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4 16:40:23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000 40%, #000 60%, #cc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국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3%"
{{{#000,#ddd {{{#!folding [ 자본주의 진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세계
맹주
유럽
· · · · · · · · · · · · · ·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 · · · · · · · · · · · · · · · · · · ·
아프리카
· · · · · · · · · ·
북아메리카
· · · · · · · · · · · · · · · ·
남아메리카
· · · · · · · · ·
}}}}}}}}}}}}
{{{#!folding [ 공산주의 진영 ] 
{{{#!folding [ 비동맹 진영 ] 
}}} ||
<colbgcolor=#2d2f34> 주요 사건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1947)
<colcolor=#000,#ddd>봉쇄정책 · 언싱커블 작전 · 제2차 국공내전 · 철의 장막 · 그리스 내전 · 미소공동위원회 · 트루먼 독트린
전반부
(1947~1969)
마셜 플랜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 제1차 중동전쟁 · 베를린 봉쇄 · 티토-스탈린 결렬 · 소련의 미국개입유도설 · 6.25 전쟁 · 쿠바 혁명 · 제네트릭스 계획 · 1956년 포즈난 시위 · 1956년 헝가리 혁명 · 제2차 중동전쟁 · 1958년 레바논 위기 · 진먼 포격전 · 스푸트니크 쇼크 · 콩고 내전 · 중소결렬 · U-2 격추 사건 · 1962년 버마 군사반란 ·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 베트남 전쟁 · 캄보디아 내전 · 피그만 침공 · 쿠바 미사일 위기 · 제3차 중동전쟁 · 68 운동 · 프라하의 봄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우주 경쟁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매카시즘 · 상호확증파괴 · 죽의 장막 · 로젠버그 부부 간첩 사건 · 과테말라 내전 · 북예멘 내전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데탕트
(1969~1979)
닉슨 독트린 · 동방 정책 · 닉슨-마오쩌둥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 핵확산금지조약 · 전략무기제한협정 · 제4차 중동전쟁 · 앙골라 내전 · 베트남 통일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독일의 가을 · 중일평화우호조약 · 이란 혁명 · 중국-베트남 전쟁 · 엘살바도르 내전 · 니카라과 혁명
후반부
(1979~1985)
흑묘백묘론 · 악의 제국 연설 ·그레나다 침공· 이 장벽을 허무시오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 · 스타워즈 계획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콘트라
냉전의 종식
(1985~1991)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도이머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북방정책 · 1988 서울 올림픽 · 천안문 6.4 항쟁 · 베를린 장벽 붕괴 · 몰타 회담 · 1989년 동유럽 혁명 · 예멘 통일 · 동서독 통일 · 걸프 전쟁 · 8월 쿠데타 · 남북기본합의서 · 소련 붕괴
탈냉전
국제 기구
·
TIAR · SEATO · ANZUS · CENTO | 경제상호원조회의(СЭВ | COMECON)
군사 대결 구도
미군 vs 소련군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Únor 1948[1]
Fabruárový prevrat[2]
1948 Czechoslovak coup d'etat
냉전의 일부
파일:Agitace-1947.jpg
1947년 체코슬로바키아 친 공산주의 시위 모습
기간
1948년 2월 21일~1948년 2월 25일
장소
체코슬로바키아 전역
원인
소련의 지시
교전국 및 교전 세력
체코슬로바키아 정부군

[[체코|
체코
체코슬로바키아
]][[틀:국기|
행정구
체코슬로바키아
]][[틀:국기|
속령
체코슬로바키아
]]
쿠데타군

[[소련|]][[틀:국기|]][[틀:국기|]]
파일:Flag_of_the_KSC.svg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체코슬로바키아 사회민주당 내 공산주의 파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지지 의사 표명국·단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식)
소련
(사실상)
없음 없음 }}}}}}}}}
지휘관

[[체코|
체코
정부군
]][[틀:국기|]][[틀:국기|
속령
정부군
]]
에드바르트 베네시
파일:Flag_of_the_KSC.svg 클레멘트 고트발트
병력
-명 -명
결과
쿠데타군의 승리
영향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의 멸망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
피해규모

1. 개요2. 배경3. 쿠데타 발생4. 결말

[clearfix]

1. 개요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에서 일어난 쿠데타. 공산당의 쿠데타로 인해 민주주의 체제가 전복되고 공산주의 정권이 수립된 사건이다.

2. 배경

1945년 나치 독일이 패망한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 인사들이 체코슬로바키아로 복귀하여 제3공화국을 수립했다.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사람들은 뮌헨 협정을 체결하게 만들어 자신을 독일에 팔아넘긴 영국과 프랑스를 좋게 보지 않았다. 이에 반해서 자신을 독일로 부터 해방시켜준 소련에게 호감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1945년 4만여명이던 공산당 당원 수가 쿠데타 직전에는 135만명으로 늘어난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을 이끄는 클레멘트 고트발트는 공산주의 색채를 확실하게 빼고 민족주의적 색채를 높였다. 그는 자신을 체코슬로바키아의 초대 대통령이자 국부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의 후계자라 주장하면서 체코인들 사이 널리 퍼진 반독 감정을 이용했다. 그리고 그는 우익 정당들과도 협력하면서 자신의 검은 속내를 숨겼다. 이는 곧바로 대중의 인기로 연결되었고 1946년 5월 26일 열린 체코슬로바키아 의회 선거에서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와 슬로바키아 공산당은 38% 득표율을 얻었다. 이는 자유 선거에서 유럽지역 공산당이 얻은 최대 득표율이다. 소련과의 협조노선을 주장하던 에드바르트 베네시는 고트발트를 총리로 임명했다. 그의 인기는 영원할 것 같았지만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선거에서 공산당이 패배하고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이 마셜 플랜을 반대함으로서 인기가 떨어지기 시작했다. 이에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사무총장이던 루돌프 슬란스키는 내각 전부를 공산당원들로 바꾸려고 했지만 이는 실패로 끝이 났다.

1947년에서 1948년사이 공산주의자와 비공산주의자 사이의 갈등이 점차 심해지기 시작했다. 특히 경찰을 지휘하는 내무부 장관의 해임 문제를 두고 둘 사이의 갈등은 폭발했다. 비공산주의자는 바츨라프 노섹을 내무부 장관을 해임해야 한다 주장했고 공산주의자들은 반발했다. 양 측의 갈등이 격화된 가운데 비공산주의자 장관 12명이 사임했으나 에드바르트 베네시 대통령은 이 사임을 반려하고 다시 협상에 나서라고 재촉했다.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공산당원들 주도로 시위와 총파업이 일어나고 이에 대응해서 반공학생 시위가 일어나는 등 상황은 점차 안 좋게 흘러가기 시작했다. 이런 어수선한 가운데 소련의 외무차관인 발레리안 조안이 체코슬로바키아를 방문했다. 그는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에게 쿠데타를 일으키라고 지시했고, 고트발트는 이를 받아들였다.

3. 쿠데타 발생

1948년 2월 21일 공산당의 전위부대와 노동조합 민병대는 무장을 하고 거리 곳곳에 파견되었다. 이는 사실상 무력시위로 언제든지 반공산주의자들을 숙청할 수 있다는 하나의 신호였다. 고트발트는 공산당원 십만명을 모아놓고 한 연설에서 공산주의자로만 구성된 내각을 구성하지 않으면 무력으로 쟁취하겠다면서 협박아닌 협박을 했다. 이에 비공산주의자들은 베네시 대통령에게 군을 동원해서 빨리 저들을 진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는 1945년부터 건강이 매우 좋지 않았고, 이런 행동에 정평이 난 선수들과 맞설 감정적, 육체적 능력이 존재하지 않았다. 결국 내전과 소련의 개입이 두려운 에드바르트 베네시 대통령은 항복을 선언하였고 고트발트에게 내각의 구성권을 주게 되었다. 고트발트는 처음에는 13명의 공산주의자와 12명의 비공산주의자들로 구성된 내각을 구성해 공평한 것처럼 행동했다. 하지만 체코슬로바키아 사회민주당 당수인 즈데넥 피어링거는 이미 공산당과 한 몸이라서 사살상 공산주의자와 친소련파로 이루어진 내각이나 다름없었다.[3] 이 내각에서 유일하게 공산주의자나 친소련파가 아닌 사람이 외무장관 얀 마사리크였다. 하지만 그는 3월 10일 외무부 화장살 창문 아래 떨어져 사망했다.[4] 반대파가 완전히 사라지자 5월 9일 고트발트 내각은 체코슬로바키아를 인민민주주의 국가로 선언하는 새로운 헌법을 만들어 의회의 승인을 얻었다. 베네시 대통령은 이 헌법에 사인하지 않았지만 공산당의 압박으로 인해 결국 6월 2일 사임했고 이 자리를 고트발트가 차지하게 되었다.[5]

4. 결말

쿠데타 이후 많은 공무원들이 해고되었고 체포되었다. 수천명의 체코슬로바키아 사람들은 공산주의 치하에 살기 싫어서 떠났다. 그리고 이들은 1989년 벨벳혁명이 일어나 공산당 독재가 무너지기 전까지 돌아오지 못했다.

이 쿠데타는 서방에게 크나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동유럽에 유일하게 존재하던 민주주의 정부가 허망하게 무너져 내린 걸 본 서방은 소련을 불신하게 되었고 이는 NATO창설 움직임을 가속화 시켰다.[6] 또한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던 서방과 소련의 외무장관 회의도 중단이 되고 냉전이 심화되었다.


[1] 체코어[2] 슬로바키아어[3] 1948년 말 결국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과 체코슬로바키아 사회민주당은 합당한다.[4] 정부 당국은 자살로 발표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살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5] 이후 에드바르트 베네시는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에 의해 매국노로 비난을 당했고 9월 3일 뇌졸중으로 사망하게 된다.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는 그의 장례식에 모은 수많은 사람들이 시위를 할까 봐 두려워해 장례식을 개최하지 않고 조용히 매장했다.[6] 쿠데타가 일어나던 당시 런던에서 미국과 유럽의 외무장관들이 모여서 회의를 하고 있어서 단일한 대응이 빠르게 가능했다.