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권순성 權純成 | Kwon Soonseong[1] | |
| |
출생 | 1965년 11월 25일[2] ([age(1965-11-25)]세) |
충청남도 논산시 | |
국적 |
|
학력 | 부창초등학교 (졸업) 유성중학교 (졸업) 대전체육고등학교 (체조부 / 졸업) 한국체육대학교 (체육학 / 학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 / 석사)[3]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 / 박사)[4] |
종목 | 기계체조 |
주종목 | 평행봉, 링 |
소속 | 수원시청(1988~1990) 연기군청(1990~1995) |
신체 | 157cm, 54kg[5] |
종교 | 개신교 |
가족 | 배우자 김정주, 딸 권하림 |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기계체조 선수다.2. 생애
충청남도 논산에서 태어났으며 초등학교 4학년 때 주위의 권유로 손근수 코치 밑에서 기계체조를 시작했다. 주종목은 링과 평행봉이었으며 순발력이 뛰어나고 링에서는 수평버티기와 물구나무서서 10자잡기에 자신감이 있는 선수로 평가받았다. 국제대회에서는 중국과 일본이 주름잡고 있어 한국에게는 불모지[6]나 다름없었던 기계체조 종목에서 혜성같이 등장하여 세계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한국체육대학교 2학년 때 첫 국제대회인 아시아 청소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한 것을 시작으로, 성인 대회에서는 1986 아시안 게임 개인전에서 금메달 1개와 은메달 1개를 획득했다. 한국 기계체조 역사상 최초로 남자 단체전에서 일본을 꺾고 준우승한 역할을 한 주역이다. 이 대회에서 한국은 남자 단체전 뿐 아니라 체조 메달 종합순위에서도 일본을 제치고 중국에 이어 2위를 차지[7]했다. 연말 체육기자연맹이 선정한 1986년 올해 최우수 남자 선수로 선정되었다.미국 체조 전문 잡지인 '인터네셔널 짐내스트'로 부터 1988 서울 올림픽에서 톱스타로 떠오를 것이라며 주목을 받았지만, 1987 세계선수권에서 링과 철봉에 출전했던 권순성과 박종훈의 실수로 15위를 기록하여 12위까지 주어지는 단체전 출전권을 획득하지 못했다. 1988년 1월에는 1988 서울 올림픽에 참가할 9명의 남자 체조 선수[8] 중 1명으로 뽑히고 이를 계기로 수원시청 체조팀의 창단멤버로 입단했지만 대회 직전 부상으로 올림픽 출전에 낙마했다. 비록 자국에서 열린 올림픽에 참가하지는 못하고 국가대표로서의 활동 또한 부상의 여파로 올림픽 이듬해인 1989년에 마감해야 했지만 은퇴하지 않고 기계체조 선수로서는 많은 나이인 32살[9]까지 23년 간 선수 생활을 지속했다.
3. 수상 기록
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1986 서울 | 평행봉 |
은메달 | 1986 서울 | 단체전 |
은메달 | 1986 서울 | 링 |
4. 여담
- 1981 전국체육대회에서 주특기인 링 종목에서 우승했으며, 1989년부터 1995년까지 6년 연속 링 금메달을 포함하여 총 10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 독실한 개신교 신자로 체조선수를 은퇴하는 1995년까지 술과 담배를 전혀 하지 않았다.
- H.O.T.의 3집 앨범 Thanks To에 이재원과 장우혁이 그에게 감사 인사를 올렸다.
[1] 아시안 게임 당시 선수 등록명은 Kweon Soonseong이다.[2]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선수등록 정보 기준이며 1964년 생이라는 언론보도도 있다.[3] 석사 학위 논문은 1991년 2월에 작성된 鐵棒運動 Endo 動作의 運動學的 分析다.[4] 박사 학위 논문은 2011년 8월에 작성된 척추안정화 운동을 병행한 자세교육 프로그램이 체조 선수의 척추형태와 염증변인 및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이다.[5]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당시 기준이다.[6] 기계체조 종목이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1974 테헤란 아시안 게임에서 남자 링의 김국환, 평행봉의 이영택이 금메달을 획득한 적이 있으나 이후 대회부터 중국이 참여하면서 금메달과 멀어졌다.[7] 중국 (금12, 은8, 동5), 한국 (금3, 은4, 동6), 일본 (은1, 동4)[8] 권순성, 박종훈, 안봉민, 윤창선, 송유진(이상 한체대), 임군기, 임정수, 주영삼(이상 경희대), 이정식(상무)[9] 본인 스스로는 나이가 들 수록 근력이 생기는 것 같다고 평가할 정도였다. 실제로 2000년대 이후로는 30대 올림픽 체조 선수들도 많아졌고 30대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도 많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