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7 14:33:01

권역응급의료센터

권역응급의료센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연번 권역 개소수 응급의료기관
1 서울서북 1 서울대학교병원
2 서울동북 2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안암병원)
3 서울서남 2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구로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4 서울동남 2 강동경희대학교의대병원
한양대학교병원
5 부산 3 동아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6 대구 2 경북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
7 인천 3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의료법인 길의료재단 길병원*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8 광주 2 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9 대전 2 충남대학교병원
학교법인 건양교육재단 건양대학교병원
10 울산 1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울산대학교병원
11 경기서북 2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명지병원
12 경기동북 1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13 경기서남 3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안산병원
아주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성심병원
14 경기동남 2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15 강원영동 1 강릉아산병원
16 강원춘천 1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17 원주충주 1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18 충남천안 2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학교법인 동은학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19 충북청주 1 충북대학교병원
20 전북익산 1 원광대학교병원*
21 전북전주 1 전북대학교병원
22 전남목포 1 목포한국병원*
23 전남순천 1 성가롤로병원
24 경북안동 1 의료법인 안동병원*
25 경북구미 1 차의과학대학교 부속 구미차병원
26 경북포항 1 포항성모병원
27 경남창원 1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삼성창원병원
28 경남진주 1 경상국립대학교병원
29 제주 1 제주한라병원*
29개 권역 44
* 닥터헬기 보유기관 }}}}}}}}}

1. 개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26조(권역응급의료센터)
보건복지부장관은 응급의료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게 하기 위하여 상급종합병원 또는 300병상을 초과하는 종합병원 중에서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지정할 수 있다.
  • 중증응급환자 중심의 진료
  • 재난 대비 및 대응 등을 위한 거점병원으로서 보건복지부으로 정하는 업무
  • 권역(圈域) 내에 있는 응급의료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
  • 권역 내 다른 의료기관에서 이송되는 중증응급환자에 대한 수용
  • 그 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권역 내 응급의료 관련 업무
②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지정 기준·방법·절차 및 업무와 중증응급환자의 기준 등은 권역 내 응급의료 수요와 공급 등을 고려하여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권역응급의료센터(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은 종합병원 응급실 중에 응급 환자에 대한 최종 진료를 제공하고, 대형 재해 등이 발생한 경우 응급의료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지역 혹은 생활권 할당 개념을 기반으로 지정한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최상급응급실이라고 보면 된다. 진료 이외에 해당 권역 내 응급의료에 대한 교육 및 훈련도 맡아서 하게 된다.

전국에 20개소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지속적인 증감을 거친 후 2023년 5월 추가지정이후 44개소가 지정되어 있다.

응급의료기관은 지역응급의료기관 < 지역응급의료센터 < 권역응급의료센터 < 중앙응급의료센터[1] 순으로 체계를 이루고 있다.

2. 권역별 지정 병원[2]

2.1. 수도권

2.2. 부울경

2.3. 대구경북

2.4. 강원특별자치도

2.5. 충청도

2.6. 광주전남

2.7. 전북특별자치도


2.8. 제주특별자치도


[1] 국립중앙의료원에 설치되어 있다.[2] 권역분할이 행정구역을 완전히 따르지 않아 지역과 권역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3] 종로구, 중구, 용산구, 은평구, 마포구, 서대문구[4]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경기 광명[5] 노원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경기 남양주[6] 송파구, 성동구, 광진구, 서초구, 강남구, 강동구, 경기 구리, 하남, 양평[7] 고양, 김포, 파주, 인천 강화군[8] 수원, 안산, 오산, 화성, 안양, 과천, 군포, 의왕[9] 의정부, 동두천, 양주, 연천, 포천, 강원 철원[10] 성남, 광주, 용인, 이천[11] 인천(강화 제외), 경기 부천, 시흥[12] 부산, 경남 양산, 김해, 밀양, 거제[13] 진주, 고성, 남해, 사천, 산청, 통영, 하동, 함양[14] 창원, 의령, 창녕, 함안[15] 대구, 경북 경산, 고령, 군위, 성주, 영천, 청도, 경남 거창, 합천[16] 안동, 문경, 봉화, 영양, 영주, 예천, 의성, 청송[17] 포항, 경주, 영덕, 울진, 울릉[18] 구미, 김천, 칠곡, 상주[19] 강릉, 고성, 동해, 삼척, 속초, 양양, 정선, 태백, 평창[20] 강원 원주, 영월 횡성, 경기 여주, 충북 충주, 단양, 제천[21] 춘천, 양구, 인제, 홍천, 화천, 경기 가평[22] 대전, 세종, 충남 계룡, 공주, 금산, 논산, 부여, 청양, 충북 영동, 옥천, 전북 무주[23] 청주, 괴산, 보은, 음성, 증평, 진천[24] 천안, 당진, 서산, 아산, 예산, 태안, 홍성, 경기 안성, 평택[25] 광주, 전남 강진, 곡성, 나주, 담양, 보성, 영광, 장성, 장흥, 함평, 화순, 전북 고창, 순창[26] 목포, 무안, 신안, 영암, 완도, 진도, 해남[27] 순천, 고흥, 광양, 구례, 여수[28] 전주, 김제, 남원, 부안, 완주 임실, 장수, 정읍, 진안[29] 익산, 군산, 충남 서천, 보령[30] 관광지에 위치한 병원답게 하루에도 몇번씩 외국인 환자가 들어온다. 그래서 여기 의료진들은 기본적인 외국어 회화는 숙지하고 다닌다고. 러시아어일본어 등 특정 언어를 잘 구사하는 의료진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