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5 15:38:39

토니상


EGOT
파일:_Emmy_.png 파일:_Grammy_.png 파일:Oscar.png 파일:_Tony_.pn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토니상
Tony Awards
파일:tonyawards.png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주최 아메리칸 시어터 윙
브로드웨이 리그
첫 시상 1947년 4월 6일 ([age(1947-04-06)]주년)[1]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오프닝
2.1. 문서가 있는 토니상 시상식
3. 시상 분야
3.1. 역대 작품상 목록
4. 한국과 토니상

1. 개요

미국 연극·뮤지컬계의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영국 연극계의 '로런스 올리비에 상'에 비견된다. 브로드웨이에 올라온 작품[2] 중 우수작들에게 표창하는 상으로, 미국 방송계에 에미상, 영화계에 오스카상, 음악계에 그래미상이 있듯이 연극·뮤지컬계에는 토니상이 있다. 연극은 1947년에 첫 시상을 하였고 뮤지컬은 1949년에 첫 시상을 하였다.

정식 명칭은 "앙투아네트 페리 연극상"(Antoinette Perry Award for Excellence in Theatre). 상의 이름마리 앙투아네트 페리라는 20세기 초 미국의 유명한 여류 연극인의 이름을 딴 것으로, 페리는 토니상 시상식을 주관하는 미국 연극 단체인 ATW(아메리칸 시어터 윙)의 설립자 중 한 명이다. 그녀의 별명이 토니였기 때문에 상의 별칭도 토니상인 것. 프랑스의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와는 물론 아무 관계도 없다.

1947년에 첫 시상식이 열렸는데, 당시 토니상 시상식은 월도프 아스토리아 뉴욕 호텔에서 연극인들끼리 갖는 비교적 조촐한 행사였으며, 수상자에게는 상장과 더불어 금장 장신구라이터 같은 쓸모있는 소품을 상으로 주었다. 수상자들이 대개 가난한 연극배우들이라는 점을 고려해 환금성 있는 물건을 부상으로 증정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파일:7A93319F-A8D9-4EAE-9958-0B30AA1D34B6.jpg
제1회 토니상 시상식에서 여배우 헬런 헤이즈가 수여받은 부상인 은제 콤팩트. 티파니 제품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토니상 메달은 3회부터 증정되었다고 하니, 1, 2회 토니상 수상자들은 토니 메달을 못 받은 셈. 참고로 토니 메달은 둥근 메달로 앞면에 "앙투와네트 페리 상"이라는 글자와 연극을 상징하는 웃는 얼굴과 우는 얼굴의 가면이 돋을새김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토니 페리 여사의 프로필(옆얼굴)과 "아메리칸 시어터 윙이 xxx에게 시상함"이라는 글이 돋을새김되어 있다.

1967년부터는 시상식이 TV 생중계로 미국 전역에 방송되기 시작했다. 1967년 ABC, 1968년~1970년 NBC, 1971년~1977년 다시 ABC를 거쳐 1978년부터는 CBS에서 방영해 오늘날에 이른다. 덧붙이자면 1968년부터 3년간은 ABC가 아닌 NBC가 방영했는데 이후 NBC에서는 골든글로브상이 방영되고 있다.

물론 지금은 라디오 시티 뮤직홀에서 화려한 시상식을 하며, 뮤지컬 부문 12개, 연극 부문 11개, 통합 부문 3개 등 26개 상을 시상한다. 원래는 연극(정극 正劇)에 주려고 만든 시상식인 만큼 연극에 주는 상이 많지만, 뮤지컬에 주는 상이 하나 더 많다.[3] 또한 통합 부문 3개는 모두 음악에 관련된 상이어서 거의 항상 뮤지컬에 돌아간다. 이외에 각종 특별상, 공로상도 시상한다.

여담으로 CJ그룹이 한국 최초로 토니상을 받았다. CJ 그룹은 토니상 뮤지컬 작품상부문에서 두번이나 받았는데 토니상 작품상은 작품제작에 참여한 기업에게도 상을 준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 토니상 작품상을 수상한 기업으로는 소니, 산토리, 유니버설, 디즈니, TV 아사히등이 있다.

2. 오프닝

뮤지컬과 연극이 중심이 되는 상이다 보니, 오프닝 등이 대단히 화려하며 보통 호스트가 참여하여 만들어진다.

2013년 토니상 오프닝 - 호스트 닐 패트릭 해리스가 출현, 오프닝부터 전석 기립박수를 받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어찌나 힘을 줬는지 오프닝이 끝나자마자 닐이 '예산 다 떨어졌으니 돌아가라'(...)는 농담을 했을 정도.

2.1. 문서가 있는 토니상 시상식

3. 시상 분야

연극 부문
  • 작품상 (Best Play)
  • 리바이벌 작품상 (Best Revival of a Play)
  • 여우주연상 (Best Performance by an Actress in a Leading Role in a Play)
  • 남우주연상 (Best Performance by an Actor in a Leading Role in a Play)
  • 여우조연상 (Best Performance by an Actress in a Featured Role in a Play)
  • 남우조연상 (Best Performance by an Actor in a Featured Role in a Play)
  • 연출상(Best Direction of a Play)
  • 무대 디자인상 (Best Scenic Design of a Play)
  • 의상상 (Best Costume Design of a Play)
  • 조명상 (Best Lighting Design of a Play)
  • 음향상 (Best Sound Design of a Play)

뮤지컬 부문
  • 작품상 (Best Musical)
  • 리바이벌 작품상 (Best Revival of a Musical)
  • 여우주연상 (Best Performance by an Actress in a Leading Role in a Musical)
  • 남우주연상 (Best Performance by an Actor in a Leading Role in a Musical)
  • 여우조연상 (Best Performance by an Actress in a Featured Role in a Musical)
  • 남우조연상 (Best Performance by an Actor in a Featured Role in a Musical)
  • 연출상 (Best Direction of a Musical)
  • 극본상 (Best Book of a Musical)
  • 미술상 (Best Scenic Design of a Musical)
  • 의상상 (Best Costume Design of a Musical)
  • 조명상 (Best Lighting Design of a Musical)
  • 음향상 (Best Sound Design of a Musical)

통합 부문
  • 작곡상 (Best Original Score)
  • 편곡상 (Best Orchestrations)
  • 안무상 (Best Choreography)

비경쟁 부문
  • 지역 극장상(Regional Theatre Tony Award)
  • 특별 토니상(Special Tony Award)
  • 평생 공로상(Lifetime Achievement in the Theatre)
  • 토니 연극부문 우수상(Tony Honors for Excellence in Theatre)
  • 이사벨 스티븐슨 상(Isabelle Stevenson Award)
  • 연극 교육 우수상(Excellence in Theatre Education Award)

연극 부문은 극본상이 없다. 대신 작품상을 받는 경우 작가프로듀서가 함께 받는다.[4]

3.1. 역대 작품상 목록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rowcolor=#ffffff> 년도 Best Play(연극 부문 작품상) Best Musical(뮤지컬 부문 작품상)
1948[5] Mister Roberts -
1949 세일즈맨의 죽음 키스 미 케이트
1950 The Cocktail Party South Pacific
1951 The Rose Tattoo 아가씨와 건달들
1952 The Fourposter 왕과 나
1953 시련 Wonderful Town
1954 The Teahouse of the August Moon Kismet
1955 The Desperate Hours The Pajama Game
1956 안네 프랭크의 일기 Damn Yankees
1957 밤으로의 긴 여로 마이 페어 레이디
1958 Sunrise at Campobello The Music Man
1959 J.B. Redhead
1960 The Miracle Worker 사운드 오브 뮤직 / Fiorello!
1961 Becket Bye Bye Birdie
1962 A Man for All Seasons How to Succeed in Business Without Really Trying
1963 Who's Afraid of Virginia Woolf? A Funny Thing Happened on the Way to the Forum
1964 Luther Hello, Dolly!
1965 The Subject Was Roses 지붕 위의 바이올린
1966 The Lion in Winter 맨 오브 라만차
1967 The Homecoming 캬바레
1968 로젠크란츠와 길든스턴은 죽었다 Hallelujah, Baby!
1969 The Great White Hope 1776
1970 Child's Play Applause
1971 Sleuth 컴퍼니
1972 That Championship Season Two Gentlemen of Verona
1973 The Last of Mrs. Lincoln A Little Night Music
1974 Seascape Raisin
1975 에쿠우스 더 위즈
1976 The Norman Conquests 코러스 라인
1977 The Shadow Box 애니
1978 Da Ain’t Misbehavin’
1979 The Elephant Man 스위니 토드
1980 Children of a Lesser God 에비타
1981 아마데우스 브로드웨이 42번가
1982 The Life and Adventures of Nicholas Nickleby Nine
1983 Torch Song Trilogy 캣츠
1984 The Real Thing 라카지
1985 Biloxi Blues Big River
1986 The House of Blue Leaves The Mystery of Edwin Drood
1987 Fences 레 미제라블
1988 M. Butterfly 오페라의 유령
1989 The Heidi Chronicles Jerome Robbins’ Broadway
1990 The Grapes of Wrath 시티 오브 엔젤
1991 Lost in Yonkers The Will Rogers Follies
1992 Dancing at Lughnasa Crazy for You
1993 Angels in America: Millennium Approaches 거미여인의 키스
1994 Angels in America: Perestroika Passion
1995 Love! Valour! Compassion! Sunset Boulevard
1996 Master Class 렌트
1997 The Last Night of Ballyhoo 타이타닉
1998 아트 라이온 킹
1999 Side Man Fosse
2000 Copenhagen Contact
2001 Proof The Producers
2002 The Goat, or Who is Sylvia? Thoroughly Modern Millie
2003 Take Me Out 헤어스프레이
2004 I Am My Own Wife 애비뉴 Q
2005 다우트 스팸어랏
2006 히스토리 보이즈 저지 보이즈
2007 The Coast of Utopia 스프링 어웨이크닝
2008 August: Osage County 인 더 하이츠
2009 대학살의 신 빌리 엘리어트
2010 레드 멤피스
2011 워 호스 더 북 오브 몰몬
2012 Clybourne Park 원스
2013 Vanya and Sonia and Masha and Spike 킹키부츠
2014 All the Way 젠틀맨스 가이드: 사랑과 살인편
2015 한밤중에 개에게 일어난 의문의 사건 펀홈
2016 The Humans 해밀턴
2017 Oslo 디어 에반 핸슨
2018 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 The Band’s Visit
2019 The Ferryman 하데스타운
2020[6] The Inheritance 물랑루즈!
2021[7] - -
2022 The Lehman Trilogy A Strange Loop
2023 Leopoldstadt Kimberly Akimbo
2024 Stereophonic The Outsiders
2025 Purpose 어쩌면 해피엔딩

4. 한국과 토니상

  • 2013년 - CJ E&M한국 최초로 토니상을 받았다. 킹키부츠가 뮤지컬 부문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하면서 공동 제작사 자격으로 수상자에 이름을 올린 것.
  • 2021년 - 물랑루즈!가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하면서 공동 제작사 중 하나인 CJ ENM이 두 번째 토니상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 2022년 - CJ ENM이 공동으로 프로듀싱한 MJ가 뮤지컬 부문 최우수 작품상 후보에 올랐다.
  • 2024년 - 한국의 OD컴퍼니가 제작한 위대한 개츠비가 의상상 1개 부문 후보에 올랐고, 최종 수상했다.
  • 2025년 - 윌 애런슨&박천휴 원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이 토니상 10개 부문에 올랐고 무려 6관왕을 차지하였다.(작품상, 연출상, 음악상, 각본상, 남우주연상, 무대디자인상) 그 중 한국인 작사가겸 작가 박천휴가 뮤지컬 부문 작품, 각본[8]과 오리지널 스코어부문에 이 작품에 참여한 한국인으로서 유일하게 노미네이트 되고 상을 받았다. NHN이 작품상 부문에 노미네이트되고 수상했다. 또한 아시아권에서 만들어져서 수출된 작품 중에서는 최초로 작품상을 거머쥐게 되었다.[9]
  • 한국계 미국인으로 범주를 넓이면 이외에도 린다 조, 하나 김, 다니엘 대 킴 등 노미네이트되거나 상을 받은 사례가 여럿 있다.
    • Willa Kim (김월라) - 의상 디자이너. 뮤지컬 부문 의상상 후보에 총 6번 올라갔고, 그중 2번 수상했다.[10] 토니상을 수상한 최초의 아시안이자, 토니상을 복수 수상한 최초의 아시안이다.[11]
    • Joohee Choi (최주희) - 소프라노. 왕과 나로 1996년 연극 부문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 Linda Cho - 의상 디자이너. 커리어 초기 김월라의 조수를 한 적이 있다. 뮤지컬 부문 의상상 후보에 총 3번 올라갔고, 그중 2번 수상했다.[12] 그중 한 번이 바로 OD컴퍼니가 제작한 위대한 개츠비로 받은 것.
    • 애슐리 박 - 배우. 2018년 퀸카로 살아남는 법으로 뮤지컬 부문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 Sophia Choi - 의상 디자이너. 한국 아이돌을 소재로 한 브로드웨이 뮤지컬 'KPOP'으로 2023년 뮤지컬 부문 의상상 후보에 올랐다.
    • Helen Park (박현정) - 작곡가. 한국 아이돌을 소재로 한 브로드웨이 뮤지컬 'KPOP'으로 2023년 음악상 후보에 올랐다.
    • KPOP - 한국계 미국인들이 만든[13] 브로드웨이 뮤지컬로, 제76회 토니상에서 상술한 의상상, 음악상에 더해 안무상까지 총 3개 부문 후보에 올랐다. 해당 뮤지컬에는 한국인 및 한국계 미국인 배우들이 대거 참여했으나, 한국 기업이 참여하지 않은 순수 미국 뮤지컬이다.
    • Hana S. Kim (김수연) - 조명 디자이너. 2024년 The Outsiders라는 작품으로 뮤지컬 부문 조명 디자인상을 받았다. 김홍준 한국영상자료원장의 딸이다.
    • Jiyoun Chang (장지윤) - 조명 디자이너. 2020년, 2022년, 2024년 연극 부문 조명 디자인상 후보에 올랐다.
    • 다니엘 대 킴 - 배우. 2025년 연극 부문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1] 뮤지컬 부문은 1949년에 첫 시상을 하였다.[2] 은유가 아니라 정말로 브로드웨이에서 공연했어야만 수상 후보 자격이 있다. 오프브로드웨이 작품들은 토니상 후보로 심사받지 못한다. 게다가 브로드웨이에서 공연했다고 다 토니상 후보가 되는 것도 아니며, 브로드웨이에 있는 극장 중 특정 기준(500석 이상, 주로 연극 공연에 이용되는 극장 등)을 충족해야만 노미네이션 된다. 때문에 오프 브로드웨이 작품들도 이건 뜰것 같다 싶으면 브로드웨이로 옮겨 공연하는 경우가 많다. 해밀턴, 헤어, 렌트 등이 유명한 예다. 또한 오프 브로드웨이 작품만 노미네이트하는 오비상, 루실 로텔상 등이 있으며, 퓰리처 연극상은 브로드웨이/오프 브로드웨이를 구분하지 않는다.[3] 연극 부문은 각본상이 없고, 뮤지컬 부문은 있기 때문이다.[4] 뮤지컬 부문 작품상은 프로듀서에게만 돌아간다.[5] 연극 부문 작품상(Best Play)은 1948년부터, 뮤지컬 부문 작품상(Best Musical)은 1949년부터 시상함[6] 2020년 시상작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2021년도에 시상[7] 2021년 시상식은 취소되어 수상 작품 없음[8] 참고로 지금까지는 레아 살롱가(필리핀), 카와나 야스히로(일본), 제트 톨렌티노(필리핀)등 아시아 국적 사람들과 아시아계, 배경혹은 관련 내용이 토니상을 받았지만 각본 부문에는 노미네이트 되거나 수상한 사례는 없었다.[9] # # # # # # # #[10] 1975, 1978, 1981, 1986, 1989, 1991[11] 다른 의미로도 유명한데, 독립운동가 김순권 선생의 장녀이자 한국계 미국인 미군 전쟁영웅인 김영옥 대령의 누나이다. #[12] 2014, 2017, 2024[13] 제이슨 김 작, 헬렌 박 공동 작곡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