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08:16:38

해금강

해금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943b5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명승 名勝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명주 청학동 소금강
  1. 거제 해금강
  2. 완도 정도리 구계등
  3. 울진 불영사계곡 일원
  4. 여수 상백도·하백도 일원
  5. 옹진 백령도 두무진
  6. 진도의 바닷길
  7. 삼각산
  8. 청송 주왕산 주왕계곡 일원
  9. 진안 마이산
  10.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
  11. 영월 어라연 일원
  12.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
  13. 예천 회룡포
  14. 부산 영도 태종대
  15. 소매물도 등대섬
  16. 예천 선몽대 일원
  17. 제천 의림지와 제림
  18. 공주 고마나루
  19. 영광 법성진 숲쟁이
  20. 봉화 청량산
  21. 부산 오륙도
  22. 순천 초연정 원림
  23.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예천 초간정 원림
  1. 구미 채미정
  2. 거창 수승대
  3. 고창 선운산 도솔계곡 일원
  4. 무주 구천동 일사대 일원
  5. 무주 구천동 파회·수심대 일원
  6. 담양 식영정 일원
  7. 담양 명옥헌 원림
  8.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
  9.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
  10. 속리산 법주사 일원
  11. 가야산 해인사 일원
  12. 부여 구드래 일원
  13. 지리산 화엄사 일원
  14. 조계산 송광사·선암사 일원
  15. 두륜산 대흥사 일원
  16. 서울 백악산 일원
  17. 양양 하조대
  18. 안면도 꽃지 할미 할아비 바위
  19. 춘천 청평사 고려선원
  20.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21. 지리산 한신계곡 일원
  22. 태백 검룡소
  23. 대관령 옛길
  24. 영월 한반도 지형
1.#76 영월 선돌
  1. 제주 서귀포 산방산
  2. 제주 서귀포 쇠소깍
  3. 제주 서귀포 외돌개
  4. 진도 운림산방
  5. 포항 용계정과 덕동숲
  6. 안동 만휴정 원림
  7. 사라오름
  8. 영실기암과 오백나한
  9. 함양 심진동 용추폭포
  10. 함양 화림동 거연정 일원
  11. 밀양 월연대 일원
  12. 거창 용암정 일원
  13. 화순 임대정 원림
  14. 한라산 백록담
  15. 한라산 선작지왓
  16. 제주 방선문
  17. 포천 화적연
  18. 포천 한탄강 멍우리 협곡
  19. 설악산 비룡폭포 계곡 일원
  20. 설악산 토왕성폭포
  21. 설악산 대승폭포
  22. 설악산 십이선녀탕 일원
  23. 설악산 수렴동·구곡담 계곡 일원
  24. 설악산 울산바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설악산 비선대와 천불동계곡 일원
  1. 설악산 용아장성
  2. 설악산 공룡능선
  3. 설악산 내설악 만경대
  4. 청송 주산지 일원
  5. 강릉 용연계곡 일원
  6. 광주 환벽당 일원
  7. 강릉 경포대경포호
  8. 남양주 운길산 수종사 일원
  9. 괴산 화양구곡
  10. 구례 오산 사성암 일원
  11. 화순 적벽
  12. 군산 선유도 망주봉 일원
  13.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
  14. 강진 백운동 원림
  15. 부안 직소폭포 일원
  16. 신안 가거도 섬등반도
  17. 서울 성북동 별서
  18. 장흥 천관산
  19. 울주 반구천 일원
  20. 고흥 지죽도 금강죽봉
  21. 완주 위봉폭포 일원
  22. 부안 우금바위 일원
  23. 칠곡 가산바위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파일:거제시 CI_White.svg 거제9경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남부면 해금강 바람의 언덕신선대 홍포여차해안
일운면 외도 보타니아 동백섬 지심도 공곶이내도
동부면 학동흑진주몽돌해변
고현동 거제도포로수용소유적공원
장목면 거가대교
}}}}}} ||

파일:거제시 CI_White.svg 거제시의 관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d22027> 도심 <colbgcolor=#fff,#191919>거제 포로수용소거제관광 모노레일 ‧ 고현시장 ‧ 옥포국제시장 ‧ 장승포항 ‧ 독봉산 웰빙공원
외곽 거가대교바람의언덕신선대해금강외도 보타니아학동몽돌해변구조라해변지심도홍포여차해안공곶이매미성맹종죽 테마파크거제 씨월드소매물도장사도 해상공원거제 정글돔 ‧ 와현 해변 ‧ 이수도 ‧ 망치 몽돌해변 ‧ 저도 ‧ 지세포항 ‧ 저구항 ‧ 거제 자연휴양림 ‧ 산방산 비원 ‧ 구조라성 ‧ 서이말 등대 ‧ 청마기념관 ‧ 김영삼 대통령 생가 ‧ 문재인 대통령 생가 ‧ 옥포대첩 기념관 ‧ 거제 조선해양박물관 ‧ 거제 어촌민속전시관 ‧ 칠천량 해전공원 ‧ 문동폭포 ‧ 가조도 수협효시공원 ‧ 근포땅굴 ‧ 지세포성 라벤더공원 ‧ 우제봉 ‧ 내촐 유채꽃밭
행사 대금산 진달래 축제(4월 초) ‧ 거제 옥포대첩 축제(6월 중순) ‧ 남부면 수국 축제(6월 말) ‧ 바다로 세계로(7월말)‧ 청마 꽃들 축제(9월 말) ‧ 거제 섬꽃 축제(10월 말)
※ 관광객들이 명소로 많이 찾는 곳은 굵게 표시함.
행사 날짜는 시작 일 기준이며 바뀔 수 있음.
}}}}}}}}}

대한민국의 명승 제2호
<colbgcolor=#943b58><colcolor=#fff> 거제 해금강
巨濟 海金剛 | Haegeumgang Islets, Geoje
파일:해금강.jpg
소재지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갈곶리 산1 외 2필
분류 자연유산 / 명승 / 자연경관
면적 223,992㎡
지정일자 1971년 3월 23일
소유자 해금강 새마을회 외
관리자 거제시

1. 개요2. 상세3. 관람4. 서복이 다녀갔다는 전설


1. 개요

경상남도 거제시에 있는 . 이름은 금강산에 있는 '해금강'에서 따온 이름이다.

2. 상세

경남 거제시 남부면 갈곶리 갈도(葛島, 칡섬). 1971년에 대한민국 명승 제2호로 지정되었으며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속해있다. 해금강은 엄밀히 말하면 정식 명칭이라기보단 별명인데, 어원은 그 모습이 바다의 금강산과 같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실제로 정식 명칭인 갈도보다는 해금강이라 훨씬 많이 불리고 있다.

한국의 해안에서 쉽게 찾아보기 힘든 웅장한 경관으로 과거부터 거제시의 대표적인 절경이며 가장 오래된 유명 관광지다.

바람의 언덕신선대에서 해금강으로 이어지는 해금강로 도로변에는 수국종려나무가 있어 수국이 피는 7월 전후로 이곳을 찾으면 이국적인 모습과 이를 사진에 담으려는 인파로 장관을 이룬다.

3. 관람

해금강은 굉장히 가파른 바위절벽으로 된 섬이라 직접 상륙할 수는 없고 기본적으로 유람선을 타고 바다에서 관람한다. 육지에서도 해금강종점, 우제봉전망대 쪽으로 가면 볼 수 있지만, 해금강 사진들의 깎아지는 절벽이 절경을 이루는 모습은 바다 쪽 모습이며, 반대로 육지에서 바라보는 반대편의 모습은 여느 섬처럼 평범하다. 대신 이쪽은 일출 모습으로 인기가 있다.#

아무튼 해금강으로 유명한 바다 쪽 면을 보려면 유람선을 타야 하는데, 해금강은 거제의 대표 관광지인만큼 거제시 여러 포구에서 유람선이 출발한다. 해금강마을, 장승포, 지세포, 구조라, 도장포 등에서 유람선을 타고 갈 수 있는데, 지세포나 구조라는 거제 시가지에서 가까운 곳이고, 반면 해금강 마을은 해금강에서 제일 가까운 곳인데 어디서 출발해도 요금은 만몇천원 정도로 큰 차이가 없다.

2000년대 이후로 외도가 유명세를 타면서 대부분의 유람선이 해금강과 외도 두 곳을 돌아보는 루트로 나오는 경우가 많아졌다. 외도가 주 관람지가 되고 해금강이 선택지가 된 경향이 있다. 단 외도를 안 가고 해금강만 보는 유람선도 편수는 적지만 다니고 있다.

해금강은 섬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다. 섬 중앙에 십자모양으로 갈라진 수로가 있는데 파도가 잔잔한날 작은 유람선이나 보트로 항해할 때 십자동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일반적인 외도+해금강 루트를 달리는 큰 유람선은 이 수로에 들어가지 못하고 바로 앞까지만 갔다가 돌아나온다. 해금강마을에서 운항하는 유람선은 파도가 없는 날에는 내부로 진입하기도 한다. 해금강 안쪽까지 들어갔다 나오고 싶으면 도장포에서 수시로 출발하는 제트보트를 타는 것도 괜찮다. 단 제트보트 특성상 안경이 날아갈 수 있을 정도로 놀이공원 기구마냥 빠르고 거칠기 때문에 스릴은 있지만[1] 해금강의 모습을 느긋하게 사진 찍고 감상하기엔 좀 짧을 수도 있다.

해금강유람선 여행을 위한 유람선 예약
https://www.hggtour.net/

4. 서복이 다녀갔다는 전설

해금강 절벽에는 진시황의 신하 서복(서불)이 명을 받아 동남동녀와 같이 불로초를 찾으러 동방으로 향했을 때 이곳에 들러 새겼다고 하는, 일종의 인증 문자인 서불과차(徐巿過此)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 글자가 적힌 절벽은 1959년에 역대급으로 강력했던 태풍 사라가 한반도를 덮쳤을 때 소실되었다고 한다. 즉 지금은 해금강에 가도 이 글씨를 더이상 읽을 수 없고 아주 미미한 흔적만이 남아있으며, 옛날에는 인지도도 낮고 찾아가기도 힘든 위치였기 때문에 이 글씨를 남긴 사진도 없다. 다만 글씨가 있었음을 전하는 기록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경상우병사였던 조익찬(曺益贊)이 1870년대에 지은 시와 1881년에 영의정 이유원이 전하는 기록이 있다.

특히 이유원의 기록은 내용이 매우 구체적인데 거제에 유배되었을 당시 해금강을 찾아 탁본을 떴고 이 글자가 옛 서법(書法)의 일종인 도해법(倒薤法)과 만세고등(萬歲枯藤)[2] 방식으로 쓰여졌으며 '사람들이 서불 2자는 맞고 과차 2자는 아니라는데, 나는 과차 2자를 보았다'라는 기록과 후에 이 탁본을 들고와서 지은 "갈도석각가(葛島石刻歌, 1881년)"를 남겼다.

서불은 당시 거제의 와현 마을에 머물다 일본으로 건너갔다고도 한다. 서복이 중국에서 동쪽으로 향하며 여기저기에 들렀다는 전설은 다른 곳에도 있으며 남해안 다른 지역과 제주도, 일본에도 전해져 내려온다.##

남해군 금산에도 서불과차로 추정되는 글자가 새겨진 바위가 있는데 다만 "글자"인지, "그림"인지가 불분명하고 글자라고 해도 정확히 무슨 의미인지를 정확히 알지 못해 연구 대상이다. 그럼에도 남해군은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계곡 입구에 서복상을 세워놨다. 또 서귀포시 정방폭포 절벽에도 서복이 다녀갔다는 의미의 서불과지(徐巿過之)라는 글자가 있었다고 하는데 서귀포에서 유배 생활을 하던 추사 김정희가 이를 발견하여 탁본을 떴다고 한다. 서귀포시도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정방폭포 근처에 서복 전시관을 지었다.


[1] 물론 좁은 해금강 내부 수로에서는 천천히 운행한다.[2] 서예 용어로 만년이 된 마른 등나무와 같이 붓질을 할 때에는(특히 세로획) 힘차고 굳세게 해야 한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