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조 관련 틀 | |||||||||||||||||||||||||||||||||||||||||||||||||||||||||
|
1. 개요
체조라는 종목 전반에 대한 설명을 담은 국제체조연맹(FIG)의 영상이다. |
원만한 신체의 발달을 위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신체활동. 운동을 시작할 때나, 체력을 단련할 때 부터 시작해 올림픽으로 정식 종목까지 있을 정도로 포괄적이고 넓은 의미의 운동으로, 육상과 수영이 가장 원초적인 스포츠라 한다면, 체조는 가장 기본적인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밑을 보면 알겠지만, 체조가 무엇을 말하는 지도 꽤 불명확하며, 시대에 따라 정의가 수시로 달라져왔지만, 그만큼 체조가 운동에서 필수적이라는 것을 반증한다고 할 수 있겠다. 일반인 수준에서 건강하고 능률 좋은 몸을 원한다면 학교 체조 동아리 활동 수준까지도 바랄 것 없이 물구나무, 플란체, 머슬업, 플레어[1] 한 두바퀴 하는 정도만 돼도 충분하다. 물론, 어디까지나 기본적인 스포츠라고 하지만 올림픽에 출전하는 선수들정도가 되면 어마어마해진다. 프로들의 체조를 보면 예술과 분류할 수 없다. 사실 체조도 이만하면 무용과 구별하기 애매하다. 한국에서는 그때문에 무용 파트를 체육 시간에 가르치는데, 이를 위해 사범대 체육교육과에서 학교무용을 가르치기도 한다.
역대 올림픽 메달 순위는 다음과 같다.
2. 어원
서양 고대 그리스의 고대 올림픽에서 사람들이 벌거벗은 채로 경기에 참가하는 등, 그리스에서는 벌거벗고 체육을 하는 것이 정석이었다. 여기에서 그리스어로 '벌거숭이의'를 뜻하는'γυμνός(gymnós)'에서 유래했고, 그리스 어로 γυμνάζω(gymnazo)는 벌거벗고 운동하다는 의미가 되었다. 이것이 라틴어, 그리고 중세 그리스어를 거치게 되면서 나온 gymnasticos나 gymnazein에서 유래했으며, gymnazein은 또 체육관을 의미하는 gymnasium으로도 발전했다. 여러모로 체육과 관련이 깊은 단어다.3. 역사
어원으로만 봐도, 체조라는 말 자체가 그리스어의 체육에서 유래한 것이니까 체조는 절대 체육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 당시엔 체육과 동의어였다. 그래서 권투나 달리기, 던지기보고 모두 체조라고 하였다. 현대와 유사한 형태의 체조는 또 이집트에서 찾을 수 있었다.근대적인 체조의 형태는 독일에서 발현되었다. 프로이센의 요한 바제도가 근대 체조를 만들어내고, 요한 구츠무스와 프리드리히 얀이라는 독일의 교육자는 철봉, 평행봉, 평균대나 이를 비롯한 체조 이론을 정립시켰고, 이로 인해 독일 체조의 아버지로 불리운다. 또, 프리드리히가 세운 학교는 체조를 가르쳤고, 이로 인해 유럽 대륙에는 체조가 퍼져갔고, 체조의 단순성과 중요성으로 인해 곧 국가 차원에서 체육 교육으로 제대로. 요한 구츠무츠는 교육자로서 아주 많은 일을 했지만, 특히 근대 체육의 아버지로 세계 3대 체조 중 하나인 스웨덴 체조에 영향을 끼쳤다. 같은 이 별개로 최초의 체조 교육을 제자들에게 시킨 것. 이때 시작된 독일 체조는 세계 3대 체조 중 하나로 꼽힌다.
기계체조, 맨손체조 등의 정립과 세분화, 그리고 국가 차원에서의 체육 교육[2]으로 1886년엔 국제 체조 연맹(FIG)도 창설되고, 1896년에는 기어코야 체조는 근대 올림픽의 최초 종목으로 올라가고야 만다. 그리고, 경쟁 활동인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올라감에 따라 체조의 규칙이 제대로 개정되게 되었다.
3.1. 대한민국 체조
한국은 스웨덴 체조의 영향을 많이 받아 국가적 단위로 맨손 체조 교육이 시행되어 본 운동 전 준비운동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기계체조가 아예 없던 것은 아니고. 1895년 고종이 학교를 개설하면서 교육 과정에 체조가 들어가게 되었다. 올림픽에서는 다른 주요 종목과 함께 최초로 시작된 오래된 종목이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전문화가 1970년대에 일어났다. 하지만 늦은 만큼 한국 체조는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체조가 운동의 기본이라는 인식이 이때 확연하게 박혔고[3], 대대적인 체조 바람이 일어나 새마을체조, 국민체조, 국민건강체조(새청년 건강체조) 등이 만들어졌다.구한말이나 개화기에 설립된 신식 교육기관에 대한 자료를 보면 주요 과목 중 하나로 '체조'가 꼭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이 과목은 현대 기준으로 보면 '체육' 과목이며 수업 내용은 달리기나 철봉 등 전반적인 신체 단련에 대한 것이었다. 근대적 교육이론에 기반한 교육 기관이 세워지면서 근데적 생리학 및 의학 및 스포츠 이론에 기반하여 학생들의 건강을 관리하고 신체를 단련시켜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를 위해 유럽에서 고안된 체조를 도입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 당시의 신식교육기관에서 '체조 수업을 했다'는 것은 현대 한국인이 체조라고 하면 흔히 연상하는 국민체조만 일주일에 몇시간씩 줄창 해댔다는 소리가 아니고, 그렇다고 현대의 스포츠 종목인 리듬체조나 기계체조를 전문적으로 연습시켰다는 의미도 아니며, 신체건장함으로 유명한 여운형 같은 독립운동가가 체조 수업에서 좋은 성적을 올렸다는 것이 레오타드를 입고 리본과 후프를 예술적으로 잘 돌렸다거나 '여 1'같은 기계체조 기술을 개발했다는 의미 역시 아니다. 현대 기준으로 보면 '체육 실기 성적이 좋았다' 에 가장 가까운 개념인 것이다. 축구나 농구 등 '놀이가 될 수 있는 스포츠'를 교육과정에 포함시켜 '학생들의 즐거움을 위한 놀이와 신체단련을 위한 교과과정을 동시에 충족'하는 방향으로 발전한 현대 체육과는 달리 도구나 기구를 사용하여 일정한 루틴에 따라 신체를 움직임으로써 몸을 단련한다는 것 자체에 초점이 맞춰진 교과목이었던 것이다. 쉽게 말해 체육 교과서 진도를 나간 것과 유사했다.
프로 부문에서는 1960 로마 올림픽부터 남녀 1명을 보내는 것으로 시작해 아시아대회에서 간간히 메달을 얻어냈다. 올림픽에서는 이때까지 총 9개의 메달을 따냈는데, 1988 서울 올림픽에서 박종훈이 도마에서 동메달,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유옥렬이 남자 도마에서 동메달, 1996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여홍철이 남자 도마 은메달을 얻어냈고,
3.1.1. 대한민국의 올림픽 성적
대한민국 체조 역대 올림픽 메달 결과 | |||
대회 | 세부종목 | 메달 | 선수 |
1988 서울 | 남자 도마 | 동메달 | 박종훈 |
1992 바르셀로나 | 남자 도마 | 동메달 | 유옥렬 |
1996 애틀랜타 | 남자 도마 | 은메달 | 여홍철 |
2000 시드니 | 남자 평행봉 | 은메달 | 이주형 |
남자 철봉 | 동메달 | ||
2004 아테네 | 남자 개인종합 | 은메달 | 김대은 |
동메달 | 양태영 | ||
2008 베이징 | 남자 평행봉 | 은메달 | 유원철 |
2012 런던 | 남자 도마 | 금메달 | 양학선 |
2020 도쿄 | 남자 도마 | 금메달 | 신재환 |
여자 도마 | 동메달 | 여서정 |
4. 분류
4.1. 사조에 따른 분류
- 독일 체조: 최초의 유럽 체조이자 최초의 근대 체조. 기계체조가 체조의 주가 되고, 맨손 체조도 매우 리드미컬하다. 프리드리히 얀, 구츠무츠 등의 연구로 탄생하였고, 독일 체조에서 강조점은 긴장과 이완의 원리. 근육이 긴장, 이완을 통해 단련될 수 있고 그것이 최선이라는 것. 이것으로 주로 근육을 발달시킨다. 이것은 유럽 대륙에 널리 퍼지게 된다.
- 스웨덴 체조: 스웨덴인 페르 헨리크 링이 덴마크의 나흐테갈에게 배워와 만든 체조다. 기본적으로 맨손 체조가 주가 되며, 교육용이나 의료용의 성격이 강하다. 즉 신체 교정과 체력 성장이라는 본연의 목적에 가장 집중한 체조. 나중 가서는 링의 체조가 쇠퇴해 독일의 긴장과 이완의 원리를 받아든 물건을 발달시킨다.
- 덴마크 체조: 위 두개를 적절히 합친 물건. 스웨덴 체조의 창시자에게 체조 가르쳐놓고선 스웨덴 체조를 역수입했다?
4.2. 도구의 사용에 따른 분류
- 맨손 체조: 기구의 도움 없이 맨몸으로 하는 것이며, 가장 단순하다. 보통 스웨덴 체조의 영향을 받은 물건.
- 일련 체조: 동작 하나하나를 순서대로 엮어서 만든 것으로 건강을 위한 체조다. 물론 스웨덴 계열. 국민체조나 국민건강체조(새천년 건강체조),
PT체조등이 있다. - 꾸미기 체조: 여러 명이서 하나의 주제를 표현하기 위하여 하는 체조. 독일계열로, 예술성을 찾을 수 있는 물건.
이쯤 되면 무용이랑 차이가 없다? - 기구 체조 : 기구의 도움을 받아서 하는 체조, 여기서 말하는 기구는 손으로 잡을 수 있을 만큼 작은 물건이다. 리듬체조가 포함된다.
- 기계체조(器械體操, 영어: Artistic gymnastics, 독일어: Turnen):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얀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올림픽/종목 중 하나로, 1896 아테네 올림픽부터 등재된 유서 깊은 종목이다. 도마, 평행봉, 철봉, 링, 안마, 마루, 평균대, 이단평행봉 등의 메이저 뿐만이 아니라, 엄밀히는 스웨덴 계열 뜀틀이나 늑목, 그리고 트램펄린 등도 포함한다. 기계를 사용해서인지 이쯤 되면 일반인이 따라갈 수가 없다.
5. 프로 종목
5.1. 올림픽 종목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24 파리 올림픽 선택 종목 | |
5.1.1. 기계체조
5.1.1.1. 남녀 공통
- 도마
파일:external/img.tf.co.kr/201431821411644962.jpg 자세한 내용은 뜀틀 문서 참고하십시오.
- 마루
마루(Floor), 즉 탄성매트를 기구로 이용하는 종목이다. 리듬체조 마루와는 달리 탄성이 있어서 구르기 및 공중동작이 가능하다.
규격 12mx12m의 마루 위에서 고난도의 기술을 실시하며, 처음부터 끝까지 율동적이어야 한다. 여기서 남자와 여자 종목이 약간 다른데, 남자는 음악 없이 텀블링과 구르기 기술 위주로 구사하며 여자는 음악을 사용하고 텀블링 기술 외에도 턴, 점프 등의 댄스요소를 필수로 포함해야 한다. 연기 시간은 남자가 70초, 여자가 90초 이내다.
5.1.1.2. 남성 종목
- 링
- 안마
- 철봉
- 평행봉
5.1.1.3. 여성 종목
- 이단평행봉
- 평균대
5.1.2. 리듬체조
5.1.3. 트램펄린
5.2. 비 올림픽 종목
<colbgcolor=#ffffff,#191919>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가라데 | 당구 | 댄스 스포츠 | 라크로스 | 인라인 스케이트 |
무에타이 | 볼링 | 불 | 비치핸드볼 | 수상스키 | |
스모 | 스쿼시 | 스포츠 클라이밍 | 양궁 (컴파운드 보우) | 에어 스포츠 | |
오리엔티어링 | 원반던지기 | 인명구조 | 유러피언 주짓수 | 줄다리기 | |
체조 (비올림픽 5개 부문) | 카누 폴로 | 코프볼 | 파워리프팅 | 플로어볼 | |
피스트볼 | 핀수영 | 플래그 풋볼 |
5.2.1. 싱크로나이즈드 트램펄린
5.2.2. 더블 미니 트램펄린
5.2.3. 텀블링
특이하게 트램펄린과 묶어서 세계 선수권 대회를 치른다.
5.2.4. 아크로바틱 체조
특성상 체조 종목 중 유일하게 개인전이 없다.
5.2.5. 에어로빅 체조
5.2.6. 파쿠르
2018년 12월, 국제체조연맹(FIG)이 파쿠르를 체조의 공식 종목으로 승인했다.6. 유명 선수
중요 선수는 진한 글씨로 표시6.1. 국내
- 간현배(현역)
- 강병의(은퇴)
- 김대은(은퇴): 2004 아테네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김한솔(현역)
- 류성현(현역)
- 박종훈(은퇴): 1988 서울 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올림픽 (기계)체조 메달리스트.
- 손종혁(현역)
- 신재환(현역): 2020 도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양태영(은퇴): 2004 아테네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양학선(현역): 2012 런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올림픽 (기계)체조 금메달리스트.
- 여서정(현역): 2020 도쿄 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올림픽 여자 (기계)체조 메달리스트.
- 여홍철(은퇴): 1996 애틀랜타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유옥렬(은퇴):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유원철(은퇴): 2008 베이징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이윤서(현역)
- 이주형(은퇴): 2000 시드니 올림픽 은메달 & 동메달리스트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올림픽 (기계)체조 메달 2개.
- 손연재(은퇴):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이자 대한민국 리본체조 최초의 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
6.2. 국외
6.2.1. 벨라루스
- 스베틀라나 보긴스카야(은퇴):1988 서울 &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올가 코르부트(은퇴):1972 뮌헨 올림픽 & 1976 몬트리올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타마라 라자코비치(은퇴):1972 뮌헨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6.2.2. 그 외
- 나디아 코마네치(은퇴): 前 루마니아 출신 미국 선수. 올림픽 2연패(1976, 1980)[7]
- 시몬 바일스(현역): 미국 선수.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4관왕.
- 유리 반 겔더(은퇴): 네덜란드 선수.
- 지나이다 보로니나(은퇴): 러시아 선수.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둥둥(현역): 중국 선수. 2012 런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오노 기요코(은퇴): 일본 선수.
- 리닝(은퇴): 중국 선수.
7. 관련 문서
7.1. 관련 캐릭터
- 닥터 스톤 - 모미지 호무라
- 살아남은 로맨스 - 한채람
- 슈퍼 단간론파 2 - 오와리 아카네
- 액셀 월드 INFINITE BURST - 츠키오리 리사
- 외모지상주의 - 윤재희
- 천방지축 하니 - 하니
- KOF 시리즈 - 김갑환
- DC 코믹스-할리 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