(李縱) · 이서(李紓) · 이주(李綢) · 이종(李綜) · 이약 · 이결 · 이상(李緗) · 이구(李絿) · 이기(李綺) · 이현(李絢) · 이훈(李纁) · 이관(李綰) · 이선(李繕) · 이롱 · 이곤 · 이신(李紳) · 이륜 · 이작 · 이집 151권 「고숭문등전(高崇文等傳)」 고숭문 · 이신(伊慎) · 주충량 · 유창예 · 범희조 · 왕악 · 염거원 · 맹원양 · 조창 152권 「마린등전(馬璘等傳)」 마린 · 학정옥 · 왕서요 · 유창 · 이경략 · 장만복 · 고고 · 학자 · 단좌 · 사경봉 153권 「요남중등전(姚南仲等傳)」 154권 「공소부등전(孔巢父等傳)」 요남중 · 유내 · 원고 · 단평중 · 설존성 · 노탄 공소부 · 허맹용 · 여원응 · 유서초 · 장숙 · 웅망 · 백기 155권 「목녕등전(穆寧等傳)」 156권 「우적등전(于頔等傳)」 목녕 · 최빈 · 두군 · 이손 · 설융 우적 · 한홍 · 왕지흥 157권 「왕굉등전(王翃等傳)」 158권 「무원형등전(武元衡等傳)」 왕굉 · 치사미 · 이용(李鄘) · 신비 · 마총 · 위홍경 · 왕언위 무원형 · 정여경 · 위관지 159권 「위차공등전(衛次公等傳)」 160권 「한유등전(韓愈等傳)」 위차공 · 정인 · 위처후 · 최군 · 노수 한유 ,장적 맹교 당구, · 이고(李翱) · 우문적 · 유우석 · 유종원 · 한사 161권 「이광진등전(李光進等傳)」 이광진 · 오중윤 · 왕패 · 이공(李珙) · 이우(李祐) · 동중질 · 양원경 · 유오 · 유면 · 석웅 162권 「반맹양등전(潘孟陽等傳)」 반맹양 · 이소(李翛) · 왕수 · 조화 · 위수 · 정권 · 노사매 · 한전의 · 고하우 · 고우 · 최융 · 육긍 · 장정보 163권 「맹간등전(孟簡等傳)」 164권 「무원형등전(武元衡等傳)」 맹간 · 호증 · 최원략 · 두원영 · 최홍례 · 이우중 · 왕질 · 노간사 왕파 · 이강(李絳) · 양어릉 165권 「위하경등전(韋夏卿等傳)」 166권 「원진등전(元稹等傳)」 위하경 · 왕정아 · 유공작 · 최현량 · 온조 · 곽승하 · 은유 · 서회 원진 · 백거이 167권 「조종유등전(趙宗儒等傳)」 168권 「위온등전(韋溫等傳)」 조종유 · 두역직 · 이봉길 · 단문창 · 송신석 · 이정(李程) 위온 · 독고울 · 전휘 · 고익 · 풍숙 · 봉오 169권 「이훈등전(李訓等傳)」 170권 「배도전(裴度傳)」 이훈(李訓) · 정주 · 왕애 · 왕번 · 가속 · 서원여 · 곽행여 · 나립언 · 이효본 배도 171권 「이발등전(杜黃裳等傳)」 172권 「영호초등전(令狐楚等傳)」 이발 · 장중방 · 배린 · 이중민 · 이감 · 고원유 · 이한 · 이경검 영호초 · 우승유 · 소면 · 이석 173권 「정담등전(鄭覃等傳)」 174권 「이덕유전(李德裕傳)」 정담 · 진이행 · 이신(李紳) · 오여납 · 이각(李珏) · 이고언 이덕유 175권 「헌종·목종·경종·문종·무종·선종·의종·희종·소종제자전(憲宗穆宗敬宗文宗武宗宣宗懿宗僖宗昭宗諸子傳)」 이녕 · 이운(李惲) · 이종(李悰) · 이흔 · 이오 · 이각(李恪) · 이경(李憬) · 이열 · 이순(李恂) · 이역(李懌) · 이음(李愔) · 이협 · 이담(李憺) · 이충(李㤝) · 이췌(李惴) · 이척(李惕) · 이탄 · 이책 · 이주(李湊) · 이용(李溶) · 이보(李普) · 이휴복 · 이언양 · 이집중 · 이성미 · 이영(李永) · 이종검 · 이준(李峻) · 이현(李峴) · 이기(李岐) · 이역(李嶧) · 이차 · 이한 · 이경(李涇) · 이관(李灌) · 이자(李滋) · 이근(李沂) · 이택 · 이윤 · 이흡 · 이예(李汭) · 이문 · 이옹(李澭) · 이일(李佾) · 이건 · 이길 · 이간(李侃) · 이보(李保) · 이의(李倚) · 이진(李震) · 이승 · 이유(李裕) · 이우(李祤) · 이계(李禊) · 이점 · 이인(李禋) · 이의(李祎) · 이비(李秘) · 이기(李祺) · 이동(李同) · 이진(李禛) · 이상(李祥) 176권 「이종민등전(李宗閔等傳)」 이종민 · 유위 · 양우경 · 마식 · 이양이 · 위모 · 주지 · 최귀종 · 정숙 · 노상 177권 「최신유등전(崔慎由等傳)」 최신유 · 최공 · 노균 · 배휴 · 양수 · 위보형 · 노암 · 하후자 · 유첨 · 유전 · 조확 · 필함 · 두심권 · 유업 · 두로전 178권 「조은등전(趙隱等傳)」 조은 · 장석 · 이울 · 최언소 · 정전 · 노휴 · 왕휘 179권 「소구등전(蕭遘等傳)」 소구 · 공위 · 위소도 · 최소위 · 장준 · 주박 · 정계 · 유숭망 · 서언약 · 육의 · 유찬 180권 「주극융등전(朱克融等傳)」 주극융 · 이재의 · 양지성 · 장중무 · 장윤신 · 장공소 · 이가거 · 이전충 181권 「사헌성등전(史憲誠等傳)」 182권 「왕중영등전(王重榮等傳)」 사헌성 · 하진도 · 한윤충 · 악언정 · 나홍신 왕중영 · 왕처존 · 제갈상 · 고병 · 시부 · 주선 183권 「외척전(外戚傳)」 독고회은 · 두덕명 · 장손창 · 무승사 · 위온 · 왕인교 · 오서 · 유성 · 두유 · 왕자안 184권 「환관전(宦官傳)」 양사욱 · 고역사 · 이보국 · 정원진 · 어조은 · 두문장 · 구문진 · 토돌승최 · 왕수징 · 전령자 · 양복광 · 양복공 185권 「양리전(良吏傳)」 위인수 · 장윤제 · 이동객 · 이소립 · 설대정 · 가돈이 · 이군구 · 최지온 · 고지주 · 전인회 · 위기 · 권회은 · 풍원상 · 장엄 · 왕방익 · 설계창 · 배회고 · 장지건 · 양원염 · 예약수 · 이준(李浚) · 양교 · 송경례 · 강사도 · 강순 · 반호례 · 양무겸 · 양인 · 최은보 · 이상은(李尙隱) · 여인 · 소정 · 장연 · 이혜등 · 임적간 · 범전정 · 원자 · 설빈 · 염제미 186권 「혹리전(酷吏傳)」 내준신 · 주흥 · 부유예 · 구신적 · 삭원례 · 후사지 · 만국준 · 내자순 · 왕홍의 · 곽패 · 길욱 · 요소지 · 주이정 · 왕욱 · 길온 · 나희석 · 모약허 · 경우 187권 「충의전(忠義傳)」 하후단 · 유감 · 상달 · 나사신 · 여자장 · 이공일 · 장선상 · 이현통 · 경군홍 · 풍립 · 사숙방 · 왕의방 · 성삼랑 · 윤원정 · 고예 · 왕동교 · 소안항 · 유문준 · 연흠융 · 안금장 · 이징(李憕) · 장개연 · 최무피 · 노혁 · 장청 · 안고경 · 설원 · 장순 · 허원 · 정천리 · 원광정 · 소진 · 부린 · 조엽 · 석연분 · 장비 · 견제 · 유돈유 · 고목 · 가직언 · 유경휴 · 신당 188권 「효우전(孝友傳)」 이지본 · 장지관 · 유군량 · 왕군조 · 조홍지 · 진집원 · 원양 · 배경이 · 배수진 · 이일지 · 최면 · 육남금 · 장수 · 양문정 · 최연 · 정공저 · 나양 189권 「유학전(儒學傳)」 서문원 · 육덕명 · 조헌 · 구양순 · 주자사 · 장사형 · 가공언 · 장후윤 · 곡나율 · 소덕언 · 허숙아 · 경파 · 유백장 · 진경통 · 나도종 · 형문위
고자공 · 낭여령 · 노경순 · 왕원감 · 왕소종 · 위숙하 · 축흠명 · 곽산운 · 유충 · 노찬 · 윤지장 · 서대 · 소변 · 육질 · 풍항 · 위표미 · 허강좌190권 「문원전(文苑傳)」 공소안 · 원랑 · 하덕인 · 유포 · 채윤공 · 정세익 · 사언 · 최신명 · 장온고 · 유윤지 · 장창령 · 최행공 · 서제담 · 두역간 · 노조린 · 양형 · 왕발 · 낙빈왕 · 등현정 · 곽정일 · 원만경 · 교지지 · 유윤제 · 부가모 · 원반천 · 유헌 · 심전기 · 진자앙 · 송지문 · 염조은 · 가증 · 허경선 · 하지장 · 석예 · 제완 · 왕완 · 이옹(李邕) · 손적 · 이화 · 소영사 · 육거 · 유포 · 최호 · 왕창령 · 맹호연 · 원덕수 · 왕유 · 이백 · 두보 · 오통현 · 왕중서 · 최함 · 당차 · 유분 · 이상은(李商隱) · 온정균 · 설봉 · 이증 · 이거천 · 사공도 191권 「방기전(方伎傳)」 최선위 · 설이 · 견권 · 송협 · 허윤송 · 을불홍례 · 원천강 · 손사막 · 명숭엄 · 장경장 · 이사진 · 장문중 · 상헌보 · 맹선 · 엄선사 · 금양봉 · 장과 · 엽법선 · 현장 · 신수 · 일행 · 상도무 192권 「은일전(隱逸傳)」 왕적 · 전유암 · 사덕의 · 왕우정 · 노홍일 · 왕희이 · 위대경 · 이원개 · 왕수신 · 서인기 · 손처현 · 백이충 · 왕원지 · 반사정 · 유도합 · 사마승정 · 오균 · 공술예 193권 「열녀전(列女傳)」 배숙영 · 경상자 · 위무기 · 두백랑 · 두중랑 · 이현진 · 왕화자 194권 「돌궐전(突厥傳)」 195권 회흘전(回紇傳)」 196권 「토번전(吐蕃傳)」 돌궐 회흘 토번 197권 「남만·서남만전(南蠻·西南蠻傳)」 임읍국 · 파리국 · 반반국 · 정랍 · 수진랍국 · 타원국 · 가릉국 · 타화라국 · 타파등국 · 동사만 · 서조만 · 장가만 · 동여국 · 남조만 · 표국 198권 「서융전(西戎傳)」 니파라국 · 당항 · 고창 · 토욕혼 · 언기국 · 소륵국 · 우전국 · 천축국 · 계빈국 · 발율국 · 강국 · 파사국 · 불름국 · 대식국 199권 「동이·북적전(東夷北狄傳)」 고려 · 백제 · 신라 · 왜국 · 일본 · 철륵 · 거란 · 해 · 실위 · 말갈 · 발해 · 습 200권 「안녹산등전(安祿山等傳)」 안녹산 ,안경서 고상 손효철, · 사사명 ,사조의, · 주차 · 황소 · 진종권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48252><tablebgcolor=#a48252> ||
신당서(新唐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 1권 「고조기(高祖紀)」 | 2권 「태종기(太宗紀)」 | 3권 「고종기(高宗紀)」 | |||
이연(李淵) | 이세민 | 이치 | ||||
4권 「측천황후·중종기(則天皇后中宗紀)」 | 5권 예종·현종기(睿宗玄宗紀)」 | 6권 「숙종·대종기(肅宗代宗紀)」 | ||||
이현(李顯) · 무조 | 이단 · 이융기 | 이형(李亨) · 이예(李豫) | ||||
7권 「덕종·순종·헌종기(德宗順宗憲宗紀)」 | 8권 「목종·경종·문종·무종·선종기(穆宗敬宗文宗武宗宣宗紀)」 | |||||
이괄 · 이송 · 이순(李純) | 이항 · 이심(李湛) · 이앙 · 이염(李瀍) · 이침(李忱) | |||||
9권 「의종·희종기(懿宗僖宗紀)」 | 10권 「소종·애제기(昭宗哀帝紀)」 | |||||
이최 · 이현(李儇) | 이엽 · 이축 | |||||
※ 11권 ~ 60권은 志에 해당. 61권 ~ 75권은 表에 해당. 신당서 문서 참고
}}}}}}}}}}}} - [ 열전(列傳) ]
- ||<-6><tablebgcolor=#a48252><tablewidth=100%> 76·77권 「후비전(后妃傳)」 ||
태목황후 · 문덕황후 · 서혜 · 무조 · 왕폐후 · 화사황후 · 위황후 · 상관소용 · 숙명황후 · 소성황후 · 왕폐후 · 정순황후 · 원헌황후 · 양귀비
장황후 · 장경황후 · 정의황후 · 예진황후 · 소덕황후 · 위씨 · 장헌황후 · 의안황후 · 효명황후 · 공희황후 · 정헌황후 · 선의황후 · 곽귀비 · 왕현비 · 원소황후 · 혜안황후 · 곽숙비 · 공헌황후 · 적선황후78권 「종실전(宗室傳)」 이도종 · 이도흥 · 이효기 · 이도현 · 이숙량 · 이효협 · 이사훈 · 이진(李晉) · 이유량 · 이침 · 이효공 · 이괴 · 이원 · 이신통 · 이도언 · 이효일 · 이신부 · 이박의 · 이봉자 79권 「고조제자전(高祖諸子傳)」 이건성 · 이현패 · 이원길 · 이지운 · 이원경(李元景) · 이원창 · 이원형 · 이원방 · 이원례 · 이원가 · 이원칙 · 이원의 · 이원궤 · 이봉(李鳳) · 이원경(李元慶) · 이원유 · 이원명 · 이영기 · 이원상 · 이원효 · 이원영 80권 「태종제자전(太宗諸子傳)」 이승건 · 이관(李寬) · 이각(李恪) · 이태 · 이우(李祐) · 이음 · 이운(李惲) · 이정(李貞) · 이신(李愼) · 이효(李囂) · 이간(李簡) · 이복 · 이명 81권 「삼종제자전(三宗諸子傳)」 이충(李忠) · 이효 · 이상금 · 이소절 · 이홍 · 이현(李賢) · 이중윤 · 이중복 · 이중준 · 이헌 · 이총 · 이범 · 이업 · 이융제 82권 「14종제자전(十四宗諸子傳)」 이종(李琮) · 이영(李瑛) · 이염(李琰) · 이요 · 이완 · 이거(李琚) · 이일(李一) · 이수(李璲) · 이교 · 이민 · 이린(李璘) · 이모 · 이분 · 이기(李琦) · 이환(李環) · 이황 · 이빈 · 이규(李珪) · 이공(李珙) · 이진(李瑱) · 이선(李璿) · 이경(李璥) · 이계(李係) · 이담(李倓) · 이필 · 이근(李僅) · 이간(李僴) · 이정(李侹) · 이영(李榮) · 이광 · 이수(李倕) · 이사 · 이소(李佋) · 이동(李侗) · 이막 · 이하(李遐) · 이술 · 이유(李逾) · 이연(李連) · 이형(李迥) · 이구(李遘) · 이내 · 이신(李迅) · 이선(李選) · 이소(李溯) · 이조 · 이섬 · 이운(李運) · 이우(李遇) · 이휼 · 이통 · 이규(李逵) · 이일(李逸) · 이의(李誼) · 이심(李諶) · 이량 · 이상(李詳) · 이원(李謜) · 이겸 · 이인(李諲) · 이계(李誡) · 이악 · 이함(李諴) · 이경(李經) · 이위(李緯) · 이종(李縱) · 이서(李紓) · 이주(李綢) · 이종(李綜) · 이약 · 이결 · 이상(李緗) · 이구(李絿) · 이기(李綺) · 이현(李絢) · 이훈(李纁) · 이관(李綰) · 이선(李繕) · 이롱 · 이곤 · 이신(李紳) · 이륜 · 이작 · 이집 · 이녕 · 이운(李惲) · 이종(李悰) · 이흔 · 이오 · 이각(李恪) · 이경(李憬) · 이열 · 이순(李恂) · 이역(李懌) · 이음(李愔) · 이협 · 이담(李憺) · 이충(李㤝) · 이췌(李惴) · 이척(李惕) · 이탄 · 이책 · 이주(李湊) · 이용(李溶) · 이보(李普) · 이휴복 · 이언양 · 이집중 · 이성미 · 이영(李永) · 이종검 · 이준(李峻) · 이현(李峴) · 이기(李岐) · 이역(李嶧) · 이차 · 이한 · 이경(李涇) · 이관(李灌) · 이자(李滋) · 이근(李沂) · 이택 · 이윤 · 이흡 · 이예(李汭) · 이문 · 이옹(李澭) · 이일(李佾) · 이건 · 이길 · 이간(李侃) · 이보(李保) · 이의(李倚) · 이진(李震) · 이승 · 이유(李裕) · 이우(李祤) · 이계(李禊) · 이인(李禋) · 이의(李祎) · 이비(李秘) · 이기(李祺) · 이진(李禛) · 이상(李祥) · 이정(李禎) · 이기(李祁) · 이복 · 이희(李禧) · 이고(李祜) · 이제 · 이희(李祐) 83권 「제제공주전(諸帝公主傳)」 동안공주 · 장사공주 · 양양공주 · 평양소공주 · 고밀공주 · 장광공주 · 장사공주 · 방릉공주 · 구강공주 · 노릉공주 · 남창공주 · 안평공주 · 회남공주 · 진정공주 · 형양공주 · 단양공주 · 임해공주 · 관도공주 · 안정공주 · 상락공주 · 양성공주 · 여남공주 · 남평공주 · 수안공주 · 장락공주 · 예장공주 · 북경공주 · 보안공주 · 동양공주 · 임천공주 · 청하공주 · 난릉공주 · 진안공주 · 안강공주 · 신흥공주 · 성양공주 · 합포공주 · 금산공주 · 진양공주 · 상산공주 · 신성공주 · 의양공주 · 고안공주 · 태평공주 · 신도공주 · 의성공주 · 정안공주 · 장녕공주 · 영태공주 · 안락공주 · 성안공주 · 수창공주 · 안흥소회공주 · 형산공주 · 회양공주 · 대국공주 · 양국공주 · 설국공주 · 식국공주 · 금선공주 · 옥진공주 · 곽국공주 · 영흥공주 · 천장공주 · 영국공주 · 흥당공주 · 서평공주 · 낭령공주 · 광화공주 · 창락공주 · 수춘공주 · 장녕공주 · 연경공주 · 정락공주 · 낙온공주 · 영청공주 · 위국문의공주 · 안화공주 · 보강공주 · 창원공주 · 창녕공주 · 금화공주 · 인수공주 · 영수공주 · 당흥공주 · 영평공주 84권 「이밀전(李密傳)」 85권 「왕두전(王竇傳)」 이밀 ,선웅신 조효징, 왕세충 · 두건덕 86권 「설이이유고서전(薛李二劉高徐傳)」 87권 「소보심이양전(蕭輔沈李梁傳)」 설거 ,설인고,· 이궤 · 유무주 · 고개도 · 유흑달 · 서원랑 소선 · 보공석 · 심법흥 · 이자통 ,주찬 임사홍 장선안, 양사도(梁師都) ,유계진, 88권 「유배전(劉裴傳)」 89권 「굴돌울지장진당단전(屈突尉遲張秦唐段傳)」 유문정 · 배적 굴돌통 · 울지공 · 장공근 · 진경 · 당검 · 단지현 90권 「이유은허정시임구전(二劉殷許程柴任丘傳)」 91권 「온황보이이강최전(溫皇甫二李姜崔傳)」 유홍기 · 은개산 · 유정회 · 허소 · 정지절 · 시소 · 임괴 · 구화 온대아 · 황보무일 · 이습지 · 강모 · 최선위 · 이사진 92권 「두감왕이원나왕전(杜闞王李苑羅王傳)」 93권 「이이전(二李傳)」 두복위 · 감릉 · 왕웅탄 · 장사귀 · 곽자화 · 원군장 · 나예 · 왕군곽 이정(李靖) · 이적 94권 「후장설전(侯張薛傳)」 95권 「고두전(高竇傳)」 96권 「방두전(房杜傳)」 후군집 · 장량 · 설만균 고검 · 두위 방현령 · 두여회 97권 「위징전(魏徵傳)」 98권 「왕설마위전(王薛馬韋傳)」 99권 「이이대유최전(二李戴劉崔傳)」 위징 왕규 · 설수 · 마주 · 위정 이강(李綱) · 이대량 · 대주 · 유계 · 최인사 100권 「진양봉배우문정권염장강장전(陳楊封裴宇文鄭權閻蔣姜張傳)」 진숙달 · 양공인 ,양사도(楊師道), · 봉륜 · 배구 · 우문사급 · 정선과 · 권만기 · 염입덕 · 장엄 · 위홍기 · 강사도 · 장지건 101권 「소우전(蕭瑀傳)」 102권 「잠우이저요영호전(岑虞李褚姚令狐傳)」 소우 잠문본 · 우세남 · 이백약 · 저량 · 요사렴 · 영호덕분 103권 「소위손장전(蘇韋孫張傳)」 104권 「우고장전(于高張傳)」 소세장 · 위운기 · 손복가 · 장현소 우지녕 · 고풍 · 장행성 105권 「장손저한내이상관전(長孫褚韓來李上官傳)」 장손무기 · 저수량 · 한원 · 내제 · 이의염 · 상관의 106권 「두이최고곽조최양노이유이유손형전(杜二崔高郭趙崔楊盧二劉李劉孫邢傳)」 두정륜 · 최지온 · 고지주 · 곽정일 · 조홍지 · 최돈례 · 양홍례 · 노승경 · 유상도 · 이경현 · 유덕위 · 손처약 · 형문위 107권 「부여진전(傅呂陳傳)」 108권 「유배누전(劉裴婁傳)」 부혁 · 여재 · 진자앙 유인궤 · 배행검 · 누사덕 109권 「최양두종축왕전(崔楊竇宗祝王傳)」 최의현 · 양재사 · 두회정 · 종초객 · 축흠명 ,곽산운, · 왕여 110권 「제이번장전(諸夷蕃將傳)」 사대내 · 풍앙 · 아사나사이 · 아사나충 · 집실사력 · 글필하력 · 흑치상지 · 이근행 · 천남생 · 이다조 · 논궁인 · 손유정 · 울지승 · 상가고 · 배분 111권 「곽이장삼왕소설정당전(郭二張三王蘇薛程唐傳)」 곽효각 · 장검 · 왕방익 · 소열 · 설인귀 · 정무정 ,정명진,· 왕효걸 · 당선 · 장인원 · 왕준 112권 「왕한소설왕류풍장전(王韓蘇薛王柳馮蔣傳)」 113권 「당장서전(唐張徐傳)」 왕의방 · 한사언 · 소안항 · 설등 · 왕구례 · 류택 · 풍원상 · 장흠서 당림 · 장문관 · 서유공 114권 「최서소두로전(崔徐蘇豆盧傳)」 115권 「적학주전(狄郝朱傳)」 최융 · 서언백 · 소미도 · 두로흠망 적인걸 · 학처준 · 주경칙 116권 「이왕위육이이두전(二王韋陸二李杜傳)」 117권 「배유위이길전(裴劉魏李吉傳)」 왕침 · 위사겸 · 육원방 · 왕급선 · 이일지 · 두경전 · 이회원 배염 · 유의지 · 위현동 · 이소덕 · 길욱 118권 「장위한송신이이배전(張韋韓宋辛二李裴傳)」 119권 「무이가백전(武李賈白傳)」 장정규 · 위주 · 한사복 · 송무광 · 신체부 · 이발 · 배린 · 이중민 · 이감 무평일 · 이예(李乂) · 가증 · 백거이 120권 「오왕전(五王傳)」 환언범 ,이복업 습수 설계창, · 양원염 · 경휘 · 최현위 · 장간지 · 원서기 121권 「유종최이왕전(劉鐘崔二王傳)」 122권 「위위곽전(魏韋郭傳)」 유유구 · 종소경 · 최일용 · 왕거 · 왕모중 위원충 · 위안석 · 곽진 123권 「이소로위조화전(李蕭盧韋趙和傳)」 124권 「요송전(姚宋傳)」 이교 · 소지충 · 노장용 · 위거원 · 조언소 · 화봉요 요숭 · 송경 125권 「소장전(蘇張傳)」 126권 「위로이두장한전(魏盧李杜張韓傳)」 소괴 · 장열 위지고 · 노회신 · 이원굉 · 두섬 · 장구령 · 한휴 127권 「장원배전(張源裴傳)」 장가정 · 원건요 · 배요경 128권 「소윤필이정왕허반예석제전(蘇尹畢李鄭王許潘倪席齊傳)」 소향 · 윤사정 · 필구 · 이걸 · 정유충 · 왕지음 · 허경선 · 반호례 · 예약수 · 석예 · 제한 129권 「배최노이왕엄전(裴崔盧李王嚴傳)」 130권 「배양송양최이해전(裴陽宋楊崔李解傳)」 배수진 · 최면 · 노종원 · 이조은 · 왕구 · 엄정지 배최 · 양교 · 송경례 · 양창 · 최은보 · 이상은(李尙隱) · 해완 131권 「종실재상전(宗室宰相傳)」 132권 「유오위장유침전(劉吳韋蔣柳沈傳)」 이적지 · 이현(李峴) · 이면 · 이이간 · 이정(李程) · 이석 · 이회 유자현 · 오긍 · 위술 · 장예 · 유방 · 심기제 133권 「이곽양왕장우전(二郭兩王張牛傳)」 134권 「우문위양왕전(宇文韋楊王傳)」 곽건관 · 곽지운 · 왕군착 · 장수규 · 왕충사 · 우선객 우문융 · 위견 · 양신긍 · 왕홍 135권 「가서고봉전(哥舒高封傳)」 136권 「이광필전(李光弼傳)」 137권 「곽자의전(郭子儀傳)」 가서한 · 고선지 · 봉상청 이광필 곽자의 138권 「이이마노전(二李馬路傳)」 139권 「방장이전(房張李傳)」 140권 「최묘이배여전(崔苗李裴呂傳)」 이사업 · 마린 · 이포옥 · 노사공 방관 · 장호 · 이비(李泌) 최원 · 묘진경 · 배면 · 배준경 · 여인 141권 「최등위위이한노고전(崔鄧魏衛李韓盧高傳)」 최광원 · 등경산 · 최관 · 위소유 · 위백옥 · 이징(李澄) · 한전의 · 노종사 · 고하우 142권 「이양최류위로전(李楊崔柳韋路傳)」 이린(李麟) · 양관 · 최우보 · 유혼 · 위처후 · 노수 143권 「고원이위설최대왕서치신전(高元李韋薛崔戴王徐郗辛傳)」 고적 · 원결 · 이승 · 위륜 · 설각 · 최한형 · 대숙륜 · 왕굉 · 서신 · 치사미 · 신비 144권 「내전후최엄전(來田侯崔嚴傳)」 145권 「원반여양엄두전(元王黎楊嚴竇傳)」 146권 「이이전(二李傳)」 내진 · 전신공 · 후희일 · 최녕 · 엄여 원재 · 왕진 · 여간 · 양염 · 엄정 · 두참 이서균 · 이용(李鄘) 147권 「삼왕노신풍삼이곡이로전(三王魯辛馮三李曲二盧傳)」 왕사례 · 노경 · 왕난득 · 신운경 · 풍하청 · 이봉(李芃) · 이숙명 · 곡환 · 왕건휴 · 노군 · 이원소 · 노사매 148권 「영호장강이유전왕우사전(令狐張康李劉田王牛史傳)」 영호창 · 장효충 · 강일지 · 이유(李洧) · 유옹 · 전홍정 · 왕승원 · 우원익 · 사효장 149권 「유제오반왕이전(劉第五班王李傳)」 150권 「이상조최제로전(李常趙崔齊盧傳)」 151권 「관동원조두전(關董袁趙竇傳)」 유안 · 제오기 · 반굉 · 왕소 · 이손(李巽) 이계 · 상곤 · 조경 · 최조 · 제앙 · 노매 관파 · 동진 · 원자 · 조종유 · 두역직 152권 「장강무이송전(張姜武李宋傳)」 153권 「단안전(段顏傳)」 154권 「이성전(李晟傳)」 장일 · 강공보 · 무원형 · 이강(李絳) · 송신석 단수실 · 안진경 이성,이소(李愬), 155권 「마혼전(馬渾傳)」 마수 · 혼감 156권 「양대양이이한두형전(楊戴陽二李韓杜邢傳)」 양조성 · 대휴안 · 양혜원 · 이원량 · 이관(李觀) · 한유괴 · 두희전 · 형군아 157권 「육지전(陸贄傳)」 158권 「위장엄한전(韋張嚴韓傳)」 육지 위고 · 장건봉 · 엄진 · 한홍 159권 「포이소설왕오정육노유최전(鮑李蕭薛樊王吳鄭陸盧柳崔傳)」 포방 · 이자량 · 소흔 · 설파 · 번택 · 왕위 · 오주 · 정권 · 육긍 · 노탄 · 유성 · 최융 160권 「서여맹유양반최위전(徐呂孟劉楊潘崔韋傳)」 161권 「장조이정서왕풍유전(張趙李鄭徐王馮庾傳)」 서호 · 여위 · 맹간 · 유백추 · 양풍 · 반맹양 · 최원략 · 위수 장천 · 조연 · 이서 · 정운규 · 서대 · 왕중서 · 풍항 · 유경휴 162권 「요독고고위단여허설이전(姚獨孤顧韋段呂許薛李傳)」 요남중 · 독고급 · 고소련 · 위하경 · 단평중 · 여원응 · 허맹용 · 설존성 · 이손 163권 「공목최유양마전(孟簡等傳)」 공소부 · 목녕 · 최빈 · 유공작 · 양우릉 · 마총 164권 「귀해삼최노이설위호정이왕은전(歸奚三崔盧二薛衛胡丁二王殷傳)」 귀숭경 · 해척 · 최연 · 노경량 · 설빈 · 위차공 · 설융 · 호증 · 정공저 · 최홍례 · 최현량 · 왕질 · 은유 · 왕언위 165권 「삼정고권최전(三鄭高權崔傳)」 166권 「가두영호전(賈杜令狐傳)」 정여경 · 정순유 · 고영 · 정인 · 권덕여 · 최군 가탐 · 두우 · 영호초 167권 「백배최위이이황보왕전(白裴崔韋二李皇甫王傳)」 백지정 · 배연령 · 최손 · 위거모 · 이제운 · 이실 · 황보박 · 왕파 168권 「위왕육유유정전(韋王陸劉柳程傳)」 169권 「두배이위전(杜裴李韋傳)」 위집의 · 왕숙문 · 육질 · 유우석 · 유종원 · 정이 두황상 · 배기 · 이번 · 위관지 170권 「이고이주이유범이왕맹조이임장전(二高伊朱二劉范二王孟趙李任張傳)」 고숭문 · 이신(伊愼) · 주충량 · 유창예 · 범희조 · 왕악 · 맹원양 · 왕서요 · 유창 · 조창 · 이경략 · 임적간 · 장만복 · 고고 · 학비 171권 「이오왕양조고유석전(李烏王楊曹高劉石傳)」 172권 「우왕이두범전(于王二杜范傳)」 이광진 · 오중윤 · 왕패 · 양원경 · 조화 · 고우 · 유면 · 석웅 우적 · 왕지흥 · 두겸 · 두아 · 범정전 173권 「배도전(裵度傳)」 174권 「이이원우양전(二李元牛楊傳)」 배도 이봉길 · 원진 · 우승유 · 이종민 · 양사복 175권 「두유이장양웅백전(竇劉二張楊熊柏傳)」 176권 「한유전(韓愈傳)」 두군 · 유서초 · 장우신 · 양우경 · 장숙 · 웅망 · 백기 한유 177권 「전최이위이고풍삼이노봉정경전(錢崔二韋二高馮三李盧封鄭敬傳)」 전휘 · 최함 · 위표미 · 고익 · 풍숙 · 이우중 · 이고(李翺) · 노간사 · 고원유 · 봉오 · 정훈 · 경회 · 위박 · 이경양 178권 「유분전(劉賁傳)」 유분 179권 「이정이왕가서전(李鄭二王賈舒傳)」 이훈(李訓) · 정주 · 왕애 · 가속 · 서원여 · 왕파 · 곽행여 · 한약 · 나립언 · 이효본 · 고사옹 · 이정소 180권 「이덕유전(李德裕傳)」 181권 「진삼이조유전(陳三李曹劉傳)」 이덕유 진이행 · 이신(李紳) · 이양이 · 조확 · 유첨 · 이울 182권 「이이최소이정이노위주이배유조왕전(二李崔蕭二鄭二盧韋周二裴劉趙王傳)」 이고언 · 이각 · 최공 · 소업 · 정숙 · 노균 · 노간방 · 위종 · 주지 · 배휴 · 유전 · 조은 · 배탄 · 정연창 · 왕부 · 노광계 183권 「필최유육정주한전(畢崔劉陸鄭朱韓傳)」 필함 · 최언소 · 유업 · 육의 · 정계 · 주박 · 한악 184권 「마양노노전(馬楊路盧傳)」 185권 「정이왕위장전(鄭二王韋張傳)」 마식 · 앵수 · 노암 · 노휴 정전 · 왕탁 · 왕휘 · 위소도 · 장준 186권 「주왕등진유조이양고전(周王鄧陳劉趙二楊顧傳)」 주보 · 왕처존 · 등처눌 · 진유 · 유거용 · 조덕인 · 양수량 · 양성 · 고언랑 187권 「이왕제갈이맹전(二王諸葛李孟傳)」 188권 「양시주손전(楊時朱孫傳)」 왕중영 · 제갈상 · 이한지 · 왕경무 · 맹방립 양행밀 · 시부 · 주선 · 손유 189권 「고조전주전(高趙田朱傳)」 190권 「삼유성두종장왕전(三劉成杜鐘莊王傳)」 고인후 · 조주 · 전군 · 주연수 유건봉 · 성예 · 두홍 · 종전 · 유한굉 · 장웅 · 왕조 · 유지겸 191·192·193권 「충의전(忠義傳)」 하후단 · 유감 · 상달 · 경군홍 · 여자장 · 왕행민 · 나사신 · 장도원 · 이육덕 · 고예 · 안금장 · 왕동교 · 오보안 · 이징(李憕) · 노혁 · 장개연 · 최무피 · 안고경 · 가순 · 장순 · 허원 · 남제운 · 뇌만춘 · 요은 · 정천리 · 방견 · 장흥 · 채정옥 · 부령기 · 유내 · 맹화 · 장비 · 주증 · 장명진 · 석연분 · 오서 · 고목 · 가직언 · 신당 · 황갈 194권 「탁행전(卓行傳)」 원덕수 · 권고 · 견제 · 양성 · 사공도 195권 「효우전(孝友傳)」 이지본 · 장지관 · 유군량 · 왕소현 · 임경신 · 지숙재 · 정원사 · 무홍도 · 정잠요 · 원양 · 배경이 · 양문정 · 심계전 · 허백회 · 진집원 · 장수 · 서원경 · 여상안 · 양열 · 목종세 · 후지도 · 정구라 · 하징수 196권 「은일전(隱逸傳)」 왕적 · 손사막 · 전유암 · 맹선 · 왕우정 · 왕희이 · 이원개 · 위대경 · 무유서 · 백이충 · 오긍 · 노홍 · 오균 · 반사정 · 사마승정 · 하지장 · 진계 · 장지화 · 공술예 · 육우 · 최근 · 육구몽 197권 「순리전(循吏傳)」 위인수 · 진군빈 · 장윤제 · 이소립 · 손지원 · 설대정 · 가돈이 · 전인회 · 배회고 · 위경준 · 이혜등 · 나상 · 위단 · 노홍선 · 설원상 · 하역우 198·199·200권 「유학전(儒學傳)」 서문원 · 육덕명 · 조헌 · 안사고 · 공영달 · 구양순 · 주자사 · 장사형 · 장후윤 · 개문달 · 곡나율 · 경파 · 나도종 · 낭여령 · 서제탐 · 심백의 · 노경순 · 왕원감 · 왕소종 · 팽경직 · 노찬 · 윤지장 · 유충 · 마회소 · 공약사,공소안, · 저무량 · 원행충 · 진정절 · 시경본 · 노이빙 · 왕중구 · 조동희 · 담조 · 위융 · 진경(陳京) · 창당 · 임온 · 위공숙 · 허강좌 201·202·203권 「문원전(文苑傳)」 원랑 · 하덕인 · 채윤공 · 사언 · 최신명 · 유연우 · 장창령 · 최행공 · 두심언 · 왕발 · 원만경 · 이적(李適) · 위원단 · 유윤제 · 심전기 · 송지문 · 염조은 · 윤원개 · 유헌 · 이옹(李邕) · 여향 · 왕한 · 손적 · 이백 · 왕유 · 정건 · 소영사 · 소원명 · 이화 · 맹호연 · 유태진 · 소설 · 우소 · 최원한 · 우공이 · 이익 · 노륜 · 구양첨 · 이하(李賀) · 오무릉 · 이상은(李商隱) · 설봉 · 이빈(李頻) · 오융 204권 「방기전(方伎傳)」 이순풍 · 견권 · 원천강 · 설이 · 명숭엄 · 상헌보 · 엄선사 · 두생 · 장과 · 강무 · 상도무 205권 「열녀전(列女傳)」 배숙영 · 왕난영 · 경상자 · 위무기 · 하후쇄금 · 왕아족 · 왕옥영 · 요아 · 두백랑 · 두중랑 · 이묘법 · 왕화자 · 사소아 · 봉순 206권 「외척전(外戚傳)」 독고회은 · 무사확 · 위온 · 주인궤 · 왕인교 · 양국충 · 이소(李翛) · 정광 207·208권 「환관전(宦官傳)」 양사욱 · 고역사 · 정원진 · 어조은 · 유정양 · 토돌승최 · 마존량 · 구사량 · 양복광 · 이보국 · 왕수징 · 유극명 · 전령자 · 양복공 · 유계술 209권 「혹리전(酷吏傳)」 삭원례 · 내준신 · 후사지 · 왕홍의 · 곽홍패 · 요소지 · 주이정 · 왕욱 · 최기 · 모약허 · 경우 210권 「번진위박전(藩鎭魏博傳)」 211권 「번진진기전(藩鎭鎭冀傳)」 전승사 · 사헌성 · 하진도 · 악언정 · 나홍신 이보신 · 왕무준 · 왕정주 212권 「번진노룡전(藩鎭盧龍傳)」 이회선 · 주도 · 유평 · 주극융 · 이재의 · 장중무 · 장윤신 · 이무훈 · 이전충 · 유인공 213권 「번진치청횡해전(藩鎭淄青橫海傳)」 214권 「번진선무창의택로전(藩鎭宣武彰義澤潞傳)」 이정기 · 정일화 · 이전략 유현좌 · 오소성 오소양 · 유오 유종간 215권 「돌궐전(突厥傳)」 216권 「토번전(吐蕃傳)」 돌궐 토번 217권 회흘전(回紇傳)」 218권 사타전(沙陀傳)」 회흘 사타 219권 북적전(北狄傳)」 220권 동이전(東夷傳)」 거란 · 해족 · 실위 · 발해 · 말갈 고려 · 백제 · 신라 · 왜국 · 일본 · 유귀국 221권 「서융전(西戎傳)」 니파라국 · 당항 · 동여국 · 고창 · 토욕혼 · 언기 · 구자 · 소륵 · 갈반타국 · 우전국 · 천축국 · 계빈국 · 강국 · 안국 · 동안 · 동조 · 서조 · 중조 · 자지국 · 미말 · 굴상니가 · 화심 · 갈상나 · 나색파 · 달밀 · 영원국 · 대발률 · 토화라 · 읍달국 · 구란국 · 월저연국 · 범연국 · 석한나 · 식익 · 사몰 · 구밀 · 호밀 · 개실밀 · 골돌 · 소비 · 다미 · 이오성 · 사자국 · 파사국 · 구위 · 불름국 · 대식국 · 달만 222권 「남만전(南蠻傳)」 남조 · 임읍 · 파리국 · 반반국 · 정랍 · 수진랍국 · 타원국 · 가릉국 · 타화라국 · 타파등국 · 동사만 · 서조만 · 장가만 · 표국 223권 「간신전(奸臣傳)」 허경종 · 이의부 · 부유예 · 이임보 · 진희열 · 노기 · 최윤 · 최소위 · 유찬 ,장현휘 장정범 씨숙종 주우공, 224권 「반신전(叛臣傳)」 복고회은 · 주지광 · 양숭의 · 이회광 · 진소유 · 이기(李錡) · 이충신 · 교림 · 고병 · 주매 · 왕행유 · 진경선 · 이거천 225권 「역신전(逆臣傳)」 안녹산 · 고상 · 손효철 · 이희열 · 사사명 · 주차 · 황소 · 진종권 · 동창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48252><tablebgcolor=#a482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