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무역항 | |
동해안 | 속초항 · 옥계항 · 묵호항 · 동해항 · 삼척항 · 호산항 · 포항항 · 울산항 · 울산신항 · 장생포항 | |
서해안 | 인천항 · 인천신항 · 경인항 · 서울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태안항 · 보령항 · 장항항 · 군산항 · 목포항 | |
남해안 | 부산항 · 부산신항 · 진해항 · 마산항 · 고현항 · 옥포항 · 장승포항 · 통영항 · 삼천포항 · 하동항 · 여수항 · 광양항 · 완도항 | |
제주도 | 제주항 · 서귀포항 | |
연안항 | ||
동해안 | 주문진항 · 울릉항 · 후포항 · 강구항 · 구룡포항 | |
서해안 | 격렬비열도항 · 용기포항 · 연평도항 · 대천항 · 마량진항 · 상왕등도항 · 송공항 · 대흑산도항 · 홍도항 · 가거향리항 | |
남해안 | 부산남항 · 중화항 · 국도항 · 거문도항 · 나로도항 · 녹동항 · 강진항 · 화흥포항 · 땅끝항 · 진도항 | |
제주도 | 추자항 · 애월항 · 한림항 · 화순항 · 성산포항 | |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 |
광양항 光陽港 | Gwangyang Port | |
광양항의 모습 | |
<colcolor=#fff> 국가 |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위치 | 전라남도 광양시 |
개항 | 1986년 |
관리 | 여수광양항만관리 |
[clearfix]
1. 개요
전라남도 광양시 황길동과 도이동에 있는 무역항이다. 1969년에 개항했던 삼일항을 1986년에 흡수함으로써 여수시 지역 항만과 광양시 지역 항만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본 문서는 광양시 지역 항만을 위주로 설명한다.여수항과 광양항의 개발과 운영을 위해 2011년 8월 19일 광양시 황길동 광양항 내 마린센터를 마련하고 여수광양항만공사가 정식으로 출범했다. 항만의 광양항은 항내 수면적이 145.19㎢로, 총 99개 선석, 컨테이너선, 유조선, 산물선, 케미컬선, LNG선 등 연간 4만 3천여척, 하루 평균 118척이 입출항하며 연간 약 2억톤 이상의 물동량을 처리할 수 있다. 2018년을 기준으로 일반 화물의 물동량은 국내 1위, 컨테이너 물동량은 부산항, 부산신항과 인천항에 이어 3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7년 컨테이너 물동량은 약 223만 TEU 수준이다. 2010년대부터는 자동차 환적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광양항 인근에는 자동차 생산 기지가 없지만, 울산항이나 평택·당진항등에서 자동차를 선박으로 운반해 온 뒤 광양항에서 이를 환적해서 수출하는 형태.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도 광양항을 통해 선적되어 유럽 수출을 시작한다.
군사시설이 없는 순수 상업항구이지만, 미군이 한반도에 대한 군수 물자 및 병력을 증파하는 훈련을 광양항에서 행하기도 한다. 사실 국민의 정부 이래 갖은 비판에도 Two-Port 정책을 추진하며 광양항을 육성했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전시에 부산항을 대체할 보급 기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부산항에 이은 제2항만인 인천항은 전선에서 너무 가까워서 언제든지 여러 방식의 공격을 받을 수 있으니 상대적으로 안전한 남부지방에 대체 항구를 마련해야 하고, 그 중에서도 하역 조건과 교통 여건 등 여러모로 광양항이 최적지인 것이다. 심지어 부산항이 봉쇄되어 광양항만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가정하여 훈련하기도 한다.
물동량 규모에 비해 품목이 아직까지 특정 분야에 편중된 상태다. 광양항을 통과한 누적 수출 물량 중 철강이 50%에 육박하고, 수입 품목에선 슬래그 석회와 코크스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광양항이 활성화되기 전부터 인근의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광양항을 주로 이용하다 보니 생긴 일.
한진해운이 파산하면서 해운동맹이 재편되고 환적화물 1/3이 빠져나가면서 위기를 맞았다. 하지만 이후 어느 정도 회복했다.
2. 광양항국제여객터미널
동쪽 끝 광양제철소 인근에 존재한다. 예전에 일본행 국제선이 운항되고 있었으나, 2023년 기준 운항 중단 중.3. 주변 교통
광양항선 광양항역과 서쪽에 신광양항선 신광양항역이 있다.주변에는 망덕포구, 길호포구, 와우포구, 도촌포구, 장내포구(태인동)등 어항들이 소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