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에 대한 내용은 [[손기정(공무원)]]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손기정(공무원)#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손기정(공무원)#|]]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 }}}[[손기정(공무원)]]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손기정(공무원)#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손기정(공무원)#|]]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인물이 수상한 월계수를 심은 참나무}}}에 대한 내용은 [[손기정월계관기념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손기정월계관기념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손기정월계관기념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이 인물에서 유래한 도로명}}}에 대한 내용은 [[손기정로]]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손기정로#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손기정로#|]]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인물이 수상한 월계수를 심은 참나무: }}}[[손기정월계관기념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손기정월계관기념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손기정월계관기념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이 인물에서 유래한 도로명: }}}[[손기정로]]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손기정로#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손기정로#|]]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owcolor=#202020> | | | | |
| | | | | |
스피리돈 루이스 2:58:40 | 미셸 테아토 2:59:45 | 토머스 힉스 3:28:53 | 빌리 셰링 2:51:23 | 케네스 매카서 2:36:54 | |
<rowcolor=#202020> | | | | | |
| | | | | |
한네스 콜레흐마이넨 2:32:35 | 알빈 스텐로스 2:41:22 | 부게라 엘 와피 2:32:57 | 후안 카를로스 사발라 2:31:36 | 손기정 2:29:19 | |
<rowcolor=#202020> | | | | | |
| | | | | |
델포 카브레라 2:34:51 | 에밀 자토펙 2:23:03 | 알랭 미뭉 2:25:00 | 아베베 비킬라 2:15:16 | 아베베 비킬라 2:12:11 | |
<rowcolor=#202020> | | | | | |
| | | | | |
마모 월데 2:20:26 | 프랭크 쇼터 2:12:19 | 발데마르 치르핀스키 2:09:55 | 발데마르 치르핀스키 2:11:03 | 카를루스 로페스 2:09:21 | |
<rowcolor=#202020> | | | | | |
| | | | | |
젤린도 보르딘 2:10:32 | 황영조 2:13:23 | 조시아 투과니 2:12:36 | 게자네 아베레 2:10:11 | 스테파노 발디니 2:10:55 | |
<rowcolor=#202020> | | | | | |
| | | | | |
새뮤얼 완지루 2:06.32 | 스티븐 키프로티치 2:08:01 | 엘리우드 킵초게 2:08:44 | 엘리우드 킵초게 2:08:38 | 타미라트 톨라 2:06:26 |
<colbgcolor=#131230> 손기정 孫基禎|Son Kichung[1] | |
| |
<colcolor=#fff> 출생 | 1912년 10월 9일[음력][족보상] |
평안북도 의주부 광성면 민포동 (現 평안북도 신의주시 민포동) | |
사망 | 2002년 11월 15일 (향년 90세)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 |
본관 | 밀양 손씨 (密陽 孫氏)[4] |
신체 | 약 173cm[5] |
학력 | 양정고등보통학교 (졸업) 보성전문학교 (상과 / 수료) 메이지대학 전문부 (법과 / 졸업) |
가족 | 증조 할아버지 손종일 할아버지 손재기 큰아버지 손태후 아버지 손인석(1875[6]~1935) 어머니 김복녀(?~1941[7]) 형 손기만(1900 ~ ?), 손기용 누나 1명 |
배우자 강복신(1916~1944, 사별) 장인 강용석 딸 손문영(1940년생) 아들 손정인(1943년생) 배우자 김원봉(1922~1972, 사별) 장인 김태규 처남 김원룡, 김원권 | |
직업 | 육상 선수 (마라톤 / 은퇴) 육상 감독은퇴 |
종교 | 가톨릭 (세례명: 아우구스티노)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사회공헌자 묘역-10호 |
1. 개요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 한국인 운동선수 최초로 올림픽을 제패한 한국 체육계의 선구자다.2. 생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손기정/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손기정/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수상 기록
올림픽 | ||
금메달 | 1936 베를린 | 마라톤 |
3.1. 수훈
- 체육훈장 청룡장 (2002년 추서)
4. 대중매체
- 1982년, KBS 1TV에서 손기정과 남승룡을 소재로 하여 한국 최초의 스포츠 드라마 '맨발의 영광' 5부작을 방영했다. 극본은 박찬성, 연출은 전세권이 맡았으며 손기정 역은 배우 김영철이, 남승룡 역은 강태기가 연기했고, 그 외 배역들은 장민호와 김세윤, 이치우, 백수련, 이영수, 김길호, 전원주, 김해권, 금보라, 정재순, 우제영, 김숙경, 이대로, 이정웅, 신종섭, 정운용, 김윤형, 이현두, 안광진, 송희남 등이 출연했다. 그러나 세월이 흘러 자료가 소실돼 KBS 영상자료실엔 5화 하나밖에 없으며, 이마저도 화질이 안 좋다. 그 에피소드는 2020년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자료실에 업로드됐다.
- 2011년작 영화 《마이웨이》 초반부에 상당한 비중을 가지고 등장한다. 인력거꾼인 주인공 김준식에게 한 신사가 시간이 급하다면서 최대한 빨리 가달라는 주문을 받고 육상 선수가 꿈으로 꾸준히 연습해 오던 김준식의 속도로 아슬아슬하게 도착하자 신사는 고마워한다. 나중에 김준식이 육상 대회 신청을 하려 하지만 일본인 위원들의 방해로 등록조차 못할 찰나 아까 그 신사가 들어오며 김준식의 참가를 강력히 요구하는데 이 신사가 바로 손기정이었다. 조선인이긴 하지만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그의 발언권이 장난이 아닌지라 금방 상황이 정리되면서 김준식의 참가가 이루어졌다. 해당 인물은 배우 윤희원이 연기했다.[8]
- 2019년작 일본 NHK 대하 드라마 《이다텐 ~도쿄 올림픽 이야기~》에서도 손기정이 언급되나 일본의 시점으로 그렸기 때문에 한국인 입장에서 평가는 좋지 않다. 실제 방영분에는 훈련 장면에서 손기정, 남승룡을 소개할 때 단역 배우 두 명의 뒷모습과 앞모습이 잠깐 지나가는 모습이 나오며 대회 장면은 실제 영상으로 대체했다. 다만 일본 시점으로 그려졌기에 일장기 말소 사건같은 우리 입장의 사건은 당연히 안나오며[9] 수상식 당시 기미가요가 나올때 손기정의 표정이 어두운 것을 내레이션이 "하지만 수상식에서 우승국 출신 선수의 국기가 걸리고 국가가 연주되는 것을 손 선수와 남 선수는 알지 못했다"라고 말하는데 당연히 일본 국가가 나오는 걸 두 선수가 몰랐던 건 아니고 전반적인 뉘앙스 상 '조선인임에도 일본 국적으로 출전하여서 일본 국가를 수상대에서 들어야 하는 저 선수들의 심정이 과연 어떠할까'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 대체역사소설 카이저를 구했다에서는 1936년 올림픽이 제2차 세계대전으로 취소된 대신 1940년 베를린 올림픽에 태극기를 달고 출전해 당당히 금메달을 받는다.
5. 기타
- 가족 관계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데, 가정사는 그리 행복하지 못했다. 아버지인 손인석(孫仁錫)은 베를린 올림픽 개최 1년 전인 1935년에 향년 60세[10]로 세상을 떠났고, 어머니 김복녀는 1941년에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1939년에는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 체육교사이자 단거리 육상 선수 출신인 약혼녀 강복신[11]과 결혼했지만 5년 뒤 부인은 간염으로 세상을 떠났다. 이 둘의 사랑 이야기는 2016년 7월 10일 방송한 MBC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나오기도 했다. 강복신 씨 사이에서는 자녀가 2명이 있는데 딸 손문영(孫文英, 1940년생), 아들 손정인(孫正寅, 1943년생)이 있다. 손정인 씨는 재일교포거류민단 요코하마지부 사무총장으로 일했고 2002 한일 월드컵 때 자원봉사를 하기도 했다. 또한 외손자 이준승 씨는 現 손기정기념관의 관장이기도 하다. 사위, 즉 손문영의 남편이자 이준승의 아버지인 이창훈도 손기정이 키운 선수로, 1958 도쿄 아시안 게임 마라톤 우승자다. 장서가 나란히 마라톤 금메달을 딴 셈이다.
-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 함께 출전한 미국의 존 켈리 선수가 이때 손기정이 신고 뛰었던 운동화를 청해 선물받아 갔다고 한다. 이후 광복이 된 뒤 남승룡과 함께 후진을 양성하고 있던 손기정은 켈리가 보내 온 안부 편지에서 올림픽 외에도 또 다른 마라톤 경기, 바로 보스턴 마라톤 대회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곧바로 출전을 준비해 남승룡과 함께 가르친 제자 서윤복을 데리고 미국으로 향한다. 이 대회에서 서윤복은 우승을 차지했고, 남승룡도 제자의 페이스메이커로 참가해 태극기를 달고 달리면서 베를린의 한을 풀었다고.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2023년 7월 13일 회차에서 전반부는 손기정과 남승룡의 베를린 올림픽 출전기가, 후반부에서 이 보스턴 마라톤 출전기가 해당 회차 이야기를 장식했다. 벌거벗은 한국사 2023년 9월 20일 회차에서도 같은 주제를 다루며 보스턴 마라톤 출전기를 함께 소개했다.
- 월남 이후 황해도 사리원시 출신의 김원봉(金源奉)[12]과 재혼했는데, 1940년 15.86m로 세단뛰기 세계 최고 기록을 세웠던 육상 선수 김원권(金源權)은 그의 처남이다. 재혼 당시 손기정은 양정동창회를 통해 풍국제분의 헌 창고를 불하받아 풍국산업 진흥회사를 설립, 사장에 취임해 있었다. 재혼 후 그는 처가에 회사 경영을 거의 일임했는데, 결국 파산했고 1970년에는 서울형사지법에서 부정수표 발행의 죄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이 일로 재혼한 부인과도 이혼소송까지 갔는데, 1972년 두번째 부인 김원봉마저도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이후 손기정은 칩거생활에 들어가게 되었다.
-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사실인데, 손기정은 초대 해참총장을 지냈던 손원일 전 국방부장관의 7촌 조카이기도 하다. 손기정의 증조부 손종일(孫鍾一)은 손원일의 조부 손몽룡(孫夢龍)[13]의 남동생이다.
- 일제강점기의 올림픽 우승자라는 사실이 부각되어 실력자임에는 이견이 없되, 어느 정도의 실력자인지는 덜 알려져 있는데, 12년 동안 세계 신기록을 보유하고 있던 거물이었다.[14] 이 기록은 1947년 보스턴 마라톤 대회에서 손기정의 제자인 서윤복이 2시간 25분 39초의 기록으로 깼다. 올림픽 기록은 2시간 29분 19초였는데 당시 올림픽 마라톤에서 처음으로 2시간 30분의 벽을 깼다. 훈련법도 무척이나 독해서 발에 무거운 추를 달고 달리기도 했고, 일본 대표팀이 전부 자고 있을 때 새벽에 일어나서 혼자 훈련을 강행하기도 했다고 한다.
- 육상 선수로 최고의 영예를 누리긴 했지만, 본인은 "어릴 적에 스케이트를 살 돈만 있었으면 스케이트 선수가 되었을 것이다"라고 말했던 적이 있었다.
- 태극기를 24살 때 처음 보았다고 한다. 베를린 올림픽 우승 이후 일제의 감시를 받던 손기정과 남승룡에게 안중근의 사촌 동생인 안봉근이 운영하는 두부공장에서 몰래 파티를 하며 보여주었다고 한다.
- 평안북도 신의주시 민포동 출신으로 죽을 때까지 언제나 고향을 그리워하며 살았으며, "죽기 전에 남북통일이 된다면 신의주 - 부산 간 역전경주 대회에 나가고 싶다"고 말했을 정도였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그는 그토록 보고 싶어했던 통일을 보지 못하고 눈을 감아야만 했다.
- 북한 정권에는 호의적이지 않았다. 1946년 평안북도 체육회 창립 당시 체육회 측에서 참가를 끈질기게 종용했지만 이를 거부하고 서울로 도망친 일화는 유명하다. 이 때문에 괘씸죄에 걸려서 통일원에 방북 신청을 해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한다. 한국전쟁 당시 서울에 고립되었는데 이때 북한군의 감시를 받아서 한국군이 서울을 수복할 때까지 숨어지냈다. 북한에서도 자국의 체육 역사를 이야기할 때 그동안 손기정에 대해서 거의 다루지 않았으나 21세기가 되면서부터 손기정이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일본 대표로 뛰어서 우승했고 당시 일장기 말소사건 등이 있었음도 언급하게 되었다. 로동신문에서 손기정의 우승을 이야기하면서 '나라를 잃은 체육인의 금메달은 그 자신에게도 민족 성원들에게도 기쁨과 자랑보다 눈물과 치욕을 더 뼈아프게 자아낸다'라고도 했다.
- 생전에 여기저기서 정치 입문을 많이 권유받았는데, 이를 전부 뿌리치고 열악하기 그지없는 한국 스포츠계의 진흥과 후학 양성에 힘썼다. 그래서 오늘날에도 순수한 스포츠 영웅으로 칭송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야말로 한국 근대체육사의 입지전적인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 손기정 선수가 정치에 가담하지 않았던 원인에는 여운형의 비극적 죽음도 같이 결부되어있다. 여운형은 일장기 말소사건이 일어난 조선중앙일보의 사장이자 조선 체육계의 대부로서 손기정과 인연이 있었는데, 손기정이 월남한 후 이 인연으로 여운형을 많이 수행했다고 한다. 그러나 결국 여운형이 암살을 당하면서 손기정이 그의 관을 운구하는 비극적 순간도 함께하게 되었다. 조선중앙일보로는 시인이자 소설가인 심훈과도 인연이 있어, 3명의 후손들이 81년 만에 만나기도 했다.
- 성품은 시원시원하고 활달하고 농담도 곧잘 하는 편이었다고 한다.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한 황영조가 손기정의 성격을 많이 닮았다.
- 은퇴 이후에도 꾸준히 달리기를 하여 건강을 유지했기 때문에, 거의 한 세기를 살다시피 장수할 수 있었다.
위 사진에서 맨 좌측이 손기정.
위 사진에서 하단 우측이 손기정.
위 사진에서 맨 우측이 손기정. - 항상 마라톤을 하면서 얼굴이 반쪽이 된 사진만 찍혀서 그렇지 알고 보면 미남이다. 인터넷에서 중년시절 사진을 찾아보면 꽤나 잘생겼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위의 보성전문학교 시절 사진을 봐도 상당한 미남인 걸 알 수 있다.
- 자서전으로는 《나의 조국 나의 마라톤》이 있다. 어린 시절부터 베를린에서의 우승, 해방 전후의 사건들에 대해서 진솔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한가지 아쉬운 부분으로는, 이 자서전은 1983년에 출판되어서 그 이후의 일인 1988 서울 올림픽 때의 성화 봉송이나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때의 이야기 등은 없다는 점이다.
- 레니 리펜슈탈과 친한 사이였는데 손기정은 평소 정치랑 스포츠는 별개라 생각했으며 리펜슈탈은 결백하다 생각했다. 참고로 리펜슈탈이 손기정보다 10살 많은데 90세에 사망한 손기정보다 1년 후에 사망했다.
- 젊은 시절 최승희와 사진을 찍은 적이 있다. 이해하기 쉽게 말하자면 지금 현재 최고의 스포츠 스타와 최고의 연예인이 같이 찍은 사진이라 할 수 있다.[15]
-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의 성화봉송 주자로 발탁되기도 했다. 사진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LA의 코리아타운을 달렸다. 이 때 손기정으로부터 성화를 넘겨받은 인물이 바로 새뮤얼 리였다. 둘의 우정은 생각보다 오래 됐는데, 1947년에 손기정이 보스턴 마라톤에 제자들을 이끌고 참가했을 때 처음 만났다고 한다.
- 생전 발자국 사진.
- 수필가로 유명한 김형석(연세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은 손기정 말년의 다음과 같은 일화를 전한다(《백년을 살아보니》, 42~44면. 아래 '최 세무사'에게서 들었다는 이야기이다.)손기정: 최 선생, 바쁘지 않으면 나를 좀 도와줄 수 있겠어? 내가 요사이 어디서 상을 받은 것이 있는데, 상금도 생겼다고. 그래서 공짜로 생긴 돈이니까 세금을 먼저 내고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찾아왔는데, 좀 도와주었으면 좋겠어.최 세무사: 선생님은 연세도 높고 직업이 있는 것도 아니니까 신고하시지 않아도 괜찮습니다.손기정: 그럴 수는 없지. 내가 지금까지 한평생 얼마나 많은 혜택을 국가로부터 받고 살았는데, 세금을 먼저 내야지. 내가 이제 나라를 위해 도움을 줄 것은 아무것도 없지 않아? 이게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데......손기정: (세무사가 계산해 준 내역을 보고서) 고것밖에 안 되나? 그렇게 적은 돈이면 내나 마나지. 좀 더 많이 내는 방법으로 바꿀 수는 없나?손기정: (세무사가 법적으로 가장 많이 낼 수 있는 방법으로 다시 계산해 주자) 됐어, 그만큼은 내야지. 그래야 마음이 편하지......
- 1998년 삼성그룹의 광고에 출연했다. 그 당시에는 IMF 구제금융 위기가 시작된 직후라 나라의 분위기가 많이 침체되어있던 시기였는데. 이 광고에서 "나라 없이 뛰었어도 기백은 살아있었어! 여기서 주저앉아서야 되겠어? 이 몸이라도 다시 뛰고 싶은데... 해봅시다! 우리가 누굽니까?" 라는 손기정의 외침은 국민들의 마음에 큰 울림을 주었다.
-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의 58번째 드라마 이다텐 ~도쿄 올림픽 이야기~가 3부작 47편 정도가 제작 된다고 한다. 시대배경이 스톡홀름, 베를린, 도쿄 올림픽 중에서 2부에 해당하는 1936 베를린 올림픽이 주요 배경인데 과연 손기정이 어떤 모습으로 묘사될지 궁금한 상황이다. 다름아닌 손기정이 금메달 리스트이기 때문에 반드시 거론되어야 할 인물이기 때문이다.[16] 앞서 언급된 드라마 이다텐의 2019년 9월 8일 방영분에서는 1940 도쿄 올림픽 개최를 위해 카노 지고로가 IOC 위원장을 도쿄로 초대하여 주 경기장에서 얘기를 나눌때 두명이 마라톤 연습을 하는 중이었는데 IOC 위원장이 카나쿠리 시조로 착각하자 당시 수영부 총감독이자 기자였던 타바타 마사지가 "저 두 선수는 손 기테이(손기정)와 난 소류(남승룡)로 조선에서 왔으며 열심히 훈련중이다"라고 언급하며 두 선수(조연배우)의 모습이 앞모습 잠깐 뒷모습이 나온다. 그리고 2019년 9월 15일 방영분에서는 직접 배우가 연기를 하는 것이 아닌,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당시에 실제로 촬영되었던 영상들을 이용하여 등장시켰다. 해당 화 내내 등장하는 일본인들은 대부분 '조선인' 손기정과 남승룡이라고 언급을 하며, 주인공 카나쿠리 시소와 같은 신발을 신고 마라톤에 출전하는 것으로 나오며, 제일 마지막에는 손기정과 남승룡이 금메달과 동메달을 땄을 당시 일본인들이 손기정의 금메달에 환호를 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그와 함께, 나레이션으로 손기정과 남승룡은 수상식때 국기가 올라가고 국가가 흘러나온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었다. 라는 이야기가 부연되며 등장인물 중 한 명이 '과연 저 사람들 심정은 어떠할까' 하면서 침울해 하는 장면이 나온다.[17] 이에 대해서 카나쿠리 시조에게 신발을 만들어주는 쿠로사키 신사쿠가 자신이 생각하기에는 조선인이든 일본인이든 미국인이든 자신이 만든 신발을 신고 뛰어서 금메달을 땄다면 그것만으로 '그냥 기쁘다'라는 대사를 한다. 다만, 작중에서 손기정과 남승룡이 조선인임을 꽤나 강조하고 올림픽 정신과 연결하는 온정적인 형태의 저러한 표현과는 별개로 당시에 여러 일본인들이 손기정과 남승룡을 일본 대표에서 배제시키기 위하여 내내 벌였던 여러 가지 치졸한 악행들은 전혀 묘사되지 않았다.
- 2012 런던 올림픽 때 키 쵀양은 손기정과 비슷한 사연을 가지고 출전했다. 그녀는 티베트인이지만 티베트를 강점하고 있는 중국 대표로 출전하여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달고서 육상 동메달을 땄다.
- 2019년 4월 17일에 손기정의 일생을 일본어로 기록한 평전이 일본에서 출간되었다.
- 2020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그의 생애를 그린 연극이 상영되었다.
- 현재 IOC 홈페이지에서의 소개문과 약력에는 당시 세운 기록과 함께 일본의 강요로 일본식 이름 표기를 사용한 것, 일장기 말소사건, 독립 이후 공식 대회에 기수(1948년)와 성화봉송자(1988년)로 참여한 기록을 모두 기록하고 있다.
- 2020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일본 올림픽 박물관에서 손기정을 일본 최초의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18]로 소개했다. 문제는 이에 대해 손기정 재단과는 사전에 아무런 논의가 없었다. 당시에는 국적이 일본이었으며, 엄연히 일본의 메달로 집계되어서 한국 측에서 이걸 제지할 명분은 없다. 하지만 금메달을 따고도 융숭한 대접은 커녕 조선인이라는 이유로 차별과 핍박을 가했으며, 손기정 선수가 별세했을 때도 조문조차 오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럴 때만 자국의 역사적인 인물이었다고 은근슬쩍 끼워넣으니 이중적으로 비춰질 여지가 다분하다.
- 축구 선수 조원희가 손기정의 젊은 시절 외모와 닮았다는 얘기가 있다.
- 2011년 대한체육회 대한민국 스포츠 영웅에 선정되었다.
- 놀랍게도 2025년 2월 기준 그의 양자가 생존중에 있다. 손기정은 생전 우표 수집가였는데 자신의 수집활동을 도와준 서울의 한미우표사의 사장을 생전 양자로 두었다.
- 광복 80주년을 맞아 그가 베틀린 올림픽에서 일본 선수로 금메달 시상대에 오른 뒤 슬퍼하다가 김구 선생의 손에 이끌려 광복 후 현재의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이 된 모습을 보고 기뻐하며 가슴팍에는 꿈에 그리던 태극기를 달고 서울 전역을 달리는 영상이 AI 로 제작되었다.#
5.1.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손기정이 기증한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
6. 관련 문서
[1] 영상[음력] 8월 29일[족보상] 5월 29일[4] 진주사공파 46세손 기○(基○) 항렬이다.(족보)[5] 아돌프 히틀러와 만난 소감을 말할 때는 본인의 신장을 160cm라고 언급했다. 아마도 당시 서양 사람들과의 체격 차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일부러 많이 줄여 말한 것으로 보인다. 또 1937년 세브란스 신체 검사에서 165cm였다는 논문도 있는데 앞서 160cm 발언처럼 왠지 몰라도 신장을 작게 발표하는 노력을 한 것 같다. 실제로는 80대 고령의 나이에 줄었는데도 170cm의 황영조와 대등했기에 선수 시절의 신장은 이보다 더 컸을 것이다. 신발 높이 등 변수는 있지만 김구와 같이 선 사진에서도 많이 차이 나지 않는 걸 보면 젊은 시절 키는 173이상으로 추정된다.[6] 아래 기사에선 1872년생으로 나온다.[7] 사인은 심장마비.[8] 태극기 휘날리며에서 이진태가 속한 낙동강 방어선 소대장 역을 맡기도 했다.[9] 물론 해당 편만 본 사람들이라면 손기정이나 남승룡 선수에 대한 묘사가 아쉽거나 일본이 역사를 왜곡한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사실 드라마 자체가 일본 최초의 올림픽 마라톤 선수이자 그 유명한 하코네 역전 마라톤을 창시한 카나쿠리 시조를 중심으로 흘러가는 이야기다 보니 일본 중심의 내용일 수밖에 없다.[10] 요즘은 젊은 나이지만 당시는 장수했다는 소리를 들은 만큼 오래 산 것이었다. 이 말을 실제로 들었던 사람으로 대표적으로 박성빈이 있다.[11] 1938년에 신문에서 이 둘의 로맨스가 보도되기도 했다.[12] 전주 김씨 김태규(金泰圭)의 딸이다. 전주 김씨는 남한보다는 북한에 훨씬 많은 성씨이다. 당장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의 본관부터 전주 김씨이다.[13] 족보명은 손형준(孫亨俊)이다.[14] 공식 세계신기록은 1936년 2시간 26분 42초, 비공식 세계신기록은 1935년 2시간 25분 14초이다.[15] 이 사진에 관한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다. 당시 손기정의 올림픽 우승을 축하하기 위해 명월관에 여러 유명인사들이 모였고 최승희도 초대되었다. 그렇게 술자리가 진행되던 도중 누군가가 일본에서 공연을 하는 최승희를 친일이라 비난했고 최승희가 조용히 자리를 뜨려하자 손기정이 화를 내면서 '그럼 일장기를 달고 뛴 나도 친일 행위를 한 것이냐'라고 변호해 주었다. 그런데 최승희를 친일이라 비난한 그 사람은 사람 보는 안목이 있었는지 훗날 최승희는 일본군에 거액의 국방 헌금을 헌납하고 친일 공연에 출연하는 등 진짜로 친일파로 변절했으며, 훗날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또한 자기 밑의 무용수들을 시녀처럼 부려먹고 폭언을 일삼는 등 갑질이 심하고 인성이 매우 나빴다. 정작 최승희를 친일이 아니라 감싸준 손기정이야말로 끝까지 변절하지 않았고, 인품이 훌륭하여 전국민에게 존경받았다는 것이 아이러니다.[16] 다만 걱정되는 것이 다른 배역들은 이미 다 정해진 상황이나 손기정과 남승룡은 누가 맡는지 알려지지 않았고 그러면서 드라마의 공식 사이트도 일본 내에서만 볼 수 있게 막아놓은 상황이다. 상황에 따라서는 이름만 거론되거나 등장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17] 전반적인 뉘앙스상 조선인임에도 일본 국적으로 출전하여서 일본 국가를 수상대에서 들어야 하는 저 선수들의 심정이 과연 어떠할까 하는 것으로 묘사된다.[18] 2020 도쿄올림픽까지 일본의 남자 마라톤 금메달리스트는 식민지 시절 손기정을 제외하면 단 한 명도 없다. 여자부는 시드니 올림픽의 다카하시 나오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