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17:59:31

순천시

순천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순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북한의 순천시(順川市)에 대한 내용은 순천시(북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2014년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에 대한 내용은 순천(영화)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cd00>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파일:여수시 CI.svg
여수시
파일:순천시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dc6b31 21%, #dc6b31); font-size: 1em"
]] 순천시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파일:광양시 CI.svg
광양시
자치군
파일:담양군 CI.svg
담양군
파일:곡성군 CI.svg
곡성군
파일:구례군 CI.svg
구례군
파일:고흥군 CI.svg
고흥군
파일:보성군 CI.svg
보성군
파일:화순군 CI.svg
화순군
파일:장흥군 CI.svg
장흥군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
파일:해남군 CI.svg
해남군
파일:영암군 CI.svg
영암군
파일:무안군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18755 21%, #018755); font-size: 1em"
]] 무안군
파일:함평군 CI.svg
함평군
파일:영광군 CI.svg
영광군
파일:장성군 CI.svg
장성군
파일:완도군 CI.svg
완도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진도군 CI.svg
진도군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443F4D>
파일:순천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승주읍 해룡면 서면 황전면 월등면 주암면
송광면 외서면 낙안면 별량면 상사면
||<width=30%><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ddd><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4D8EA0>
행정동
||<-4> 법정동 ||
<colbgcolor=#DB6445> 향동 금곡동 삼거동 영동
옥천동 와룡동 행동
매곡동 매곡동
조곡동 조곡동
풍덕동 풍덕동
저전동 저전동
장천동
시청
장천동
삼산동 가곡동 석현동 용당동
덕연동 덕암동 생목동 연향동
남제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남정동 인제동 }}}
중앙동 남내동 동외동 중앙동
도사동 교량동 대대동 대룡동
덕월동 안풍동 야흥동
오천동 인월동 홍내동
왕조1동 왕지동
조례동
왕조2동
}}}}}}}}} ||
전라남도자치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순천시 CI.svg
순천시
順天市
Suncheon City
}}}
<colbgcolor=#443F4D><colcolor=#fff> 시청 소재지 장명로 30 (장천동)
광역자치단체 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 1 10 13
면적 910.96㎢[1]
인구 276,148명[2]
인구밀도 303.13명/㎢[3]
시장
노관규 (3선)
시의회
파일:zsdkl3gasdg.svg
20석[4]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2석[5]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석[6]

2석[7]
도의원
파일:zsdkl3gasdg.svg
8석[8]
국회의원
<colbgcolor=#443F4D><colcolor=#fff>
파일:zsdkl3gasdg.svg
김문수

파일:zsdkl3gasdg.svg
권향엽
상징 시화 철쭉
시목 감나무
시조 흑두루미
지역번호 06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밴드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지리
4.1. 지형4.2. 기후4.3. 주변 지역과의 관계
5. 인구6. 교통7. 경제8. 관광
8.1. 주요 관광지 목록
9. 교육
9.1. 초/중/고등학교
9.1.1. 고등학교 배정 관련
9.2. 대학교9.3. 도서관
10. 생활문화
10.1. 음식10.2. 치안10.3. 의료기관
11. 정치12. 군사13. 하위 행정구역14. 기타15. 미디어에서의 출연16. 출신 인물
16.1. 순천과 관련이 있는 인물
17. 자매결연·우호·협력증진도시
17.1. 자매결연도시
17.1.1. 국내17.1.2. 해외
17.2. 우호도시
17.2.1. 국내17.2.2. 해외
17.3. 협력증진도시
1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순천시청.jpg
순천시청
전라남도 순천시 장명로 30 (장천동)
파일:attachment/순천역/순천역.jpg
파일:순천만국제정원 야경.jpg
순천역 순천만국가정원
전라남도 동남부에 있는 . 전라남도청 동부청사 소재지이자, 전라남도 최대도시다.[11] 1995년 순천시와 승주군이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전라도를 통틀어도 광주광역시, 전주시, 순천시 순으로 호남 제3의 도시다. 현재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행정, 교육,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고, 철도로는 전라선경전선이 지나간다.

여수시광양시[12]사이에 끼어있기 때문에 이들 도시의 중심을 맡고있다.[13]

전라남도 동부의 중심 도시이자 수부 도시, 소비 도시이자 교육 도시로서 주변의 여수시[14], 광양시, 고흥군, 구례군, 보성군 벌교읍, 경상남도 하동군, 경상남도 남해군의 주민들이 소비하는 돈에 의존하는 경향이 굉장히 크다. 사실상 순천시가 행정시설이 많은 것 또한 이러한 도시들 때문. 경상남도 서부의 중심이자 경남 서부청사[15]가 있는 진주시와 성격이 매우 비슷하며 서로 거리도 가까운 편이고 자매도시이다.

동쪽에 광양시 남쪽에 여수시, 북쪽에 곡성군구례군 서쪽에 보성군이 있다. 북서쪽으로는 화순군과도 맞닿아 있다. 지리산과의 거리도 매우 가까운 편이다.

2. 상징

순천시의 심볼마크
파일:순천시 CI.svg
천혜의 자연이 도시와 조화를 이루고 미래로 이어지는 모습을 그린 디자인입니다.
S : 흑두루미, 순천만
U : 유네스코
N :
C : 칠면조 군락
H : 사람 연결
E : 봉화산
O : 순천만
N : 미래 연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역대 CI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colbgcolor=#ffffff,#1c1d1f> 파일:순천시 CI(2001~2024).svg
2001년 ~ 2024년[16]
* ㅅ은 전통 기와지붕의 형상으로 순천시가 전통과 역사가 숨쉬는 도시임을 나타내며 "사람 人"의 모습을 상징한다. 또한 하늘로 힘차게 상승하는 방향표시로써 21세기 중심도시로써 웅비하는 순천시의 모습이기도 하다.}}}}}}}}}}}}}}}
순천시의 마스코트
파일:순천시 루미 뚱이.svg
순천시의 마스코트로 순천시의 시조이자 천연기념물 제228호인 “흑두루미”와 세계 5대 연안 습지에 속하면서 천혜의 생태자원인 순천만습지의 “짱뚱어”를 캐릭터로 표현하여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생태도시의 이미지를 담고자 했으며, 마스코트의 이름은 “루미와 뚱이”이다.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순천시/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마한의 소국인 사타국(娑陀国)이 있었고 삼국시대에는 마한 소국들의 연맹체인 침미다례를 견제하던 백제의 간접지배를 받다가 백제가 고구려에게 수도 위례성을 정복당하고 혼란에 빠진 틈을 타 전남 일대에 진출한 가야 반파국(대가야)이 주도하던 가야연맹의 간접지배 하에 들어간다. 이후 반파국을 몰아낸 백제는 순천 일대를 직접지배화하면서 최초로 행정구역인 감평군(欿平郡)을 설치한다. 남북국시대에는 신라 경덕왕의 한화정책에 의해 승평군(昇平)으로 개칭되었고 고려 시대에는 12목 중 하나인 승주(昇州), 조선 시대에는 순천도호부(順天), 23부제를 시행 했을때는 낙안군 지역 제외 전 지역이 남원부, 낙안군 지역이 나주부에 속했다.[17] 참고로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에서 마치 이순신의 책사 같았던 권준이 바로 순천부사, 신호는 현재 순천시에 편입된 낙안군수. 극 후반에 권준이 충청수사로 승진하면서 우치적이 순천부사가 된다. 그리고 순천왜성에서 일어난 왜교성 전투를 묘사한 편과 노량 해전을 묘사한 편에서도 등장하였다. 순천왜성으로 남아있는 왜교성과 현재는 매립된 당시 포구였던 신성포가 격전지였다.[18]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순천을 산과 물이 기이하고 고운 탓에 세상에서 소(小)강남이라고 일컫는다는 기록이 있다. 마치 순천의 자연환경이 중국의 강남과 비슷하다는 뜻으로 작은 강남이라고 일컬었다고 한다.

4. 지리

파일:external/www.gangseo.seoul.kr/suncheon_map.jpg

전라남도 동부에 위치해 있다. 완전히 경상남도와 인접해있는 옆동네 광양시, 여수시만큼은 아니지만 직접 붙어있지는 않아도 경상남도와 가까워서 생활권과 방언이 경상남도 서부와 겹치는 부분이 일부 있다. 전라남도 서부 중심도시 목포시보다 경상남도 진주시가 거리상[19] 더 가깝다.

4.1. 지형

지형적으로 크게 네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 순천시 시가지가 있는 동천 유역, 주암면, 송광면 등의 보성강 유역, 낙안면이 있는 벌교천 유역, 그리고 황전면, 월등면이 해당되는 황전천 유역이다. 그리고 이 지역 간에는 산자락으로 구분된다. 승주읍내를 관통하는 이사천은 동천에 합류하여 순천만으로 빠지는데, 상사댐으로 인해 동천 유역임에도 지형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순천"만에서 알수 있듯이 별량면, 도사동, 해룡면 일부[20]가 남해 바다에 접하는데 순천 시가지와 바다는 좀 떨어져 있고 순천시의 도시 성장 배경도 여수처럼 항구로 성장한게 아니라 전남 동부의 교통요지로서 성장한 것이다.

대체로 시의 동남부 지역은 높은 이 없고 평탄한 편이지만 시의 북쪽이나 북서쪽에는 들이 즐비하다. 순천에서 가장 높은 산은 화순군과의 경계에 있는 모후산(해발 919m)이지만 모후산은 시의 최서단에 위치하여 순천시내에서 꽤 멀고 등산객들에게 화순군으로 여겨지고 있는 탓에 도립공원조계산(884m)이 더 유명하다. 조계산의 서쪽 기슭에는 그 유명한 송광사가 있고 동쪽 기슭에는 선암사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송광사에서 선암사까지 등산하는 등산객들이 많다. 하지만 순천시민들에게 가장 친숙하면서 많이 알려진 산은 시내에 있는 봉화산(355m)이다.

보성강이 시의 북서쪽인 송광면, 주암면을 거쳐 흘러간다. 시의 최북단인 황전면구례군 구례읍 사이에 섬진강이 흐른다. 순천시내에는 동천이 흐르는데 평곡천, 서천, 석현천, 옥천, 이사천, 해룡천과 합류하여 순천만으로 흘러간다. 동천의 하류 지역에는 충적평야가 발달했다. 또한 해룡면 신대지구를 중심으로 한 신대천인 경우 동남쪽에 광양만 바다로 흘러간다.

주암면주암댐이 있고 상사면에 주암댐의 보조 역할을 하는 상사댐이 있다. 그래서 주암호와 상사호 사이에 도수터널이 연결되어 있다. 주암호의 물은 주로 화순, 나주, 목포전라남도 서부와 광주광역시에 공급되고 상사호의 물은 순천과 고흥, 여수, 광양전라남도 동부에 공급된다. 그렇기 때문에 순천의 수자원은 광주광역시전라남도에서 매우 중요하며 젖줄 역할을 한다.

순천을 삼산이수(三山二水)의 고장이라 부르곤 한다. 여기서 삼산은 보통 인제산(남산), 봉화산, 해룡산을 일컫지만 그 밖의 다른 이 거론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이수는 동천과 이사천을 의미한다.

섬은 작은 섬들로 별량면 마산리의 장구섬과 솔섬(장구섬의동쪽), 해룡면 상내리 와온해변 주변의 사기섬과 주변의 암초들도 있다.

4.2. 기후

전라남도답게 대체로 온화한 편이지만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 순천시내와 별량면, 해룡면은 바다와 접한 탓에 해양성 기후의 특성을 보이는데다 북쪽의 높은 산들이 차가운 북풍을 막기 때문에 온화한 편이지만 승주읍, 주암면, 송광면, 외서면, 황전면, 월등면 같은 내륙 지역은 대륙성 기후의 특성을 강하게 보인다. 그래서 같은 행정구역이지만 시내와 산지의 기후 차이가 뚜렷한 편이다. 다만 순천 시가지 지역이 바닷가와 멀지는 않아도 바로 붙어있는 것은 아니고 어느 정도는 떨어진 내륙에 있다보니 여수처럼 완전 해양성 기후는 아니다. 그래서 해양성 기후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받음에도 여름에 최저기온이 잘 내려가 쾌적하다. 그러나 순천시의 관측소가 시내 지역이 아닌 주암면에 있다는 점에서 관측소 공식 기온이 시내와는 차이가 좀 있다. 순천이 열섬 같은 게 나타날 만큼 큰 도시는 아니라 차이가 심한 것은 아니지만 주암과 시내의 기온은 특히 최저기온에 차이가 제법 있다보니 여름철 시내 지역의 실질적인 열대야가 공식 관측보다는 많다.

순천 시내는 여름에는 태풍이 와도 별다른 피해가 없고, 겨울에는 따뜻한 편에 속하여 눈을 보기 힘들어 시내 사람들은 자연재해에 대해 별다른 걱정을 하지 않지만, 순천시 남부의 별량면이나 해룡면은 바다에 인접하여 태풍피해가 상당히 있고, 순천시 외곽의 낙안면, 외서면, 승주읍, 송광면, 주암면, 월등면, 황전면 등은 순천 시내에 비해 눈이 많이 온다. 특히 낙안과 월등에서 눈썰매장이 운영된 예가 있듯이, 적설량은 꽤 많은 곳도 있다. 읍면 지역은 아니지만, 현재 순천시립 공원묘지가 있는 삼거동 지역도 상당히 눈이 많이 오는 곳이다. 이런 적설량의 원인은 조계산을 비롯하여 시의 중심부에 솟아서 이어진 산과 산맥의 영향이라고 여겨진다. 앞서 서술한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은 산간지역으로, 순천시의 북부(읍·면 지역)를 이루고 있다. 다만 2010년대 초반까지는 시내권에서도 눈을 자주 볼 수 있는 편이었지만, 2010년대 중반을 건너면서 기후변화 탓인지 눈을 보기 힘들어졌다. 또한 2020년 6~7월에는 이상 저온이 강하게 자주 발생했던 지역이기도 하다.

또한 남해안 지역답게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이다. 해당 항목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1998년 7월 31일에 1시간 동안 145mm의 비가 내렸던 적이 있어서 1시간 강수량 전국 최대라는 신기록을 달성했다. 미세먼지 피해가 적은 편이고, 적당한 바닷바람도 불고 여수와 달리 열대야도 적어 여름엔 서늘하고 겨울엔 따뜻한 살기 좋은 기후다.

4.3. 주변 지역과의 관계

전남 동부의 교통 중심지로서 생활권으로 여수시, 광양시,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벌교읍, 조성면)[21]과 밀접하다. 광양읍이나 벌교읍을 오가는 시내버스[22]의 배차간격을 보면 순천시의 영향력을 확실히 알 수 있다.

다만 여수시와는 종주도시라기보단 오히려 경제면에서 피지배관계이기도 하다. 한때는 30만명대 초.중반정도 전남 3대도시에 속할정도로 인구도 많았었고 생활권적으로 율촌면을 제외하고 독자 생활권이고 실제로 여러 기관들이 전남 동부 본부를 순천에 두지만 여수에 따로 두기도 한다.[23] 여수시는 반도 지형이라 육지로 연결된 곳이 순천시 뿐이어서 순천시 교통과 밀접한 관계를 지녔으나 여수시에서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7개의 다리와 해저터널까지 지어 바다 건너 지역인 광양, 남해, 고흥과 육로를 연결해 과거보단 분산된 상태다.

교육 면에서는 지금은 순천시의 고교평준화 때문에 자사고인 광양제철고등학교에 많이 못 미치지만 평준화 이전에는 순천고등학교, 순천여자고등학교가 지역의 명문 학교로서 크게 활약했다. 순천고등학교는 무려 1990년대 , 검사 임용률 전국 1위라는 기염을 토한 곳이다. 여수고등학교광양제철고등이 있었지만 취급 당했다. 그 당시 다른 지역의 대표 공립학교들이 가졌던 역사처럼 당시 순천고, 순천여고도 이 학교들에 입학하려고 중학교 때 고입 재수를 한 학생들이 많았다고 한다. 물론 전부 옛말로 지금은 그때와 같은 성적을 거두지 못한지 한참 오래다. 서울과의 관계를 보면 서울 노원구에 순천시 출신이 가장 많이 거주한다.

4.3.1. 주변 지역과의 통합 논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행정구역 개편/호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위와 같은 이유로 통합 논의가 있었는데, 가장 큰 떡밥은 순천, 여수, 광양 통합이다. 이러한 떡밥이 돌게 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 일대가 과거에 승주목 혹은 순천도호부 관할로 광역단위로는 하나였다는 점이 있다. 율촌1산업단지 행정구역 분쟁, 생활권 문제와 광역교통망 논의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또 다른 떡밥으로는 순천, 곡성, 구례 통합이 있다. 생활권이나 교통상황으로 보자면 순천시 - 구례군의 통합은 순천시가 구례 방향으로의 적극 개선을 실현할 경우 가능성이 있어 보이지만, 광주권에 가까운 곡성군과는 과연 통합이 가능할지, 통합 이후 순천과 곡성 사이의 연계를 어떻게 할 것인지 공론화가 더 많이 필요해 보인다. 이전 사례였던 보성군 벌교읍이 순천시의 행정구역으로 편입하겠다고 의사타진을 했을 당시 순천시의 재정상황 열악을 이유로 하여 무산된 적이 있었던 바, 순천시의 재정적 기반과 행정적 안정, 각 정치권의 동의가 갖춰지기 전까지는 지역 정치권에서 언급하는 떡밥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순천시+구례군 통합 시 면적은 1,353㎢ 가량이 되고 인구는 307,695명이 된다. 그리고 지리산섬진강 수계가 구례군에서 통합 순천시 소속으로 바뀌면서 전라북도 남원시, 경상남도 하동군과 경계를 맞대게 되고, 곡성군까지 합치면 전라북도 순창군, 남원시, 전라남도 담양군과 직접 경계를 맞대게 된다. 이를 기회로 15년 전에 황전면 비촌리, 선변리 주민들이 토로한 행정구역 불편을 개편할 가능성이 있다.

5. 인구

전라남도 순천시 인구추이
(1966년 ~ 현재)
1966년 237,196명[1966순천시]
1970년 232,299명[1970순천시]
1973년 7월 1일 보성군 문덕면 한천리 → 승주군 송광면 편입[26]
1975년 246,539명[1975순천시]
1980년 238,159명[1980순천시]
1983년 2월 15일 곡성군 석곡면 운룡리 → 승주군 주암면 편입
1985년 245,202명[1985순천시]
1987년 1월 1일 승주군 해룡면 복성리 일부 → 광양군 광양읍 덕례리 편입
1990년 271,558명[1990순천시]
1995년 1월 1일 순천시 + 승주군 → 순천시 통합
1995년 256,601명
2000년 273,625명
2005년 275,346명
2010년 272,620명
2015년 278,765명
2020년 282,189명
2024년 11월 276,12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0만 명
읍면동 및 출장소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왕조1동 40,786명
덕연동 40,134명
해룡면 신대출장소 33,021명
삼산동 29,087명
해룡면 상삼출장소 18,333명
왕조2동 17,140명
도사동 17,123명
서면 15,397명
남제동 7,668명
조곡동 7,187명
풍덕동 6,874명
매곡동 6,401명
별량면 5,191명
해룡면(본청) 4,177명
향동 3,202명
주암면 2,897명
낙안면 2,875명
상사면 2,813명
황전면 2,673명
중앙동 2,556명
저전동 2,541명
승주읍 2,406명
장천동 1,898명
월등면 1,620명
송광면 1,363명
외서면 763명
2024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 ||

순천시의 인구가 늘어난 데는 여러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로 해룡면 신대지구의 개발,[31] 전남 동부 중심에 위치한 데 따른 주요 시설 집중[32], 그리고 서면의 신축 아파트 러쉬, 여수시 집값의 폭발적인 상승에 따른 여수 경제활동 인구의 순천 거주 현상이 심각하다. 특히 여수지역 고급아파트들이 평당 단가 2천만원을 넘긴지 꽤 된데다 관광지 물가까지 겹쳐 당분간은 이 현상이 계속될듯 하다. 때문에 전라남도의 인구가 전반적으로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순천시만큼은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원래 1990년대 초에 잠시 순천시의 인구 급증으로 27만 명 선을 넘었으나, 이후 전남 지역이 1990년대 초에 급감할 때 순천시도 예외는 아니어서 256,601명을 기록하며 줄어들었다. 그러나 이후 반등에 성공하여 조금씩 늘다가 2004년 270,059명을 기록하여 27만 명 선을 다시 넘은 이후 증감을 반복하며 계속 정체되어 왔다. 하지만 이후 위에서 말한 신대지구 등의 신시가지 개발 등을 통해 2015년 11월을 기점으로 주민등록 인구통계가 279,000명을 돌파하여 28만 명 선을 목전에 두게 되었다. 결국 100여명 차이로 오르락내리락 하다가 2016년 8월말 주민등록 인구통계 상으로 279,900명이 되어서 정말로 100명을 앞둘 정도로 야금야금 인구가 늘어가다가 2017년에 들어서 28만명을 돌파했다. 그러나 2021년부터는 감소세에 진입하기 시작했고 점점 가속화되고 있어 22년 중반에 28만이 붕괴되었다.

여담으로 일제강점기시대는 1911년 기준 전남 순천군(현 순천시)이 84,491명으로 한반도 전체에서 30위 이내에 들고 남한에서만 16위에 들 정도였다.

===# 읍면동별 인구 #===
파일:순천시 CI.svg 승주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6,161명
1970년 14,113명
1973년 7월 1일 쌍암면 석흥리 → 낙안면 편입
1975년 12,077명
1980년 10,642명
1985년 10월 1일 승주군 쌍암면 → 승주읍 승격[33]
1985년 11,735명
1990년 10,193명
1995년 5,478명
2000년 4,568명
2005년 3,932명
2010년 3,456명
2015년 3,039명
2020년 2,750명
2024년 11월 2,40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해룡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0,411명
1970년 17,778명
1975년 17,515명
1980년 15,826명
1985년 14,768명
1987년 1월 1일 승주군 해룡면 복성리 일부 → 광양군 광양읍 덕례리 편입
1990년 15,530명
1995년 17,417명
1998년 1월 15일 해룡면 일부 → 왕조동 편입
1999년 8월 16일 순천시 해룡면·덕연동 경계 조정 실시
2000년 24,366명
2005년 25,212명
2010년 26,657명
2015년 45,981명
2020년 55,514명
2024년 11월 55,53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75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640명
1970년 14,841명
1975년 14,508명
1980년 13,256명
1985년 13,175명
1990년 12,363명
1995년 9,836명
2000년 9,107명
2005년 12,161명
2010년 11,508명
2015년 12,295명
2020년 12,103명
2024년 11월 15,39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황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688명
1970년 14,854명
1975년 14,041명
1980년 13,078명
1985년 12,580명
1990년 10,406명
1995년 6,144명
2000년 5,005명
2005년 4,224명
2010년 3,826명
2015년 3,338명
2020년 2,941명
2024년 11월 2,67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월등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131명
1970년 7,097명
1975년 7,029명
1980년 6,417명
1985년 6,227명
1990년 6,173명
1995년 3,463명
2000년 2,849명
2005년 2,502명
2010년 2,185명
2015년 1,986명
2020년 1,797명
2024년 11월 1,6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순천시 CI.svg 주암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9,324명
1970년 17,181명
1975년 17,328명
1980년 14,653명
1983년 2월 15일 곡성군 석곡면 운룡리 → 승주군 주암면 편입
1985년 16,044명
1990년 12,916명
1995년 7,039명
2000년 5,708명
2005년 4,696명
2010년 4,076명
2015년 3,563명
2020년 3,182명
2024년 11월 2,89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송광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569명
1970년 12,123명
1973년 7월 1일 보성군 문덕면 한천리 → 승주군 송광면 편입[34]
1975년 12,188명
1980년 10,401명
1985년 9,992명
1990년 4,265명
1995년 3,056명
2000년 2,647명
2005년 2,390명
2010년 1,961명
2015년 1,708명
2020년 1,519명
2024년 11월 1,36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외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5,712명
1970년 5,091명
1975년 4,597명
1980년 4,122명
1985년 4,106명
1990년 3,669명
1995년 2,095명
2000년 1,554명
2005년 1,326명
2010년 1,115명
2015년 970명
2020년 900명
2024년 11월 76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천 명
파일:순천시 CI.svg 낙안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968명
1970년 12,943명
1973년 7월 1일 쌍암면 석흥리 → 낙안면 편입
1975년 12,857명
1980년 11,304명
1985년 11,222명
1990년 10,248명
1995년 5,828명
2000년 5,033명
2005년 4,377명
2010년 3,988명
2015년 3,596명
2020년 3,264명
2024년 11월 2,87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별량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0,216명
1970년 18,741명
1975년 17,680명
1980년 16,861명
1985년 16,324명
1990년 13,424명
1995년 9,989명
2000년 8,514명
2005년 7,391명
2010년 6,861명
2015년 6,102명
2020년 5,544명
2024년 11월 5,19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상사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074명
1970년 8,495명
1975년 8,632명
1980년 7,358명
1985년 7,071명
1990년 5,157명
1995년 3,855명
2000년 3,579명
2005년 3,264명
2010년 3,043명
2015년 2,974명
2020년 2,845명
2024년 11월 2,81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순천시 CI.svg 향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4년 1월 7일
순천시 행정동제 실시
삼거동 + 와룡동 → 용수동 신설
영동 + 옥천동 → 영옥동 신설
행동 + 금곡동 → 행금동 신설
매곡동(법정동) → 매곡동(행정동)
가곡동 + 석현동 + 용당동 → 삼산동 신설
조곡동(법정동) → 조곡동(행정동)
덕암동 + 생목동 + 연향동 → 덕연동 신설
풍덕동(법정동) → 풍덕동(행정동)
인제동 + 남정동 → 남제동 신설
저전동(법정동) → 저전동(행정동)
장천동(법정동) → 장천동(행정동)
동외동 + 중앙동 + 남내동 → 중앙동 신설
교량동 + 홍내동 + 대룡동 → 대평동 신설
덕월동 + 야흥동 + 오천동 → 덕흥동 신설
대대동 + 인월동 + 안풍동 → 인안동 신설
왕지동 + 조례동 → 왕조동 신설
1966년 11,220명[1966향동]
1970년 11,914명[1970향동]
1975년 14,099명[1975향동]
1980년 14,206명[1980향동]
1985년 11,481명[1985향동]
1990년 13,592명[1990향동]
1995년 9,207명[1995향동]
1998년 10월 12일 용수동 + 영옥동 + 행금동 → 향동 합동
2000년 7,769명
2005년 6,232명
2010년 5,488명
2015년 4,564명
2020년 3,756명
2024년 11월 3,20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매곡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4년 1월 7일
순천시 행정동제 실시
삼거동 + 와룡동 → 용수동 신설
영동 + 옥천동 → 영옥동 신설
행동 + 금곡동 → 행금동 신설
매곡동(법정동) → 매곡동(행정동)
가곡동 + 석현동 + 용당동 → 삼산동 신설
조곡동(법정동) → 조곡동(행정동)
덕암동 + 생목동 + 연향동 → 덕연동 신설
풍덕동(법정동) → 풍덕동(행정동)
인제동 + 남정동 → 남제동 신설
저전동(법정동) → 저전동(행정동)
장천동(법정동) → 장천동(행정동)
동외동 + 중앙동 + 남내동 → 중앙동 신설
교량동 + 홍내동 + 대룡동 → 대평동 신설
덕월동 + 야흥동 + 오천동 → 덕흥동 신설
대대동 + 인월동 + 안풍동 → 인안동 신설
왕지동 + 조례동 → 왕조동 신설
1966년 6,373명
1970년 7,516명
1975년 9,278명
1980년 12,520명
1985년 15,248명
1990년 19,253명
1995년 13,403명
2000년 11,431명
2005년 8,918명
2010년 7,042명
2015년 5,605명
2020년 6,595명
2024년 11월 6,40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삼산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4년 1월 7일
순천시 행정동제 실시
삼거동 + 와룡동 → 용수동 신설
영동 + 옥천동 → 영옥동 신설
행동 + 금곡동 → 행금동 신설
매곡동(법정동) → 매곡동(행정동)
가곡동 + 석현동 + 용당동 → 삼산동 신설
조곡동(법정동) → 조곡동(행정동)
덕암동 + 생목동 + 연향동 → 덕연동 신설
풍덕동(법정동) → 풍덕동(행정동)
인제동 + 남정동 → 남제동 신설
저전동(법정동) → 저전동(행정동)
장천동(법정동) → 장천동(행정동)
동외동 + 중앙동 + 남내동 → 중앙동 신설
교량동 + 홍내동 + 대룡동 → 대평동 신설
덕월동 + 야흥동 + 오천동 → 덕흥동 신설
대대동 + 인월동 + 안풍동 → 인안동 신설
왕지동 + 조례동 → 왕조동 신설
1966년 4,609명
1970년 5,147명
1975년 5,805명
1980년 5,771명
1985년 7,781명
1990년 13,217명
1992년 12월 3일 삼산동 일부 → 매곡동 편입
1995년 21,782명
2000년 22,302명
2005년 20,635명
2010년 23,394명
2015년 23,603명
2020년 25,360명
2024년 11월 29,08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조곡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4년 1월 7일
순천시 행정동제 실시
삼거동 + 와룡동 → 용수동 신설
영동 + 옥천동 → 영옥동 신설
행동 + 금곡동 → 행금동 신설
매곡동(법정동) → 매곡동(행정동)
가곡동 + 석현동 + 용당동 → 삼산동 신설
조곡동(법정동) → 조곡동(행정동)
덕암동 + 생목동 + 연향동 → 덕연동 신설
풍덕동(법정동) → 풍덕동(행정동)
인제동 + 남정동 → 남제동 신설
저전동(법정동) → 저전동(행정동)
장천동(법정동) → 장천동(행정동)
동외동 + 중앙동 + 남내동 → 중앙동 신설
교량동 + 홍내동 + 대룡동 → 대평동 신설
덕월동 + 야흥동 + 오천동 → 덕흥동 신설
대대동 + 인월동 + 안풍동 → 인안동 신설
왕지동 + 조례동 → 왕조동 신설
1966년 8,631명
1970년 9,150명
1975년 10,827명
1980년 10,614명
1985년 11,342명
1990년 13,111명
1992년 12월 3일
덕연동 일부 → 조곡동 편입
풍덕동 일부 → 조곡동 편입
1995년 9,009명
1998년 1월 15일
조곡동·풍덕동 경계조정 실시
풍덕동 일부 → 조곡동 편입
2000년 7,700명
2005년 8,957명
2010년 7,979명
2015년 7,080명
2020년 6,316명
2024년 11월 7,18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덕연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4년 1월 7일
순천시 행정동제 실시
삼거동 + 와룡동 → 용수동 신설
영동 + 옥천동 → 영옥동 신설
행동 + 금곡동 → 행금동 신설
매곡동(법정동) → 매곡동(행정동)
가곡동 + 석현동 + 용당동 → 삼산동 신설
조곡동(법정동) → 조곡동(행정동)
덕암동 + 생목동 + 연향동 → 덕연동 신설
풍덕동(법정동) → 풍덕동(행정동)
인제동 + 남정동 → 남제동 신설
저전동(법정동) → 저전동(행정동)
장천동(법정동) → 장천동(행정동)
동외동 + 중앙동 + 남내동 → 중앙동 신설
교량동 + 홍내동 + 대룡동 → 대평동 신설
덕월동 + 야흥동 + 오천동 → 덕흥동 신설
대대동 + 인월동 + 안풍동 → 인안동 신설
왕지동 + 조례동 → 왕조동 신설
1966년 6,414명
1970년 7,271명
1975년 8,385명
1980년 9,057명
1985년 10,109명
1990년 13,737명
1992년 12월 3일
덕연동 일부 → 조곡동 편입
덕연동 일부 → 풍덕동 편입
왕조동 일부 → 덕연동 편입
1995년 36,399명
1998년 1월 15일 조곡동·덕연동 경계조정 실시
1999년 8월 16일 순천시 해룡면·덕연동 경계 조정 실시
2000년 43,388명
2005년 48,890명
2010년 52,526명
2015년 49,530명
2020년 44,355명
2024년 11월 40,13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25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풍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4년 1월 7일
순천시 행정동제 실시
삼거동 + 와룡동 → 용수동 신설
영동 + 옥천동 → 영옥동 신설
행동 + 금곡동 → 행금동 신설
매곡동(법정동) → 매곡동(행정동)
가곡동 + 석현동 + 용당동 → 삼산동 신설
조곡동(법정동) → 조곡동(행정동)
덕암동 + 생목동 + 연향동 → 덕연동 신설
풍덕동(법정동) → 풍덕동(행정동)
인제동 + 남정동 → 남제동 신설
저전동(법정동) → 저전동(행정동)
장천동(법정동) → 장천동(행정동)
동외동 + 중앙동 + 남내동 → 중앙동 신설
교량동 + 홍내동 + 대룡동 → 대평동 신설
덕월동 + 야흥동 + 오천동 → 덕흥동 신설
대대동 + 인월동 + 안풍동 → 인안동 신설
왕지동 + 조례동 → 왕조동 신설
1966년 2,707명
1970년 3,278명
1975년 4,690명
1980년 7,758명
1985년 9,299명
1990년 4월 1일 풍덕동·남제동 경계조정 실시
1990년 16,604명
1992년 12월 3일
풍덕동 일부 → 조곡동 편입
덕연동 일부 → 풍덕동 편입
1995년 14,438명
1998년 1월 15일
풍덕동 일부 → 조곡동 편입
풍덕동 일부 → 장천동 편입
2000년 12,882명
2005년 10,831명
2010년 10,023명
2015년 8,747명
2020년 7,741명
2024년 11월 6,87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남제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4년 1월 7일
순천시 행정동제 실시
삼거동 + 와룡동 → 용수동 신설
영동 + 옥천동 → 영옥동 신설
행동 + 금곡동 → 행금동 신설
매곡동(법정동) → 매곡동(행정동)
가곡동 + 석현동 + 용당동 → 삼산동 신설
조곡동(법정동) → 조곡동(행정동)
덕암동 + 생목동 + 연향동 → 덕연동 신설
풍덕동(법정동) → 풍덕동(행정동)
인제동 + 남정동 → 남제동 신설
저전동(법정동) → 저전동(행정동)
장천동(법정동) → 장천동(행정동)
동외동 + 중앙동 + 남내동 → 중앙동 신설
교량동 + 홍내동 + 대룡동 → 대평동 신설
덕월동 + 야흥동 + 오천동 → 덕흥동 신설
대대동 + 인월동 + 안풍동 → 인안동 신설
왕지동 + 조례동 → 왕조동 신설
1966년 5,736명
1970년 6,976명
1975년 8,674명
1980년 11,546명
1985년 14,918명
1990년 4월 1일
풍덕동·남제동 경계조정 실시
장천동 일부 → 남제동 편입
1990년 23,338명
1995년 18,004명
2000년 15,752명
2005년 13,313명
2010년 12,029명
2015년 10,506명
2020년 8,866명
2024년 11월 7,66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저전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4년 1월 7일
순천시 행정동제 실시
삼거동 + 와룡동 → 용수동 신설
영동 + 옥천동 → 영옥동 신설
행동 + 금곡동 → 행금동 신설
매곡동(법정동) → 매곡동(행정동)
가곡동 + 석현동 + 용당동 → 삼산동 신설
조곡동(법정동) → 조곡동(행정동)
덕암동 + 생목동 + 연향동 → 덕연동 신설
풍덕동(법정동) → 풍덕동(행정동)
인제동 + 남정동 → 남제동 신설
저전동(법정동) → 저전동(행정동)
장천동(법정동) → 장천동(행정동)
동외동 + 중앙동 + 남내동 → 중앙동 신설
교량동 + 홍내동 + 대룡동 → 대평동 신설
덕월동 + 야흥동 + 오천동 → 덕흥동 신설
대대동 + 인월동 + 안풍동 → 인안동 신설
왕지동 + 조례동 → 왕조동 신설
1966년 4,325명
1970년 5,609명
1975년 7,387명
1980년 8,796명
1985년 8,589명
1990년 9,755명
1995년 6,930명
2000년 5,574명
2005년 4,629명
2010년 3,914명
2015년 3,317명
2020년 2,878명
2024년 11월 2,54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장천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4년 1월 7일
순천시 행정동제 실시
삼거동 + 와룡동 → 용수동 신설
영동 + 옥천동 → 영옥동 신설
행동 + 금곡동 → 행금동 신설
매곡동(법정동) → 매곡동(행정동)
가곡동 + 석현동 + 용당동 → 삼산동 신설
조곡동(법정동) → 조곡동(행정동)
덕암동 + 생목동 + 연향동 → 덕연동 신설
풍덕동(법정동) → 풍덕동(행정동)
인제동 + 남정동 → 남제동 신설
저전동(법정동) → 저전동(행정동)
장천동(법정동) → 장천동(행정동)
동외동 + 중앙동 + 남내동 → 중앙동 신설
교량동 + 홍내동 + 대룡동 → 대평동 신설
덕월동 + 야흥동 + 오천동 → 덕흥동 신설
대대동 + 인월동 + 안풍동 → 인안동 신설
왕지동 + 조례동 → 왕조동 신설
1966년 6,395명
1970년 7,344명
1975년 9,497명
1980년 8,198명
1985년 8,134명
1990년 4월 1일 장천동 일부 → 남제동 편입
1990년 10,172명
1995년 5,380명
1998년 1월 15일 풍덕동 일부 → 장천동 편입
2000년 4,608명
2005년 3,878명
2010년 3,451명
2015년 2,875명
2020년 2,383명
2024년 11월 1,89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중앙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4년 1월 7일
순천시 행정동제 실시
삼거동 + 와룡동 → 용수동 신설
영동 + 옥천동 → 영옥동 신설
행동 + 금곡동 → 행금동 신설
매곡동(법정동) → 매곡동(행정동)
가곡동 + 석현동 + 용당동 → 삼산동 신설
조곡동(법정동) → 조곡동(행정동)
덕암동 + 생목동 + 연향동 → 덕연동 신설
풍덕동(법정동) → 풍덕동(행정동)
인제동 + 남정동 → 남제동 신설
저전동(법정동) → 저전동(행정동)
장천동(법정동) → 장천동(행정동)
동외동 + 중앙동 + 남내동 → 중앙동 신설
교량동 + 홍내동 + 대룡동 → 대평동 신설
덕월동 + 야흥동 + 오천동 → 덕흥동 신설
대대동 + 인월동 + 안풍동 → 인안동 신설
왕지동 + 조례동 → 왕조동 신설
1966년 7,441명
1970년 9,474명
1975년 12,230명
1980년 9,699명
1985년 10,356명
1990년 11,608명
1995년 7,242명
2000년 5,841명
2005년 4,699명
2010년 4,451명
2015년 3,906명
2020년 3,099명
2024년 11월 2,55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도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4년 1월 7일
순천시 행정동제 실시
삼거동 + 와룡동 → 용수동 신설
영동 + 옥천동 → 영옥동 신설
행동 + 금곡동 → 행금동 신설
매곡동(법정동) → 매곡동(행정동)
가곡동 + 석현동 + 용당동 → 삼산동 신설
조곡동(법정동) → 조곡동(행정동)
덕암동 + 생목동 + 연향동 → 덕연동 신설
풍덕동(법정동) → 풍덕동(행정동)
인제동 + 남정동 → 남제동 신설
저전동(법정동) → 저전동(행정동)
장천동(법정동) → 장천동(행정동)
동외동 + 중앙동 + 남내동 → 중앙동 신설
교량동 + 홍내동 + 대룡동 → 대평동 신설
덕월동 + 야흥동 + 오천동 → 덕흥동 신설
대대동 + 인월동 + 안풍동 → 인안동 신설
왕지동 + 조례동 → 왕조동 신설
1966년 12,286명[1966도사동]
1970년 12,238명[1970도사동]
1975년 13,813명[1975도사동]
1980년 12,005명[1980도사동]
1985년 10,184명[1985도사동]
1990년 13,079명[1990도사동]
1995년 11,118명[1995도사동]
1998년 10월 12일 대평동 + 덕흥동 + 인안동 → 도사동 합동
2000년 10,536명
2005년 9,940명
2010년 9,754명
2015년 10,795명
2020년 18,473명
2024년 11월 17,12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왕조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4년 1월 7일
순천시 행정동제 실시
삼거동 + 와룡동 → 용수동 신설
영동 + 옥천동 → 영옥동 신설
행동 + 금곡동 → 행금동 신설
매곡동(법정동) → 매곡동(행정동)
가곡동 + 석현동 + 용당동 → 삼산동 신설
조곡동(법정동) → 조곡동(행정동)
덕암동 + 생목동 + 연향동 → 덕연동 신설
풍덕동(법정동) → 풍덕동(행정동)
인제동 + 남정동 → 남제동 신설
저전동(법정동) → 저전동(행정동)
장천동(법정동) → 장천동(행정동)
동외동 + 중앙동 + 남내동 → 중앙동 신설
교량동 + 홍내동 + 대룡동 → 대평동 신설
덕월동 + 야흥동 + 오천동 → 덕흥동 신설
대대동 + 인월동 + 안풍동 → 인안동 신설
왕지동 + 조례동 → 왕조동 신설
1966년 3,090명
1970년 3,125명
1975년 3,608명
1980년 4,071명
1985년 4,517명
1990년 10,288명
1992년 12월 3일 왕조동 일부 → 덕연동 편입
1995년 29,489명
1998년 1월 15일 해룡면 일부 → 왕조동 편입
2000년 52,912명
2003년 10월 20일 왕조동 → 왕조1동, 왕조2동 분동
2005년 37,780명
2010년 39,982명
2015년 41,024명
2020년 40,390명
2024년 11월 40,78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25만 명
파일:순천시 CI.svg 왕조2동 인구 추이
(2003년~현재)
2003년 10월 20일 왕조동 → 왕조1동, 왕조2동 분동
2003년 22,960명
2004년 22,989명
2005년 25,069명
2006년 24,236명
2007년 24,137명
2008년 24,030명
2009년 23,997명
2010년 23,911명
2011년 23,612명
2012년 23,631명
2013년 23,353명
2014년 22,505명
2015년 21,661명
2016년 21,279명
2017년 20,736명
2018년 20,296명
2019년 19,655명
2020년 19,618명
2021년 19,351명
2022년 18,511명
2023년 17,621명
2024년 11월 17,14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6.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순천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도 이곳 순천에 위치해있다. 요약하자면 전남 동부의 교통 중심지이자 고속버스 뿐만 아니라 철도강세 지역. 전라선 KTX마을버스화된 다이아의 개편과 전라선고속선이 필요하면서 그에 맞는 수요 또한 완벽한 곳이라 할 수 있다. 철도강세는 남북 방향(전라선) 한정이며, 동서 방향으로는 경전선이 열악한지라 도로 교통이 압도적이다. 남북 방향 역시 그동안 호남고속도로를 타고 광주 방향으로 돌아가야했던 암흑기를 거치고 순천완주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도로교통이 상당한 경쟁력을 갖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순천시/교통 항목 참조.

7. 경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순천시/경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전남지역별GRDP.png
여수, 광양에 이은 전라남도 제3의 경제도시인 동시에 소비도시라고도 한다.

8. 관광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설악산

제주도1

신안 다도해

광릉숲

고창군1

순천시1

강원 생태평화

연천 임진강

완도군1

창녕군1
1 행정구역 전체가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 ||

파일:attachment/순천시/schosu.jpg
순천만정원 내부에 있는 호수정원. 순천 정원 박람회 입장료 순천 정원 박람회 소개

순천시 관광 안내 사이트

본래부터 송광사, 선암사, 낙안읍성 등 관광자원이 많았지만 관광도시로 이름이 알려지진 않았다가 2000년대 이후 관광산업이 급성장하며 그 중심에 순천만이 있다. 예전에는 순천만 일대를 매립해서 공단을 지으려고 계획했고 격한 찬반대립을 벌이다 흐지부지돼 방치되었는데, 이게 2010년대 들어와서 순천의 인지도를 전국 단위로 올려 관광수입을 안겨준 든든한 돈줄이 되었으니 참으로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49]

순천만의 아름다운 경관과 훌륭한 교통을 갖춘 순천시는 전남 최대 관광도시인 여수시[50]에는 못미치지만 매년 수백만명이 방문하는 관광도시로 발돋움해 2020년대에는 여수의 반 이상은 되게 쫓아왔다.[51]이전부터 대표적인 읍성 관광지 중 하나인 낙안읍성, 대한불교 조계종의 삼보(三寶)[52] 사찰 중 승보 사찰에 해당하는 송광사, 대한불교 태고종 본산인 선암사가 유명했으며, 사진작가들을 중심으로 순천만갈대밭이 점차 많은 이들에게 알려졌다. 그리고 이제는 순천만순천만국가정원이 쌍끌이로 관광객들을 불러모으고 있다. 무엇보다 선암사, 순천만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올리고 낙안읍성을 잠정목록에 올려 계속 등재 시도를 하고 있으니 곧 호남 최대 보유 도시가 될 전망이다.

남해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순천완주고속도로 등 3개의 주요 고속도로가 관통하는 지역이므로 고속버스를 통한 여행객도 많은 것으로 보인다. 내일로 여행자들의 성지로도 유명하다.

파일:트롤리_(12).jpg

순천시는 미국 길드사에 주문 제작한 트롤리버스 2대를 2018년 8월 18일부터 시티투어 목적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국내에 총 5대로 서울시에 3대, 순천에 2대가 있다. 순천시의 것은 휘발유를 연료로 쓴다.[53]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참고

8.1. 주요 관광지 목록

걸어 다니면서 둘러보는 관광지가 많고, 각 관광지의 규모가 상당한 편이며, 인기 관광지들 간의 거리도 멀기 때문에 당일치기보다는 최소 2~3일 체류하면서 여유를 갖고 둘러보는게 좋다.
  • 순천시내
    • 순천만국가정원
      2013년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위해 조성된 곳이다. 참고로 이곳은 순천만스카이큐브로 연결되어 있다. 자세한 안내는 여기를 참고. 2015년 9월 5일에 대한민국 최초의 국가정원 1호 지정식을 가졌고 명칭도 기존 순천만정원에서 순천만국가정원으로 변경되었다.
    • 순천 드라마 촬영장
      ’60년대의 순천 읍내거리', ’70년대 서울 봉천동 달동네' , ’80년대 서울 변두리 거리' 등의 과거 모습을 재현한 곳으로, 영화 말모이를 비롯한 제법 많은 영화와 드라마를 촬영했다. 자세한 안내는 여기를 참고. 70,80년대 교복과 교련복을 유료로 입고 체험해 볼 수 있다. 이 곳이 관광객들에게 알려지면서 원래 가축수송순천 버스 77의 혼잡도가 더욱 심해졌다.
    • 순천문학관
    • 순천만과 그 일대 갈대밭
      순천시의 대표 관광지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다. 해마다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고, 이전부터 많은 사진작가들이 찾는 곳이다. 자세한 안내는 여기를 참고. 순천시에서 생태수도 컨섭으로 적극 홍보를 하면서부터 전국적으로 알려진 관광코스가 되었다. 추가로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어 있다.
    • 문화의거리
      자세한 안내는 여기를 참고.
    • 조례호수공원
    • 임청대
    • 순천향교
    • 순천대학교박물관
    • 순천시기독교역사박물관
    • 아랫장
    • 웃장국밥거리
    • 향림사
    • 순천청춘창고
    • 철도문화마을
    • 죽도봉공원
    • 호남호국기념관
  • 승주, 주암, 송광
    • 선암사
      조계산 기슭에 있는 절로서 풍경이 아름다워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한국불교 태고종의 총본산이며, 사찰 진입로의 무지개다리인 승선교가 유명하다. 또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7사찰 중 하나이기도 하다. 자세한 안내는 여기를 참고.
    • 송광사
      조계산 기슭에 있는 절로서 합천 해인사(법보사찰), 양산 통도사(불보사찰)와 더불어 한국의 삼보사찰로 불리고 있다. 송광사는 위대한 고승들을 많이 배출하였다고 하여 승보사찰로 불리고 있다. 자세한 안내는 여기를 참고. 한국사 관련 시험을 공부해본 사람이라면 많이 보았을 지눌국사의 수선사 결사가 이 송광사에서 이루어졌다. 수필집 무소유의 저자로 유명한 법정스님이 출가하고 수선안거(修禪安居)하셨던 사찰로, 입적하신 후 2010년 3월 13일에 이 곳에서 다비식을 치렀다.
    • 조계산
    • 고인돌공원
    • 주암댐 물문화관
  • 외서, 낙안
    • 낙안읍성
      낙안면에 있는 조선시대 읍성으로, 1908년에 폐군된 낙안군의 중심지였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 해미읍성과 함께 조선시대 읍성의 모습이 보존되어 있는 곳이다. 성곽 안에는 옛 낙안군의 동헌과 객사 등이 보존된 '낙안민속마을'이라는 민속촌이 조성되어있는데, 전시용이 아니라 실제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다. 순천시내에서는 다소 멀고 길이 험한데, 오히려 보성군 벌교읍과는 평지의 길로 연결되고 거리도 가깝다. 참고로 이곳으로 택시를 타고 갈 경우 무조건 할증이 붙는데, 순천시내에서 타면 읍면 할증이 있고, 벌교에서는 벌교가 보성군 관할이다 보니 시계외할증이 붙는다. 비단 낙안 뿐만 아니라 순천의 모든 읍면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할증을 받고 있어 이 문제가 지역 신문에서 언급되었다.순천광장신문 기사 교차로닷컴 기사
    • 월평리구석기유적지
  • 서면, 황전, 월등
    • 죽내리유적
    • 모긴미술관

9. 교육

9.1. 초/중/고등학교

파일:순천시 CI_White.svg 전라남도 순천시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낙안초등학교 동명초등학교 동산초등학교 매안초등학교
별량초등학교 상사초등학교 송광초등학교 송산초등학교
순천남산초등학교 순천남초등학교 순천대석초등학교 순천도사초등학교
순천봉화초등학교 순천부영초등학교 순천북초등학교 순천비봉초등학교
순천삼산초등학교 순천성남초등학교 순천성동초등학교 순천신흥초등학교
순천연향초등학교 순천왕운초등학교 순천왕조초등학교 순천왕지초등학교
순천용당초등학교 순천율산초등학교 순천이수초등학교 순천인안초등학교
순천조례초등학교 순천중앙초등학교 순천풍덕초등학교 순천향림초등학교
승주초등학교 신대초등학교 외서초등학교 월등초등학교
좌야초등학교 주암초등학교 창촌초등학교 팔마초등학교
해룡초등학교 황전초등학교 황전초등학교회덕분교장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순천시 CI_White.svg 전라남도 순천시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순천금당중학교 순천낙안중학교 순천남산중학교 순천동산중학교 순천매산중학교
순천별량중학교 순천삼산중학교 순천세빛중학교 순천승남중학교 순천승주중학교
순천승평중학교 순천신흥중학교 순천연향중학교 순천왕운중학교 순천왕의중학교
순천월전중학교 순천이수중학교 순천주암중학교 순천팔마중학교 순천풍덕중학교
순천향림중학교 한국바둑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순천시 CI_White.svg 전라남도 순천시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순천강남여자고등학교 순천고등학교 순천공업고등학교 순천금당고등학교 순천매산고등학교
순천매산여자고등학교 순천미래과학고등학교 순천복성고등학교 순천여자고등학교 순천제일고등학교
순천청암고등학교 순천팔마고등학교 순천효산고등학교 순천효천고등학교 한국바둑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지방 중규모의 도시답지 않게 관내 중학교는 모두 남녀공학이다. 마지막까지 단성학교로 남아 있던 세 개의 학교 모두 2024년 3월부로 남녀공학으로 전환됐다. 또한 사립 중학교는 매산중학교 단 한 학교이다. 한편 신대지구 조성에 맞춰 승평중학교가 해룡면사무소 인근에서 현 위치로 이전해왔는데, 그럼에도 신대지구 내의 학생들을 모두 수용하기가 어려워 구도심의 삼산중학교가 2020년 3월 이전 개교와 동시에 공학으로 전환되었다.

일반계 고등학교로는 비평준화 시기에는 순천고등학교순천여자고등학교가 지역 명문고로 유명해서 입시 경쟁이 치열하던 시기가 있었다. 대학도 아니고 가고 싶은 고등학교 입시에서 떨어져서 재수하는 경우가 상당히 있었다. 고교 평준화가 이루어진 이후에는 사라진 풍경. 평준화 크리로 인하여 인근의 자립형 사립고광양제철고로 유학(?)아닌 유학이 상위권 학생들 사이에서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평준화로 순천고와 순천여고의 위상이 예전보다 많이 하락하였고 신도심의 끝이 안보이는 성장으로 금당지구에 위치한 금당고등학교가 매우 핫하다. 하지만 한창 개발 중인 신대지구와 가장 가까운 것은 순천복성고등학교이다. 그 이외에 순천매산고등학교순천매산여자고등학교가 지역에서 유명하고[54], 고교야구로 인지도가 있는 순천효천고등학교가 있으며 그 외 순천강남여자고등학교, 순천팔마고등학교, 순천제일고등학교가 있다.

특성화고등학교로는 순천공업고등학교, 순천미래과학고등학교[55], 순천청암고등학교[56], 순천효산고등학교[57], 한국바둑고등학교[58]가 있다.

9.1.1. 고등학교 배정 관련

순천시는 고등학교 평준화 적용 지역으로 석차 등급별 선지원 후추첨 방식을 적용한다.
분류 석차 배정 비율
1군 0~4% 4%
2군 4~11% 7%
3군 11~23% 12%
4군 23~40% 17%
5군 40~60% 20%
6군 60~77% 17%
7군 77~89% 12%
8군 89~96% 7%
9군 96~100% 4%

성적이 높아지거나, 성적이 낮아질수록 불리해지는 구조로 내신이 매우 높거나, 내신이 매우 낮을 경우 배정 정원이 매우 적어서 1지망에서 떨어지면 사실상 끝지망으로 쫓겨난다. 심지어 등급별 배정을 실시한 후 남은 인원이 있을 경우[59] 무작위 추첨 배정을 통해 배정한다.

성적이 매우 높은 학생이 1지망에 배정될 확률을 높이거나 끝지망으로 떨어진 확률을 낮추고 싶다면 인위적으로 내신 성적을 25~42% 정도로 낮추면 된다. 한 마디로 4% or 7% 안에 들기 싫다면 남은 시험을 적당히 망치고[60][61] 필요하다면 출결 점수도 깎으라는 소리다.

성적이 매우 낮은 학생은 내신 조정은 커녕 아예 불합격이 될 수 있는 상황이다.[62] 그러니 최대한 빨리 정신차리고 열심히 공부해야한다. 또한 출결 점수를 더 이상 낮추지 말고, 봉사시간을 최대한 채울 필요가 있다.

1지망을 제외한 상위 지망을 작성하는 방법도 일반적인 순수 선지원 후추첨을 적용한 지역과 조금 다르다. 일반적인 지역이라면 2지망에 선호학교를 쓰면 100% 떨어지지만 여기는 다르다. 석차 등급별 배정으로 인해 경쟁률이 극심한 선호학교도 특정 등급대가 미달나는 경우가 있으며, 오히려 등급별 정원 당 경쟁률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이용해 2지망에 1지망자가 정원을 약간 초과하는 학교를 쓰는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전략도 있을 정도다.
순천시 고교 최적 지망 방법
1지망 자신이 가장 선호하는 학교
2지망 자신이 그나마 선호하는 학교[유의]
3지망 자신이 그나마 선호하는 학교[유의]
4지망 1~3, 5~7지망을 기입한 후 남은 학교
5지망 자신이 3번째로 싫어하는 학교
6지망 자신이 2번째로 싫어하는 학교
7지망 자신이 가장 싫어하는 학교

먼저 1지망을 선택한다. 그 다음 7 > 6 > 5지망 순으로 선택하고, 나머지 3개 학교를 2, 3, 4지망에 나열한다. 리스크가 낮은 것을 원한다면 나머지 3개 학교 중 경쟁률이 가장 낮은 학교를 2지망에 기입하고,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전략을 사용할 경우 자신이 2번째로 선호하는 학교를 2지망에 기입하면 된다.

다음 학교는 미션스쿨로 미션스쿨에 진학하고 싶은 학생들은 미션스쿨을 1지망에 기입하고, 미션스쿨에 진학하고 싶지 않은 학생들은 미션스쿨을 끝지망에 기입하도록 하자.
미션스쿨 종교 비고
순천매산고등학교 개신교
순천매산여자고등학교 개신교

다음 학교는 0교시 or 야간자율학습이 강제인 학교이다. 지원자들은 이 사항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만약에 본인이 0교시와 야간자율학습을 도저히 수용할 수 없다면 0교시와 강제 야간자율학습이 없는 학교를 1지망에 기입하고, 해당 목록에 있는 학교를 끝지망에 기입하도록 하자.
고등학교 등교시간 0교시 방과후, 야자 하교시간
순천매산고등학교 오전 8시 강제
1교시 8시 30분 시작
반강제 오후 10시
순천매산여자고등학교 오전 7시 30분(3학년)
오전 7시 40분(2학년)
오전 7시 50분(1학년)
강제 강제 오후 10시

9.2. 대학교

파일:순천시 CI_White.svg 순천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립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전문대학
파일:순천제일대학교 UI.svg 순천제일대학교
파일:청암대학교 심볼.svg 청암대학교
기능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Ⅴ대학(순천캠퍼스)
원격
대학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순천시학습관 }}}}}}}}}

지역 내 대학으로는 국립대학순천대학교가 있다. 2008년에 순천대학교 공과대학을 광양시로 이전하느냐 마느냐를 놓고 말이 많았고, 지금은 공대 전체 이전은 사실상 포기하고 새로 글로벌 특성공과를 만들어 광양시에 설치하는 걸 목표로 삼았지만, 실상은 아직까지 삽도 못 떴다. 현재는 의과대학을 놓고 목포대학교와 유치 경쟁 중이다.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순천·곡성 지역구 국회의원이 된 새누리당 소속 이정현 의원은 인터뷰에서 순천대학교에 의대를 유치해야 하는 근거로 광양만권과 함께 곡성, 보성, 구례를 포함해서 경상남도남해군, 하동군까지 100만명 주민을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런 걸 떠나서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 세 지자체의 인구만 70만이 넘는데다가, 여수국가산업단지광양항, 포스코 광양제철소 등 큰 규모의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대형 사고에 대처하기 위해 유치해야 한다는 입장이 크다.[65] 순천대학교와 더불어서 또다른 4년제 대학으로는 명신대학교도 있었지만, 이미 지역 내에 순천대라는 국립대가 있어서 순천대에 비하면 별로 힘을 쓰지 못했고, 또한 시내에 위치한 순천대와 달리 명신대는 상당히 외진 곳에 있어서 순천시민들도 학교의 존재를 몰랐고, 게다가 비리를 심심하면 저질러 와서 자주 부실대학에 이름을 올리더니 결국 2012년 부로 전격 폐교되었다. 그 외 전문대학들인 순천제일대학교, 청암대학교가 있다.

9.3. 도서관

8개의 공공도서관과 60여개의 작은도서관을 보유하고 있다.순천시통합도서관 참고
공공도서관 위치
삼산도서관순천시 중앙로 232(석현동)
그림책도서관순천시 도서관길 33(동외동)
연향도서관순천시 연향번영길 54(연향동)
기적의도서관순천시 해룡면 기적의도서관길 60
조례호수도서관순천시 조례2길 31(조례동)
신대도서관순천시 해룡면 매안로 162
해룡농어촌도서관순천시 해룡면 해룡로 1120
풍덕글마루도서관순천시 풍덕1길 52(풍덕동)
MBC 예능 프로그램 느낌표의 1기가 방영되던 시기에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코너가 진행하던 어린이 도서관 건립 사업의 첫 지역이기도 하다. 그렇게 해서 건립된 것이 현재 동명초등학교 건너편에 자리잡은 순천 기적의도서관이다. 원래 지어졌던 구관과 나중에 지어진 신관이 있다. 구관 가운데 쯤에 있는 대나무가 포인트. 신관 1층은 성인들을 위한 책들이 많은데, 도서관 자체가 동화책과 같은 어린이들을 위한 책들이 많아서 그런지 유아교육에 관련된 책들이 많으며, 유아교육학과 전공서적도 있다. 그 외에도 순천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공공도서관인 삼산도서관과 순천 내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단골 소풍장소인 그림책 도서관[66]이 있고, 연향동 연향도서관, 조례동 조례호수도서관도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그 외 도서관은 신대도서관, 해룡농어촌도서관, 풍덕글마루 도서관이 있다.

순천시에서도 도전 골든벨출연한 사례있다. 그리고 순천시민의 이름으로 0 번이나 골든벨을 울렸다.
회차 및 방송일 출연 학교 또는 특집 수상 비고
88회 (2001년 06월 08일) 순천고등학교
153회(2002년 12월 01일) 순천여자고등학교
199회(2003년 11월 16일) 순천효천고등학교
349회(2006년 11월 19일) 순천강남여자고등학교 60대 골든벨 수상
370회(2007년 04월 22일) 순천매산고등학교
406회(2008년 01월 06일) 순천금당고등학교
520회(2010년 04월 18일) 순천매산여자고등학교 77대 골든벨 수상
600회(2011년 11월 27일) 전국고교최강전 명예골든벨: 2011 전국고교최강 순천강남여자고등학교 졸업생 출연
625회(2012년 05월 27일) 팔도최강전 3탄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순천팔마고등학교 학생 출연
708회(2014년 02월 02일) 설특집 - 한글학생 행복 골든벨 명예골든벨 순천시 연향동 주민 출연
728회(2014년 07월 20일) 순천팔마고등학교

10. 생활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순천시/문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attachment/순천시/scsgs.jpg
순천 10경 중 하나인 송광사의 설경.

10.1. 음식

군산시이성당과 함께 오래된 빵집으로 알려진 '화월당 과자점'이 중앙시장에 위치해 있다. 1928년 일제강점기 일본인에 의해 문을 열어 광복한국인에 의해 인수되어 3대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이성당' 과 더불어, 대한민국에서 보기 드문 먹거리 관련 백년 기업 중 한 곳으로 꼽힌다. 이전에는 여러가지 빵을 팔았으나 언제부터인가 주력상품인 볼카스테라와 찹쌀떡의 전국단위 주문 및 배송을 하는 식으로 바뀌어 있다. 두가지 상품만을 주로 주문판매하는 탓인지 재고량이 거의 없어서 지나는 길에 매장을 보면 영업을 안 하는 것 같아 보일 정도로 썰렁하다. 방문 구매를 위해 오후 늦게 가면 높은 확률로 품절 상태이다.

돼지국밥을 파는 집이 구도심, 신도심을 가리지 않고 제법 흔하게 자리잡고 있다. 다만 부산-경남 지역에서 먹는 돼지국밥과는 다르다. 가장 큰 차이는 육수로, 부산식은 돼지고기 자체에서 육수를 내지만 순천식은 사골, 즉 돼지 뼈로 육수를 낸다. 또한 정석은 건더기로 살코기만 쓰는 부산식과는 달리 순천식은 머릿고기와 순대, 돼지 내장을 넣는다. 어느 쪽이 더 맛있는지는 개인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부산식과 다른 건 사실이다. 여튼 주로 웃장에 돼지국밥집이 많이 모여있다. 돼지국밥과 함께 소머리국밥, 순대국밥도 파는 집이 제법 있다. 순대의 경우 수제 순대를 내놓는 집일 경우 전라도식 순대일 가능성이 높다. 소위 암뽕 순대. 주로 국밥은 웃장에 많이 모여있고 순천시에서도 웃장을 정비하면서 국밥골목으로 홍보하고 있다. 2014년과 2015년 9월 8일[67]에는 국밥 축제까지 했다(!).이후 계속 축제를 개최하고 있어 웃장 국밥을 시 차원에서 계속 밀고 나갈 생각인 듯하다.

아랫장에도 국밥집들이 모여있는데, 특히 아랫장의 경우엔 부산식 육수로 끓이는 매우 유명한 국밥집이 있다. 장사도 어마어마하게 잘 돼서 아예 상가 건물 한개를 그 국밥집에서 통째로 지었을 정도. 허름한 전통시장식 1개짜리 건물이 옆으로 가게 4개가 있는 3층짜리 건물이 되었다. 본격적으로 유명해진 시기에는 국밥 맛이 심각하게 저하되었던 적도 있었으나. 지금은 다시 맛을 회복했다.

10.2. 치안

전국 모든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사회안전지수가 18위 였으며[68] 이는 전남은 물론 전라도에서 가장 높은 수치다.

10.3. 의료기관

전남 동부권 최대 의료기관인 성가롤로병원(568병상)이 있다. 이름에서처럼 가톨릭 계열의 수녀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로도 지정되어 있어 대학병원이 없는 전남 동부권에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외 종합병원이 많다. 근로복지공단 순천병원(295병상), 순천의료원(282병상), 순천한국병원(243병상), 순천중앙병원(200병상), 순천제일병원(200병상) 등이 있다. 중소도시치고 작은 종합병원들이 많아 각축을 벌이고 있으며, 이웃 광양, 구례, 보성, 고흥 등에서도 많이 찾아온다.

11.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순천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군사

후방이니만큼 특별한 군부대는 없다. 제31보병사단 예하 제95보병여단 본부가 별량면에 있다. 원래 석현동 문화건강센터 자리에 있었으나 2005년 현 위치로 이전했다.

13.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순천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기타

순천향대학교는 순천시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 이 쪽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다. 그런데 외지 사람들이 보기에 연관이 있어 보이는지 순천대를 다닌다고 하면 수도권이나 충청도 지방은 무조건 순천향대냐고 다시 물어보기 때문에 국립 순천대나 전남 순천대라고 다시 말해줘야 하는 경우가 간혹 있다.

지정면이 아닌 읍 중 시로 승격이 된 최초의 도시이다.[69]

가끔 방송에도 나오는 도시이지만 비숫한 발음의 순창춘천에게 인지도가 밀린다. 순천 사람들이 자신의 출신지를 물어와 대답하면 심심찮게 순창[70] 또는 춘천[71]으로 잘 못 듣곤 한다. 신창원 검거당시 전화 통화에서도 제보자가 순천이라고 하니 "춘천이요?"하고 되묻는 부분이 있을 정도다. 하지만 최근 순천정원박람회순천만의 성공적인 관광 콘텐츠화로 인한 인지도 상승으로 순천과 순창, 춘천을 헷갈리는 경우는 이제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과연? 적어도 20~30대 초반 젊은 층 사이에서는 순천이 내일로 여행의 인기 여행지로 발돋움하면서 인지도가 많이 높아졌다.

"여수에서 돈 자랑하지 말고, 순천에서 인물 자랑하지 말고, 벌교에서 주먹 자랑하지 말라"라는 말이 유명하다. 여수는 수산업이 주된 산업이고 밀수(...)도 성행한 데다 여수국가산업단지의 영향으로 부자가 많고, 벌교에는 싸움꾼이 많았기 때문에 이러한 이야기가 속담처럼 전해졌다. 순천의 예시인 '인물'의 경우 두 가지 설이 있는데, 미녀가 많은 곳이라는 의미라는 설과, '뛰어난 인물'[72]이라는 설이 그것이다.

저 멀리 이북 땅, 평안남도에 이름의 한자 표기는 살짝 다르지만 독음이 똑같은 순천시(북한)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웃지 못할 해프닝이 하나 있는데, 전남 순천에 사는 어느 네티즌이 해외 직구로 iMac을 구매했는데, 전남 순천으로 와야할 국제택배가 북한 순천시에 배송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발생했다!#

순천에는 팔마로, 팔마경기장, 팔마고등학교, 팔마ㅇㅇ 등 "팔마(八馬)"가 들어간 지명이나 명칭이 많은데 순천에 널리 퍼진 고려시대 승평[73]부사 최석의 청백리를 기리는 이야기에 '여덟 마리의 말'이 관련있기 때문이다.참고 문서

지역별로 제각각이라는 편가르기 게임의 구호가 독특하다. '우-라-무-라 떼(야)!'라는, 정체불명의 구호.[74] "우라우무떼 오라이오라이 떼(야) 떼떼로떼(야) 올려/내려" 라고도 한다. 현재 쓰이는 것은 "오라이오라이 떼요" 이고, 변형버전이 "오라이오라이 떼야 떼떼로떼야 올려/내려" 라고 한다. 이것도 학교마다 다르다..

1999년 7월 16일, 탈옥수 신창원이 전남 순천에서 검거됐다. 전남의 타 지역에 비해 순천으로 도주를 하는데 성공하면 순천을 기점으로 영호남 양쪽으로 도망가기 쉬워지고 여차하면 항구가 있는 지역에서 밀항도 용의하기 때문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이점(?)은 후에 또 다른 지명수배자가 순천으로 은신했던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

2004년 8월 노컷뉴스에 따르면, 그해 7월에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23세 여성 운전자가 18세 보행자를 차로 쳤다. 순천경찰 교통사고조사계는 사고를 접수했으나 운전자를 처벌하지 못했다. 이 여성은 남자에게 몸을 줄테니 합의해달라고 요청했고 결국 남자는 "민형사상 책임을 묻지 않고 모든 사고 책임도 보행자에게 있다"는 각서를 써 줬기 때문. 남자는 다리를 다친 아픈 상황에서도 여자가 승용차로 유인해 사고 당일 '관계'를 가졌다고 한다. (교통사고 낸 女 몸으로 합의)

2007년부터 3년 연속 '전국 살기 좋은 도시 10'에 오르기도 했다.

2010년 11월 8일에는 ­창원시와 함께 유엔환경계획(UNEP) 공인, 지구환경보호에 기여하고 살기 좋은 도시를 인증하는 '2010 리브컴 어워즈' 은상을 수상하였다.

2014년 5월 지명수배가 내려진 유병언이 '순천에 은신해 있었으나 검거에 실패했다'는 뉴스를 시작으로 7월 '순천에서 그의 시체가 확인'된 후까지도 본의 아니게 매스컴에 자주 언급되었다.

도로명 위주의 신형 도로교통표지판을 처음 도입한 곳이 순천이다. 순천 시내지역(동 지역+상삼, 신대)의 도로표지판은 전부 신형으로 바뀌었으며, 기타 읍면지역에 있는 표지판은 존치된다. 예를 들자면,
보성 Boseong
벌교 Beolgyo
←(2)
원래 이렇게 썼던 것이
←보성
<(2)녹색로
Noksaek-ro
이렇게 바뀐 것이다. 실제 장소에서 보기

2016년 9월 호남권 잡월드 부지전라남도 순천시로 결정되었고, 2021년 10월 16일 개관하였다.

2018년 10월 16일, 순천시가 시로 승격한 지 70주년이 되는 2019년을 '순천 방문의 해'로 공식 선포하고 1000만 관광객을 유치하겠다고 밝혔다.기사 참고 이어서 2019년 3월 28일, ‘2019 순천 방문의 해’의 본격적인 붐업 조성과 국민들의 관심도 제고를 위해 대한민국의 심장 서울 청계광장에 상징 조형물을 설치하고 열림식을 개최했다.기사 참고 결국 2019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에 천만 관광객을 달성했다고 한다. 기사 참고

2019년 9월 21일(토) ~ 10월 6일(일), 광주 전남지역 최초로 프로배구 컵대회(Kovo컵)을 개최했다. 순천 팔마실내체육관에서 13팀(남자부 7 + 여자부 6)이 경기를 치렀다. 3년 후에 다시 프로배구 컵대회/2022년(8월 13~28)을 개최했다. 게다가 3년만에 관중을 받았다.
  • 순천시는 2024년 6월 12일에 프랑스의 컨텐츠 기업 '오노'와 업무협약을 맺고 '오노코리아' 웹툰 캠퍼스를 조성하기로 했다.

15. 미디어에서의 출연

'생태도시'를 지향하는 곳 답게 자연 경치나 먹거리를 주제로 하는 교양이나 예능에 간간이 등장한다. 또, 순천드라마촬영장과 여러 문화유산이 있기도 하지만, 도농복합도시의 특징으로 농촌 지역에는 옛 시골의 모습이 남아있고, 구도심에는 예전 도시의 모습이 많이 남아있어 직접적으로 순천이 배경이 아니더라도 알게 모르게 많은 영화나 드라마의 배경으로 노출된다.

드라마
  • 응답하라 1994:
    1. 극중 등장인물 해태(손호준 분)가 순천 출신으로 등장한다.
    2. 고향이 여수인 인물과 해태가 서로 자기 고향에 대해서 자랑을 하며 겨루는 장면이 있다. 유치하게 보일 수 있겠지만 그만큼 여수시와 순천이 도시 규모가 비슷하고 이웃도시라서 약간의 라이벌(?)관계라고 할 수 있다. 영상에 나오는 자랑 배틀에서 해태가 여수 출신 동기에게 밀리다가 뉴코아백화점을 언급하면서 반격기를 날려 의미없는 승리를 거둔다.[75]
    3. 시청률 10%를 돌파한 기념으로 2014년 1월 7일, 해태 역의 배우 손호준이 직접 순천을 방문하여 조례호수공원에서 프리허그 행사를 진행했다.

예능
  • 느낌표(MBC): 2003년, 느낌표 코너 중 하나인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에서 어린이 도서관을 짓기 위한 '기적의 도서관' 프로젝트 첫번째 지역으로 대구, 금산과 함께 선정되고, 도서관이 개관하는 과정까지 방영되였다. 이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순천에 어린이 도서관인 '기적의 도서관'이 생겼다.방송 영상
  • 놀면 뭐하니?: 2019년 12월 14일, 순천 기적의도서관 재개관을 맞아 등장했다. 이 프로그램에서 유재석이 예명 유재석/유산슬로 등장하는데, 기적의도서관의 개관식과 재개관 행사에 함께했다.
  • 1박 2일: 순천편, 2013년 8월 25일 방영, 2021년 10월 24,31일 방영.
  • 집사부일체: 74회(2019년 6월 16일 방영), '순천 촌놈' 인요한 교수가 출연하여 자신의 이야기와 순천 이곳저곳을 소개하였다.

영화참고 영상

*개봉일 순
~ 2009년
  • 천군: 순천 낙안읍성 촬영
  • 너는 내 운명: 순천경찰서, 순천소방서, 순천의료원, 순천 도사동, 순천 불재목장, 순천 승주읍 촬영
  • 거룩한 계보:
    극중 배경이 되는 교도소가 순천교도소라는 설정이다. 그러나 순천에서 실제 촬영한 장면은 한 장면도 없다.
  • 디워: 순천 낙안읍성 촬영
  • 마더: 순천 북초등학교 후문거리 촬영

2010년 ~ 2015년
  • 황해: 순천 옥천동폐가 촬영
  • 봄(Last Spring, 2014) - 조근현 감독, 박용우, 김서형, 이유영 주연: 순천드라마촬영장 촬영
  • 인간중독: 순천드라마촬영장, 순천영농교육원 촬영
  • 강남1970: 순천드라마촬영장, 순천호박나이트클럽 촬영
  • 대호: 순천 월등면 도리봉 농장 촬영

2016년 ~
  • 택시운전사: 순천 동외동 성동카공업사 촬영관련 기사
    1. 영화 속에서는 서울에 있는 카센터로 등장하지만, 실제로는 전남 순천에 있는 카센터다.
    2. 극중 송강호가 광주를 빠져나와 순천에 들리는 장면이 있지만, 실제 순천은 아닌듯하다.
  • 범죄도시 2: 작중 초반 짱구라는 정신병자가 인질극을 벌일 때 "우리 엄니 고향이 순천인디"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다.

16. 출신 인물

16.1. 순천과 관련이 있는 인물

  • 고민정: 전 아나운서, 전 청와대 대변인, 더불어민주당 소속 제21대 국회의원, 전 더불어민주당 최고 의원[88]. 모친의 고향이 순천 외서면이다.
  • 김경호: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로커. 목포시 출생이지만 순천시로 이주해서 중학교, 고등학교 시절을 보냈다. 목포 문태중학교에서 순천 이수중학교로 전학을 와서 졸업하고, 순천 효천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 김광진: 더불어민주당 소속 제19대 국회의원[89]. 여수시 출생이지만 성장한 곳은 순천이다. 용당초등학교→이수중학교→순천고등학교순천대학교로 학교는 모두 순천에서 졸업했다. 아버지가 순천에서 유명한 사업가이고 순천에서 학력을 모두 지낸 점, 순천에서의 시민사회 운동 경력 때문인지 지역에서도 중앙 언론에서도 그냥 순천 사람으로 본다. 하지만 지역 내에서는 "그래도 여수 출생이더만"이라고 미묘하게 출신을 구분하는 점도 공존한다.
  • 김선동: 전남 순천시·곡성군 제19대 국회의원. 순천고 졸업
  • 김웅: 전 검사, 국민의힘 소속 제21대 국회의원[90], 「검사내전」작가[91]
  • 나경복: 배구선수. 순천제일고 졸업
  • 노관규: 전 검사, 민선 4, 5, 8기 순천시장. 전남 장흥군 출생으로 중학교 졸업 후, 순천시로 이주해서 순천매산고등학교를 졸업했다.
  • 레바: 웹툰 작가 & 트위치 스트리머. 대구 출생이지만 순천에서 학창 시절을 지냈고 현재 본가도 순천에 자리 잡고 있다.
  • 무굴: 인터넷 방송인. 광양에서 태어났지만 순천에서 자랐다.
  • 박기석: 시공테크 창업주. 보성에서 태어났고, 순천에서 성장했다. 전시 문화 개척자로 금탑산업훈장을 수여받았다. 시공테크는 전시 관련 특화기업집단이다. 박물관 진열관 및 수장고 시스템 분야도 전문 분야이다. 1993년 대전 엑스포, 2003년 APEC 정상회담, 2010년 G20서울정상회의, 2023년 카타르 도하 세계 원예엑스포 등에서 전시 및 행사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 박정희: 여수·순천 10.19 사건 참조
  • 박진희: 배우. 남편 박상준 씨가 광주지법 순천지원 판사로 임명되어, 현재 순천에 거주 중이다.
  • 백지영: 가수. 모친의 고향이 순천이라고 한다.
  • 백지헌: 걸그룹 프로미스나인 멤버. 보성군 출생이지만 초등학교 때 해룡면 신대지구로 이사를 와서 살다가 중학생 때 아이돌학교에 출전하게 되었고, 이후 프로미스나인으로 데뷔하게 되면서 서울로 전학갔다.
  • 요요미: 트로트 가수 & 유튜버. 2019년 10월 4일, 순천만국가정원 동천 갯벌공원 공연장에서 자신의 팬미팅을 가졌는데 여기서 순천시 명예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영상 "순천으로 가자" 라는 홍보용 노래도 가지고 있는데 이 노래의 뮤직비디오는 물론 순천 현지 로케이션이다.영상 자신의 본관이 순천 박씨이기 때문에 자신이 순천 홍보대사가 된 것은 우연이 아니라는 말을 남겼다.영상
  • 이정현: 제19, 20대 순천시 국회의원[92]. 곡성군 목사동면 출생이지만 중학교는 목사동면과 경계인 순천시 주암면에 있는 순천주암중학교를 다녔다고 선거당시 공보에서 밝혔다.
  • 이학영: 제19-21대 국회의원[93]. 순천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과정을 수료했고, 순천YMCA 사무총장을 역임한 경력이 있다. 팟캐스트 이이제이 출연분에서 순천YMCA 활동기록을 소개하였다.당시 방송분
  • 이호성: 출생은 순천시이나 성장은 광주광역시에서 하였고 초중고도 모두 광주에서 나왔다. 이호성 살인 사건의 배경 중 하나로 순천시에 투자한 스크린 경마장 사업이 순천시민의 격렬한 반대로 실패하면서 얻은 과다한 부채를 꼽는다.
  • 이현: 가수, Homme, 8eight 멤버. 광주 출생이지만 순천에서 자랐다. 순천고 졸업
  • 인요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겸 국제진료센터 소장. 각종 뉴스에도 간혹 볼 수 있는 인물이다.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출생했지만 직후 순천으로 이사와서 성장하였다. 그리고 2012년에 특별귀화를 통해 공식적으로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했다.당시 해당기사[94] 기본적으로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전라도 전체에 대한 애정이 크다는 것을 잘 드러내며, 그 중에서 성장한 곳인 순천에 대한 애착이 진하다는 것을 여러 매체를 통해 보여왔다. 자기 소개를 순천 촌놈 인요한이라고 할 정도. 인요한의 어린 시절을 봐왔던 순천 어른들의 회상에 의하면 "겉모습은 전형적인 코쟁이인데 걸쭉하게 순천 사투리를 써온 개구쟁이"였다고도 한다. 하일에 비해 억양이나 어휘의 빈도, 그리고 개그 기믹이 약해서 그렇지 사투리가 더 능숙한 외국인이란 점에서는 '밀리지' 않는다. 선배동기 의사나 다른 이들의 지적 등으로 공적인 자리에서는 표준어를 구사하려고 노력을 많이 했다고 하지만, 무의식적으로 서남 방언 중에서 순천 억양이 찐하게 나온다. 연세대 어학당에 다니던 당시에는 한국어가 유창하기는 했는데 순천 사투리가 매우 강해서 고생했다고.
  • 장만채: 제5, 6대 전라남도 교육감. 순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교수를 거쳐 제5대 순천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 조규성: 아버지의 고향이 송광면 대흥리이다. 조규성 본인은 경기도 안산시에서 태어나서 자랐지만 명절이면 부모와 함께 고향 마을을 자주 찾았다고 하며 2021년에 (재)송광장학회로부터 송광 출신 특기자 전형으로 장학금 100만원을 받았다.
  • 조웅천: 현 두산 베어스 1군 투수코치. 광주상고 야구부에서 퇴짜를 맞은 뒤, 야구부가 새로 생긴 순천상고로 전학을 갔다.
  • 천하람 : 제22대 국회의원이자 제22대 국회 개혁신당 원내대표, 과거 순천을 지역구로 삼고 활동했다.

17. 자매결연·우호·협력증진도시

2023년 현재 자매결연도시 10곳, 우호도시 5곳, 협력증진도시 3곳, 총 18곳이 있다.

17.1. 자매결연도시

17.1.1. 국내

17.1.2. 해외

17.2. 우호도시

17.2.1. 국내

17.2.2. 해외

17.3. 협력증진도시

1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수원시
도청

의정부시
북부
춘천시
도청

강릉시
제2청사
청주시
도청

제천시
북부

옥천군
남부
홍성군
도청

금산군
남부
전주시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 하양.svg 파일: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정부상징 단색형.svg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이북 5도
무안군
도청

순천시
동부
안동시
도청

포항시
동부
창원시
도청

진주시
서부
제주시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1f2023> 경기 남한산성 수리산 연인산
강원·충청 고복 경포 대둔산 덕산 칠갑산 철원DMZ
성내산
경상 가지산 금오산 문경새재 연화산 청량산
전라 대둔산 두륜산 마이산 모악산 무안갯벌 벌교갯벌
불갑산 선운산 신안증도갯벌 조계산 천관산
제주 제주곶자왈 서귀포해양 성산일출해양 마라해양 우도해양 추자해양
산, 저수지, 해안, 도서, 갯벌
※ 같이 보기: 국립공원 | 도립공원 | 군립공원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설악산

제주도1

신안 다도해

광릉숲

고창군1

순천시1

강원 생태평화

연천 임진강

완도군1

창녕군1
1 행정구역 전체가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 ||


[1] 해남군에 이어 호남에서 두 번째로 면적이 크다.[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3] 2024년 10월 기준.[4] 순천시 가선거구 (승주읍, 서면, 황전면, 월등면, 주암면, 송광면): 오행숙
순천시 나선거구 (외서면, 낙안면, 별량면, 상사면, 도사동): 강형구, 장경원
순천시 다선거구 (풍덕동, 남제동, 장천동): 정병회, 정홍준
순천시 라선거구 (향동, 매곡동, 삼산동, 저전동, 중앙동): 서선란, 장광현
순천시 마선거구 (조곡동, 덕연동): 김미연, 김태훈, 이향기
순천시 바선거구 (왕조1동): 장경순, 최병배
순천시 사선거구 (왕조2동): 나안수, 이영란
순천시 아선거구 (해룡면(신대리)): 양동진, 최현아
순천시 자선거구 (해룡면(신대리 제외한 17개리 지역)): 김영진, 박계수
순천시 비례대표: 신정란, 유승현
[5] 순천시 가선거구 (승주읍, 서면, 황전면, 월등면, 주암면, 송광면): 유영갑
순천시 바선거구 (왕조1동): 최미희
[6] 순천시 비례대표: 이세은[7] 순천시 나선거구 (외서면, 낙안면, 별량면, 상사면, 도사동): 우성원
순천시 라선거구 (향동, 매곡동, 삼산동, 저전동, 중앙동): 이복남
[8] 순천시 제1선거구 (승주읍, 서면, 황전면, 월등면, 주암면, 송광면): 정영균 (초선)
순천시 제2선거구 (외서면, 낙안면, 별량면, 상사면, 풍덕동, 남제동, 장천동, 도사동): 한춘옥 (재선)
순천시 제3선거구 (향동, 매곡동, 삼산동, 저전동, 중앙동): 김정희 (재선)
순천시 제4선거구 (조곡동, 덕연동): 서동욱 (4선)
순천시 제5선거구 (왕조1동): 김진남 (초선)
순천시 제6선거구 (왕조2동): 신민호 (재선)
순천시 제7선거구 (해룡면(신대리)): 한숙경 (초선)
순천시 제8선거구(해룡면(신대리 제외한 17개리 지역)): 김정이 (초선)
[9] 해룡면을 제외한 순천시 전 지역[10] 해룡면[11] 여수시와는 최대도시 자리를 놓고 인구가 근소한 차이로 엎치락뒤치락한다.[12] 예전에는 육로로 여수광양을 왕래할 때는 무조건 순천을 거쳐야 했지만 이순신대교가 개통된 후에는 순천을 거치지 않아도 왕래가 가능하게 됬다.[13] 이 지역들을 하나로 묶어 여순광이라고 한다.[14] 다만 제조업 등 2차 산업에서 우위를 차지한 여수시하고는 교통 면을 제외하면 종주도시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여수시는 자체 상권도 발달해있고 전국 최대의 관광지 중 하나라 여수시 소비가 순천으로 미치지는 못하는 편. 교통도 종주한다기엔 여수시가 광양만, 여수해만, 가막만, 여자만으로 반도중에서 섬처럼 유일하게 4면이 바다고 육지는 순천시로만 연결되어 있는 것이지, 순천시의 교통망에서 떨어져 나오는 구조가 아니다. 당장 순천시를 제외하더라도 묘도대교와 이순신대교를 거쳐 광양으로 빠져나올 수 있고 화양면 남쪽의 77번 국도를 타고 4개의 대교를 지나 고흥으로 빠질 수도 있다. 2029년에는 여수와 남해군을 연결하는 해저터널이 개통될 예정이다.[15] 순천에는 전남 동부청사가 있다.[16] 그 이전에는 월계관을 닮은 휘장을 사용했다.[17] 승주목, 순천도호부는 광양시, 여수 등 주변도서가 포함됐다.[18] 지금도 21번 버스의 종점이 신성포라는 것에서 신성포라는 지명을 확인할 수 있다.[19] 목포시까지는 약 125km로 1시간 반 가량이 소요되나 진주시까지 거리는 약 80km로 1시간 내로 접근이 가능하다.[20] 동부지역 해변은 광양만과 접하여 있다.[21] 보성읍은 순천보다 광주 생활권에 가깝다.[22] 순천 버스 77, 순천 버스 88[23] 교차로의 경우 여수시만 따로 지역본부를 두었으며 도시가스의 경우 여수를 제외한 전남 동부권은 SK E&S 전남도시가스 소속이지만 여수는 따로 부영그룹 계열의 대화도시가스 소속이다.[1966순천시] 순천시 79,293명 + 승주군 157,903명[1970순천시] 순천시 89,042명 + 승주군 143,257명[26] 편입과 동시에 우산리(牛山里)로 개칭[1975순천시] 순천시 108,063명 + 승주군 138,476명[1980순천시] 순천시 114,241명 + 승주군 123,918명[1985순천시] 순천시 121,958명 + 승주군 123,244명[1990순천시] 순천시 167,214명 + 승주군 104,344명[31] 그 덕분에 인근지역의 인구를 쪽쪽 빨아먹는 역할만을 한것 때문인지 인근 광양, 여수등 인근지역 주민들의 신대지구에 대한 원성과 비난, 지탄도 적잖고 해룡면 소재지 월전리는 공동화중의 공동화에 승평중학교까지 이전당하는 수모를 겪고 말았다.[32] 가령 운전면허 따는 도로교통공단 시험장이 광양에 있으니 굉장히 불편하다는 걸 알 수 있다. 기왕 있을 거면 순천에 있는게 여순광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유리하다.[33] 군사무소 소재지의 면은 읍으로 할 수 있다에 따라 승격[34] 편입과 동시에 우산리로 개칭됨[1966향동] 용수동 1,793명 + 영옥동 3,609명 + 행금동 5,818명[1970향동] 용수동 1,850명 + 영옥동 3,974명 + 행금동 6,090명[1975향동] 용수동 1,942명 + 영옥동 4,806명 + 행금동 7,351명[1980향동] 용수동 1,611명 + 영옥동 4,823명 + 행금동 7,772명[1985향동] 용수동 1,320명 + 영옥동 4,739명 + 행금동 5,422명[1990향동] 용수동 1,461명 + 영옥동 5,875명 + 행금동 6,256명[1995향동] 용수동 1,012명 + 영옥동 4,209명 + 행금동 3,986명[1966도사동] 대평동 3,236명 + 덕흥동 4,348명 + 인안동 4,702명[1970도사동] 대평동 3,023명 + 덕흥동 4,506명 + 인안동 4,709명[1975도사동] 대평동 3,208명 + 덕흥동 5,064명 + 인안동 5,541명[1980도사동] 대평동 2,739명 + 덕흥동 5,089명 + 인안동 4,177명[1985도사동] 대평동 2,414명 + 덕흥동 4,406명 + 인안동 3,364명[1990도사동] 대평동 3,116명 + 덕흥동 6,119명 + 인안동 3,844명[1995도사동] 대평동 2,198명 + 덕흥동 6,114명 + 인안동 2,806명[49] 지금 뒤돌아보면, 공단을 지었다면 자급을 할 경제력은 높아졌겠지만 아름다운 자연관광 자원을 잃었을 것이고 생태도시, 정원도시라는 타이틀은 얻기 힘들었을 것이다. 이는 옆 동네인 벌교읍도 묘하게 비슷하다.[50] 여수시 홀로 전남 총 관광객의 1/3을 차지한다.[51] 2022년에는 10월 말까지 여수는 1000만, 순천은 532만명 방문.#[52] 불보(佛寶): 통도사, 법보(法寶): 해인사, 승보(僧寶): 송광사[53] 운행: 화~일요일(신정•명절연휴 제외) / 출발: 1일 10회 / 차량: 40인승 2대 // 요금: 성인 5,000원/ 청소년•군인 3,000원/ 어린이 2,000원, 운행코스: 순천역→연향동 패션의거리→ 드라마촬영장 →순천만국가정원(동문,로컬푸드)→순천만습지→순천만국가정원(동문,로컬푸드)→웃장(의료원)→문화의거리→터미널→순천역[54] 2005년 평준화 이후로 학력이 순천고, 순천여고보다 크게 올랐다. 또한 설립된지 100년이 넘은 기독교 학교라는 점도 유명세에 한 몫하고 있다만, 예배가 1교시가 있다보니 1차 지망자는 항상 미달이다. 그리고 2015년 수능에서 매산여고와는 별개로 매산고등학교에서 수능 만점자 배출.[55] 폐교된 옛 서면중학교 자리에 개교하였다.[56] 옛 순천여자상업고등학교,청암대학교와 같은 재단이다.[57] 옛 순천상업고등학교.[58] 구 주암종합고등학교, 2013년 바뀌었다.[59] 실제로 1지망자가 정원을 크게 초과하기로 유명한 모 고등학교에서 끝지망자가 배정된 사례가 있었는데 해당 배정자는 무작위 추첨 배정에 의해 배정된 사례이다.[60] 너무 망치면 오히려 더 불리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61] 실제로 최하위권 학생들은 가까운 학교에 지원하려는 성향이 강해 후순위 지망에 떨어질 확률이 오히려 1등급 4%보다 높다.[62] 아무리 내신 조정을 하려고 수작을 부려도 아예 불합격이 되면 평준화 고등학교 배정 기회 자체가 사라진다. 실제로 현재까지 전남 지역 내 평준화 학군에서 지속적으로 불합격자가 보고되고 있다.[유의] 다만 경쟁률이 극심한 학교는 제외.[유의] [65] 목포시전라남도 서부권역에 이렇다 할 대학병원이 없어 특히 섬이 많은 서부권 특성상 목포에 대학병원을 유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66] 원래 이곳이 순천시립도서관 중앙관이었다. 중앙관은 2011년 10월에 현재 위치인 순천대학교 앞으로 이전하여 삼산도서관이 되었고, 원래 건물은 개보수를 거쳐 그림책 도서관으로 재개관.[67] 9/8→구/팔→국/밥.[68] 상위권 대부분의 기초자치단체는 수도권쪽에 몰려 있다.[69] 두번째는 1955년에 승격된 원주시.[70] 대개 순창으로 오해하는 사람은 반드시 고추장을 언급한다.[71] 여담으로 서울에서 순천으로 내려가는 기차를 타려다 안내원이 발음을 춘천으로 잘못들어서 춘천으로 관광갔다왔다는 썰이 있다. 용산역에서는 전라선 무궁화호, ITX-새마을, KTX경춘선 ITX-청춘이 모두 착발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72] 상술하듯 90년대만 하더라도 전국 법관 임용률 1위를 자랑했다.[73] 순천 지역의 옛 지명[74] 裏(うら)와 表(おもて)가 어원이라는 설이 있다.[75] 이 장면 대사 중 사소한 오류가 있다. 대사에 나오는 광양읍 넘어가는 길에는 뉴코아백화점(현 NC백화점 순천점)이 아닌 성가롤로병원이 있다. 그리고 성가롤로병원에서 소개하는 병원 연혁에 따르면 현재 위치로 확장이전이 완료된 것은 1998년이다. 1992년부터 1994년 당시의 시기상으로는 현재 성가롤로병원 위치에서 건축공사를 하는 중인 시절이다. 뉴코아백화점이 있는 곳은 남해고속도로 가는 길이라고 해야 정확하다. 하지만 광양으로 가다가 잠시 뉴코아백화점 쪽으로 빠졌다는 해석도 가능하고, 광양에서도 고속도로를 타고 순천으로 진입할 때는 그 당시에도 현재도 이 길이 뉴코아백화점을 지나가는 길이 맞기 때문에 어떻게 진입하냐에 따라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다.[76] 지역구: 서울특별시 성동구 을.[77] 지역구: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78] 손기정 선수와 함께 1936 베를린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마라토너이다. 행정구역으로는 순천시 저전동 출생이라고 한다. 전해져오는 이야기로는 남승룡 선수가 당시를 회상하면서 손기정 선수가 받은 묘목으로 일장기를 가릴 수 있던 것이 너무나도 부러웠다고 한다. 또 다른 남승룡에 관한 일화가 있는데, 식민지배를 당한 나라의 국민이 겪은 서러움을 마라톤 대회에 출전하여 각국의 외신 기자들과의 인터뷰 자리에서 자신을 한국인이라고 눈물로 알렸다고 한다. 순천시에서는 2001년부터 매년 11월 초에 남승룡 선수를 기리는 순천 남승룡 마라톤 대회를 개최한다. 또, 청암대학교부터 팔마경기장까지 남승룡로라는 도로가 있다. 2001년에 2월 20일에 타계했다.[79] 출생지는 대구광역시이지만, 유년시절부터 2015년 까지 순천에서 자랐다고 한다.[80] 위의 소설가 김승옥과 같은 순천중학교, 순천고등학교 출신이며 서정인이 5년 선배이다. 대학도 같은 서울대학교로 두 사람은 이 인연으로 서울대 문리과에서 함께 동인활동을 하기도 하였다.[81] 지역구: 전라남도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82] 지역구: 서울특별시 양천구 을.[83] 지역구: 광주광역시 북구 을.[84] 지역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을.[85] 순천시의 주요 도로 중 하나인 백강로도 여기서 이름을 딴 듯하다.[86] 아이돌 '레드삭스'의 멤버였다.[87] 기사에서 순천시에서 태어나서 벌교에서 자랐다고 한다.[88] 지역구: 서울특별시 광진구 을[89] 비례대표[90] 지역구: 서울특별시 송파구 갑.[91] 전라남도 여천군(현 여수시)에서 태어나 다섯 살 때부터 순천고등학교 졸업 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 입학하기 전까지 순천에서 자란 촌놈임을 자처한다. 광주지검 순천지청에서도 근무한 이력이 있다.[92] 19대에서는 지역구가 순천시·곡성군, 20대에서는 순천시였다.[93] 지역구: 경기도 군포시[94] 인요한의 할아버지인 윌리엄 린튼 선교사는 전주와 군산에서 3.1 운동을 주도 및 지원했고, 민족말살정책 때 신사참배를 거부하였다는 이유로 일제로부터 추방명령을 받아 쫓겨났다가, 해방되고 나서 전주로 돌아온 외국인 독립운동가이다. 아버지 휴 린튼은 군산 출생이고, 아버지 윌리엄 린튼이 한 일들을 이어받았으며 인천 상륙 작전에 참전한 참전용사이기도 하다. 인요한의 형인 인세반은 증조부의 이름을 딴 유진 벨 재단으로 대북 의료지원 운동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인요한 자신은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에 시민군의 통역담당을 했었다. 그게 빌미가 되어서 국외추방을 당할 뻔 했는데 고향을 떠나기 싫어 병원에서 근신을 했다는 일화도 있다.[95] 순천에는 낭트정원이 있고, 낭트에는 순천정원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