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07:48:17

소쇄원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943b5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명승 名勝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명주 청학동 소금강
  1. 거제 해금강
  2. 완도 정도리 구계등
  3. 울진 불영사계곡 일원
  4. 여수 상백도·하백도 일원
  5. 옹진 백령도 두무진
  6. 진도의 바닷길
  7. 삼각산
  8. 청송 주왕산 주왕계곡 일원
  9. 진안 마이산
  10.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
  11. 영월 어라연 일원
  12.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
  13. 예천 회룡포
  14. 부산 영도 태종대
  15. 소매물도 등대섬
  16. 예천 선몽대 일원
  17. 제천 의림지와 제림
  18. 공주 고마나루
  19. 영광 법성진 숲쟁이
  20. 봉화 청량산
  21. 부산 오륙도
  22. 순천 초연정 원림
  23.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예천 초간정 원림
  1. 구미 채미정
  2. 거창 수승대
  3. 고창 선운산 도솔계곡 일원
  4. 무주 구천동 일사대 일원
  5. 무주 구천동 파회·수심대 일원
  6. 담양 식영정 일원
  7. 담양 명옥헌 원림
  8.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
  9.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
  10. 속리산 법주사 일원
  11. 가야산 해인사 일원
  12. 부여 구드래 일원
  13. 지리산 화엄사 일원
  14. 조계산 송광사·선암사 일원
  15. 두륜산 대흥사 일원
  16. 서울 백악산 일원
  17. 양양 하조대
  18. 안면도 꽃지 할미 할아비 바위
  19. 춘천 청평사 고려선원
  20.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21. 지리산 한신계곡 일원
  22. 태백 검룡소
  23. 대관령 옛길
  24. 영월 한반도 지형
1.#76 영월 선돌
  1. 제주 서귀포 산방산
  2. 제주 서귀포 쇠소깍
  3. 제주 서귀포 외돌개
  4. 진도 운림산방
  5. 포항 용계정과 덕동숲
  6. 안동 만휴정 원림
  7. 사라오름
  8. 영실기암과 오백나한
  9. 함양 심진동 용추폭포
  10. 함양 화림동 거연정 일원
  11. 밀양 월연대 일원
  12. 거창 용암정 일원
  13. 화순 임대정 원림
  14. 한라산 백록담
  15. 한라산 선작지왓
  16. 제주 방선문
  17. 포천 화적연
  18. 포천 한탄강 멍우리 협곡
  19. 설악산 비룡폭포 계곡 일원
  20. 설악산 토왕성폭포
  21. 설악산 대승폭포
  22. 설악산 십이선녀탕 일원
  23. 설악산 수렴동·구곡담 계곡 일원
  24. 설악산 울산바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설악산 비선대와 천불동계곡 일원
  1. 설악산 용아장성
  2. 설악산 공룡능선
  3. 설악산 내설악 만경대
  4. 청송 주산지 일원
  5. 강릉 용연계곡 일원
  6. 광주 환벽당 일원
  7. 강릉 경포대경포호
  8. 남양주 운길산 수종사 일원
  9. 괴산 화양구곡
  10. 구례 오산 사성암 일원
  11. 화순 적벽
  12. 군산 선유도 망주봉 일원
  13.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
  14. 강진 백운동 원림
  15. 부안 직소폭포 일원
  16. 신안 가거도 섬등반도
  17. 서울 성북동 별서
  18. 장흥 천관산
  19. 울주 반구천 일원
  20. 고흥 지죽도 금강죽봉
  21. 완주 위봉폭포 일원
  22. 부안 우금바위 일원
  23. 칠곡 가산바위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한국 정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궁원 宮苑
누원 樓苑 임해전
성동동 전랑지
용강동 원지 유적
구황동 원지 유적
부여 궁남지
익산 금마저 왕궁 후원
안학궁 정원
경복궁 경회루
경복궁 향원정
조선
창덕궁 서총대
원림 苑林 만월대 금원
경복궁 북원
창덕궁 비원
조선
경희궁 후원
조선
인경궁
조선
자수궁
화계 花階 경복궁 아미산
창덕궁 낙선재
왕실누정 王室樓亭 망원정
용양봉저정
낙천정
조선
탕춘대
관원 官苑
누원 樓苑 장대 將臺 촉석루
영보정
방화수류정
연광정
통군정
인풍루
수항루
객사 客舍
동헌 東軒
군영 軍營
세검정
환아정
영남루
군자정
한벽루
지수당
죽서루
백상루
성천
강선루
육승정
함흥
칠보정
관덕정
감영 監營 영주관
부용당
오순정
명승 名勝 광한루
항미정
채미정
망양정
월송정
쌍수정
경포대
청간정
총석정
부벽루
칠성정
풍패루
해월정
사원 私苑
별서 別墅 정원 庭苑 석파정 ·
서울
옥호정 ·
서울
백석동 별서 · 성북동 별서 ·
서울
무계동 별서 ·
반계 윤웅렬 별서 · 운림산방 · 서석지 · 귀래정 · 독락당 ·
다산초당 · 함안 무진정 · 남간정사
원림 苑林 부용원 · 소쇄원 · 식영정 · 환벽당 · 면앙정 · 송강정 ·
명옥헌 · 독수정 · 임대정 · 부춘정 · 백운동원림 · 초연정 ·
용호정 · 요월정 · 심원정 · 초간정 · 용계정 · 만휴정
임천원 臨川苑 효사정 ·
서울
압구정 ·
서울
천일정 · 서벽정 · 농월정 ·
거연정 · 요수정 · 용암정 · 월연대 · 선몽대 ·
청암정 · 침수정 · 위양지 완재정
향원 鄕苑 영보정 · 무기연당 · 선교장 · 오죽헌 ·
방해정 · 쌍산재 · 진주 용호정원
사원 寺苑
정림사 연지 · 미륵사 쌍지 ·
남원
실상사 지당 · 송광사 계담 ·
수선사 정원 ·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경주
불국사 구품연지 · 청평사 고려선원 · 낙산사 의상대 ·
대흥사 무염지 · 통도사 구룡지 · 봉선사 화계 · 봉정사 영산암
기타
금장대 · 태화루
현대정원
진해루 · 월화원 · 외도 보타니아 · 별빛정원 · 황산불빛정원 · 39-17 마중 ·
발리정원 · 섬이정원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생각하는 정원 · 남이섬 · 원생정원
수목원 · 국가정원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현존하지 않는 건축물
}}}}}}}}}
대한민국의 명승 제40호
<colbgcolor=#943b58><colcolor=#fff> 담양 소쇄원
潭陽 瀟灑園 | Soswaewon Garden, Damyang
소재지 전라남도 담양군 소쇄원길 17 (가사문학면)
분류 자연유산 / 명승 / 역사문화경관
면적 121,450㎡
시대 조선 중종
지정일자 2008년 5월 2일
소유자 담양군
관리자 담양군
파일:attachment/SSgarden.jpg
광풍각(光風閣)[1]
1. 개요2. 역사3. 찾아가기
3.1. 교통편3.2. 입장료3.3. 인근 관광지3.4. 편의시설
4. 소쇄원의 구성
4.1. 소쇄원 48영
5. 기타

1. 개요

조선 중기에 건축된 한국 전통의 별서정원.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2] 지곡리에 있다. 근처에 전라남도 교육연수원이 있다. 다듬지 않은 자연과 어우러진다는 조선시대의 특유의 조경 문화를 대표하는 곳이다. 조선시대 별서 양식 중에서 그나마 제대로 유지되고 있는 대한민국 내 몇 안 되는 정원이기 때문에 조경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이름들 중 하나다.

2008년 5월 2일부로 사적에서 명승으로 재분류되어, 명승 제40호로 지정되어 있다.

소쇄원의 '소쇄(瀟灑)'는 맑고 깨끗하다는 뜻의 옛날 단어로 중화권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이다. 또 맑을 소(瀟)자나 뿌릴 쇄(灑)자는 인명에서나 아주 가끔 발견될 정도로 현대 한국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 한자이다.

2. 역사

1755년의 소쇄원도

조선 중기의 선비 양산보(梁山甫)가 소쇄원을 지었다. 양산보는 본래 조광조의 제자였으나 조광조가 기묘사화로 죽음을 당하자 세상에 미련을 두지 않고 고향인 창평(담양군의 일부)으로 내려와서 은둔하면서 지었다고 한다.

정확한 건축연대를 두고 논란이 있다. 호남의 대표적 유학자인 하서 김인후가 중종 23년(1528)에 소쇄원에 올라 <소쇄정즉사(瀟灑亭卽事)>란 시를 지었는데 여기에 간접적인 기사가 있다. 또한 송강 정철이 지은 <소쇄원제초정(瀟灑園題草亭)>이란 시에서는 자신(정철)이 태어난 해에 소쇄원이 지어졌다고 언급했다. 정철은 중종 31년(1536)에 태어났으므로 소쇄원도 1536년에 지어졌단 소리가 되는데, 그러면 김인후가 지은 <소쇄정즉사>와 내용이 충돌한다.

면앙정 송순이 소쇄원을 두고 지은 시가 중종 29년(1534)에 나왔기 때문에 정철이 언급한 내용은 착오일 것이다. 대체적으로 김인후의 시를 바탕으로 해서 1520년대 중후반부터 건축이 시작되어 1536년 정도에 완공되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본래 은둔을 위해 지은 건물이지만, 워낙 풍경이 좋은 곳이라 수많은 문인들이 이곳을 찾았고 문학과 학문연구의 산실이 되었다. 김인후, 정철, 송순 이외에도 의병장으로 유명한 제봉 고경명, 이황과 사단칠정 논쟁을 한 사람으로 유명한 유학자 기대승 등도 소쇄원을 찾아와서 양산보와 교분을 나누고 시를 지었다고 한다.

양산보는 임종 직전에 "어느 언덕이나 골짜기를 막론하고 나의 발길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으니 이 동산을 남에게 팔거나 양도하지 말고 어리석은 후손에게 물려주지 말 것이며, 후손 어느 한 사람의 소유가 되지 않도록 하라." 하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양산보의 후손들은 그의 유언을 철저하게 따라서 소쇄원을 지켜왔다.[3]

그러나 정유재란 때 왜군이 담양으로 쳐들어와서 소쇄원에 불을 놓아 양산보가 지은 소쇄원은 소실되었다. 칠천량 해전으로 원균이 수군을 말아먹고 전라도 땅으로 왜군이 침입한 탓이었다.

이후 양산보의 손자인 양천운이 소쇄원의 복구를 시작해서 현손[4]인 양경지 때에 상당 부분 복구되었지만 수많은 조선 중기 학자, 문인들이 보고 즐기던 경치와 정원이 소실되고 이후에 재건된 것이 지금까지 보존되었으므로 안타깝다. 그래도 명종 3년(1548) 김인후가 <소쇄원사십팔영(瀟灑園四十八詠)>이라는 시를 지으며 꽤 자세하게 서술한 탓에 상상 정도는 가능하고, 영조 51년(1775)에 간행된 <소쇄원도(瀟灑園圖)>라는 판화를 <소쇄원사십팔영>과 비교할 수 있기에, 원형을 가늠하기조차 어려운 다른 한국 내 전통 정원들보다는 그나마 상황이 낫다. 복원한 소쇄원과 <소쇄원사십팔영>을 비교하면 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데, 이런 자료들 덕분이었다.

광주 충효동의 환벽당, 송순이 지은 면앙정등과 함께 가사문학권으로 지정되었다.

3. 찾아가기

3.1. 교통편

광주광역시에서 이곳으로 가는 버스는 충효187번이 있다. 운행 간격은 2022년 기준 5~60분이다(2022년 8월 19일 금요일 낮 시긴대 기준으로 단 두 대만 운영되고 있다). 주요 경유지로는 산수오거리, 서방시장, 말바우시장 등이 있다. 그외 충효188번도 있으나, 이 노선은 시 외곽만을 운행해 석곡동, 망월동 주민이 아니라면 탈 경우가 없다. 광주종합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담양225번 역시 소쇄원을 경유한다.

187번을 타고 와서 하차 태그 시 시외요금 100원 결제된다. 시간적 여유가 된다면 충효동 환벽당 정류장[5] 에 내려서 걸어가야 한다.

정류장 이름이 소쇄원이기 때문에 놓치지 않고 내릴 수 있다.

인근(광주호생태원, 죽녹원 등)을 돌아보기 편하려면 자동차를 타고 가는 게 낫다. 소쇄원 표지판이 서 있는 남쪽에 주차장이 있다. 소쇄원은 길 건너 반대편 골목으로 들어가야 한다.

3.2. 입장료

후손들이 소쇄원을 꾸준히 유지/보수하고 있으며, 수익을 위해서가 아닌 유지비 명목의 입장료를 받는다. 입장할 때 사유지임을 알리는 표지판을 볼 수 있다.

2022년 기준 성인 2000원, 청소년 1000원.

3.3. 인근 관광지

소쇄원 주변은 가사문학의 중심지로, 문인들이 시를 짓던 정자들이 많이 있다. 대부분은 직접 출입이 가능하며, 특별한 입장료는 없다. 다만 정자와 정자 사이의 거리는 도보로 걷기에 조금 멀 수도 있다. 막상 가도 크게 볼 건 없으나, 그 당시 사람들이 이런 느낌으로 글을 썼을 거란 느낌을 상상해보면 좋다.

특별히 안내 표지판이 없어 길을 잃은 경우에는 구글 지도로도 찾을 수 있다.[6] 고등학생 때 가사문학을 잘 공부해두면 묘하게 여행에 도움이 된다.

근처에 가사문학관이 있으며, 입장료를 내고 입장할 수 있다.(2023년부터 입장료 면제)

참고로 같은 담양에 있는 죽녹원까지 거리는 상당하다. 여기서 죽녹원을 가려면 광주 버스 충효187 (배차간격 1시간, 매시 40분 소쇄원 앞 도착)이나 담양 버스 225 (배차간격 1시간, 매시 정각 소쇄원 앞 도착)를 타고 광주 북구 농산물직판장에서 담양 버스 311로 환승하자.

3.4. 편의시설

  • 소쇄원 내에는 특별한 편의시설이 없다. 밖으로 나와 길을 건너서 저수지 방향으로 가다보면, 간단한 분식을 취급하는 매점 겸 휴게소가 있다. 아니면 가사문학관/광주호생태원 쪽으로 가다보면 ‘카페거리’도 있으나 걸어가기 적당한 도로는 아니다.
  • 점심 시간을 끼워 이동을 한다면 도시락이나 간단한 요기거리를 챙기는 게 좋다.
  • 입구에서 잠깐 걸어가면 한정식 식당이 있다.

4. 소쇄원의 구성

  • 제월당 - 좌측 위
  • 광풍각 - 중앙
  • 대봉대
  • 고암정사 - 좌측 아래, 터만 남았다.
  • 부훤당 - 좌측 아래, 터만 남았다.
오곡문과 제월당 글씨는 우암 송시열이 썼다.

4.1. 소쇄원 48영

하서 김인후가 1548년에 지은 시로서 건물, 지형, 식생, 동물, 공간 등의 구성요소와 사용모습 등을 그리고 있어서 불타 없어지기 전의 소쇄원을 대략적으로나마 추정할 수 있게 해준 자료들 중 하나이다. 단 현재 걸린 현판은 제1공화국 시절의 것이다(단기 연호 사용, ‘문중에서 새겼다’는 글).

5. 기타

사진빨을 못 받는 곳 중 하나인데 그래도 종종 웨딩 사진찍으러 오는 커플도 있는 모양이다. 인공적이지 않은 자연 친화적인 정원이라 아름다운 구도를 잘 포착하지 않으면 그냥 산에 정자 하나 세워둔 것처럼 찍히기 쉽다. 또한 정원이 다 그렇듯이 계절에 따라서 분위기가 천차만별이다.

2022년 8월 기준 매표소 반대편에는 고방오리 몇 마리를 기르고 있는데 소쇄원 소유인지는 불명.

소쇄원을 처음 들어갔을 때 나오는 대나무 숲 때문에 죽녹원으로 오해받는 경우가 드물게 있다. 여기에서 죽녹원으로 이동하는 건 쉽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7] 애초에 소쇄원이 처음 세워졌을 때에는 이곳은 전라남도 담양군이 아닌, 현재는 사라진 창평군이었다. 이를 합친 것이 얼마 되지 않았기에 아직도 담양읍 지역과의 교통 연계가 약하다고 한다.
[1] ⓒ 2007 by 방형준(才誠) , http://www.liberotown.com/2007/05/01/07040506-%EB%8B%B4%EC%96%91-%EC%86%8C%EC%87%84%EC%9B%90-%E6%BD%AD%E9%99%BD-%E7%80%9F%E7%81%91%E5%9C%92/[2] 해당 지역 이름이 본래는 남면이었는데, 가사문학면으로 바뀐 것이 소쇄원의 존재로 인한 것이다.[3] 참고로 이 유언은 당나라 이덕유라는 사람이 평천산거계자손기에서 말한 것이 시초다.[4] 손자의 손자, 즉 양천운의 손자[5] 소쇄원으로 부터 걸어서 10~20분 거리에 있다. 생각보다 거리가 가까우니 참고해야 한다.[6] 예를 들어 '식영정'을 찾아보자[7] 대중교통으로 죽녹원에 가려면 225이나 187번을 타고 문흥지구 입구까지 나가서 311번을 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