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12:43:30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1932년에 개최된 하계올림픽}}}에 대한 내용은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2028년에 개최예정 하계올림픽}}}에 대한 내용은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1932년에 개최된 하계올림픽: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2028년에 개최예정 하계올림픽: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202020,#DFDFDF> 1회 2회 3회 4회 5회
[[그리스 왕국|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파일:영국 국기.svg
]]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
1896
아테네
1900
파리
1908
런던
<rowcolor=#202020,#DFDFDF> 6회 7회 8회 9회 10회
[[벨기에|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
[[프랑스 제3공화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
1924
파리
<rowcolor=#202020,#DFDFDF>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나치 독일|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
1936
베를린
1948
런던
1952
헬싱키
<rowcolor=#202020,#DFDFDF>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호주 자치령|
파일:호주 국기.svg
]]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
[[서독|
파일:독일 국기.svg
]]
1956
멜버른
1960
로마
1964
도쿄
1972
뮌헨
<rowcolor=#202020,#DFDFDF>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캐나다 자치령|
파일:캐나다 국기.svg
]]
[[소련|
파일:소련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1988
서울
<rowcolor=#202020,#DFDFDF> 26회 27회 28회 29회 30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2000
시드니
2004
아테네
2008
베이징
2012
런던
31회 32회 33회 34회 35회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
2020
도쿄
(연기)
2024
파리
<rowcolor=#202020,#DFDFDF> 36회 37회 38회 39회 40회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2036
미정
2040
미정
2044
미정
2048
미정
2052
미정
역대 동계올림픽 / 역대 하계패럴림픽 / 역대 동계패럴림픽
Citius, Altius, Fortius! - Communiter 더 빠르게, 더 높게, 더 힘차게! - 다 함께
}}}}}}}}}
<colcolor=#fff>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colbgcolor=#ea463b> 제23회 올림픽 대회
Games of the XXIII Olympiad™ Los Angeles 1984
Jeux de la XXIIIe Olympiade™ Los Angeles 1984
파일: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로고.svg
파일:external/cdn.colorlib.com/1984-Los-Angelos-Summer-Olympic-Games.jpg
대회기간 1984년 7월 28일 ~ 8월 12일
개최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슬로건 Play a Part in History
(역사의 한 장면)
마스코트 샘 (Sam)
주제가 Reach Out
참가국 140개국
참가선수 6,829명[1]
경기종목 21개 종목, 221개 세부 종목
개회선언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
선수 선서 에드윈 모지스
심판 선서 샤론 헤버
성화 점화 라퍼 존슨
개·폐회식장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1. 개요2. 유치3. 마스코트4. 개폐막식5. 특징
5.1. 냉전의 영향5.2. 최초의 흑자 올림픽5.3. 참가국별 특징
6. 경기 종목
6.1. 종목별 이야기
7. 메달 집계8. 대한민국 하계올림픽 성적9. 한국측 중계진10. 관련 문서11. 둘러보기

1. 개요

올림픽 주제가
같은 기간 히트하여 LA 올림픽의 상징곡처럼 여겨지는 밴 헤일런Jump브루스 스프링스틴Born in the U.S.A.
"Celebrating the Twenty-third Olympiad of the modern era, I declare open the Olympic Games of Los Angeles."
나는 제23회 근대 올림픽을 기념하면서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의 개회를 선언합니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의 개회 선언문.
1984년 7월 28일부터 8월 12일까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 제23회 하계올림픽.

2. 유치

<nopad> 파일:1984 로스엔젤레스 올림픽 유치 엠블럼.svg
1978년 제23회 하계 올림픽 유치전 당시 엠블럼

하계올림픽 대회 유치를 희망한 도시가 로스앤젤레스와 이란 제국테헤란 둘 뿐이었다. 그마저 테헤란이 정치적 불안과 소요로 중도 포기하면서 1978년 5월 18일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제80차 IOC 총회에서 단독 후보로서 유치에 성공하였다.

3. 마스코트

파일:external/www.theimport.co.uk/olympic-mascots-sam.jpg 파일:external/images.visitbeijing.com.cn/Img214727908.jpg

대회 마스코트인 (Sam). 흰머리수리엉클 샘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이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한 '이글 샘'(イーグルサム, Sam the Olympic Eagle)이라는 애니메이션을 1983년에 TBS 테레비에서 방영한 바 있다.

4. 개폐막식

개폐회식 장소이자 주경기장은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주경기장인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에서 열렸다. 52년 만에 같은 장소에서 다시 개최되었다.

LA 올림픽 주제가를 비롯한 음악들은 미국의 전설적인 영화음악 작곡가 존 윌리엄스가 맡았으며, 그가 작곡하여 LA 올림픽 개막식에서 초연한 '올림픽 팡파레와 테마'(Olympic Fanfare & Theme)는 지금까지도 회자되고 연주회에 오를 정도의 명곡이다.
존 윌리엄스가 작곡하고 개막식에서 초연한 '올림픽 팡파레와 테마'
개막식
폐막식

특히 폐막식 때에는 다음 개최지가 대한민국이었기 때문에 태극기가 게양되고 애국가가 연주되었으며[2]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IOC 위원장이 오륜기를 LA 시장으로부터 전달받아 염보현 당시 서울특별시장에게 넘겨주었다. 직후 시작된 폐막식 초반에 서울 올림픽 로고 및 마스코트 호돌이가 등장하기도 했다.[3] 올림픽기 이양 후, 차기 개최지 대한민국의 무대로 부채춤을 선보였다. 4년 후, 부채춤은 서울올림픽 폐막식 때 다시 한 번 등장하여 바르셀로나의 플라멩고 무용단과 함께 부채와 치마폭을 펄럭이며 문화를 뛰어넘는 조화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참고로 이때 LA 올림픽 폐막식을 보면서 우리나라가 비로소 세계무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고 있다는걸 목도한 대한민국 사람들이 느꼈던 그 벅찬 감정은 2020년대의 지금으로서는 상상하기조차 어려울 만큼 감동적인 것이었다. 그리고 이는 4년 뒤 서울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러내면서 우리나라의 많은 면모를 근본적으로 바꾸게 한 원동력으로 이어진다.

폐회식때는 독특한 광경이 나오기도 했는데, 바로 폐회식 중 경기장 중앙에 UFO가 착륙해 거기서 외계인이 걸어나오는 연출을 했다. 외계인 역을 맡은 사람은 키가 244cm였던 학생으로 UFO에서 걸어나와 "올림픽이 좋아서 먼 길을 날아왔어요!"라고 외치는 역을 말았다.

5. 특징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은 딱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공산권의 불참, 다른 하나는 돈잔치.

아울러, 올림픽대회 공식 사진 필름으로는 이 대회 한정으로 후지필름이 선정되었다. 나머지 대회는 코닥이 선정되었다.

5.1. 냉전의 영향

직전 대회에 이어 두 번째로 반쪽짜리 올림픽이 되었다. 하나는 모스크바 올림픽 파행에 대한 소련공산권 국가들의 보복. 사실 참가국 수는 당시까지는 역대 올림픽 최다. 불참국도 적었다. 공산권 국가들 중에서도 동아시아의 중국과 동유럽의 루마니아유고슬라비아는 불참한 소련과 다른 구 공산주의권 국가들과 달리 올림픽에 참가했다. 중국은 1959년 중소 결렬 이후에 소련과 갈등을 빚던 중 1970년대에 들면서 미국 등 서방 국가들과 밀월을 맺으며 소련을 견제하는 위치에 서 있었고, 루마니아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대통령의 탈 소련 정책에 의해, 유고슬라비아는 비동맹세력의 맹주라는 점에서 소련의 입김을 덜 받는 나라였던지라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참가가 가능했다.[4]

문제는 불참국들이 주로 소련, 동독 같은 스포츠 강국이라 올림픽 열기를 크게 위축시켰다는 점이다.[5] 공산권은 의도적으로 LA 올림픽이 열리는 기간과 일정이 겹치도록 프렌드쉽 게임이라는 국제 스포츠 대회를 대신 열어서 올림픽의 흥행에 타격을 주었다.

사실 불참 이유는 다들 보복이라는 거 뻔히 알지만 이들 불참 국가의 공식적 명분은 '선수단 안전보장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일부 아시아 국가들도 소련에 동조, 불참하였는데 이들의 보이콧은 여기서 끝나지 않고 2년 뒤의 대한민국이 개최한 86 아시안 게임까지 이어졌다.

이 문제는 다음 올림픽인 1988 서울 올림픽에서 어느 정도 해소되고, 궁극적으로는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완전 해소된다.[6]

5.2. 최초의 흑자 올림픽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e90606>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올해의 인물 (198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1980's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파일:attachment/time_1980.jpg파일:attachment/time_1981.jpg파일:attachment/time_1982.jpg파일:attachment/time_1983.jpg파일:time-person-of-the-year-84.jpg
<rowcolor=#fff> 1980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1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2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3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4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파일:attachment/time_1985.jpg파일:external/img.timeinc.net/1101870105_400.jpg파일:attachment/time_1987.jpg파일:attachment/time_1988.jpg파일:attachment/time_1989.jpg
<rowcolor=#fff> 1985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6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7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8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1989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파일:Time_Inc_white.png
}}}}}}}}} ||

흑자를 본 올림픽이다. 8년 전 1976 몬트리올 올림픽이 최악의 적자를 보면서 막을 내린 것과 달리,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은 중계권료의 폭등과 다양한 마케팅으로 흑자(250만 불)를 내는데 성공했다. 다만, 이는 올림픽의 지나친 상업화의 시초라는 점에서 오늘날 비판받기도 한다. 특히 올림픽 조직위원장이었던 피터 유버로스는 지나친 상업화를 추구했다는 이유로 관계자, 언론, 팬들로의 호된 비판을 받았다. 그리고 그는 올림픽이 끝난 후 메이저리그(MLB) 커미셔너로 추대된다. 그런데 MLB 커미셔너로서도 역시 똑같은 짓을 했다.

그러나 유버로스의 올림픽 상업화 노선은 냉전 시대의 올림픽 위기 상황에서 어쩔 수 없었다는 평가도 많다. 올림픽을 개최할 때만 하더라도 이전 대회였던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때 올림픽이 4대륙 올림픽으로 전락 + 제2의 뮌헨 참사를 막기 위한 보안 경비 투자의 증가로 사상 최악의 적자를 내며 전세계적으로 이렇게 없는 살림 쥐어짜면서까지 올림픽을 유치시킬 필요가 있냐는 목소리가 높아진 상황이었다. 서울올림픽 유치전 때 많은 국가들이 올림픽 유치를 망설였던 이유이기도 하다. 올림픽의 규모가 점점 더 커져가고, 국가의 위력을 과시하는 쪽으로 변화해가면서 나타난 올림픽의 상업화는 이미 예견된 수순이었다.

참고로 올림픽 후원사 중 하나인 맥도날드는 이 당시 프로모션 행사 과정에서 큰 손실을 입기도 했다. 맥도날드는 '미국이 승리하면 여러분도 승리합니다'라는 캐치프라이즈를 퍼뜨렸다. 맥도날드 상품을 구매 시 카드를 주는데, 이 카드에는 올림픽 종목이 있었고 해당 종목에서 미국이 메달을 획득할 경우 경품으로 빅맥(금메달), 감자튀김(은메달), 콜라(동메달)를 무료로 주는 형태였다. 문제는 앞서 언급했듯이 미국이 역대 최고의 성적을 거두면서 당연히 비용도 크게 상승한 것. 이로 인해 맥도날드는 상당히 큰 손실을 보아야 했다.[7]

5.3. 참가국별 특징

  • 대한민국은 다음 대회 개최지로서 스포츠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던 시기였다. 그래서 그 전 대회까지 금메달 단 한 개를 따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지만, 이 대회를 통해 금메달 6개, 은메달 6개, 동메달 7개(전체 10위, 메달수 스웨덴과 공동 10위)를 차지하면서 본격적으로 올림픽 무대에서 활약하기 시작했고, 또 이후의 선전을 예고하였다. 주로 양궁, 복싱, 레슬링, 유도에서 거둔 수확이었고, 구기종목 사상 첫 은메달[9](여자 농구 및 여자 핸드볼)이 나온 대회이기도 했다. 이 대회에서 호남권 출신 첫 금메달리스트가 나오기도 했다. 한국의 금메달은 전라도[10]경상도 출신[11]이 모두 가져가고 충청도, 강원도, 수도권 출신은 최고 성적이 은메달이며, 제주도 출신은 메달을 못 땄다.[12]

    대회가 끝난 후 정부는 선수 환영식을 아주 성대하게 치렀다. 이렇게 성대하게 치른 이유는 올림픽에 대한 기대감도 있겠지만, 그전에 3S 정책하고도 연관이 있었다. 당시 이 환영식은 1984년 8월 25일에 여의도광장에서 열렸으며 '영웅 돌아오다'란 제목으로 KBS 1TV와 MBC TV를 통해 동시 생중계되었다.영상 시대가 시대인 만큼 선수들이 전두환 대통령을 찬양하는 장면이 나온다.

    한국 마라톤의 영웅 1936 베를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손기정 옹이 성화봉송 주자로 발탁되기도 했으며, 코리아타운 앞을 지나가 많은 교포들의 환영을 받았다. 그 다음에 성화를 넘겨 받은 이가 미국 아시아계 최초 다이빙 금메달리스트인 새뮤얼 리 옹이다.
  • 미국이 금메달 83개를 차지하면서 압도적인 실력을 과시했는데, 사실 홈그라운드의 이점 + 소련 및 동유럽 불참으로 인한 미국 쪽 심판의 편파 판정이 겹친 결과였다. 한국도 복싱에서 많은 피해를 본 편이었다. 플라이급의 유력한 우승후보였던 김광선이 편파판정으로 1회전 탈락한 사례도 있었으니까. 김광선은 다음 대회인 서울올림픽에서 당당히 금메달을 차지했다. 다음 대회인 서울올림픽에서 미국의 로이 존스 주니어가 우세한 경기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박시헌에게 패배해 은메달을 딴 것도 올림픽 당시 미국측의 편파 판정에 따른 반작용이었다는 주장이 있다.

6. 경기 종목

6.1. 종목별 이야기

육상 여자 3,000m 경주
  • 이 대회에서 화제가 되었던 경기들 중에는 남아공 출신의 영국 선수 졸라 버드(Zola Budd),[17] 미국의 메리 데커가 대결한 육상 여자 3,000m 경주가 있었다. 그런데 경기 도중에 그만 둘이 충돌해 메리는 부상으로 경기를 포기하였고, 졸라도 페이스가 떨어져 7위에 머물렀다. 이에 미국 언론이 "버드가 일부러 데커의 발을 걸었다"며 주장하고, 영국 언론은 "메리가 부주의했던 것"이라며 맞섰다. 결국 당대 세계 정상급이었던 두 선수는 이후에도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지 못한 채 은퇴하였고, 올림픽 역사에서 두고두고 비운의 순간으로 기억되고 있다. 다만 졸라 버드는 현재 미국으로 이민 가 어느 고등학교에서 코치로 재직하고 있다고 한다.
육상 여자 마라톤
  • 이런 저런 편견 때문에 오랫동안 도입되지 않았던 여자 마라톤 부분이 1981년 IOC에서 정식 종목으로 승인하면 본 올림픽에서 첫 시행되며 여자 육상에서는 마라톤이 처음으로 채택된 대회라는 의미를 갖는다. 금메달은 지난해 보스턴 마라톤에서 우승하기도 했던 미국의 조엔 베노이트가 2시간 24분 24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다.[18] 사실, 종목 역사상 첫 금메달을 차지한 베노이트보다 더 화제가 된 인물이 있었는데, 스위스 국가대표였던 가브리엘라 안데르센-쉬스로, 1945년생이던 그녀는 당시 39세의 나이로 올림픽에 출전, 마지막 400m를 거의 걷다시피 하면서까지 결승선을 통과해서 화제가 됐었는데, 나중에 인터뷰에서 꼭 완주해서 IOC가 여자 마라톤을 정식 종목으로 채택한 게 옳은 결정이었음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밝혔다.

[20]
  • 여자 핸드볼 경기 시상식에서 관중들이 단체로 난간에 기대다가 난간이 무게를 버티지 못해 관중들이 코치석 쪽으로 단체로 추락해서 부상자가 다수 나오는 사고가 있었다.

7. 메달 집계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메달 집계
<rowcolor=#ea463b,#ffffff> 순위 국가 메달 합계
1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83 61 30 174
2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 루마니아
20 16 17 53
3 [[서독|
파일:독일 국기.svg
]] 서독
17 19 23 59
4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국
15 8 9 32
5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이탈리아
14 6 12 32
6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캐나다
10 18 16 44
7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
10 8 14 32
8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 뉴질랜드
8 1 2 11
9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 유고슬라비아
7 4 7 18
<rowcolor=#000> 10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 대한민국
6 6 7 19
11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영국
5 11 21 37
12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프랑스
5 7 16 28
13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네덜란드
5 2 6 13
14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 호주
4 8 12 24
15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 핀란드
4 2 6 12
16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 스웨덴
2 11 6 19
17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 멕시코
2 3 1 7
18 [[모로코|
파일:모로코 국기.svg
]] 모로코
2 0 0 2
19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 브라질
1 5 2 8
20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스페인
1 2 2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위권 미만 국가 순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1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 벨기에
1 1 2 4
22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오스트리아
1 1 1 3
23 [[케냐|
파일:케냐 국기.svg
]] 케냐
1 0 2 3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포르투갈
1 0 2 3
25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 파키스탄
1 0 0 1
26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 스위스
0 4 4 8
27 [[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
]] 덴마크
0 3 3 6
28 [[자메이카|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 자메이카
0 1 2 3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노르웨이
0 1 2 3
30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 그리스
0 1 1 2
[[나이지리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 나이지리아
0 1 1 2
[[푸에르토리코|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 푸에르토리코
0 1 1 2
33 [[콜롬비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 콜롬비아
0 1 0 1
[[이집트|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 이집트
0 1 0 1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아일랜드
0 1 0 1
[[코트디부아르|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 코트디부아르
0 1 0 1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페루
0 1 0 1
[[시리아|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 시리아
0 1 0 1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 태국
0 1 0 1
40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튀르키예
0 0 3 3
[[베네수엘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베네수엘라
0 0 3 3
42 [[알제리|
파일:알제리 국기.svg
]] 알제리
0 0 2 2
43 [[카메룬|
파일:카메룬 국기.svg
]] 카메룬
0 0 1 1
[[중화 타이베이|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 대만
0 0 1 1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 도미니카 공화국
0 0 1 1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 아이슬란드
0 0 1 1
[[잠비아|
파일:잠비아 국기.svg
]] 잠비아
0 0 1 1
}}}}}}}}} ||

도미니카 공화국, 시리아, 알제리, 잠비아, 중국, 코트디부아르는 이 대회에서 사상 첫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으며 모로코, 중국, 포르투갈은 첫 금메달을 따는데 성공했다.

8. 대한민국 하계올림픽 성적

8.1. 선수단 명단

8.2. 대한민국 하계올림픽 성적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 10위
메달 <rowcolor=#000000> 6 6 7
상세
<rowcolor=#fff> 메달 종목 비고
메달리스트
레슬링 자유형 68kg
유인탁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62kg
김원기
복싱 미들급
신준섭
양궁 여자 개인
서향순
유도 71kg
안병근
유도 95kg
하형주
레슬링 자유형 52kg
김종규
복싱 웰터급
안영수
유도 60kg
김재엽
유도 65kg
황정오
농구 여자대표팀 [23]
김영희, 김은숙, 김화순, 문경자, 박양계, 박찬숙, 성정아, 이미자, 이형숙, 정명희, 최경희, 최애영
핸드볼 여자대표팀 [24]
강숙, 김경순, 김명화, 김미숙, 김옥화, 김춘례, 성경화, 손미나, 윤병순, 윤수경, 이순이, 이영자, 정순복, 정희순, 한화수
레슬링 자유형 57kg
김의곤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52kg
방대두
레슬링 자유형 48kg
손갑도
레슬링 자유형 62kg
이정근
복싱 라이트급
전칠성
유도 95kg
조용철
양궁 여자 개인
김진호

9. 한국측 중계진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nopad> {{{#!wiki style="padding-top: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000 40% 60%, #cc000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국가 ]
{{{#!wiki style="margin: -5px -1px; letter-spacing: -.2px"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
{{{#000,#ddd {{{#!folding [ 자본주의 진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세계
맹주
유럽
· · · · · · · · · · · · · ·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 · · · · · · · · · · · · · · · · · · ·
아프리카
· · · · · · · · · ·
북아메리카
· · · · · · · · · · · · · · · ·
남아메리카
· · · · · · · · ·
}}}}}}}}}}}}
{{{#!folding [ 공산주의 진영 ] 
{{{#!folding [ 비동맹 진영 ] 
}}} ||}}}}}}}}}
[ 주요 사건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colbgcolor=#000><width=1%>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1947)
||봉쇄 정책 · 언싱커블 작전 · 제2차 국공내전 · 철의 장막 · 그리스 내전 · 미소공동위원회 · 트루먼 독트린 ||
전반부
(1947~1969)
마셜 플랜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 제1차 중동전쟁 · 베를린 봉쇄 · 티토-스탈린 결렬 · 소련의 미국개입유도설 · 6.25 전쟁 · 샌프란시스코 조약 · 쿠바 혁명 · 제네트릭스 계획 · 1956년 포즈난 시위 · 1956년 헝가리 혁명 · 제2차 중동전쟁 · 1958년 레바논 위기 · 진먼 포격전 · 스푸트니크 쇼크 · 콩고 내전 · 중소결렬 · U-2 격추 사건 · 1962년 버마 군사반란 ·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 베트남 전쟁 · 캄보디아 내전 · 피그만 침공 · 쿠바 미사일 위기 · 제3차 중동전쟁 · 68 운동 · 프라하의 봄 (다뉴브 작전)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우주 경쟁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매카시즘 · 상호확증파괴 · 죽의 장막 · 로젠버그 부부 간첩 사건 · 과테말라 내전 · 북예멘 내전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데탕트
(1969~1979)
닉슨 독트린 · 동방 정책 · 닉슨-마오쩌둥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 핵확산금지조약 · 전략무기제한협정 · 제4차 중동전쟁 · 앙골라 내전 · 베트남 통일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독일의 가을 · 중일평화우호조약 · 이란 혁명 · 중국-베트남 전쟁 · 엘살바도르 내전 · 니카라과 혁명
후반부
(1979~1985)
흑묘백묘론 · 폴란드 계엄령 · 악의 제국 연설 · 그레나다 침공 · 이 장벽을 허무시오 · 소련-아프간 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 · 스타워즈 계획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콘트라
냉전의 종식
(1985~1991)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도이머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북방정책 · 1988 서울 올림픽 · 천안문 6.4 항쟁 · 베를린 장벽 붕괴 · 몰타 회담 · 1989년 동유럽 혁명 · 예멘 통일 · 동서독 통일 · 걸프 전쟁 · 8월 쿠데타 · 남북기본합의서 · 소련 붕괴
탈냉전
[ 관련 문서 ]
||<-2><tablewidth=100%><width=1000><bgcolor=#000> 국제 기구 ||
·
TIAR · SEATO · ANZUS · CENTO | 경제상호원조회의(СЭВ | COMECON)
군사 대결 구도
미군 vs 소련군
}}}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bb133e><colcolor=#fff>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호 · 엉클 샘 · 충성의 맹세 · 컬럼비아 · 흰머리수리 · 아메리카들소
역사역사 전반 · 13개 식민지 · 미국 독립 전쟁 · 골드 러시 · 서부개척시대 · 아메리카 연합국 · 남북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 광란의 20년대 · 대공황 · 제2차 세계 대전 (노르망디 상륙 작전 · 태평양 전쟁 · 진주만 공습) · 냉전 · 9.11 테러
정치합중국 · 백악관 · 캠프 데이비드 · 건국의 아버지들 · 미국 독립선언서 · 미국 국회의사당 · 헌법 · 정치 · 연방정부 · 연방 행정각부 · 의회 (미국 상원 · 미국 하원) · 정당 · 행정구역 ( · 해외영토 · 도시 목록 · 주요 도시 · 주요 도시권) · 대통령 (명단) · 부통령 · 하원의장 · 지정 생존자
치안과 사법사법 전반 · 대법원 · 법무부 · 미국의 경찰제도 (군사화) · 보안관 · SWAT · USMS (연방보안관) · 텍사스 레인저 · DEA · ATF · 국적법 · 금주법 · FBI · ADX 플로렌스 교도소 · 사형제도 · 총기규제 논란 · 마피아 · 갱스터
선거대선 (역대 대선) · 선거인단 · 중간선거
경제경제 (월 스트리트 · 뉴욕증권거래소 · 나스닥 · 대륙간거래소 · CME 그룹 · 실리콘밸리 · 러스트 벨트) · 주가 지수 · 미국기업 시가총액 상위 50위 · 미국의 10대 은행 · 대기업 · 미국제 · 달러 (연방준비제도) · 취업 · 근로기준법 · USMCA · 블랙 프라이데이
국방미국 국방부 (펜타곤) · 육군부 · 해군부 · 공군부 · MP · MAA · SF · CID · NCIS · AFOSI · CGIS · 미국 육군 교정사령부 · 미군 · 편제 · 계급 · 역사 · 훈장 · 명예 훈장 · 퍼플 하트
문제점 · 감축 · 군가 · 인사명령 · 교육훈련 · 선발징병제 · 징병제(폐지) · 민주주의/밈 · 미군 vs 소련군 · 미군 vs 러시아군 · NATO군 vs 러시아군
장비 (제2차 세계 대전) · 군복 · 군장 · 물량 · 전투식량 · MRE · CCAR · 새뮤얼 콜트 · 리처드 조던 개틀링 · 존 브라우닝 · 유진 스토너 (AR-15 · AR-18 · AR-10 · M16 VS AK-47 · M4A1 vs HK416) · M72 LAW · 리볼버 . SAA · 레밍턴 롤링블럭 · 헨리 소총 · 윈체스터 M1866 · 콜트 · M4 셔먼 · M26 퍼싱 · M1 에이브람스 · M2 브래들리 · M270 MLRS · M142 HIMARS · F-86 세이버 · 스텔스기 · F-22 · B-29 · B-36 · B-52 · AH-1 · AH-64 · 핵실험/미국 (맨해튼 계획 · 트리니티 실험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 · 팻 맨 · 리틀 보이 · 비키니 섬 핵실험 · 네바다 핵실험장) · 핵가방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해안경비대 · 우주군 · 주방위군 · 합동참모본부 · 통합전투사령부 · USSOCOM · 해외 주둔 미군 (주한미군 · 주일미군 · 한미상호방위조약 · 한미행정협정 · 미일안전보장조약 ·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 미국-중화민국 상호방위조약 · 람슈타인 공군기지) · AREA 51 · NATO · 샌프란시스코 체제 · NORAD (산타 추적)
외교외교 전반 · 여권 · 영미권 · 상임이사국 · G7 · G20 · APEC · Quad · IPEF · G2 · AUKUS · JUSCANZ · TIAR · 미소관계 · 미러관계 · 미영관계 · 미국-프랑스 관계 · 미독관계 · 미국-캐나다 관계 · 미국-호주 관계 · 미국-뉴질랜드 관계 · 미일관계 · 한미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파이브 아이즈 · 미중러관계 · 대미관계 · 미국 제국주의 · 친미 · 미빠 · 반미 · 냉전 · 미국-중국 패권 경쟁 · 신냉전 · ESTA · G-CNMI ETA · 사전입국심사
교통아메리칸 항공 · 유나이티드 항공 · 델타항공 · 사우스웨스트 항공 · Trusted Traveler Programs (TSA PreCheck · 글로벌 엔트리 · NEXUS · SENTRI · FAST) · 교통 · 운전 · 신호등 · 주간고속도로 · 철도 (암트랙 · 아셀라 · 브라이트라인 · 텍사스 센트럴 철도 · 유니온 퍼시픽 · 캔자스 시티 서던 · BNSF · CSX · 노퍽 서던 · 그랜드 트렁크 · 마일 트레인 · 커뮤터 레일) · 그레이하운드 · 스쿨버스 · 차량 번호판 · 금문교 · 베이 브릿지 · 브루클린 대교 · 맨해튼교 · 윌리엄스버그 다리
문화문화 전반 · 스미스소니언 재단 (스미스소니언 항공우주박물관) ·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 MoMA · 아메리카 원주민 · 개신교 (청교도 · 침례교) · 가톨릭 · 유대교 · 스포츠 (4대 프로 스포츠 리그 · 프로 스포츠 리그 결승전 ·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 NASCAR · 인디카 시리즈 · 미국 그랑프리 · 마이애미 그랑프리 ·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 조깅) · 관광 (하와이 · 사이판 · ) · 세계유산 · 자유의 여신상 · 러시모어 산 · 워싱턴 기념비 · 링컨 기념관 · 타임스 스퀘어 · 월트 디즈니 컴퍼니 · 디즈니 파크 · 미키 마우스 · 스타워즈 시리즈 · 마블 시리즈 · · 브로드웨이 · 영화 (할리우드) · 미국 영웅주의 · 드라마 · 방송 · 만화 (슈퍼히어로물) · 애니메이션 · EGOT (에미상 · 그래미 어워드 · 아카데미 시상식 · 토니상) · 골든글로브 시상식 · 요리 · 서부극 (카우보이 · 로데오) · 코카콜라 (월드 오브 코카콜라) · 맥도날드 · iPhone · 인터넷 · 히피 · 로우라이더 · 힙합 · 팝 음악
언어영어 · 미국식 영어 · 미국 흑인 영어 · 영어영문학과 (영어교육과) · 라틴 문자
교육교육전반 · 대학입시 · TOEIC · TOEFL · SAT · ACT · GED · AP · GRE · 아이비 리그 · Big Three · ETS · 칼리지 보드 ·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 Common Application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 IXL
지리스톤 마운틴 · 그랜드 캐니언 · 그레이트솔트호 · 그레이트플레인스(프레리 · 로키산맥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세인트로렌스강 · 오대호
기타아메리칸 드림 · 생활정보 (사회보장번호 · 공휴일/미국 · 미국 단위계) · 급식 · 비자 · 미국인 · 시민권 · 영주권 · 미국 사회의 문제점 · 미국 쇠퇴론 · 마천루 (뉴욕의 마천루) · 천조국 · 'MURICA · OK Boomer
}}}}}}}}} ||





[1] 남자: 5,263명 / 여자: 1,566명[2] 그리스, 미국 국가 다음으로 마지막에 연주되었다. 그리스는 올림픽의 창시국가이자 첫 개최국 자격으로, 미국은 당시 개최국 자격으로, 대한민국은 차기 개최국 자격으로.[3] 그런데 잘보면 호돌이의 등장이 살짝 모양 빠진다. 무대에 오르면서 발을 헛디뎌 넘어지고 이때문인지는 몰라도 머리에 있던 상모가 떨어져나가 대롱대롱 매달려있다.[4] 그 덕에 이 대회의 금메달 순위에서 루마니아는 2위, 중국은 4위, 유고슬라비아는 9위를 각각 차지했다. 참고로 대한민국도 이러한 상황에 큰 이익을 봤고, 이 대회를 기점으로 금메달 수가 많아졌다. 루마니아의 경우 아무리 타국의 불참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도 이런 순위는 전무후무하다.[5] 비유하자면 브라질에서 열린 월드컵에서 프랑스, 영국, 스페인, 독일 등의 유럽 국가들이 대거 빠지고 그 다음 개최지인 유럽에서 열린 월드컵에서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콜롬비아, 칠레, 멕시코 등 중남미의 강호들이 빠진 상황을 생각해보면 된다. 아니면 아시안 게임에서 한국, 중국, 일본 가운데 최소 하나가 참가하지 않은 것과 같은 상황이다.[6] 서울 올림픽은 냉전 해소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으나 대한민국과 사이가 좋지 않은 북한과, 북한에 동조했던 쿠바, 에티오피아(당시 국명은 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 등이 불참했다는 한계가 있었다. 당시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IOC에서 제명되었던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참가 자격을 박탈당했었다.[7] 이걸 심슨 가족에서 크러스티가 했다가 큰 손해를 보는 것으로 패러디했다.[8] 동계 올림픽은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대회가 처음. 역시 미국이 개최국이었다. 이 때 대만은 선수단이 미국까지 갔으나 이런 국호 문제에 불복하고 불참했다.[9] 구기종목 사상 첫 메달은 1976 몬트리올 올림픽의 여자배구 동메달이다.[10] 유인탁 (전북 김제), 서향순 (광주), 신준섭 (전북 남원), 김원기 (전남 함평).[11] 안병근 (대구), 하형주 (경남 진주).[12] 충청도와 수도권 출신(서울·경기는 여자 핸드볼에서 각각 2명), 인천1988 서울 올림픽에서, 강원도 출신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제주도 출신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 첫 금메달을 가져갔다. 개인 종목에서 첫 제주도 출신 금메달리스트는 2024 파리 올림픽 사격종목에서 10m 공기권총으로 금메달을 딴 오예진이다.[A] 첫 정식 종목 채택[시범] 시범 경기 종목[A] [시범] [17] 올림픽 직전에 열린 5,000m 결승에서 메리 데커의 기록을 깨고 세계신기록으로 우승해 화제가 된 선수로, 당시 남아공 정부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고수하고 있어서 국제 대회에 출전하지 못했기에 할아버지의 모국인 영국으로 귀화해야 했다.[18] 2위와 1분 26초나 차이나는 아주 압도적인 기록이었으며, 15km 이후론 줄곧 선두였다.[19]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유격수 바비 위트 주니어의 아버지.[20] 해당 영상의 1분 24초 즈음부터 보면 된다.[21] 출처 국제스포츠정보센터[22] 개막식에서 한국 대표팀 기수를 맡았다.[23] 대한민국 구기종목 첫 올림픽 은메달[24] 대한민국 구기종목 첫 올림픽 은메달[25] 출처: <1985 KBS 연지> p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