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0 03:36:05

플래그 풋볼

플래그 풋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logo-IWGA.png 월드 게임 종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가라테 당구 댄스스포츠 라크로스 인라인 스케이팅
무에타이 볼링 비치핸드볼 수상스키
스모 스쿼시 스포츠 클라이밍 양궁
(컴파운드 보우)
에어 스포츠
오리엔티어링 원반던지기 인명구조 주짓수 줄다리기
체조
(비올림픽 5개 부문)
카누 폴로 코프볼 파워리프팅 플로어볼
피스트볼 핀수영 플래그 풋볼 치어리딩 브레이킹
}}}}}}}}} ||

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하계올림픽 종목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풋볼 파생 종목
초기 풋볼
럭비 유니언
(1845)
7인제 럭비
(1883)
럭비 리그
(1895)
미식축구
(1869)
플래그 풋볼
아레나 풋볼
캐나다식 축구
(1861)
휠체어 럭비
축구
(1863)
풋살
(1930)
비치사커
(1992)
사이클볼*
호주식 축구
(1859)
국제 규칙 축구
(1967)
게일식 축구
(1885)
*: 축구에서 파생된 구기 종목이지만 사이클을 이용해 경기하기 때문에 국제축구연맹이 아닌 국제사이클연맹에서 경기를 주관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fd700,#272727><tablebgcolor=#ffd700,#272727>
파일:Flag_Football_pictogram.svg.png 파일:브레이킹 픽토그램_다크.svg
플래그 풋볼
Flag Football
}}}
<nopad> 파일:m8i6tjlr5pwj6qlcbogb.jpg
스포츠 정보
<colbgcolor=#ffd700,#272727> 종류 구기
경기 방식 대회별 상이
경기 장소 플래그 풋볼 경기장
참여 인원 5명
신체 접촉 매우 제한적[1]
종주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국제 대회 정보
올림픽 정식 종목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월드 게임 정식 종목
2022 버밍햄 월드 게임, 2025 청두 월드 게임

1. 개요2. 포지션
2.1. 공격2.2. 수비
3. 규칙4. 국내 현황
4.1. 주요 대회 기록
4.1.1. KUSF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대학팀 대회4.1.2. 나사라볼 (사회인 리그)
5. 관련 영상

1. 개요

Flag Football

미식축구를 변형시킨 파생 종목으로 풋살, 베이스볼 5, 3X3 농구와 비슷한 위치에 있다 보면 된다. 몸싸움이 심한 미식축구와 달리 청소년들에게 보급하기 위해 최대한 몸싸움을 피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으며, 이로 인해 미식축구보다 더 세계적으로 인기 있고 널리 퍼져 있다.[2] 몸싸움이 적기에 여자부 경기도 남자부와 똑같이 열리거나 혼성 편성도 가능하다. 또한 어린 아이들 경기도 자주 열리는 생활 체육에 가깝다. 보호구도 거의 착용하지 않는다.

2002년부터 플래그 풋볼 월드 챔피언십이 꾸준히 열리고 있다.[3] 또한 2022년 월드 게임에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4] 장기적으로는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을 정도인데, 결국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개최국 선정 종목으로 포함되면서 사상 첫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됐다.

한국에서도 학교를 중심으로 보급이 되어 있어 부상의 위험과 장비 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미식축구(태클 풋볼)보다 더 리그가 활발히 돌아가고 있다. 한국의 플래그 풋볼은 '대한미식축구협회'에서 주관하여 오래 전부터 활동했고 국가대표도 꾸준히 선발하고 있다. 2023년엔 여자 대표팀이 최초로 구성됐다.[5] #

2. 포지션

2.1. 공격

1. 쿼터백
스크리미지 라인 뒤에서 센터에게 스냅을 받아 스크리미지 라인 앞으로의 전진 패스, 라인 뒤로 후방 패스를 하는 포지션이다. 런 작전과 같은 형태의 응용 작전에서는 후방 패스 후 직접 필드 안쪽으로 뛰어가서 공을 받는 경우도 있고, 볼 소유권을 만들어 낸 후 러닝 플레이를 하기도 한다.넓은 시야와 정확한 순간판단이 요구된다.

2. 센터
스크리미지 라인 위에 놓여진 볼을 라인 뒤쪽으로 이동시키는 스냅을 실행하는 포지션으로, 공격 시 가장 먼저 공을 만지고 움직이는 포지션이다. 태클 풋볼과는 다르게 라인맨과 같은 개념이 아니고 스냅 이후 리시버로 전환하여 필드 안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내는 포지션이다.[6] 롱캐치,숏캐치 등 모두 잘해야하며 다양한 수행능력이 필요하다.

3. 와이드 리시버
스크리미지 라인에서 공이 움직여 공격이 시작된 이후에 발빠르게 필드를 누비며 패스를 받아내는 포지션이다. 5명의 공격수 중 2명이 와이드 리시버이다. 태클 풋볼의 와이드 리시버와 비슷한 형태를 띄고있다. 주로 키가 크고 점프력이 좋은 선수가 이 포지션을 수행한다.

4. 러닝백(슬랏)
스크리미지 라인 혹은 라인 뒤쪽에 위치하는 등 전술에 따라 다양한 스타팅 포지션을 가져가며, 공을 핸드오프 받아 빠른 속도로 수비수 사이를 돌파하며 전진하는 포지션이다. 숏 패스, 토스 등의 패스를 받아내기도 하며 슬랏으로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핸드오프보다 패스를 받아내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방향전환과 주력이 매우 요구된다.

2.2. 수비

1. 세이프티
태클 풋볼의 프리 세이프티와 비슷한 개념으로, 수비 포지션에서 가장 후방에 위치하여 넓은 시야로 공격 진영과 라우트를 판단하여 수비를 하는 포지션이다. 뛰어난 상황판단과 리시버를 막을 수 있을 정도의 운동능력이 필요하다.

2. 디펜시브백
코너백과 노즈가즈(라인배커)로 나뉘게 되는데, 지역방어수비일 경우에는 코너백은 양 끝의 사이드 라인부터 안쪽으로의 존을 전후방으로 깊게 담당하며 와이드 리시버들의 롱 패스를 차단하며, 노즈가드는 스크리미지 라인부터 비교적 앞쪽의 영역을 담당하고 런 플레이를 차단하는 1차적인 역할을 하는 포지션이다. 노즈가드의 경우에는 스크리미지 라인 뒤쪽에서 런 페이크 등의 액션플레이가 일어난 경우에는 블리츠 역할이 아니여도 스크리미지 라인을 넘어 들어가서 수비를 할 수 있다.

3. 러셔(블리츠)
스크리미지 라인에서 7야드 위치에서 쿼터백을 향해 돌진하는 블리츠 역할을 수행하는 포지션이다. 단순히 쿼터백을 차단하기 위한 역할 뿐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스크리미지 라인 뒤쪽으로 이루어진 후방패스 플레이 등에 빠르게 대처하는 포지션이다. 보통 팀에서 주력이 제일 뛰어난 사람이 맡는다.

3. 규칙

플래그 풋볼의 기본적인 규칙은 미식축구와 유사하다. 점수 체계 및 공격 포지션 모두 비슷하지만, 태클이 없는 비접촉 스포츠라는 점에서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가진다.

1. 기본 규칙
플래그 풋볼은 미식축구와 달리 라인맨이 존재하지 않는다. 필드에는 5명만이 나가며, 선수의 전진을 막는 유일한 방법은 허리에 찬 플래그(깃발)를 뺏는 것이다. 미식축구의 에지 러셔(Edge Rusher)에 해당하는 포지션은 블리처(Blitzer) 1-2명으로 대체된다. 블리처는 쿼터백에게 무분별하게 돌진하는 것을 막기 위해 스크리미지 라인에서 일정 간격 (7 야드) 떨어진 거리에서 패스 러시를 진행한다.

2. 세부 규칙 및 변형
리그에 따라 세부 규칙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미식축구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 점수 체계: 필드골은 없고, 터치다운 후 득점(Point After Touchdown) 시도 시 1점은 2야드 선상에서, 2점은 10야드 혹은 12야드 선상에서 진행한다.
  • 리시버: 5인제 이상의 경기의 경우, 공격 라인맨이 유자격 리시버로 존재하기도 한다.
  • 장비: 리그에 따라 선수 보호를 위해 마우스피스를 의무적으로 착용하기도 한다.
  • 인터셉션: NFL Flag Football의 경우, 인터셉션 발생 시 즉시 심판이 플레이를 종료시킨 뒤 공격권을 전환하는 규칙을 적용한다.

3. 경기장 및 인원
플래그 풋볼의 경기장 규격은 미식축구 필드보다 많이 작다. 좌우 60~80야드, 상하 25~30야드 정도이다. 필드에는 보통 5명만이 나가며, 경기 시간은 30-40분(전후반 각 15-20분)인 경우가 많다. 단, AFFL(American Flag Football League)과 같은 일부 리그는 NFL과 동일하게 60분 경기를 진행하며 인원이나 경기장 규격도 더 크다.

4. 국내 현황

국내 플래그 풋볼은 엘리트 체육보다는 동호인 중심의 생활 체육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 대한미식축구협회대한플래그풋볼연맹에 등록된 팀은 30여 개에 달하며, 주로 직장인이나 학생으로 구성된 성인 클럽팀과 대학팀, 그리고 고교팀으로 나뉘어 활동하고 있다.

성인 클럽팀: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 다수의 팀이 집중되어 있으며, 라이거즈, 팀범, 코리아 랩터스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는 팀들이 리그를 이끌고 있다. 이들은 현재 국내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우승권을 다투고 있으며, 국제 대회에도 출전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는 등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대학팀: 2023년부터 KUSF(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주관의 플래그풋볼 챔피언십대회가 신설되면서 대학 플래그 풋볼의 활성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태클 풋볼팀을 운영하는 대학 외에도 플래그 풋볼만을 위한 신생 팀들이 생겨나고 있기도 하다. 대표적인 대학팀으로는 국민대 팬서스연세대 이글스가 있으며, 대학 스포츠 리그의 성장은 선수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고교팀: 외대부고, 이우고, 청심국제고 등 수도권 고교 중심으로 대한플래그풋볼연맹의 엘리트볼 대회를 통해 고교 선수들이 플래그 풋볼을 경험하는 주요 통로가 되고 있다.

4.1. 주요 대회 기록

4.1.1. KUSF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대학팀 대회

대학 스포츠의 활성화를 목표로 KUSF가 주최하는 대회다. 정식 미식축구 팀이 없는 대학들도 참여할 수 있는 플래그 풋볼 종목이 신설되면서 대학 내 스포츠 클럽 문화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연도 우승 준우승
남자부
2023 국민대 팬서스 단국대 코디악 베어즈
2024 국민대 팬서스 부산외대 블루스톰
2025 고려대 산군 연세대 이글스
여자부
2023 국민대 팬서스 -
2024 연세대 이글스 성균관대 로얄스
2025 성균관대 로얄스 연세대 이글스

4.1.2. 나사라볼 (사회인 리그)

대한플래그풋볼연맹 주최로 열리는 사회인 클럽팀들의 정기 리그다. 대학팀 대회가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다면, 나사라볼은 대학팀 뿐 아니라 직장인 등 일반 동호인들이 주로 참여하는 대회로 국내 플래그 풋볼 리그 중 가장 수준이 높은 대회이다.
연도 우승 준우승
남자부
2024 상반기 RBS 팀범
2024 하반기 라이거즈 팀범
2025 상반기 팀범 라이거즈
여자부
2024 상반기 코리아 랩터스 연세대 이글스
2024 하반기 레이디 울브스 코리아 랩터스
2025 상반기 코리아 랩터스 레이디 울브스

5. 관련 영상




2022 버밍햄 월드 게임에서의 결승전. 미국이 이탈리아를 꺾고 금메달.


NFL 올스타전인 프로볼은 2022년부터 플래그 풋볼로 형식이 바뀌었다.

[1] 심할 경우 반칙[2] NFL이 자체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정규시즌 해외경기로 인해 개최지인 영국독일에서 인지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유소년, 성인부로 나눠서 경기를 벌이기도 한다. 최근에는 알음알음 NFL의 인지도와 인기가 높아지기 시작한 브라질에도 보급되고 있다.[3] 한국에서도 3회 대회를 2006년에 대구에서 개최한 적이 있다.[4] 다만 대회가 열린 미국이 정한 초청 종목이기에 다음 대회에서도 채택될지는 정해지지 않았다.[5] 물론 열악한 국내 미식축구 사정상 전업 선수는 없고 선수 전원이 직장인이나 학생들이다.[6] 다만 NFL 프로볼 플래그 풋볼 경기에서는 센터가 스냅하고 나서 움직일 수 없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