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18 20:22:19

에미상

파일:Semi_protect.svg   로그인 후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EGOT
파일:_Emmy_.png 파일:_Grammy_.png 파일:Oscar.png 파일:_Tony_.png
에미상
Emmy Awards
파일:emmylogo.png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주최 텔레비전 예술 과학 아카데미 (ATAS)
전미 텔레비전 예술 과학 아카데미 (NATAS)
국제 텔레비전 예술 과학 아카데미 (IATAS)
첫 시상년도 1949년 1월 25일
최근 수상작 [[HBO|
파일:HBO 로고.svg
]] 석세션 (작품상 / 2022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분류
2.1. 프라임타임 에미상
2.1.1. 역대 주요 호스트
2.2. 데이타임 에미상2.3. 기타
3. 한국과 에미상

[clearfix]

1. 개요

미국 방송계 최고 권위의 시상식. 음악계에 그래미상이 있고 영화계에 오스카상이, 연극·뮤지컬계에 토니상이 있다면 방송계에는 에미상이 있다. 언급된 세 상과 다른 점이 있다면 에미상은 하나의 시상식이 아니라는 것이다. 프라임타임 에미상, 데이타임 에미상, 스포츠 에미상, 뉴스·다큐멘터리 에미상, 국제 에미상 등등 수식어만 바뀔 뿐 에미상이라는 이름으로 열리는 시상식이 한 해에 여러 번 있으며, 각각 주최하는 단체도 다르다. 워낙 방송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고 종류에 따라 개성이 확연하기 때문에 단일 시상식에서 모든 방송을 다루기는 어렵다고 판단하여 이처럼 분야를 나눈 듯하다.

Emmy라는 이름은 TV 부품의 일종인 immy에서 유래했다. TV 브라운관의 촬상관 중에 이미지 오시콘 튜브(image orthicon tube)의 별명인 immy를 프랑스 스타일로 emmy라고 변경한 것이다.

한국어로 어머니를 속되게 이르는 말인 '애미'와 발음이 같다 보니 농담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2. 분류

2.1. 프라임타임 에미상

일반적으로 '에미상'을 얘기하면 TV예술·과학아카데미(ATAS)가 주관하는 프라임타임 에미상을 가리킨다. 황금시간대인 프라임타임 시간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매년 9월에 시상한다. 생중계는 ABC, CBS, NBC, FOX 등 미국의 4대 지상파 방송국이 매년 돌아가면서 맡는다.

연속극, 버라이어티, 리얼리티, 다큐멘터리, 경연 등 다양한 분야의 방송을 대상으로 하고, 각 분야 안에서 또 세세하게 장르를 나눈다. 예컨대 연속극은 시즌제 시리즈미니시리즈로 나뉘고, 시즌제 시리즈는 또 드라마 시리즈와 코미디 시리즈로 나뉜다. 또한 버라이어티와 다큐멘터리의 경우 정규 프로그램과 특집 프로그램으로 나뉘고,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정형화된 포맷 및 대본의 유뮤에 따라 Structured와 Unstructured로 나뉘는 식이다. 게다가 각 분야마다 출연 연예인, PD 정도만 상을 주고 끝내는 게 아니라 조명감독상, 촬영상, 헤어스타일링상, 메이크업상 등등 무명의 스태프들까지 모두 부문이 있다. 이렇다보니 상 개수가 100개가 넘고, 때문에 생중계 날에는 극히 일부인 25개 정도만 발표한다. 대부분의 부문은 시상식 며칠 전 Primetime Creative Arts Emmy Awards라는 별도의 행사를 열어 시상한다.

근래 들어 지상파보다는 케이블 채널 및 OTT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2018년 에미상 시상식에서는 왕좌의 게임 9관왕에 힘입은 HBO가 23개 상을 받고, 넷플릭스도 23개 상을 받으며 공동 1위가 되었다. NBC는 16관왕에 그쳤다.

한국계 캐나다인 산드라 오가 여우주연상에 노미네이트 된 적이 있으며, 2022년에는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작품상 등 14개 부문에, 한국인 및 한국계 미국인 배우들이 주연한 파친코가 1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됐다.

특이하게도 부문별 후보 수가 고정돼있지 않다. 예전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부문별 후보를 5개 씩 뽑도록 정해져 있었으나 언젠가부터 주요 부문은 6개, 나머지 부문은 5개로 바뀌더니 지금은 경쟁률에 따라 후보 수가 변동되도록 하고 있다. 도전작/도전자가 20~80편인 부문은 5개, 81~160편이면 6개, 161~240편이면 7개, 그 이상이면 8개의 후보를 뽑는다. 7편 미만이면 주최 측에서 별도로 후보를 정하고, 8~19편이면 그 4분의 1에 해당하는 수의 후보를 뽑는다.참 복잡하게도 산다. 다만 최우수 드라마 시리즈 상과 최우수 코미디 시리즈 상은 무조건 8개로 고정된다. 또한 성별에 따라 나뉘는 배우 부문은 양쪽의 후보 수가 같아야 한다. 예를 들어 드라마 시리즈 부문 여우주연상과 드라마 시리즈 부문 남우주연상은 서로 후보 수가 같아야 한다.

사실 후보작 수를 늘리는 건 미국의 다른 시상식들도 유행처럼 하고 있는 일이긴 하다. 오스카다크 나이트 작품상 후보 미포함 논란으로 한바탕 홍역을 치른 뒤 2010년부터 작품상 후보를 10편까지 늘렸다. 그래미는 2019년부터 제너럴 필드 부문 후보를 5편에서 8편으로 늘리더니 2022년부터는 10편으로 늘렸다. 하지만 두 시상식은 공통적으로 대상에 해당하는 상만 후보작을 늘리고 나머지 부문은 다 5개로 유지하고 있다. EGOT 중에서 대상 뿐 아니라 모든 부문의 후보작 수를 늘리고 있는 건 에미상 밖에 없다.

다른 미국 시상식과 마찬가지로 최근엔 작품성보단 화제성이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나아가서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용두사미 그 자체였던 왕좌의 게임 피날레 시즌에 작품상을 준 것
====# 부문 #====
  • 코미디
    • 코미디 시리즈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남우 게스트
    • 여우 게스트
    • 연출
    • 극본
  • 드라마
    • 드라마 시리즈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남우 게스트
    • 여우 게스트
    • 연출
    • 극본
  • 리미티드 시리즈 / TV 영화
  • 리얼리티
    • 리얼리티-경연 프로그램 호스트
    • 포맷이 있는 프로그램
    • 포맷이 없는 프로그램
    • 경연 프로그램
    • 연출
  • 단편
    • 코미디-드라마 시리즈
    • 남우
    • 여우
    • 논픽션-리얼리티 시리즈
    • 버라이어티 시리즈
  • 버라이어티
    • 버라이어티 토크 시리즈
    • 버라이어티 스케치 시리즈
    • 버라이어티 스페셜 (생방송)
    • 버라이어티 스페셜 (녹화방송)
    • 버라이어티 시리즈 연출
    • 버라이어티 스페셜 연출
    • 버라이어티 시리즈 작가
    • 버라이어티 스페셜 작가

<크리에이티브 아트 에미상>
  • 애니메이션
  • 미술 감독 및 세트 장식가
    • 서사적 현대극 프로그램 프로덕션 디자인 (1시간 이상)
    • 서사적 시대극-판타지 프로그램 프로덕션 디자인 (1시간 이상)
    • 서사적 프로그램 프로덕션 디자인 (30분)
    • 리얼리티-버라이어티-경쟁 시리즈 프로덕션 디자인
    • 버라이어티 스페셜 프로덕션 디자인
  • 캐스팅 감독
    • 코미디 시리즈 캐스팅
    • 드라마 시리즈 캐스팅
    • 리미티드 시리즈-TV 영화-TV 스페셜 캐스팅
    • 리얼리티 프로그램 캐스팅
  • 어린이 프로그램
    • 어린이 프로그램
  • 안무
    • 버라이어티-리얼리티 프로그램 안무
    • 각본이 있는 프로그램 안무 (심사위원상)
  • 촬영
    • 리미티드 시리즈-TV 영화 촬영
    • 다중 카메라 시리즈 촬영
    • 단일 카메라 시리즈 촬영 (30분)
    • 단일 카메라 시리즈 촬영 (1시간)
    • 논픽션 프로그램 촬영
    • 리얼리티 프로그램 촬영
  • 광고
    • 광고
  • 의상 디자인 및 감독
    • 현대극 의상
    • 시대극 의상
    • 판타지/SF 의상
    • 버라이어티-논픽션-리얼리티 프로그램 의상
  • 다큐멘터리/논픽션 프로그램
    • 다큐멘터리/논픽션 프로그램 연출
    • 다큐멘터리-논픽션 시리즈
    • 다큐멘터리-논픽션 스페셜
    • 호스트가 있는 논픽션 시리즈 및 스페셜
    • 다큐멘터리 영화
    • 논픽션 프로그램 작가
  • 조명, 카메라 및 기술 작업
    • 버라이어티 시리즈 조명 설계/조명 감독
    • 버라이어티 스페셜 조명 설계/조명 감독
    • TV 시리즈 기술 감독, 촬영 기법, 비디오 제어
    • TV 스페셜 기술 감독, 촬영 기법, 비디오 제어
  • 대화형 미디어
    • 파생 대화형 미디어
    • 오리지널 대화형 미디어
    • 선형 프로그램의 대화형 확장
    • 대화형 프로그램에서의 혁신 (심사위원상)
  • 분장/헤어스타일링
    • 현대극 헤어스타일링
    • 시대극-캐릭터 해어스타일링
    • 현대극 버라이어티-논픽션-리얼리티 프로그램 헤어스타일링
    • 현대극 분장 (비보철보정)
    • 시대극-캐릭터 분장 (비보철보정)
    • 현대극 버라이어티-논픽션-리얼리티 프로그램 분장 (비보철보정)
    • 시리즈-리미티드 시리즈-영화-스페셜 보철분장
  • 모션 및 타이틀 디자인
    • 메인 타이틀 디자인
    • 모션 디자인 (심사위원상)
  • 음악
    • 리미티드 시리즈-영화-스페셜 음악 작곡 (오리지널 드라마틱 스코어)
    • 시리즈 음악 작곡 (오리지널 드라마틱 스코어)
    • 다큐멘터리 시리즈-스페셜 음악 작곡 (오리지널 드라마틱 스코어)
    • 음악 감독
    • 오리지널 메인 타이틀 주제곡
    • 오리지널 음악 및 가사
    • 음악 감수
  • 성우
    • 캐릭터 목소리 연기
    • 내레이터
  • 화면 편집
    • 코미디 시리즈 다중 카메라 화면 편집
    • 논픽션 프로그램 화면 편집
    • 포맷이 있는 리얼리티-경쟁 프로그램 화면 편집
    • 포맷이 없는 리얼리티 프로그램 화면 편집
    •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화면 편집
    • 코미디 시리즈 단일 카메라 화면 편집
    • 드라마 시리즈 단일 카메라 화면 편집
    • 리미티드 시리즈-영화 단일 카메라 화면 편집
  • 음향
    • 코미디-드라마 시리즈 (30분) 및 애니메이션 음향 효과
    • 코미디-드라마 시리즈 (1시간) 음향 효과
    • 리미티드 시리즈-영화 음향 효과
    • 논픽션-리얼리티 프로그램 (단일-다중 카메라) 음향 효과
    • 버라이어티 시리즈-스페셜 음향 효과
  • 음향 편집
    • 리미티드 시리즈-영화-스페셜 음향 편집
    • 논픽션-리얼리티 프로그램 (단일-다중 카메라) 음향 편집
    • 코미디-드라마 시리즈 (1시간) 음향 편집
    • 코미디-드라마 시리즈 (30분) 및 애니메이션 음향 편집
  • 특수 시각 효과
    • 특수 시각 효과
    • 보조 역할에서의 특수 시각 효과
  • 스턴트
    • 코미디 시리즈-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스턴트 코디네이션
    • 드라마 시리즈-리미티드 시리즈-영화 스턴트 코디네이션

2.1.1. 역대 주요 호스트

2.2. 데이타임 에미상

웹사이트

낮 시간대에 방송하는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한다. 1974년부터 시작했으며, 매년 5월이나 6월에 시상식을 연다. 전미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NATAS)와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ATAS)가 공동으로 주관한다.

부문이 워낙 많다보니 실제로 시상식 날 시상되는 부문은 극히 일부다. 대부분의 부문들은 시상식 며칠 전 Daytime Creative Arts Emmy Awards라는 별도의 행사에서 시상한다.
====# 부문 #====
  • 드라마 프로그램
    • 드라마 시리즈
    • 디지털 드라마 시리즈
  • 비드라마 프로그램
    • 청소년 프로그램
    • 교육-정보 시리즈
    • 요리 시리즈
    • 게임 쇼
    • 법률/법정 프로그램
    • 라이프스타일 시리즈
    • 여행 및 모험 프로그램
    • 아침 쇼
    • 스페인어 모닝 쇼
    • 정보 토크 쇼
    • 오락 토크 쇼
    • 스페인어 오락 토크 쇼
    • 오락 뉴스 쇼
    • 특수 클래스 시리즈
    • 특수 클래스 스페셜
    • 특수 클래스 - 단편 데이타임 프로그램
    • 데이타임 프로그램 대화형 미디어
    • 데이타임 프로모션 발표 - 주제
    • 데이타임 프로모션 발표 - 브랜드 이미지 캠페인 - 네트워크 및 프로그램
    • 주제가
  • 어린이/애니메이션
    • 미취학 어린이 시리즈
    • 어린이-가족 시청 시리즈
    • 단편 어린이 프로그램
    • 미취학 어린이 애니메이션 시리즈
    • 어린이 애니메이션 시리즈
    •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성우
    • 미취학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성우
    • 미취학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작가
    •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작가
    • 어린이-청소년 프로그램 작가
    • 미취학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연출
    •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연출
    • 어린이-청소년-애니메이션 프로그램 주제가
    • 애니메이션 시리즈-스페셜 캐스팅
    •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메인 타이틀
    •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편집
    •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음향 효과
    • 미취학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음향 효과
    •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음향 편집
    • 미취학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음향 편집
  • 드라마 배우
    • 드라마 시리즈 여우주연
    • 디지털 드라마 시리즈 여우주연
    • 드라마 시리즈 남우주연
    • 디지털 드라마 시리즈 남우주연
    • 드라마 시리즈 여우조연
    • 디지털 드라마 시리즈 여우조연
    • 드라마 시리즈 남우조연
    • 디지털 드라마 시리즈 남우조연
    • 드라마 시리즈 아역배우
    • 드라마 시리즈 게스트 배우
    • 디지털 드라마 시리즈 게스트 배우
  • 비드라마 배우
    • 데이타임 프로그램 주역 배우
    • 데이타음 프로그램 단역 배우
    • 요리 호스트
    • 스페인어 프로그램 데이타임 탈렌트
    • 게임 쇼 호스트
    • 데이타임 프로그램 호스트
    • 정보 토크 쇼 호스트
    • 오락 토크 쇼 호스트
  • 드라마 제작
    • 드라마 시리즈 극본 팀
    • 디지털 드라마 시리즈 극본 팀
    • 드라마 시리즈 연출 팀
    • 디지털 드라마 시리즈 연출 팀
    • 드라마-디지털 드라마 시리즈 음악 감독 및 작곡
    • 드라마-디지털 드라마 시리즈 캐스팅
    • 드라마-디지털 드라마 시리즈 조명 감독
    • 드라마 시리즈 기술 팀
    • 드라마-디지털 드라마 시리즈 다중 카메라 편집
    • 드라마 시리즈 생방송 및 녹화방송 음향 효과
    • 드라마-디지털 드라마 시리즈 미술 감독/세트 장식/무대 설계
    • 드라마-디지털 드라마 시리즈 의상 디자인
    • 드라마 시리즈 헤어스타일링
    • 드라마 시리즈 분장
  • 비드라마 제작
    • 특수 클래스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 특수 클래스 시리즈 작가
    • 특수 클래스 스페셜 작가
    • 어린이-청소년 프로그램 감독
    • 단일 카메라 데이타임 프로그램 감독
    • 다중 카메라 데이타임 프로그램 감독
    • 토크-오락 뉴스-암침 쇼 감독
    • 게임 쇼 감독
    • 특별 클래스 감독
    • 음악 감독 및 작곡
    • 실사 촬영 프로그램 메인 타이틀 및 그래픽 디자인
    • 조명 감독
    • 기술 팀
    • 촬영
    • 단일 카메라 편집
    • 다중 카메라 편집
    • 생방송 및 녹화방송 음향 효과
    • 음향 효과
    • 실사 촬영 프로그램 음향 효과
    • 미술 감독/세트 장식/무대 설계
    • 의상 디자인/스타일링
    • 헤어스타일링
    • 분장
    • 특수 효과 의상, 분장 및 헤어스타일링

2.3. 기타

  • 스포츠 에미상: 전미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NATAS)가 주관하며 스포츠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한다.
  • 아동·가족 에미상: 전미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NATAS)가 주관하며 아동·가족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한다.
  • 기술·공학 에미상: 전미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NATAS)가 주관하며 방송 분야 기술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 국제 에미상: 국제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IATAS)가 주관하며 해외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한다.
  • 지역별 에미상들: 예: 로스 앤젤레스 에미상. 지역별로 해당 지역에서만 방송되는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열리는 에미상들. NATAS의 해당 지역 지부가 주관한다.

3. 한국과 에미상

  • MBC '휴먼다큐 사랑 - 풀빵 엄마\'[1] 편이 2010년도 국제 에미상 다큐멘터리 부문을 수상했다.(수상 장면)
  • MBC 다큐멘터리 '안녕?! 오케스트라\'는 2013년 제41회 국제 에미상에서 '아츠 프로그래밍'(Arts Programming) 부문상을 수상했다. 한국에서 이 부문을 수상한 것은 <안녕?! 오케스트라>가 최초다.(링크)
  • 구름빵》과 《라바》가 어린이 애니메이션 부문 최종 후보로 올라간 적이 있다.
  • 티시태시가 2021년 국제 에미상 키즈 어워즈 키즈 애니메이션 부문 후보에 선정됐다.#
  • 연기자와 코미디언 중에서는 2011년 시상식에서 추노이대길 역으로 열연한 장혁이 국제에미상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남우주연상은 영국 드라마 피고인의 주연인 크리스토퍼 에클스턴이 수상했다. 또 같은 해에 개그콘서트의 코너였던 달인 역시 코미디부문 후보에 올랐다.
  • 현지 시간으로 2022년 9월 4일, 마이크로소프트 극장에서 열린 74회 에미상 기술진, 스태프 대상 시상식에서 게스트상(이유미), 시각효과상(정재훈 등), 스턴트퍼포먼스상(임태훈 등), 프로덕션디자인상(채경선 등)을 수상했다. 당초 주제가상, 촬영상, 편집상, 프로덕션디자인상, 스턴트퍼포먼스상, 시각효과상, 게스트상의 7개 부문 후보에 올랐고 이 중 4개 부문의 수상을 한 것이다. 특히 이유미는 한국 배우로선 최초로 연기상을 수상한 격이어서 그 의미가 더 남다르다고 할 수 있다.
  • 2022년 9월 12일, 오징어 게임》의 연출을 맡은 황동혁 감독이 연출상을, 주연배우 이정재가 드라마 부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이 역시 대한민국 드라마로서 최초로 거둔 성과이자, 비영어권 드라마 최초로 거둔 쾌거.

[1] 여기서 나오는 여성은 2009년 7월 31일에 사망했고 아이들은 이모가 맡아서 키우고 있다고 한다. 현재 아이들은 고등학생이 되었을 것이다.[2] 에미상 역사상 최초로 노미된 비영어권 작품이다.[3] 남녀 간 사랑을 주제로 주 2회~6회 방송하는 드라마.[4] 참고로 CJ그룹은 EGOT 중에서 그래미상을 제외한 세 개의 상을 석권하였다. 에미상: 드라마 <세브란스: 단절> / 오스카상: 영화 <기생충> / 토니상: 뮤지컬 <킹키부츠>, <물랑루즈>, <MJ>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